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구 대우모터공업의 법인을 승계해 2018년 2월부터 2019년 7월까지 "대우전자" 사명을 사용했던 동부대우\, 위니아대우, rd1=위니아전자)] [include(틀:대우그룹)] [include(틀:대한민국의 과거 휴대전화 제조 기업)] ||<-2> '''{{{+1 대우전자}}}[br]大宇電子 株式會社[br]DAEWOO ELECTRONICS Co., Ltd.''' || ||<-2> [[파일:대우전자 로고.svg|width=3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설립일''' ||[[1971년]] [[9월 2일]] || || '''해산일''' ||[[2012년]] [[3월 22일]] || || '''업종명''' ||전자 제품 제조업 || || '''기업 분류'''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상장 여부''' ||[[상장 폐지]] || ||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1984년]]~[[2002년]]) || || '''종목 코드''' ||007410 ||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217 ([[아현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4Voe4rddQ4)]}}} || || {{{#fff '''1980년대에 쓰이던 인트로 형식의 대우전자의 로고'''}}} || 옛 [[대우그룹]] 계열 종합 전자 제품 제조사였다. == 역사 == [[대우그룹]]이 전자제품 제조업에 진출한 건 [[1974년]], 대우실업의 하청생산업체였던 동남전자를 인수해 내쇼날의류와 역합병한 후 '대우전자'로 사명을 변경하면서부터다. 초기에는 카오디오 등 전자제품이나 부품 생산과 수출을 맡으며 [[1975년]] 주안전자, [[1976년]] 인우전기를 각각 합병했고, [[1983년]] [[대한전선]]으로부터 가전 및 방산, 영업부문을 인수하여 내수시장에 진출, 진출 원년 대한전선 시절의 만년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고 [[1984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같은 해 '대우 비디오테이프' 브랜드를 런칭하며 영상사업에도 진출한 후 [[1985년]] 광주에 주방기기 공장을 세웠고, 이듬해 가스보일러사업부를 발족해 보일러도 만들기 시작했다. [[1987년]]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과 합작해 대우모터공업을 세우고 [[1989년]] 대우정보시스템을 세운 뒤, 빌딩정보화사업에도 참여했다. [[1980년대]] [[일본]] [[야시카]]와 협력하여 야시카 카메라를 OEM 방식으로 조립생산하기도 했다. [[1991년]] [[서울]] [[마포구]] [[아현동]] 신사옥으로 이전하여 광고대행사를 오리콤에서 코래드로 바꿨고, [[1993년]] '탱크주의'를 선언하여 [[대우정밀]]로부터 피아노사업부문을 양수하고 [[1995년]] 케이블 영화채널 '[[OCN|대우시네마네트워크]]'를 개국한 뒤 멀티미디어 사업에 착수했다. [[1996년]] 영상사업본부를 (주)대우 무역부문으로 넘기며 반도체부문을 양수받았다. [[1997년]] [[외환 위기]] 여파에 따른 [[구조조정]]으로 이듬해에 디지털피아노사업부를 (주)벨로체로, 애프터서비스 사업을 대우전자서비스로 각각 분사시킨 뒤 국내영업부문을 관계사 한국신용유통으로 넘겼으나, [[1999년]] 그룹의 부도로 [[2000년]]부터 워크아웃을 받으며 [[2001년]]에 반도체부문과 특산사업부를 광전자와 [[한화(기업)/화약·방산|(주)한화]]로 각각 넘겼다. [[2002년]] 가전사업을 [[위니아전자|대우모터공업]]으로 넘기며 가스보일러사업은 대우가스보일러, 디스플레이 사업은 [[대우루컴즈]]로 넘긴 뒤 이듬해엔 카오디오 및 초정밀 전자기계시스템(MEMS) 사업까지 대우디에이티로 넘긴 것을 마지막으로 부실채권 회수업무만 전담하다 [[2006년]] [[파산]]선고를 받았고, [[2012년]] 완전 폐업됐다. 과거에는 [[1994년]] [[일본]] [[SONY]]와 기술제휴 해 방송장비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1998년]]에는 당시 차세대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각광받았었던 AMA(Actuated Mirror Array) 기술을 [[https://m.etnews.com/199807250003|국내 최초]]로 개발 한 바 있었다. 2021년 '대우'의 상표권자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튀르키예]] 기업 [[베스텔]]과 향후 10년간 상표 라이센스 임대 계약을 체결하고 [[유럽]]과 [[러시아]]를 포함 전세계 49개 국가의 시장에 진출할 것을 언론에 공개했다. [[https://bazaartimes.com/vestel-will-produce-daewoo-branded-tvs-and-white-goods-for-49-countries/|#]] == 역대 임원 == * 대표이사 회장 * [[배순훈]] (1995~1997) * 대표이사 사장 * 이석희 (1972~1974) * 이석용 (1974~1978) * 김우중 (1978~1983) * 이동주 (1978~1980) * 김용원 (1983~1990) * 배순훈 (1991~1995) * 양재열 (1995~1997/1998~1999) * 전주범 (1997~1998) * 장기형 (1998~2002) * 장규환 (2002) * 김충훈 (2002~2003) * 최재범 (2003~2006) == 역대 도메인 == * www.dwe.daewoo.co.kr (1997~2000) * www.dwe.co.kr (1998~2002)[* www.winiadaewoo.com으로 리다이렉트된다.] == 관련 사업 == === 컴퓨터 사업 === 80년대 8비트 시절 경쟁 가전업체인 [[LG전자|금성사]]와 [[삼성전자]]는 별로 재미를 못 본 반면[* 금성사는 [[금성 패미콤]] 시리즈로 다양한 기종을 출시하였으나 결국 일찌감치 포기하고 16비트로 넘어갔고, 삼성전자는 [[SPC-1000]]과 [[SPC-1500]] 등으로 계속 8비트 시장에 남아있었으나 시장에서의 비중은 애플 호환기종과 MSX 시리즈에 한참 밀렸다.], 대우전자는 [[MSX]]에 올인해서 다양한 MSX 컴퓨터와 그 주변기기들을 출시하여 당시 8비트 시장을 [[Apple II|애플 호환기종]]과 양분하였다.[* 금성사와 삼성전자에서도 MSX 컴퓨터를 발매하기는 하였으나, 소수의 MSX1 기종만 발매하였기 때문에 한국 MSX 역사에 존재감이 거의 없다.] 이렇게 나온 MSX 컴퓨터가 MSX1인 아이큐 1000과 MSX2인 아이큐 2000와 X-2.[* 후문에 의하면 MSX2+ 기종 또한 상당한 수준으로 개발이 진행되었으나, [[교육용 PC 사업]]으로 출시가 취소되었다고 한다.] 이외에 키보드를 제거한 게임기 형식인 [[재믹스(게임기)|재믹스]] 시리즈와 유아 교육용 컴퓨터인 [[코보]]도 생산하였다. 자세한 것은 [[대우전자의 MSX 컴퓨터]] 문서 참고. [[교육용 PC 사업]]으로 한국의 8비트 컴퓨터 시장이 몰락한 뒤로는 [[IBM PC 호환기종]]인 아이큐 슈퍼와 코로나 PC 등을 내놓기도 했다. 1991년에는 PC 사업을 대우통신으로 [[https://www.mk.co.kr/news/economy/973148|합쳤고]], 이는 2002년 대우컴퓨터로 분사되었다가 2005년 대우루컴즈[* 원래 대우전자의 모니터사업부가 분리 독립하여 설립된 회사이다.]에서 대우컴퓨터를 인수하여 다시 합쳐져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 휴대전화 사업 === 크게 기억되지 않아 생소할 수 있지만, 대우도 [[휴대전화]]를 출시했다. 국내에는 [[PCS]]폰들을, 해외에는 [[GSM]]폰들을 선보였으나 경쟁사들에 밀려 큰 성과를 보진 못하였다. 휴대폰의 경우 기획 및 주요 개발을 대우전자가 맡았지만 일부 부품 공급과 유통은 대우통신에서 담당했다. ||[[파일:대우 씨티폰.jpg|width=100%]]|| ||<:>'''대우'''의 [[중국]] 수출용 플립형 휴대폰|| ||
[[파일:대우 폴더폰.jpg|width=100%]]|| ||<:>'''대우'''의 [[미국]] 수출용 [[CDMA]] 폴더폰|| 한참 뒤의 이야기이긴 하나 2016년경에는 [[대우인터내셔널]]을 통해 중남미에서 보급형 스마트폰에 [[https://fccid.io/2AASJSMD-5090A|대우 브랜드를 붙여 판매하기도 했다.]] [[분류:대우그룹]][[분류: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제조사]][[분류:한국의 없어진 기업]][[분류:1971년 기업]][[분류:2012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