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include(틀:전용기)] ||[[파일:總統專機.jpg|width=100%]]|| || 현임기체인 737-800. || [목차] == 개요 == [[중국어]] 정식 명칭은 '중화민국 총통 행정전기(中華民國總統行政專機)'. [[대만 총통|중화민국 총통]] 및 기타 고위 공직자의 수송을 위해 [[대만 공군|중화민국 공군]]이 운용하는 [[전용기]]이다. 현재 사용되는 [[보잉 737 NG#s-3.3|보잉 737-800]] 기체의 정식 명칭은 공군 3701(空軍3701)이지만 흔히 언론에서는 총통 전용기(總統專機) 혹은 공군 1호(空軍一號)라고도 부른다. == 역사 == 역대 중화민국 총통 전용기는 1946년부터 1991년까지 중미호(中美號)로 명명되었다.[* [[장제스]] 전 총통이 본명 장중정(蔣中正)에서 중, 영부인 [[쑹메이링]](宋美齡)에서 미를 각각 따와서, [[중화민국]]과 [[미국]]의 우호를 나타내는 의미로 직접 지은 이름이다. 실제로 중미호는 모두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화항공]]은 기존의 프로펠러 여객기를 제트 여객기로 대체하고자 [[보잉 727#s-3.1|보잉 727-100]] 3대[* B-1818(1967년 2월 제작), B-1820(1967년 9월 제작), B-1822(1969년 2월 제작)]를 구매했다. 그러다가 [[1975년]] [[4월 21일]],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이 패망하면서 [[응우옌반티에우]] 전 총통이 탑승한 에어 베트남(Air Vietnam)[* 지금의 [[베트남항공]](Vietnam Airlines)과는 다르므로 주의. 중국어로는 아예 똑같이 越南航空이다. 1951년 설립되어 1975년 해체되었다.] 소속 보잉 727-121C(등록번호 XV-NJB) 여객기가 대만으로 망명했는데, 본래 소속 국가가 멸망했으므로 '''[[무국적]]'''기가 되었다. [[행정원]]은 [[1976년]] [[1월 21일]], 이 여객기를 [[교통부#s-2.3|교통부]] 민용항공국이 몰수하여 중화항공에 불하하기로 결정했고, 중화항공은 1976년 2월 XV-NJB를 B-188로 재등록하며 앞서 직접 도입한 727-109[* 중화항공의 보잉사 고객 코드(BCC, Boeing Customer Code)는 09이다.] 3대와 더불어 주력 기체로 삼았다. 이 727-109 4대는 이후 공군으로 팔려서 등록번호가 2721~2724로 변경되었고, 주로 [[진먼]]에 주둔한 장병들을 타이완 섬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하였다. [[1991년]] 마지막 중미호(中美號)였던 보잉 720-051B가 퇴역하자 이들 중 2722번이 총통 전용기로 변경되고 나머지 3대도 총통 예비기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공군에서 일반 여객기로 처음 사용 되어서인지 중미호라는 이름은 쓰이지 않았다. [[1995년]] 공군 2721[* 중화항공 시절 등록번호 B-1818]과 2724[* 중화항공 시절 등록번호 B-188.]가 퇴역 및 스크랩 처리되었고, 이듬해인 [[1996년]] 공군 2723[* 중화항공 시절 등록번호 B-1822]이 퇴역했지만 운 좋게 중화과기대학(中華科技大學, CUST)의 실습교보재가 되어 현재까지 보존되었다. 총통 전용기 임무를 담당한 공군 2722[* 중화항공 시절 등록번호 B-1820]는 [[1998년]]에 퇴역하여, [[타이베이 쑹산 국제공항|쑹산 공항]]을 떠나 [[타이중 국제공항|칭취안강 공군 기지]]로 이동한 후 AIDC[* 대만의 국산 [[전투기]] [[징궈]]를 개발한 방산업체이다.]로 넘겨졌는데, AIDC에서 원래 교보재로 쓰고자 했던 계획이 취소되면서 주기장에 방치되었다. 그러다가 2015년 공군에 회수되어 정비를 받았고 현재 [[타이중 국제공항|칭취안강 공군 기지]]에서 전시 중이다. 공군 3701은 [[1998년]] 기존의 [[보잉 727#s-3.1|보잉 727-100]](공군 2722)을 대체하여 [[대만 공군|중화민국 공군]]이 구매하여 2000년 2월 7일 보잉에서 인도되고, 3월 20일부터 운용하기 시작했으며, 당시 제조 가격은 약 21억 [[신 대만 달러|대만 달러]](4,500만 [[미국 달러]])였다. == 상세 == 일반적으로 각국이 사용하는 보잉 737 전용기는 BBJ 사양으로 만들어지지만 공군 3701은 일반 737-800을 베이스로 하며, 탑승정원도 전용기 치고는 많은 116명이다. [[대만/외교|대만이 세계 각국으로부터 단교당한 탓에]] 외국에서는 이 전용기의 단순 착륙조차 어렵고, 만일 해외순방이 있다 하더라도 국가원수의 공식방문이 아닌 개인자격으로 초청을 받아서 방문하는 형태가 많기 때문에 결국 공식 해외 순방에는 거의 사용하지 못하는 국내 전용기 신세가 되었다.[* 현재 대만이 수교하고 있는 나라들 중 직항으로 갈 수 있는 곳은 [[팔라우]]정도 밖에 없고 나머지는 대부분 중남미쪽에 있는지라 아무리 특수제작한 전용기체라도 항속거리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중간 기착지에서 경유해서 갈 수밖에 없다.] 대만 총통의 해외 순방은 주로 [[중화항공]]과 [[에바항공]]의 전세기로 이루어진다. == 여담 == 2005년 6월 [[천수이볜]] 당시 총통의 아들 천즈중이 자신의 결혼식에 사용하여 논란이 되었다. == 관련 문서 == * [[대만]] * [[대만 총통|중화민국 총통]] * [[에어 포스 원]] *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 * [[일본정부전용기]] * [[참매 1호]] [[분류:대만군]][[분류:전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