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양학원)] ||<-3> [[파일:학교법인 대양학원.svg|height=19]][br][[파일:학교법인 대양학원(영문).svg|height=25]] || ||<-3> [[파일:세종대학교 엠블럼.svg|width=250]] || ||<-2> '''분류''' ||'''사립학교법인 (교육재단)''' ||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설립일'''}}} ||[[1947년]] [[5월 3일]] {{{-2 ([age(1947-05-03)]주년)}}} || ||<|4>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교육기관'''}}}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대학교'''}}} ||'''[[세종대학교|{{{#373a3c,#ddd 세종대학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원격대학'''}}} ||'''[[세종사이버대학교|{{{#373a3c,#ddd 세종사이버대학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고등학교'''}}} ||[[서울세종고등학교|{{{#373a3c,#ddd 서울세종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초등학교'''}}} ||[[세종초등학교|{{{#373a3c,#ddd 세종초등학교}}}]]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산하기관'''}}} ||'''세종연구원''' || ||<-2> '''설립자''' ||대양 '''[[주영하(1912)|주영하]]''' || ||<-2> '''이사장''' ||최세모 || ||<-2><|4>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산하수익산업체'''}}} ||세종투자개발 || ||<-2>{{{#373a3c,#ddd 세종호텔}}} || ||<-2>{{{#373a3c,#ddd 춘천세종호텔}}} || ||<-2>{{{#373a3c,#ddd 세종서적}}} || [목차] [clearfix] == 개요 == 학교법인 대양학원은 1947년 5월 3일 설립된 학교법인이다. 재단의 이름은 [[세종대학교]] 설립자 [[주영하(1912)|주영하]](朱永夏) 박사의 호(號)인 대양(大洋)을 따서 지어졌다.[* 여담으로 세종대학교의 대강당인 '대양홀'도 주영하 박사의 호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대양학원은 [[세종대학교]], [[세종사이버대학교]], [[서울세종고등학교]], [[세종초등학교(서울)|세종초등학교]] 등 교육기관과 [[서울]] [[명동]] 소재 세종호텔, 춘천세종호텔, 세종서적 등 수익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산하기관으로는 세종연구원이 있다. == 연혁 == 1947년 5월 3일 [[주영하(1912)|주영하]], [[최옥자]] 박사가 교육으로부터 소외 받은 여성들에게 참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학교법인 서울여자학원」을 설립하였다. 1972년 5월 17일 재단의 명칭을 학교법인 서울여자학원에서 「학교법인 대양학원」으로 변경하였다. == 구성 == === 교육기관 === ||<-3>
<:>[[파일:학교법인 대양학원.svg|height=16]][br]{{{#FFFFFF '''산하 교육기관'''}}}|| ||<-3><:>{{{#!wiki style="margin: -5px -10px" {{{-2 {{{#fff '''현존 교육기관'''}}}}}}}}}|| ||<-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름'''||<:>'''위치'''||<:>'''개교'''|| ||<:>[[세종대학교|{{{#000000 세종대학교}}}]]||<:>[[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등로 209 ([[군자동(광진구)|군자동]] 98)||<:>1940년 경성인문중등학원|| ||<:>[[세종사이버대학교|{{{#000000 세종사이버대학교}}}]]||<:>[[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로]] 121 ([[군자동(광진구)|군자동]])[br][[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 225[br][[서울특별시]] [[광진구]] [[천호대로]] 680||<:>2000년 세종사이버대학교|| ||<:>[[서울세종고등학교|{{{#000000 서울세종고등학교}}}]]||<:>[[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51길 36 ([[수서동]])||<:>1959년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 ||<:>[[세종초등학교(서울)|{{{#000000 세종초등학교}}}]]||<:>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로 114 (군자동)||<:>1963년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 국민학교|| }}}}}}}}}|| ||<-3><:>{{{#!wiki style="margin: -5px -10px" {{{-2 {{{#fff '''폐지된 교육기관'''}}}}}}}}}|| ||<-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름'''||<:>'''위치'''||<:>'''개교'''|| ||<:>수도여자사범대학[br]부속 중학교||<:>폐교||<:>1959년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 중학교[* [[http://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11p)]]]|| ||<:>수도여자사범대학[br]부속 유치원||<:>폐원||<:>1961년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 유치원[* [[http://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11p)]]]|| }}}}}}}}}|| 대양학원이 운영하고 있는 교육기관으로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광진구)|군자동]] 소재 [[세종대학교]], [[세종사이버대학교]], [[세종초등학교(서울)|세종초등학교]],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소재 [[서울세종고등학교]]가 있다. 세종대, 세종고, 세종초 모두 무용 및 리듬체조로 유명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대양학원 소속 교육기관 출신인 리듬체조 국가대표가 많다. [[신수지]]는 [[서울세종고]], [[세종대]] 출신이다. [[손연재]]는 [[세종초등학교(서울)|세종초]], 서울세종고 출신이다. [[김윤희]]는 세종대 출신이다.] 또한 대양학원의 교육기관들은 모두 [[서울특별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수]]와 앙부일구[* [[세종(조선)|세종]]이 창제한 [[해시계]]]의 영침(影針)을 단순화한 로고를 사용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단 [[서울세종고등학교]]와 [[세종초등학교(서울)|세종초등학교]]는 [[개신교]] [[미션스쿨]]이지만 [[세종대학교]]는 미션스쿨이 아닌 (無교단 [[초교파]]) [[개신교]] [[종립학교|종립대학]]이다. ==== [[세종대학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종대학교)] ==== [[세종사이버대학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종사이버대학교)] ==== [[서울세종고등학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세종고등학교)] ==== [[세종초등학교(서울)|세종초등학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종초등학교(서울))] === 산하기관 === ==== 세종연구원 ==== 대양학원 산하기관으로는 세종연구원이 있다. 대전광역시 소재 연구소인 대전세종연구원과 민간 공익연구소인 세종연구소와는 무관하다. === 산하 수익사업체 === ==== 세종투자개발 ==== ||<-2>
[[파일:학교법인 대양학원.svg|height=16]][br]{{{#ffffff '''세종투자개발(주)'''}}}[* 기업명으로 세종투자개발과 세종투자개발 세종호텔이 같이 사용되고 있다.]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종호텔로고1.jpg|width=100%]]}}}|| || '''분류''' ||[[중견기업]] || || '''업종''' ||호텔업 || || '''설립일자''' ||1978.11.01 || 세종투자개발은 1978년 11월 1일에 설립된 중견기업이자 대양학원 산하 수익사업체이다. 업종은 [[호텔]]업이지만 관광호텔 경영뿐만 아니라 한식 전문 음식점 경영, 서적 출판·소매 사업도 하고 있다. 2019년 기준으로 자본금은 96억 8,413만원, 매출액은 250억 8,356만원, 당기순이익은 1억 4,552만원이며 사원 수는 180명이다.[* [[http://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csn=M0ZuVHV5Tm5tNDcrWjdnWFI2VXdHUT09|사람인 - ㈜세종투자개발 기업정보]]] 세종호텔, 춘천세종호텔, 세종서적이 이 기업에 소속되어 있다. ===== 세종호텔 ===== ||<-3>
[[파일:학교법인 대양학원.svg|height=16]][br]{{{#ffffff '''세종호텔'''}}}[* [[https://www.sejong.co.kr/kor/main/main.php]]] || || {{{#!wiki style="margin: -5px -10px" {{{-2 {{{#fff 외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2 {{{#fff '''로비'''}}}}}}}}} || {{{#!wiki style="margin: -5px -10px" {{{-2 {{{#fff 식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종호텔외관2.jpg|width=100%&height=2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종호텔내부1.jpg|width=100%&height=2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종호텔내부2.jpg|width=100%&height=200&align=center]]}}} || 세종호텔은 [[서울 지하철 4호선]] [[명동역]] 10번 출구 앞에 위치한 지상 15층, 333실 규모의 4성급 [[호텔]]이다. 1962년 12월 18일 [[수도여자사범대학]]이 [[중구(서울)|중구]] [[명동]]에서 [[광진구]] [[군자동(광진구)|군자동]]으로 캠퍼스 이전을 완료한 이후 해당 부지에 1966년 12월 20일 개관하였으며, 현재까지 대양학원의 수익사업체로 사용되고 있다.[* [[https://www.sejong.co.kr/kor/01_about_sejong/history.php|세종호텔 홈페이지 - 호텔연혁]]] 국내 최초의 [[한식 뷔페]]인 은하수도 이 호텔에 있다.[* [[https://www.sejong.co.kr/kor/03_restaurant/eunhasu.php|세종호텔 홈페이지 - 은하수]]] ===== 춘천세종호텔 ===== ||
[[파일:학교법인 대양학원.svg|height=16]][br]{{{#ffffff '''춘천세종호텔'''}}}[* [[https://www.chunchonsejong.co.kr/kor/index.d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2 {{{#fff '''외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춘천세종호텔2.jpg|width=100%]]}}} || 춘천세종호텔은 [[강원도]] [[춘천시]] 봉의산길31에 위치한 지상 3층·지하 1층, 별관 3동, 63실[* 65실 중 양실(洋室)은 52실, 한실(韓室)은 11실이다.] 규모의 3성급 호텔이다. 1956년 9월 10일에 개관하였으며 현재까지 대양학원의 수익사업체로 사용되고 있다.[* [[http://www.chunchonsejong.co.kr/kor/kor_gree.do|춘천세종호텔 홈페이지 - 호텔소개]]] 2021년 기준, 춘천의 유일한 등급 결정 호텔이다.[* 2023년 기준 현재는 레고랜드 호텔, 상상마당 스테이 등 등급이 매겨진 다른 호텔들이 몇 군데 더 생겼다.] [[일제강점기]] 당시에는 [[강원신사]]가 있었으며, 지금은 계단과 데미즈야(水手舍)[* 신사에서 참배 전 손과 입을 씻는 곳]가 남아 있다. ===== 세종서적 ===== [[http://www.sejongbooks.co.kr/|세종서적]]은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에 위치한 중소기업이다. 업종은 기타제조업이며 종합 단행본 출판 및 도매, 부동산 임대 사업을 하고 있다. 2015년 기준으로 자본금은 5억 8,920만원, 매출액은 18억 3,436만원, 당기순이익은 2,513만원이다.[* [[http://www.saramin.co.kr/zf_user/recruit/company-info/idx/6225182|사람인 - 세종서적㈜ 기업정보]]] == 재산 == ||<-4>
[[파일:학교법인 대양학원.svg|height=16]][br]{{{#ffffff '''전국 사립 대학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평가액 상위 10위^^(2015년)^^'''}}} || || {{{#fff '''순위'''}}} ||{{{#!wiki style="margin: -5px -10px" {{{#fff '''대학(법인)명'''}}}}}} || {{{#fff '''기본재산 보유액'''[br]'''(단위: 원)'''}}} || {{{#fff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 || 1위 || [[건국대]] || 1조 5,000억 || 256.9% || || 2위 || [[연세대]] || 6,100억 || 114.9% || || 3위 || [[한림대]] || 5,200억 || 493.3% || || 4위 || [[연암공대]] || 4,500억 || 1,579.9% || || 5위 || [[한양대]] || 4,300억 || 92.9% || || 6위 || [[단국대]] || 3,100억 || 122.8% || || '''7위''' || '''[[세종대]]''' || '''3,000억''' || '''214.2%''' || || 8위 || [[한국외대]] || 2,400억 || 127.2% || || 9위 || [[덕성여대]] || 2,200억 || 373.2% || || 10위 || [[인하대]]·[[한국항공대]] || 1,900억 || 64.2% || || 출처 ||<-3>[[http://infor.sahak.or.kr/portal_main.asp|한국사학진흥재단 사립대학회계정보시스템]] || ||
[[파일:학교법인 대양학원.svg|height=16]][br]{{{#ffffff '''수익용 기본재산 내역'''}}} || ||[[파일:FYddQmU.jpg|width=75%&align=center]]|| 대양학원의 기본재산 보유액은 3천억원으로 전국 [[사립대학]] 법인 중 7위이며,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214.2%로 전국 평균인 56.9%의 약 4배에 달한다.[* [[http://khei-khei.tistory.com/1650|2015년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비록 재단과 학생 간의 분규가 있었고 자산 운영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지만, 전국 사립대학 법인 중에서 열 손가락 안에 꼽히는 재단인 건 분명하다. 그 때문인지 [[세종대]]에는 수능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신입생에게 4년간 2억원+α을 제공하는 '대양인재 프로그램' 등 파격적인 신입생 대상 [[세종대학교/학사제도|장학제도]]가 존재한다. 2015년 현재 대양학원이 운영하는 세종대학교의 누적 적립금 총액은 928억원이며, 이는 전국 4년제 사립대학 151개 중 25위, 백분위 83%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http://univalli.com/allisejong/view.php?idx=281|세종알리 - 차곡차곡 쌓은 등록금의 결실! 적립금 928억♥]]] == 임원 == ||<-4>
[[파일:학교법인 대양학원.svg|height=16]][br]{{{#ffffff '''임원현황'''}}}[* [[http://www.sejong.ac.kr/sejong/educational_02.html?menu_id=1.2|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학교법인 임원현황]]] || || {{{#fff '''직위'''}}} || {{{#fff '''성명'''}}} || {{{#fff '''임기'''}}} || {{{#fff '''현직 및 주요경력'''}}} || || 이사장 || 최세모[br]([age(1948-01-01)]세) || 2021.2.19[br]~2026.2.18 || 서울고법 판사[br]대법원 재판연구관[br]서울지법 북부지원·형사합의23부 부장판사[br]現 법무법인 한백 변호사 || ||<|7> 이사 || 박찬혜[*개 개방이사][*교 교육경험 이사][br]([age(1937-01-01)]세) || 2020.9.25[br]~2025.09.24 || 동두천여자상업고등학교 교장[br]동두천고등학교 교장[br]서울세종고등학교 교장[br]세종대학교 총동문회장·교직동문회장 || || 이석규[*교][br]([age(1951-01-01)]세) || 2022.05.30[br]~2027.05.29 || 쌍용양회 중앙연구소 연구원[br]중소기업진흥공단 경영지도역[br]세종대학교 교수·대학원장·행정부총장 || || 안성청[*교][br]([age(1944-01-01)]세) || 2020.9.25[br]~2025.09.24 || 육군사관학교 교수[br]세종대학교 교수·학장·학술정보원장·대학원장·부총장[br]학교법인 대양학원 감사 || || 변희찬[*개 개방이사][br]([age(1958-01-01)]세) || 2020.9.25[br]~2025.09.24 ||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br]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이사[br]법무법인 세종 파트너변호사 || || 이환호[*교 교육경험 이사][br]([age(1952-01-01)]세) || 2021.3.31~2026.3.30 || 한국은행 조사역[br]세종대학교 교수(기획처장, 대학원장) || || 김재곤[br]([age(1955-01-01)]세) || 2021.3.31~2026.3.30 || KB국민은행 부행장[br]도이치 파이낸셜 대표이사[br]도이치 오토월드 대표이사[br]LNS자산운용 고문 || || 이요섭[br]([age(1948-01-01)]세) || 2021.12.1~2026.11.30 || 세종대학교 경영대학장, 교목실장)[br]세종사이버대학교 부총장 || ||<|2> 감사 || 김영준[br]([age(1960-08-10)]세) || 2022.2.14[br]~2025.2.13 || [[서울고등검찰청]] 공판부장,차장검사 [[창원지방검찰청]] 검사장[br]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본부장[br]법무법인 삼우 대표변호사 || || 김대웅[br]([age(1977-01-01)]세)[* 추천감사] || 2022.10.14[br]~2024.10.13 || 삼일회계법인 회계사[br](주)알인베스트먼트 사외이사 || == 운영 현황 ==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대양학원은 [[세종대학교]]에 법정 부담 전입금[* 법정 부담 전입금은 재단이 학교에 반드시 지급하도록 법에 규정된 금액이다. 만약 재단이 이를 학교에 지급하지 않으면 부족한 금액은 등록금에서 충당하게 되며, 교육부에 ‘재정여건 개선계획’을 제출해야 한다.]을 일부 제공하지 않았으며, 이를 메꾸기 위해 5년간 세종대학교 학생들의 등록금 147억원이 사용됐다.[* [[http://univalli.com/allisejong/view.php?idx=281|세종알리 - 차곡차곡 쌓은 등록금의 결실! 적립금 928억♥]]] 이에 대해 세종대학교 등록금심의위원회 학생 대표자들이 연초마다 항의하고 있지만 개선되지 않고 있다.[* [[http://univalli.com/allisejong/view.php?idx=281|세종알리 - 차곡차곡 쌓은 등록금의 결실! 적립금 928억♥]]] 대양학원의 법정 부담 전입금 이행률[* 법정 부담 전입금 이행률은 부담금/기준액이다. 즉 재단이 학교 측에 실제로 제공한 금액/재단이 법에 따라 학교 측에 제공해야 하는 금액을 의미한다.]은 2011년 30.4%, 2012년 40.7%, 2013년 26.9%, 2014년 19.9%, 2015년 4.9%로 전체 사립대학의 평균 법정 부담 전입금 이행률인 49.8%^^(2014년)^^보다 낮다.[* [[http://univalli.com/allisejong/view.php?idx=281|세종알리 - 차곡차곡 쌓은 등록금의 결실! 적립금 928억♥]]] 2014년 기준 세종대학교의 전체 예산 중 재단 전입금 비율은 0.7%로 전체 대학 평균인 3.7%보다 낮다.[* [[http://univalli.com/allisejong/view.php?idx=281|세종알리 - 차곡차곡 쌓은 등록금의 결실! 적립금 928억♥]]] 대양학원이 운영하는 세종대학교 운용 수입 중 등록금 비율이 전국 평균 등록금 비율인 63.2%보다 약 10% 정도 높다.[* [[http://khei-khei.tistory.com/1625|2014년 사립대학 등록금 의존율 현황]]] 결국 대양학원은 2014년 회계연도부터 2018년 회계연도까지 법정 최저 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했으며, 그 결과 이사진의 일부가 해임되기도 했다.[[https://news.v.daum.net/v/20210215205348846|#]] == 사건 및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종대학교/사건사고)] [[분류:학교법인]][[분류:대양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