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include(틀:역사비교언어학)] ||<-3> {{{#000000,#e5e5e5 {{{+2 '''대만 제어·대만 원주민 언어'''}}}[br]'''{{{-1 台灣南島語言 | 타이완 제어}}}'''[br]{{{-2 Formosan languages}}}}}}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68px-General_distribution_of_indigenous_people_in_Taiwan.svg.png|width=300]] || ||<-2> '''유형''' || || ||<-2> '''어순''' ||언어에 따라 다름 || ||<-2>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 ||<-2> '''문자''' ||[[로마자]] || ||<-2> '''주요 사용 지역'''[br](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2> '''원어민''' ||[[대만]] 인구의 2.3%즈음 || ||<-2>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br]대만 제어 || || '''언어[br]코드''' || [[국제표준화기구|{{{#000000,#e5e5e5 '''ISO'''}}}]] '''639-5''' ||fox || ||[youtube(GeOyVIV7KyY)]|| || [[대만어]]와 [[객가어]], 마조어, 대만 제어를 소개하는 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만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고산어파의 여러 언어를 통칭해서 일컫는 말이다. 같은 계통이지만 언어별로 차이가 커서 다른 언어사이에서는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대만 제어는 [[중국어]]와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을뿐더러 언어학적 연관성도 대단히 낮다. 대만 제어는 전원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중국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한다. == 역사와 보존정책 == [[동녕 왕국]]과 [[대만청치시기]]를 거치면서 [[한족]] 주민들이 들어오게 되고, 이후 [[일본 제국]], [[중화민국/국민정부|중화민국]]의 통치를 받게 되면서 [[한문]], [[민남어]], [[일본어]], [[표준중국어]] 등이 유입되어 공식적인 지위를 갖지 못하고 소외되었다. [[중국 국민당|국민당]] 독재 시절에는 중국 민족주의를 강력하게 주장하던 영향으로 학교에서 대만 제어를 쓰면 벌주던 시절도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대만 제어 중 일부는 [[사어]]가 되었다. 민주화 이후에는 대만 원주민이 공식적으로 소수민족으로 인정받으면서 짧게 대만 제어에 대해 다루는 TV 프로그램이나 대만 제어 전용 TV 채널도 종종 볼 수 있다. 화자가 많은 축에 속하는 아미어는 어느 정도 지위를 얻고 대만 동부 지역에서 안내방송이나 공공시설물 안내에 병기되기도 한다. 중화민국의 [[차이잉원]] 총통이 적극적으로 문화 다양성 정책을 펼치면서 대우가 크게 좋아졌다. 차이잉원 총통의 할머니가 원주민 민족 중 하나인 파이완족이다. 대만 제어를 보존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며, 2017년 5월에는 원주민족언어발전법(原住民族語言發展法)이 제정되어 대만 제어 전담 교사를 확충하고 산지원주민지구에서 공문서를 중국어와 함께 대만 제어로도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 언어 종류와 화자 분포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93px-Formosan_languages.png]] 대만 제어 중에서 법적으로 인정받고 관리되는 언어들은 아래와 같다. * 아미어(아메이어) * 타이야어(아타얄어) * 파이완어 * 부눈어(푸농어) * 트루쿠어(타이루거어) * 루카이어 * 싸이야어 * 라아루어 위 8가지 언어는 원주민이 많은 지자체(산지원주민향)에서 공문서 등 공식 활동에 사용할 수 있다. 대만 제어를 모어로 쓰는 인구는 [[타이완 섬]] 인구의 약 2.3%로, [[대만 원주민]]의 인구 비율과 비슷하다. 화자수가 가장 많은 언어는 10만 명 정도의 아미어이며, 그 외 언어들의 화자 수는 수십~수천 명 정도이다. [[타이완 섬]]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열 언어와 민족들의 기원지로 여겨지는 만큼,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산하의 모든 어파가 존재한다. 그 중, [[말레이어]]나 [[타갈로그어]] 등의 [[동남아시아]]의 말레이 제어나, [[폴리네시아]] 등의 [[태평양]] 원주민 제어의 공통 조상이 되는 언어는 야미어다. 파제흐(Pazeh)어 등은 모든 음절이 [[폐음절]]로 이루어져 논쟁거리가 되었다.[* 같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인 하와이어는 반대로 모든 음절이 개음절이다.] 그러나 폐음절의 음절말 자음 중 성문파열음 [ʔ]을 두고는, 이 소리를 진정한 폐음절의 음절말 자음으로 인정해야 하는지를 두고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거리이다. == 문자 == 대만 제어의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로마자]]로 표기된다. [[네덜란드 제국]]이 [[타이완 섬]] 일부를 지배했을 때 네덜란드 선교사들에 의해 처음으로 로마자가 도입되었다. [[대만청치시기]]에는 대만 제어의 일부 시나 어휘를 [[한자]]로 음역하여 기록하기도 하였다. [[대만일치시기]]에는 학자들 사이에서 [[가타카나]] 표기가 사용되었다. 1945년부터 타이완 섬이 [[중화민국/국민정부|중화민국]]의 통치를 받을 때 중화민국에서는 대만 제어에 가타카나와 [[로마자|라틴 문자]] 표기를 금지하고 [[주음부호]] 도입을 강제하였다. 하지만 기독교계에서 대만 제어 [[성경]] 번역을 라틴 문자 표기로 계속 해오면서 각 언어에 맞게끔 표기법이 만들어졌고, 이후에는 표준 표기법도 갖춰져 있다. == 기초 회화 == === 아메이어 === > nga'ay ho > [{{{-2 응}}}아이 호] > 안녕하세요 > papacem > [빠빠쯤] > 좋은 아침이에요 > maolah kako tisowanan > [마울라 까꾸 띠수와난][* 희한하게도 V + S + O 구조이다.] > 당신을 사랑해요 > nandy rihaday malipahak kamo > [난다이 리하다이 말리빠학 까모] > 여러분 모두 평안하고 행복하길 바라요 === 아타얄어 === === 파이완어 === > azua tja kakaian bulay aravac > [아쭈아 찌아 까까이얀 뿔라이야 라밧] > 우리의 언어는 자연스럽고 매우 아름답습니다 > maljimalji masalu > 마리마리 마싸로 > 고마워요 === 부눈어 === === 트루쿠어 === === 루카이어 === === 싸이야어 === === 라아루어 === == 기타 == * [[https://web.klokah.tw|klokah]]와 [[https://lokahsu.org.tw|lokahsu]]에서 대만원주민언어자료를 열람하고 내려받을수도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폐음절, version=42)] [[분류:대만 원주민]][[분류:오스트로네시아어족]][[분류:개별 언어]][[분류:중화민국의 문화]][[분류:대만의 문화]][[분류:아시아의 언어]][[분류: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