[include(틀:대우그룹)] ||<-2> {{{+1 {{{#ffffff '''대우중공업'''}}}}}}[br]{{{#ffffff '''Daewoo Heavy Industries Co., Ltd.'''}}} || ||<-2> [[파일:대우중공업 로고.svg|width=300]] || || '''{{{#white 정식명칭}}}''' ||대우중공업주식회사 || || '''{{{#white 영문명칭}}}''' ||Daewoo Heavy Industries Co., Ltd. || || '''{{{#white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 || {{{#ffffff '''설립일'''}}} ||[[1963년]] [[5월 21일]] || || {{{#ffffff '''해체일'''}}} ||[[2013년]] [[11월 30일]] || || {{{#ffffff '''업종명'''}}} ||선박제조 및 공업용 엔진 제조업 || || {{{#ffffff '''기업 분류'''}}} ||[[대기업]] || || {{{#ffffff '''상장 여부'''}}} ||상장폐지 || || {{{#ffffff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1966년 ~ 2001년) || || {{{#ffffff '''종목코드'''}}} ||000200 || || {{{#ffffff '''법인형태'''}}} ||폐업법인 || || {{{#ffffff '''주소'''}}}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 6 || [목차] [clearfix] == 개요 == 옛 [[대우그룹]]의 중공업 부문 계열사로, [[현대두산인프라코어]]와 [[대우조선해양]]의 뿌리이며 [[현대로템]]과 [[한국항공우주산업]]의 공동전신이기도 하다. 존속 당시 홈페이지 도메인은 'www.dhiltd.co.kr' 이었다. == 역사 == '''[[1937년]]''' 일본 요코야마공업소[* 당시 네즈재벌 계열사.], 모리콘체른 등의 주도로 경기도 인천부에서 설립된 조선기계제작소가 시초이다. 설립 이래 디젤 차량 및 엔진을 위주로 제작했으나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인천육군조병창 관리 하에 잠수함을 건조했고, 특히 말기에는 [[일본 육군]]의 의뢰로 [[삼식잠항수송정]]을 발주받은 적이 있다. 일제하 조선기계제작소에 관한 이야기는 배석만 인천대 교수의 '''[[2009년]]''' 논문과 이성진 교사의 인천뉴스 [[http://m.incheo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948|연재물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1945년]] [[8.15 광복]]''' 후 귀속재산으로 분류되어 상공부 관할이 되었다. 이후 관리권이 국방부와 상공부를 오가다가 '''[[1963년]],'''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 제정에 따라 한국기계공업으로 재창립한 뒤 '''[[1966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고, '''[[1968년]]'''에 신진자동차가 경영에 참여해 민영화되었다. '''[[1973년]]''' 부곡차량 인수합병 후 '''[[1975년]]''' 신진그룹에서 분리되어 은행관리로 넘어갔다. '''[[1976년]] [[포스코대우|대우실업]]'''에 인수된 후 대우중공업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77년]]''' 공작기계공장, '''[[1978년]]''' 기술연구소를 각각 세웠다. '''[[1984년]]''' 항공사업부문 신설 후 '''[[1988년]]''' 자회사 한국산업전자를 세웠고, '''[[1989년]]''' 유럽현지법인을 세우고 '''[[1994년]] [[대우조선]]'''을 합병하여 조직을 기계-조선-자동차[* 국민차, 트럭, 버스] 3개 부문으로 재편하여 독립채산제도 도입했다. '''[[1999년]]'''도에 자동차 사업부문을 대우자동차 승용차부문에 이관하고 같은 해 빅딜을 통해 현대, 삼성, 대우, 한진 4사의 철도사업부문[* 삼성은 제외]과 항공사업부문을 [[현대로템|한국철도차량]], '''[[한국항공우주산업]]'''으로 합쳤다. 대우그룹 해체 후 채권단 관리를 받다가 '''[[2000년]]'''은 기계부문이 '대우종합기계', 조선부문이 '대우조선'으로 각각 분할되면서 잔존법인으로 남아 정리절차를 거쳤고, '''[[2001년]]''' 상장폐지된 뒤 '''[[2005년]] [[4월 1일]]''' 파산선고를 받아 '''[[2013년]]''' 법인이 완전 해체됐다. '''대우중공업'''의 두 축이였던 종합기계와 조선해양은 20년 가까이 나뉘어 살다가 여러 사정 끝에 모두 '''[[현대중공업]]'''에 인수되어 만나게 될 뻔 했던 적이 있다. 다만, 대우종합기계의 후신인 두산인프라코어가 [[두산그룹]]의 경영난을 겪으며 여기저기로 분할 매각되어서 온전한 결합은 아니다. 팔려나간 굵직한 사업부만 해도 지게차사업부[* 매각된 후 (주)두산이 다시 사들였다가 두산밥캣의 자회사로 재매각.], 공작기계사업부[* 두산공작기계로 두산의 이름은 쓰고 있으나 사모펀드가 최대주주다.], 방산사업부[* 한화디펜스로 매각], 엔진사업부[* HSD엔진]가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701~717편성) 1차분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801~815편성) 1차분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01~125편성) 1차분 == 역대 총괄임원 == * 회장 * [[김제원]] (1969~1971) * 대표이사 회장 * [[김우중]] (1977~1995/1998~1999) * 윤영석 (1995) * 윤원석 (1995~1997) * 대표이사 부회장 * 윤영석 (1993~1995) * 대표이사 사장 * 최창현 (2000~2005)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두산인프라코어, version=373)] [[분류:대우그룹]][[분류:한국의 없어진 기업]][[분류:대한민국의 중공업 회사]][[분류:대한민국의 방위산업체]][[분류:1963년 기업]][[분류:2013년 해체]][[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 제조사]] [include(틀:포크됨2, title=대우중공업, d=2022-07-05 15:4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