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구광역시의 마이스터고등학교]][[분류:달성군의 고등학교]][[분류:1972년 개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 [[파일:DGSW심플.png|height=16]] {{{#000,#fff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마이스터고등학교)] [include(틀: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고등학교)]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특수목적·자율형 사립고등학교 및 영재·국제·외국인학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전경.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9843, #1f2085)" {{{#FFFFFF '''학교전경'''}}}}}}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9843, #1f2085)" {{{#FFFFFF '''{{{+1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br]{{{#FFFFFF '''Daegu Software High School'''}}}}}} || ||<-2> [[파일:DGSW.png|width=300]] || ||<-2>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소프트웨어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1972년]] [[3월]][* 마이스터고교 지정일은 2016년 3월] || || {{{#white '''유형'''}}} || [[마이스터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형태'''}}} || [[공립]] || || {{{#white '''교장'''}}} || 박유현 || || {{{#white '''교감'''}}} || 오지석 || || {{{#white '''교훈'''}}} || 높은 이상 / 참된 생활 / 힘찬 전진 || || {{{#white '''교화'''}}} || 배롱꽃 || || {{{#white '''교목'''}}} || 화살나무 || || {{{#white '''학생 수'''}}} || 203명[br](2023학년도) || || {{{#white '''교직원 수'''}}} || 34명[br](2023학년도) || || {{{#white '''관할 교육청'''}}} || [[대구광역시교육청]] || || {{{#white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로 11길 93 || || {{{#white '''홈페이지'''}}} || [[http://www.dgsw.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상을 이롭게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br]-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의 모토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위치한 [[대한민국]] SW 마이스터 고등학교. 2016년에 경상권에 (충청권:대전, 호남권:광주, 동남권:부산) 개교한 SW분야 마이스터 고등학교다. 18년도 3기 이전에는 구지중학교, 달성정보고등학교가 통합되어 본관 일부와 기숙사동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구지중학교]]는 신교사, 달성정보고는 18년도를 기점으로 마지막 학년이 졸업함으로써 학교 전체를 사용한다. == 연혁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9843, #019843, #1f2085, #1f2085);" }}} || || {{{#white '''날짜'''}}} || '''연혁''' || || {{{#white 1952. 01. 31 }}} ||<(> 구지중학교 설립 인가(사립) || || {{{#white 1971. 01. 01 }}} ||<(> 공립 구지중학교로 전환 || || {{{#white 1972. 03. 01 }}} ||<(> 구지상업고등학교 개교 || || {{{#white 1999. 03. 01 }}} ||<(> 달성정보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white 1999. 09. 08 }}} ||<(> 대구광역시교육청 특성화고등학교로 지정 || || {{{#white 2009. 03. 01 }}} ||<(> 대구광역시교육청 지정 교원능력개발평가 연구학교형 선도학교 운영 || || {{{#white 2011. 02. 15 }}} ||<(> 2009 개정교육과정 사이버 연수 우수학교(교육감) || || {{{#white 2014. 12. 17 }}} ||<(> 제10차 마이스터고 선정(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 || {{{#white 2015. 01. 12 }}} ||<(> 소프트웨어분야 마이스터 고등학교지정고시(대구광역시교육청) || || {{{#white 2015. 12. 21 }}} ||<(> 대구소프트웨어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고시(대구광역시교육청조례 제4796호) || || {{{#white 2016. 03. 02 }}} ||<(> SW분야 마이스터고 대구소프트웨어고등학교 개교 || || {{{#white 2016. 06. 24 }}} ||<(> 대구소프트웨어고등학교 개교식 및 기숙사동 준공식 || || {{{#white 2016. 12. 19 }}} ||<(> 2016학년도 교육정보화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white 2016. 12. 31 }}} ||<(> 2016학년도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실무 발표회 || || {{{#white 2017. 12. 28 }}} ||<(> 2017학년도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실무 발표회 || || {{{#white 2019. 07. 17 }}} ||<(> 2019 ASEAN 직업교육 협력사업 협력학교 선정 || || {{{#white 2019. 12. 24 }}} ||<(> 2019학년도 학교교육정보화 활성화 모범상 교육감 표창 || || {{{#white 2020. 07. 08 }}} ||<(> 2020년 마이스터고 운영성과 평가 우수 등급 || || {{{#white 2021. 02. 05 }}} ||<(> 제47회 졸업식(총 59명, 누적 3867명) || || {{{#white 2021. 03. 01 }}} ||<(> 교명변경 :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 || {{{#white 2021. 03. 02 }}} ||<(> 2021학년도 신입생 입학(남 52명, 여 8명, 총 60명) || || {{{#white 2023. 03. 02 }}} ||<(> 2023학년도 52회(마이스터고 8회) 신입생 입학(남 48명, 여 26명, 총 74명) || 기존의 달성정보고등학교가 교육부에서 추진한 '제10차 마이스터고 심사'에서 미래창조과학부 참여형 소프트웨어 마이스터고로 선정되면서 2016년 3월에 대구소프트웨어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개교를 했다. == 입상 및 수상 경력 == * [[http://www.kca.kr/open_content/ko/index.jsp|KCA]]에서 개최한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개발 공모전에서 윈도우 프로그래밍 팀이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개최한 [[http://www.robotsports.or.kr/|2017 국제로봇콘테스트 & R-BIZ 챌린지]] 자율주행 미션챌린지에서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을 수상하였다. * SK테크엑스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개최한 스마틴앱챌린지2017 IoT 부문 최초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 [[TOPCIT]] 평가에서 학교부문 1위를 기록하였다. * SK플래닛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개최한 스마틴앱챌린지2020 생활정보부문과 IoT 부문에서 최우수상(1팀)과 우수상(2팀)을 수상하였다. * [[삼성SDS]]와 JA코리아에서 개최한 2022 삼성 주니어 SW 창작대회에서 상생상(1팀)과 창의상(1팀)을 수상하였다. == 학과 == 1학년은 공통과정으로 진행되어 학과를 정하지 않으며, 2학년부터 학과를 정해 수업을 듣는다. ||<-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9843, #019843, #1f2085);" }}} || || {{{#white '''학과명''' }}} || '''학급''' || '''인원''' || || {{{#white 소프트웨어개발과 }}} || 2 || 36명 || || {{{#white 임베디드소프트웨어개발과 }}} || 1 || 18명 || || {{{#white 인공지능소프트웨어개발과[* 2022년에 입학한 7기에 신설되었다.] }}} || 1 || 18명 || === 소프트웨어개발과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9843, #019843, #1f2085, #1f2085);" }}} || || {{{#white '''구분''' }}} || '''내용''' || || {{{#white 목표 }}} || 소프트웨어 개발 · 관리 · 운영 및 IT서비스 분야에 적용되는 기술들을 체계적인 이론과 실습을 통해 [br] 소프트웨어 설계 · 개발 · 테스트 및 기술 서비스, 시스템 관리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 양성 || || {{{#white 전공과목 }}} || 컴퓨터구조, 자료구조및알고리즘, 운영체제, C/C++프로그래밍, JAVA프로그래밍,[br] 네트워크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웹/앱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공학 || || {{{#white 협약기업 }}} || 오라클, 한글과컴퓨터, 알서프트, 알티베이스, 웹케시, 데이터뱅크시스템즈,[br] 얼라이드시스템, 포위즈시스템, 비엔에프 등 51개 업체 || || {{{#white 진로 }}} ||응용SW 개발 관련 업체, SW 전문 기업체, ERP/CRM/HRM 관련업체, 기업용 솔루션 개발 관련 업체 등|| === 임베디드소프트웨어개발과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9843, #019843, #1f2085, #1f2085);" }}} || || {{{#white '''구분''' }}} || '''내용''' || || {{{#white 목표 }}} || 산업기기, 정보가전, 자동차 등의 기기에 내장되어 대상기기를 제어하는 기술들을 체계적인 이론과 실습을 통해[br] 펌웨어나 미들웨어 소프트웨어를 설계․개발․테스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 양성 || || {{{#white 전공과목 }}} || 컴퓨터구조, 자료구조및알고리즘, C프로그래밍, 임베디드운영체제, 임베디드프로그래밍,[br] 객체지향프로그래밍, 프로세스구조및이해, 디바이스프로그래밍, 리눅스 프로그래밍, RTOS(실시간 운영체제)[* 산학겸임교사가 수업한다. 리눅스, RTOS 둘 다 수업한다.] || || {{{#white 협약기업 }}} || SKT, 엠프론티어, MDS테크놀로지, 비앤디, 위니텍, 퓨전소프트 등 18개 업체 || || {{{#white 진로 }}} || 정보통신기기 산업체, 모바일 응용기기 및 멀티미디어 정보처리 분야, 컴퓨터 응용 관련 분야,[br] 정보가전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 관련 분야, 차량용 임베디드SW 개발업체 등 || === 인공지능소프트웨어개발과 === === 실험, 실습 기자재 === * 수업관리시스템(구름IDE, 구름EDU, 구글클래스룸)운영 : '''수업 방법 혁신''' * 형상관리솔루션 운영 : '''실전프로젝트 참여''' * PC가상화솔루션 구축 : '''다중 운영체제[* Mac는 Mac Mini 60대를 학교에서 구비.] 실습 지원''' (구비만 되어있지 제대로 쓸 수는 없다.) *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등 다양한 보드와 실습재료가 비치된 임베디드 실습실 구축 * 리눅스, 유닉스 등 서버 운영체제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등 서버용 S/W 및 H/W를 갖춘 서버 실습실 구축 ==== 노트북 ==== * 노트북은 학교에서 대여하는 형식이다. * 4기가 1기 것을 물려 받고, 5기가 2기 것을 물려받는 형식이지만, 6년마다 노트북이 변경된다.[* 7기는 1기와 4기가 썼던 노트북이 아닌 새로운 노트북을 받는다.] * 학교 안에서 학습용으로 이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프로젝트 등 기타 사유로 신청 후, 외부 반출이 가능하다. * 고사양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맥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이유로 장비가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요청하면 검토 후 최대한 지원을 해 준다. * 2020년에 입학한 5기의 경우 2기 선배가 사용하던 노트북이 아닌 새로운 노트북을 지급하였다. * 2023년에 입학한 8기는 무려 [[MacBook Air#s-4.4|M2 MacBook Air]]를 지급받았다. ||<-7><:>{{{#!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9843, #019843, #1f2085, #1f2085);" }}} || || '''기수''' || '''제조사''' || '''CPU''' || '''RAM''' || '''GPU''' || '''스토리지''' || '''무게''' || || {{{#white 1, 4기 }}} || [[삼성전자]] || i7 4712MQ || DDR3 16GB || Intel HD Graphics 4600[br]Geforce 820M || 512GB[* SSD 1개와 m.2 1개] || 2kg대 || || {{{#white 2기 }}} || 삼성전자 || i7 6700HQ || DDR4 8GB || Intel HD Graphics 530[br]GeForce 920MX || 128GB + 1TB || 2.3kg || || {{{#white 3기 }}} || 삼성전자 || i7 6600U || DDR4 8GB || Intel HD Graphics 520 || 256GB || 1.34kg || || {{{#white 5기 }}} || [[LG전자]] || i7 8565U || DDR4 8GB || Intel UHD Graphics 620 || 500GB || 1.1kg || || {{{#white 6기 }}} || 삼성전자 || i7 10520U || DDR4 8GB || Intel(R) UHD Graphics || 500GB || 1.63kg || || {{{#white 7기 }}} || LG전자 || i7 1165G7 || DDR4 8GB || Intel Iris Xe Graphics || 512GB || 1.35kg || || {{{#white 8기[* [[MacBook Air#s-4.4]]] }}} || [[Apple]] || [[Apple M2]] || LPDDR5 16GB || 내장 GPU || 256GB || 1.24kg || == 학교 시설 == === 기숙사동 === 기숙사동은 5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나눠진다. 1층은 프로그래밍 실습실(1~6)이며 복도 쪽 벽은 유리로 되어있다. 2층은 랩실이 없어지고 2인1실 여자 기숙사가 생겼다, 게스트룸 4개가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게스트룸을 임시 격리실로 사용하기도 했었다. ==== 기숙사 ==== 3층 ~ 5층은 기숙사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는 각 층마다 15개의 호실이 있다. 사감실은 각 층마다 존재하지만, 사감교사가 2명이기 때문에 5층 사감실은 주로 창고로 사용 중이다. 화장실은 각 층에 두 개이며, 4~5층 남자화장실 기준으로 15호 방향 화장실에는 소변기 4개, 대변기 5개[* 앉는 변기 4개 + 쪼그려 앉는 변기 1개]가 있고, 1호 방향 화장실에는 소변기와 대변기가 하나씩 더 있다. 3층은 2017학년도까지 여학생들만 사용했으므로, 두 개의 화장실이 모두 여자화장실로 설계되어있다. 그래서 3층 기숙사를 사용하는 남학생들은 처음 화장실을 들어갈 때 모두 당황한다.[* 소변기없이 대변기만 있는 신기한 환경(...)] * '''샤워실''' : 층마다 2개씩 있으며 6명이 정원이다.[* 칸막이 따위는 없다.][* 때문에 복도에 있는 cctv에는 학생들이 속옷 들고 있는 모습이 촬영되어 있을 것이다.(...)] * '''세면실/세탁실''' : 마찬가지로 층마다 2개씩 있으며, 세면대가 10개 비치되어 있고, 세탁기가 3개 비치되어 있다.[* 드럼세탁기, 일반세탁기 둘 다 있다. 그런데 하나씩 있는 층도 있고, 두 개 다 드럼이거나 일반인 세면실/세탁실도 있다] 세면실/세탁실 입구 쪽에는 학생들의 세면도구[* 당연히 바구니에 담아서]를 놓아 둘 수 있는 곳이 있다. === 교실 === 1학년 교실은 후관 1층에 있다. 2학년 교실은 본관 2층을 사용하며 일반 교실의 약 1.5배 정도의 크기이다. 또한 임베디드 반은 듀얼 모니터를 사용한다. 3학년 교실은 리모델링된 후관 2층을 사용한다. 개인 당 정면에 하나, 좌 또는 우측에 큰 책상을 추가로 하나 더 사용하여 ㄱ자 모양의 책상을 사용한다. 또한 한 자리에는 5구 멀티탭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든 과가 듀얼 모니터를 사용한다. === 실습실 === * --임베디드 공작실[* 창의공작실로 부르기도 한다.] : 후관 제일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레이저 절삭기, 공작 기계, 납땜 장비, 용접기 등 임베디드 관련 고가의 장비들이 많다.--현재 사라졌다. * 웹 프로그래밍 실습실 : * DB&네트워크 실습실 : * 윈도우실 : * 프로그래밍 실습실 : 기숙사동 1층에 6개가 있으며, 1실은 BIND팀[* 구 메신저팀]이 이용하고 있고, 2실은 두카미, 남은 3실부터 6실은 학생들이 자습실로 사용한다.[* 특히 심야자습 시간에] === 랩실 === 2021학년도까지 기숙사동 2층에 랩실이 존재했다. 하지만 신입생이 늘어나면서 기숙사동 2층이 여자 기숙사로 개조되며 랩실이 사라졌다. === 기타 === 급식실 : 일자 형태의 테이블을 사용한다. 오케스트라실 : 방음벽을 기준으로 총 2개의 방으로 구성되어있다. 왼쪽 방은 노래방 시설 [* 마이크, 스피커, TV, 노래방 소프트웨어, 믹서 ]가 설치되어 있으며, 오른쪽 방은 피아노가 설치되어 있고,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학교 생활 == === 주중 일과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9843, #019843, #1f2085);" }}} || || {{{#white '''시간''' }}} || '''일과''' || || {{{#white 6시 50분 }}} || 기상 방송[* 학생들의 기상을 위해 노래를 틀어준다. 노래는 매일 달라지며, 방송부원이 신청을 받아 노래를 정한다.] || || {{{#white 6시 50분~ 7시 50분 }}} || 등교 준비 || || {{{#white 7시 50분 ~ 8시 20분 }}} || 식사 및 기숙사 퇴실, 등교 || || {{{#white 8시 20분 ~ 8시 30분 }}} || 아침자습 || || {{{#white 8시 30분 ~ 8시 40분 }}} || 조례 || || {{{#white 8시 40분 ~ 12시 30분 }}} || 4교시까지 수업[* 수업 50분, 쉬는시간 10분으로 진행된다.] || || {{{#white 12시 30분 ~ 1시 20분 }}} || 점심식사 || || {{{#white 1시 20분 ~ 4시 10분 }}} || 7교시까지 수업[* 수업 50분, 쉬는시간 10분으로 진행된다.] || || {{{#white 4시 10분 ~ 4시 30분 }}} || 담당 구역 청소, 종례[* 통학자들은 이 시점에서 귀가한다.] || || {{{#white 4시 30분 ~ 6시 20분 }}} || 방과후 1, 2교시 || || {{{#white 6시 20분 ~ 7시 10분 }}} || 저녁식사 || || {{{#white 7시 10분 ~ 9시 00분 }}} || 야간자율학습[* 야자50분, 쉬는 시간 10분] || || {{{#white 9시 00분 ~ 10시 40분 }}} || 기숙사로 복귀 및 점호준비 || || {{{#white 10시 40분 ~ 10시 50분 }}} || 점호 || || {{{#white 10시 50분 ~ 6시 50분 }}} || 취침 || === 주말 일과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9843, #019843, #1f2085);" }}} || || {{{#white '''시간''' }}} || '''일과''' || || {{{#white 8시 }}} || 기상 || || {{{#white 8시 ~ 8시 20분 }}} || 점호 및 스트레칭 || || {{{#white 8시 30분 ~ 12시 30분 }}} || 아침식사 및 자유시간 || || {{{#white 12시 30분 ~ 6시 }}} || 점심식사 및 자유시간 || || {{{#white 6시 ~ 9시 }}} || 저녁식사 및 자유시간 || || {{{#white 9시 ~ 10시 30분 }}} || 기숙사 복귀 및 인원체크 || || {{{#white 10시 40분 ~ 10시 50분 }}} || 점호 || || {{{#white 11시 ~ 익일 6시 20분 }}} || 취침 || 당연히 심야자습은 신청자에 한해서 시행한다. === 외출·외박 === * 외출 본인이 필요할 때 담임선생님이나 당직 선생님께 사유를 말하고 도담도담에 기입한 후 외출을 나갈 수 있다. * 외박 학부모가 담임 교사에게 연락을 취해 외박 시간을 알려 외박을 할 수 있다. === 복장 === 학교 복장규정은 다른 학교에 비해 매우 널널하다. 규정[* 당연히 평일에만 적용된다]은 "교복을 포함한 학교에서 지급해주는 옷을 입는다."이다. 학교에서 지급해주는 옷은 입학할 때 야구 점퍼, 체육복(상/하의)[* 4기부터는 받지 않는다]를 지급해주고, 교내 해커톤 등을 할때 학교에서 티셔츠를 주문제작해서 학생들에게 지급해준다. 학년마다 디자인이 다른 생활복도 포함된다. 복장규정가지고 잡는 걸 본 적이 한 번도 없다. 사복을 입어도 아무 말 안 한다. 하지만 수요일은 교복입는 날로 교복을 입어야 한다. 체육복 점퍼를 입는 경우, 지퍼를 채우는 조건으로 안에 사복을 입을 수 있다. 퇴사일에는 자유롭게 입어도 된다. 동복 교복은 교복바지[* 검정색] + 와이셔츠 + 넥타이 + 가디건[* 검정색, 주머니가 없다]이다. 하복 교복은 교복바지[* 밤색] + 셔츠[* 카라쪽에 초록색 체크무늬 디자인이 있다] 이다. 2019년 기준으로 4기 학생들은 하복 교복이 없다. 하복을 생활복으로 하려고 착한 교복 디자인을 고집하다 학부모들 간의 분쟁이 일어나 그냥 없애버렸다.[* 만약 착한 교복 디자인이 적용되었으면 상의는 짙은 보라색 반팔 티셔츠 하의는 회색 면 반바지가 돼서 학생이 아닌 찜질방 사람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촌스러운 디자인이였다. 없애버린 것이 더욱 다행이다. ] 마이는 없으며, 후리스[* 편하고 부드럽고 따뜻해서 대부분의 학생이 선호하는 옷이다.]로 대체된다. === 소프트웨어로 나르샤 === 수요일 방과후, 야간 자율 시간 4시간 진행하는 프로젝트 형식의 수업이다. 매년 다른 주제, 다른 강사가 프로젝트를 개설하여 운영되며 완성된 프로젝트로 기업 관계자들이 참관하는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한다. 원래 토요일에서 수요일로 옮겨짐으로 주말에 학교에 남아있을 이유가 없어졌다. 집이 가까우면 외박을 쓰는 경우가 많다. === 방과후 활동 === ==== 방과후 교육활동 ==== 방과후는 선택적으로 수강하며, 과목이 학년마다 다르다. 교사가 방과후를 개설하고, 학생이 신청을 한 후에 신청학생이 15명 이상일 경우에 방과후 수업이 만들어진다. 필수적으로 수강이 요구되는 방과후 교육활동 또한 있다. 2019년 기준으로 필수적으로 2학년 임베디드 학생은 1학기 때 데이터베이스를 일주일에 4시간 수강해야한다. == 학생 역량 인증제 == 이전에는 "졸업 인증제" 라는 제도를 운영하여 졸업에 600점 이상의 토익 점수를 요구하였지만, 토익 점수로 인해 졸업 불가자의 발생 가능 여부 또는 그 이외의 사유로 인해 졸업 인증제는 폐지되었다. 학생 역량 인증으로 평소 행동과 실습[* 현장 체험 학습, 내신 및 시상 기록 등을 '''전부''' 포함한다.]에 점수를 매긴다. 이는 업체 쪽에서 추천이 들어올 경우 이를 통해 학생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등, 취업과 연관이 있는 점수이다. 하지만 3학년의 사례를 보면 개인적으로 이력서를 내 취업하는 경우 점수는 전혀 상관이 없다. 학생 역량 인증 점수를 높이는 것보다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가꾸어나가는게 취업에 훨신 도움이 된다. 학생 역량 인증제는 학년별로 나뉘어 진행되며, 인증할 수 있는 항목이 일부 다르다. 자세한 내용은 학교 입학 설명회나, 담당 교사를 통해 얻을수 있다. == 여담 == 학부모들과 학생들은 학생 밴드를 이용하여 공지사항을 알려 주고, 학생과 학부모, 학교가 소통한다. 기숙사에는 당구대[* 2019년부터 저녁 점호가 끝난 후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일찍 자는 학생들의 취침을 위함.], 헬스사이클이 배치되어 있다. 기숙사동 각 층에는 학생을 위한 식수대가, 2~5층에는 냉장고와 테이블이 같이 배치되어 있지만 기숙사이므로 음식물 반입이 일체 금지되므로 쓸모없다. 학교에서 지급되는 거의 모든 물품에 학교 로고가 새겨져 있다. 2022년 5월 2일 이전까지는 아침운동으로 택견이 있었으나 이후 사라졌다. 조식은 순서 상관없이 들어가는 대로 식사하며, 중식과 석식은 3학년 - 2학년 - 1학년 순서다. == 대중교통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9843, #019843, #1f2085);" }}} || || {{{#white 창리입구 1, 2 }}} || [[대구 버스 600|600]], [[대구 버스 달성3|달성3]] || || {{{#white 구지청아람 }}} || [[대구 버스 급행8|급행8]], [[대구 버스 600|600]], [[대구 버스 달성7|달성7]] || || {{{#white 구지중학교[* 새로 생긴 정류장이다. 학교와 가까워서 시내로 나가기 편해졌다.] }}} || [[대구 버스 급행8|급행8]] || === 시외버스 정류소 === 구지정류소가 있으며, 학교에서 660m 정도 걸어야 한다. 주의. 시외버스 이용시에는 정해진 시간이 없다. 따라서 먼저 통과할 수도 있으므로 최소 '''5분 전'''에는 먼저 나와있기를 추천한다. 2019년까지는 시외버스가 훨씬 더 많았고 진주행도 있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진주행은 없어지고 남아있던 시외버스도 1일 3회를 빼고는 전멸했다. 하지만, 차량이 '''28인승 우등'''이기 때문에 잘 이용하면 시내갈 때 시내버스 이용보다 훨씬 편리하게 갈 수 있다. ||<-5> 나갈 때 || || 운행방면 || 행선지 || 운행횟수 || 시간표 || 비고 || || 대구방면 || 대동, 차천, [[현풍공영버스정류장|현풍]], [[서부정류장|대구서부]] || 1일 3회 || --07:45--[* 시간이 안 맞아 재학생들은 이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12:45, 17:15 || [[의령 버스 의령-대구]] || || 의령방면 || 모정, 대암, 이방, 내동, 적교, 신반, 세간, 야산, 석곡, 정곡, 용덕, [[의령버스터미널|의령]] || 1일 3회[br](단, 세간 ~ 의령 구간은 1일 2회) || 09:45(신반까지만)[* 이 시간에 의령읍내를 가야한다면 신반에서 [[의령 버스 의령-마산]]으로 갈아타자.], 15:45, 19:45 || [[의령 버스 의령-대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