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구(대구)]][[분류:산업단지]]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노원동]], [[침산동(대구)|침산1동]]에 위치한 [[산업단지]]. 줄여서 3공단, 3산단, 노원공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명칭은 말 그대로 대구시의 3번째 산업단지. 1960년대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침산동(대구)|침산동]] 인근의 [[대구제1산업단지]]가 있었고 1단지의 포화로 달서구 성서지구 인근에 [[대구제2산업단지]],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노원동]] 인근에 제3산업단지를 준공하였다. 1단지의 경우 [[제일모직]]등의 철수로 현재는 [[침산산격지구]], [[대구삼성창조경제단지]], 2단지의 경우 계획이 무산되었다가 나중에 [[성서산업단지]]가 조성되었다. 따라서 현재 [[대구광역시]]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산업단지다. == 상세 == 1967~1968년 대구시내 경공업 제조업체를 집단화, 도시공해방지를 위한 환경개선 목적, 도시형 내륙 공업단지를 목표로 건설되었다. 입주 기업은 다양한 업종으로 분포해있지만 주로 [[경공업]], [[중소기업]] 뿐이며 대구 토종산업 중 하나인 [[안경|안경테]] 산업과 최근 대구시가 미래 먹거리로 키우는 로봇산업이 유명하다. 특히 [[안경|안경테]] 공장이 많기로 유명하며 심지어 [[안경|안경테]]를 도매로 판매하기도 하여 대구시내 여러 안경원은 물론이고 전국 곳곳에 안경테를 공급한다. [[침산교]] 부근의 안경테 조형물이 이곳의 랜드마크이며 근처의 [[만평역]]의 둥그런 외관도 이곳의 [[안경]]산업을 상징한다. 안경테 못지않게 [[로봇|로봇산업]]도 뛰어난데 테크노폴리스와 이곳에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로봇기업이 입주해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도 이곳에 위치해있다. 최근들어 쇠퇴한 3공단을 살려보려고 대구시에서 로봇 쪽으로 밀어주며 로봇연구센터가 위치해있다. 대구3호선 [[공단역]]과 가깝고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와 인접하다. 60~70년대까지 근처에 있는 [[염색공단]]과 [[서대구공단]]과 더불어 대구시를 먹여살리는 역할을 했지만 80년대부터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쪽으로 산업구조가 변화하며 쇠퇴하였다. == 여담 == [[서대구산업단지]]와 [[염색공단]]과 더불어 쇠퇴한 공단을 살리는 공단재생사업([[뉴딜정책|뉴딜사업]])단지로 지정되어 국가에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지다. 처음 건설될때는 대구시의 경계였지만 칠곡군의 편입으로 대구도심이 확장되어 도심과 상당히 가깝게 되었다. 대구시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서대구역]]이 불과 15분 거리에 위치해 있는게 그 근거이다. 그래서인지 지가가 많이 상승했으며 그 결과 몇몇 기업들은 대구 내 외곽 산업단지인 [[대구국가산업단지]]나 [[대구 테크노폴리스]]로 이전한 상태이다. 산업단지도 쇠퇴했지만 산업단지를 끼고있어 주변도 역시 낙후되어 재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는 중이다. 60년대 조성된 산단이라 공장건물도 연식이 오래되어 최근 공단 내에서도 오래된 건물 대신 [[지식산업센터]]로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중이다. 단지 옆에는 [[금호강]]과 접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대구 6대 택지 중 하나인 [[칠곡지구]]와 [[복현동]] 남쪽으로는 [[염색공단]], [[서대구공단]]과 접하고있다. 바로 앞에는 한국건강관리공단 북부검진센터가 위치해있다. 또한 차단숲이 없어서 주변 아파트 단지가 구식 공장에서 날아오는 매연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단점이 심하다. 성서산업단지에는 차단숲이 있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안타까운 부분. == 교통 == 대구 도심의 확장으로 상당히 교통의 요지이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공단역]], [[만평역]]과 도보 10분 거리이며, [[대구북부정류장]]과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서대구역]]이 있어 시외지역으로 이동도 편리하다. [[KTX]], [[SRT]], [[대구권 광역철도]]와 [[대구산업선]]이 정차하는 [[서대구역]]과 차로 10분 거리이며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와 [[대구 3차 순환도로|3차 순환로]]가 지나가 대구 곳곳으로 이동도 편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