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상B)] ||<-2>
[[파일:QiXxmjQ.jpg|width=150]] || ||<-2> {{{#FAE704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br]{{{#FAE704 '''(Daegu Sangwon High School)'''}}} || || {{{#fff '''창단'''}}} || [[1928년]] [[3월]] || || {{{#fff '''소속 리그'''}}} || 대구경북권 || || {{{#fff '''감독'''}}} || [[김승관]] || || {{{#fff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12회 || || {{{#fff '''홈페이지'''}}} || [[http://www.daesang.hs.kr/index.do?menuCd=MCD_000000000000032146|[[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상원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FAE704 '''대회'''}}} || {{{#FAE704 '''우승'''}}} || {{{#FAE704 '''준우승'''}}} || {{{#FAE704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2회(1973, 93) || 5회(1974, 76, 78, 88, 2009) || 2회(1998, 2020)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6회(1950, 70, 77, 99, 2011, 2015) || 6회(1962, 66, 68, 69, 98, 2000) || 3회(1971, 78, 2010)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2회(1973, 98) || 2회(1974, 2015) || 3회(1981, 90, 2023)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2회(1973, 74) || 1회(1975) || 5회(1971, 80, 97, 2018, 2023)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 - || - || - || ||<-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50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서중등학교]] || → || '''대구상업중등학교''' || → ||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등학교]][* 1953년 우승팀. 1951~1952년 대회는 6.25 전쟁으로 중단.] || ||<-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70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상업고등학교]] || → || '''대구상업고등학교''' || →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등학교]]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73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등학교]] || → || '''대구상업고등학교''' || →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등학교]] || ||<-5>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73년, 1974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배명고등학교 야구부|배명고등학교]] || → || '''대구상업고등학교''' || →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등학교]] || ||<-5>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000000 1973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업고등학교]] || → || '''대구상업고등학교''' || →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 || ||<-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77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 || → || '''대구상업고등학교''' || →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등학교]]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93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등학교]] || → || '''대구상업고등학교''' || → || [[대전고등학교 야구부|대전고등학교]] || ||<-5>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000000 1998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등학교]] || → || '''대구상업고등학교''' || → ||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업고등학교]] || ||<-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99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 || → || '''대구상업고등학교''' || → ||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등학교]] || ||<-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11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 || → || '''대구상원고등학교''' || →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등학교]] || ||<-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15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등학교]] || → || '''대구상원고등학교''' || →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등학교]]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ulture.joins.com/06_09_05.jpg|width=4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410/2014/01/20/20140120_1390169207.jpg_59_20140120081303.jpg|width=400]]}}} || || 1988년, 사진 왼쪽에서 두번째, 모자를 쓰지 않은 학생이 [[양준혁]]이다.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와 함께 [[대구광역시]]의 명문 야구부로 불리는 학교. == 연혁 == === 경북지역의 최강자(1928~1945) === ||[[파일:euCgmQ9.png]]|| 1928년 3월[* 1924년에 창단 되었다는 말이 있으나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 발간한 한국야구사 연표에 따르면 1928년에 창단되었다고 나와 있다.] 대구상업학교 시절에 생겼던 팀으로 다른 일제강점기에 생긴 팀에 야구부가 유명무실해진 것과 달리 비록 팀은 약했을지라도 야구부의 명맥은 꾸준히 이어간 팀이다. 그래서 여타 팀들과 다르게 80년 넘는 역사가 꾸준히 이어져 온 것이 팀의 자랑거리 중 하나다. 창단 당시에는 팀원 대다수가 일본인 학생들으나 조선인 학생이 없던 것은 아니었다. 최초 창설 당시 기록상으로 확인되는 인물들은 편순윤(片順潤), 표문철(表文哲), 오명오(吳命五) 등이 외야수로 활약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창단 첫해였던 1928년 5월 24일에 대구춘계쟁패전에서 대구실업을 꺾고 첫 우승을 달성했으며, 창단 첫해에는 은근 콩라인 기질이 있었는데 1929년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제9회 조선중등학교대회겸 제15회 전국중등우승대회 조선예선전]][* 고시엔 조선 예선.]에서 평양중에게 패배(5:0)하며 준우승, 10월 12일 제3회 조선신궁중등학교대회에서도 경성사범에게 패배(6:4)하며 준우승. 그러나 이듬해인 1930년에는 그들의 해로 만들었다. 제16회 고시엔 조선예선에서 우승하며 조선대표로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고시엔]]에 출전하기도 했다. 고시엔 진출 당시 1회전에서 요나고(米子)중학을 4-0으로 격파하고 2회전에 진출했으나 마쓰야마(松山)상업에 2-4로 패해 탈락했다. 그리고 그해 10월 18일에 열린 제4회 조선신궁중등학교대회에서는 경성중을 5:4로 꺾은 후 평양중을 꺾고(3:2)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당시 멤버는 양일득(1루수), 편순윤(3루수), 오명오(좌익수), 니헤이(二甁. 투수), 최달수(崔達壽. 우익수), 스기하라(杉原. 포수), 미토(三戶. 중견수), 나이토(內藤. 2루수), 사다(佐田. 유격수).] 1931년에는 용산중(4:1), 경성산업(3:2)을 차례로 꺾고 제5회 조선신궁중등학교대회를 재패했다. 잠깐의 휴식기를 가진 대구 상업은 1935년에 다시 기지개를 폈는데 제15회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고시엔]] 조선 예선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신의주상업에게 22-3로 대패하며 무릎을 꿇었고 1936년 제16회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고시엔]] 조선 예선에서도 결승에서 인천상업에게 8-4패배하며 고시엔 진출에 실패했다. 제17회와 18회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고시엔]] 조선 예선에서는 모두 4강에 올랐으나 떨어졌다.[* 17회 용산중에 6-5 패, 18회 인천상업 4-3 패] 그리고 1941년 개최된 마지막 고시엔 조선 예선에서도 4강까지 진출했으나 용산중에 16-12로 아쉽게 탈락하며 4강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일제강점기 시절의 대구상업은 치열했던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고시엔]] 예선[* 당시 고시엔 예선에 참여한 학교는 총 36개교 전후였다.]을 뚫고 심심찮게 결승과 4강을 오가며 경북지역의 최강자로 군림했다. 해방 후에도 전통은 이어져서 1950년 청룡기에서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학교측에서는 성적이 나올리가 없다는 이유로 출전을 반대했지만 김종경 당시 대구상고 감독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출전, 결승전에서 에이스 어지홍[* [[어우홍]] 전 [[MBC 청룡]] 감독의 친동생.]을 앞세운 [[동래고등학교 야구부|동래고]]를 2:1로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우승을 차지했다.[[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295&aid=0000001541|‘돌아오지 않은 학도 야구소년들’]] 그러나 그들이 첫 우승을 달성하고 바로 직후에 터진 한국전쟁으로 인해 우승의 영광은 전쟁의 포연 속에 그대로 묻히고 말았다. === 영광의 시대(1960~1973) === 대구상업고등학교 야구부의 강세는 1960년대 본격적으로 꽃을 피웠다. 1962년 [[정동진(1946)|정동진]]이라는 걸출한 포수를 앞세워 청룡기 준우승을 차지한 것을 신호탄으로 이 번에는 [[류영수]] 투수와 [[우용득]] 포수의 콤비를 앞세워 1968년과 1969년 다시 청룡기 준우승을 차지했다. 세 번에 걸쳐 이어진 준우승의 한은 이들이 모두 졸업한 1970년에 풀리는데 청룡기 우승으로 20년 만에 서울 메이저 대회 우승의 영광을 안았다. 이대로면 대구상고 야구부의 독주 체제가 열리는가 싶었지만 하필이면 동향 라이벌 경북고가 득세하면서 대구상고의 독주도 오래 가지는 못했다. 경북고는 1971년 전국대회 전관왕을 달성하면서 고교야구 전성시대의 최강자로 등극했고 대구상고도 그들의 라이벌이라는 자격이 있다는 것을 충분히 증명하며 [[강태정]] 감독의 지휘 아래 [[장효조]]와 김한근을 필두로 한 막강한 전력을 바탕으로 1973년 고교야구 3관왕을 달성하면서 그들이 한 시대를 지배할 가치가 있는 팀임을 충분히 증명했다. 그리고 1974년 세 차례 결승에 올라 봉황대기에서 우승에 성공하며 전년도의 영광이 결코 허명이 아님을 증명했다. 그들의 영광어린 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한 인물은 [[김시진]]과 [[이만수]]였는데 불행히도 이 둘이 배터리를 맞출 때는 성과가 영 좋지 않았고[* 김시진과 이만수는 동갑내기지만 이만수가 중학교를 1년 유급하는 바람에 학번으로는 김시진이 1년 선배다. 여기에는 웃픈 일화가 있는데 이만수가 대구상고에 입학했을 때 중학교 때부터 알고 지낸 김시진이 같은 학교라는 것을 알고 너무도 반가운 마음에 눈치 없이 "어? 시진아! 반갑데이~" 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다른 선배들이 이를 보고 "어딜 버릇없이 선배한테 반말을 하느냐"라며 이만수를 두들겨 팼다는 일화가 있다.] 김시진이 졸업한 1977년에 [[박영진(야구선수)|박영진]]을 앞세워 다시 청룡기 우승을 차지하고, 1978년 [[양일환]]이 에이스로 뛰며 대통령배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영광스러웠던 시대를 마무리했다. 그리고 이 시기 대구상고의 영광을 함께 만든 이들은 훗날 고향팀 [[삼성 라이온즈]]에서 뭉쳐서 혁혁한 기록을 세우게 된다. 1980년대의 대구상고는 무려 [[양준혁]]과 [[김태한]]을 배출하는 등 인재는 나쁘지 않지만 팀 성적은 우승과 인연이 없는 시대에 접어들게 되었고 결국 1980년대에는 한 차례의 우승도 차지하지 못하고 시간을 흘려 보내게 되었다. === 중흥기 === 1993년 고교 무대에서는 [[이승엽]]과 쌍벽을 이뤘다는 오른손 강타자 [[김승관]]의 활약 속에 대통령배 우승에 성공하면서 오랜 침묵을 깼다. 이 때의 중흥은 1990년대 말로 이어지는데 [[장준관]]과 [[이정호(1982)|이정호]]라는 거물 고교 투수들이 등장하면서 대구상고는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총 4차례 결승에 올라 두 번 우승에 성공했다. 다만 이 때 우승의 주역이었던 [[장준관]]과 이정호 모두 프로 무대에서는 대성하지 못한 것이 옥의 티라면 티. 이정호는 1차 지명을 받았는데 결국 먹튀로 전락한 채 [[박진만]]의 보상선수로 끌려갔고, [[장준관]]은 2008년에 [[웨이버 공시]]되는 굴욕을 당한 후 은퇴했다. 2000년 청룡기 결승전에서 [[김주철(야구)|김주철]]의 성남고에게 패하면서 우승 기회를 놓친 후, 대구상고 야구부는 쭉 하향곡선을 그렸다. 역시 [[안지만]]처럼 훗날 포텐셜을 터뜨린 선수들이 존재했을 정도로 인재는 그렇게까지 나쁘지는 않았지만 성과는 나지 않았다. 이는 동향의 라이벌 경북고가 부진한 것과 맞물리면서 대구 지역의 야구 패권을 대구고에 넘겨주는 결과로 이어졌고, 연고 구단인 [[삼성 라이온즈]]는 뒷목을 잡으면서 아쉬운 1차 지명을 찍어야 했다. === 2010년 이후 === 2009년 대통령배 결승은 오랜만의 성과였다. 2004년 일반계 전환 후 맞이한 첫 결승전에서 [[박화랑]]의 분투에도 불구하고, 덕수고의 야수진의 힘과 심판진의 힘(?)[* 문제의 그 심판은 말 많고 탈 많았던 심태석([[심수창]]의 아버지)이었다.] - 특히 9회에 나왔던 여러번의 결정적인 오심논란 - 을 이겨내지 못하고 9:10의 분패를 당하면서 우승의 기회를 놓쳤다. 하지만 2011년 [[청룡기]]에서 2학년 좌완 에이스 [[김성민(1994)|김성민]]의 활약으로 정말 오랜만의 우승에 성공하며 화려하게 부활하는가 싶었는데, 그 김성민이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부정계약 시비로 징계를 받아 팀을 이탈하는 통에 다시 정상권에서 멀어지고 말았다. 2015년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결승전에서 지역 라이벌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에 13-11로 승리를 거두고 우승을 차지했다. 3학년 2루수 이석훈이 최동원선수상[* [[최동원상]]과는 다르다.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최우수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을 수상했다. 2015년 제6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에서 결승에 올라 17년만의 황금사자기 제패에 도전했으나 원투펀치 [[이영하(야구선수)|이영하]]-[[김대현(1997)|김대현]]이 버틴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인터넷고]]에 2:7로 역전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5년 제70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청룡기]]에서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를 에이스 [[전상현]]의 활약으로 12:2 로 누르고 4년만에 정상 자리를 탈환하였다. 프로와 아마추어를 통틀어서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첫 야구대회 우승이다.''' === 2020년 이후 === 2020년 코칭스태프는 김승관(감독), 양용모(타격, 포수), 강현철(1학년 투수), 황석호(내야 수비, 팀 작전), 박화랑(2학년 및 3학년 투수) 등 5명이다. 2020년 황금사자기 1회전에서 [[인상고등학교 야구부|인상고]]에 1:5로 패하며 탈락했다. 대통령배에서는 [[울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울산공고]], [[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를 차례로 꺾고 4강에 진출했으나 [[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와 서스펜디드 게임을 치른 후유증[* 제4경기(18시30분)에 편성됐으나 앞의 제3경기가 연장전 승부치기까지 가면서 제4경기 시작을 20시 이후에 했다. 3-1로 앞선 4회에 서스펜디드 결정이 내려졌는데 시간이 22시경이었다. 다음날 09시에 서스펜디드 게임을 재개하고 같은 날 저녁에 준결승전을 치르는 강행군이었다.]에 주축 투수인 이승현이 더 이상 등판할 수 없다는 핸디캡을 극복하지 못하고[* 게임을 중계하던 스포티비 해설위원이 고교야구 투구수 제한 규정을 준결승전과 결승전에는 적용하지 않는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에이스 투수가 투구수 제한으로 나오지 못하는 대신 후보투수들이 사사구 남발 등 4강전에 걸맞지 않은 경기력을 보이는 사례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에 7-18로 패했다. 2021년 청룡기에서 8강전에 진출했으나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고]]에 패했다. 2022년 청룡기에서 8강전에 진출했지만 [[장충고등학교 야구부|장충고]]한테 0-3으로 패했다. 2023년 신세계이마트배에서 8강까지 갔으나 그해 대회 준우승팀인 강릉고한테 패했다. 2023년 전반기 고교야구 주말리그 전반기 경상권 B에서 5승 1패를 기록하며 8년만에 고교야구 주말리그 경상권 B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진 황금사자기에서 나주광남고, 부산공고, 대구고, 광주일고를 차례로 물리치고 4강에 올라 8년 전 결승에서 만났던 선린인터넷고와 맞붙게 됐으나 준결승에서 7:11로 패했다. 2023년 8월 대통령배에서 연장전 승부치기까지 가는 접전끝에 장충고에 승리했으나 2회전에서 [[장현석]]이 구원등판한 마산용마고에 패하며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2023년 봉황대기는 1회전에서 부전승의 행운을 안았고 64강전에서 난적 인천고에 승리했다. 32강전 예일메디텍고, 16강전 물금고를 격파하고 8강전에서 지역 라이벌 경북고에 승리하고 4강전에 진출했다. == 출신 선수 == ||졸업연도 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프로입단}}}''' || '''{{{#white 경력}}}''' || || [[서영무]] || 내야수 || - ||경북대-공군|| || [[강태정]] || 내야수 || - ||제일은행-[[한국전력공사 야구단|한국전력]]|| || [[류영수]] || 투수 || - ||제일은행-육군|| || [[정동진(1946)|정동진]] || 포수 || - ||제일은행-해병대|| || [[우용득]] || 포수 || 1982년 코치 겸 선수 ||제일은행-[[한일은행 야구단|한일은행]]-[[삼성 라이온즈|삼성]](1982~1983)|| || [[김한근]] || 내야수 || 1982년 창단멤버 ||한양대-[[롯데 자이언트|실업롯데]]-[[삼성 라이온즈|삼성]](1982~1985)-[[빙그레 이글스|빙그레]](1985~1988)-[[태평양 돌핀스|태평양]](1989~1990)|| || '''[[장효조]]'''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83년/신인드래프트|1983년 1차 지명]] ||한양대-[[포스틸 야구단|포철]]-경리단-[[삼성 라이온즈|삼성]](1983~1988)-[[롯데 자이언츠|롯데]](1989~1992)|| || '''[[김시진]]'''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83년/신인드래프트|1983년 1차 지명]] ||한양대-경리단-[[삼성 라이온즈|삼성]](1983~1988)-[[롯데 자이언츠|롯데]](1989~1992)|| || [[송진호]] || 투수 || 1982년 창단멤버 ||건국대-[[포스틸 야구단|포철]]-[[삼성 라이온즈|삼성]](1982~1986)|| || [[박영진(야구선수)|박영진]] || 투수 || 1982년 창단멤버 ||성균관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82~1984)|| || [[오대석]] || 내야수 || 1982년 창단멤버 ||한양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82~1988)-[[롯데 자이언츠|롯데]](1989~1991)|| || '''[[이만수]]''' || 포수 || 1982년 창단멤버 ||한양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82~1997)|| || '''[[양일환]]'''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83년/신인드래프트|1983년 1차 지명]] ||건국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83~1989)|| || [[홍승규]]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83년/신인드래프트|1983년 1차 지명]] ||성균관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83~1990)|| || [[김성갑]]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드래프트|1985년 1차 지명]] ||건국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85)-[[빙그레 이글스|빙그레]](1986~1990)-[[태평양 돌핀스|태평양]](1991~1995)|| || [[김용국(야구)|김용국]]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드래프트|1985년 1차 지명]] ||한양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85~1993)-[[태평양 돌핀스|태평양]](1994~1995)|| || '''[[이강돈]]'''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드래프트|1985년 1차 지명]] ||건국대-[[빙그레 이글스|빙그레]]/[[한화 이글스|한화]](1985~1997)|| || '''[[이종두]]'''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드래프트|1985년 1차 지명]] ||한양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85~1996)-[[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1997)|| || [[김정수(1963)|김정수]]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87년/신인드래프트|1987년 2차 4라운드]] ||영남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87~1992))|| || '''[[이정훈(1963)|이정훈]]'''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87년/신인드래프트|1987년 2차 1라운드]] ||동아대-[[빙그레 이글스|빙그레]]/[[한화 이글스|한화]](1987~1994)-[[삼성 라이온즈|삼성]](1995~1996)-[[OB 베어스|OB]](1997)|| || '''[[김태한]]'''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2년/신인드래프트|1992년 1차 지명]] ||계명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92~2001)-[[SK 와이번스|SK]](2002~2003)|| || '''[[양준혁]]'''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93년/신인드래프트|1993년 1차 지명]] ||영남대-[[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삼성 라이온즈|삼성]](1993~1998)-[[해태 타이거즈|해태]](1999)-[[LG 트윈스|LG]](2000~2001)-[[삼성 라이온즈|삼성]](2002~2010)|| || [[전상렬]] || 외야수 || 1991년 연고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1991~1996)-[[한화 이글스|한화]](1997~1999)-[[두산 베어스|두산]](1999~2009)|| || [[허삼영]] || 투수 || 1991년 연고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1991~1996)|| || '''[[전병호]]'''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1996년 1차 지명]] ||영남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96~2008)|| || [[김승관]]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5년/신인드래프트|1995년 연고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1995~2004)-[[롯데 자이언츠|롯데]](2004~2007)|| || [[권영철]]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1996년 고졸우선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1996~2001) || || [[권도영]]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9년/신인드래프트|1999년 2차 9라운드]] ||고려대-[[현대 유니콘스|현대]](2003~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08~2011)|| || [[이영욱(투수)|이영욱]]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9년/신인드래프트|1999년 2차 8라운드]] ||홍익대-[[SK 와이번스|SK]](2003~2013)-[[삼성 라이온즈|삼성]](2014)|| || '''[[차일목]]''' || 포수 || [[한국프로야구/1999년/신인드래프트|1999년 2차 5라운드]] ||홍익대-[[KIA 타이거즈|KIA]](2003~2015)-[[한화 이글스|한화]](2016~2017)|| || '''[[강영식]]'''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드래프트|2000년 2차 2라운드]] ||[[해태 타이거즈|해태]](2000)-[[삼성 라이온즈|삼성]](2001~2006)-[[롯데 자이언츠|롯데]](2007~2017)|| || '''[[박기혁]]'''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드래프트|2000년 2차 2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00~2014)-[[kt wiz|KT]](2015~2018)|| || [[용덕한]]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드래프트|2004년 2차 8라운드]] ||동아대-[[두산 베어스|두산]](2004~2012)-[[롯데 자이언츠|롯데]](2012~2014)-[[kt wiz|KT]](2015)-[[NC 다이노스|NC]](2015~2016)|| || [[이영수]]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드래프트|2000년 2차 4라운드]] ||한양대-[[KIA 타이거즈|KIA]](2004~2011)-[[삼성 라이온즈|삼성]](2013)|| || [[장준관]]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드래프트|2000년 2차 1라운드]] ||[[LG 트윈스|LG]](2000~2008)|| || [[성민규]]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07년/신인드래프트|2007년 2차 4라운드]] ||홍익대 중퇴-네브래스카대학교-[[KIA 타이거즈|KIA]](2007)-[[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2008) || || [[이정호(1982)|이정호]]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2001년 1차 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2001~2004)-[[현대 유니콘스|현대]](2005~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08~2010)|| || '''[[안지만]]'''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2002년 2차 5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02~2016)|| || [[곽동현(야구선수)|곽동현]]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03년/신인드래프트|2003년 2차 7라운드]] ||한양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07, 2011)|| || [[조현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2005년 2차 2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05~2006)-[[삼성 라이온즈|삼성]](2006~2016)|| || [[유선정]]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06년/신인드래프트|2006년 2차 6라운드]] ||[[현대 유니콘스|현대]](2006~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08~2016)|| || '''[[백정현]] '''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7년/신인드래프트|2007년 2차 1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07~)|| || '''[[이상호(1989)|이상호]]''' || 내야수 || 2010년 [[육성선수]] 입단 ||강릉영동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10)-[[SK 와이번스|SK]](2011)-[[NC 다이노스|NC]](2012~2020)-[[LG 트윈스|LG]](2021~2022)-[[kt wiz|KT]](2023~)|| || [[우동균]]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08년/신인드래프트|2008년 1차 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2008~2017)-가가와 올리브 가이너스(2018)|| || [[김민수(1991년 3월)|김민수]]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2014년 2차 2라운드]] ||영남대-[[한화 이글스|한화]](2014)-[[삼성 라이온즈|삼성]](2015~)|| || [[김정수(1991)|김정수]] || 외야수 || 2014년 [[육성선수]] 입단 ||성균관대-[[한화 이글스|한화]](2014~2015)|| || [[박화랑]] || 투수 || 2010년 [[육성선수]] 입단 ||[[삼성 라이온즈|삼성]](2010~2012)|| || [[백승민]]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2014년 2차 10라운드]] ||영남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4~2021)|| || [[박지규]]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2차 5라운드]] ||성균관대-[[LG 트윈스|LG]](2015~2020)|| || [[배진호]]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2차 10라운드]] ||고려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5~2016)|| || [[조무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2차 6라운드]] ||성균관대-[[kt wiz|KT]](2015~2017)-[[롯데 자이언츠|롯데]](2018~2022)|| || [[최민구]]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2차 5라운드]] ||영남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5~2018)|| || [[김종덕(야구선수)|김종덕]] || 포수 || 2016년 [[육성선수]] 입단 ||연세대-[[키움 히어로즈|넥센/키움]](2016~2019)|| || [[박승욱]]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3라운드]] ||[[SK 와이번스|SK]](2012~2019)-[[kt wiz|KT]](2019~2021)-[[롯데 자이언츠|롯데]](2022~)|| || [[이동훈(1992)|이동훈]]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4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12~2016)|| || [[김성민(1994)|김성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1라운드]] ||후쿠오카경제대-[[SK 와이번스|SK]](2017)-[[키움 히어로즈|넥센/키움]](2017~)|| || [[김태수(야구선수)|김태수]]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7라운드]] ||한양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7~2021)|| || [[이수민(야구선수)|이수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2014년 1차 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2014~2022)|| || [[이창엽(야구선수)|이창엽]] || 내야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9라운드]] ||한양대-[[kt wiz|KT]](2018~2019)|| || '''[[최채흥]]''' || 투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1차 지명]] ||한양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8~)|| || [[정용준(야구선수)|정용준]]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2차 4라운드]] ||[[넥센 히어로즈|넥센]](2015~2017)|| || [[채현우]] || 외야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8라운드]] ||송원대-[[SK 와이번스|SK]]/[[SSG랜더스|SSG]](2019~)|| || [[김도경(야구선수)|김도경]] || 외야수 || 2020년 [[육성선수]] 입단 ||한양대-[[두산 베어스|두산]](2020~2021)|| || [[류효승]] || 외야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6라운드]] ||성균관대-[[SK 와이번스|SK]]/[[SSG랜더스|SSG]](2020~)|| || [[이동훈(1996)|이시원]]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2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16~2022)-[[kt wiz|KT]](2022~)|| || '''[[전상현]]'''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4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16~)|| || [[황경태]]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2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16~2022)|| || [[박민호(1998)|박민호]] || 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10라운드]] ||경남대-[[LG 트윈스|LG]](2021~)|| || [[김현(야구선수)|김현]] || 투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5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18~2020)|| || [[백선기(야구선수)|백선기]] || 외야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7라운드]] ||[[kt wiz|KT]](2018~2023)|| || [[오승택]] || 외야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8라운드]] ||동아대-[[NC 다이노스|NC]](2022~)|| || [[배민서]] || 투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4라운드]] ||[[NC 다이노스|NC]](2019~)|| || '''[[이승현(2002)|이승현]]'''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1차 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2021~)|| || [[강도훈]] || 외야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7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22)|| || [[강태완]] || 외야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4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24~)|| || [[이호준(2004)|이호준]] || 내야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3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4~)|| || [[임상현(2005)|임상현]] || 투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2라운드]] ||[[NC 다이노스|NC]](2024~)|| === 여담 === * 대구상원고 졸업기수는 아래와 같다. 47회: 장효조, 김한근, 최병국 49회: 김시진 50회: 이만수 53회: 이강돈, 김성갑, 김용국, 이종두 55회: 이정훈 60회: 양준혁 63회: 전상렬 64회: 전병호 == 둘러보기 == [include(틀: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대구광역시]][[분류:1928년 창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