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구광역시\, 경상북도를 합쳐 일컫는 지역, rd1=대구경북)] [include(틀:대한민국의 도시권)] ||<-2> {{{#000,#fff {{{+2 '''대구권'''}}}[br]大邱圈 | Daegu Metropolitan Area}}}{{{#!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cd313a 50%, #0047a0 50%);" }}} || ||<-2><#afdde9> [[파일:대구권 지도.svg|width=100%]] || || '''근거법령'''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 || '''위치''' ||[[대한민국]]([[한반도]]) 동남부 / [[남한]] 동남부 || || '''면적''' ||8,144.95㎢ || || '''인구''' ||'''3,506,036명'''[* 2023년 10월 기준.] || || '''최대도시''' ||[[대구광역시]] || || '''범위''' ||[[대구광역시]][br][[경상북도]] [[구미시]], [[경산시]], [[영천시]],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의성군]], [[청송군]][br][[경상남도]] [[창녕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권. 법적으로는 [[http://www.law.go.kr/lsBylInfoPLinkR.do?lsiSeq=136122&lsNm=%EB%8C%80%EB%8F%84%EC%8B%9C%EA%B6%8C%20%EA%B4%91%EC%97%AD%EA%B5%90%ED%86%B5%20%EA%B4%80%EB%A6%AC%EC%97%90%20%EA%B4%80%ED%95%9C%20%ED%8A%B9%EB%B3%84%EB%B2%95%20%EC%8B%9C%ED%96%89%EB%A0%B9&bylNo=0001&bylBrNo=00&bylCls=BE&bylEfYd=|대도시권 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대통령령]])의 별표 1 대도시권의 범위(제2조 관련)에 의하여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구미시]], [[경산시]], [[영천시]],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의성군]], [[청송군]], [[경상남도]] [[창녕군]]으로 정해져 있다. 법령에 [[경상남도]] 소속인 [[창녕군]]이 포함되어 있는데 창녕군은 경남이지만 [[부산·울산권]]보다 대구권에 더 가깝다.[* 남지읍 등 [[창녕군]] 남부의 경우 [[부산·울산권]]에 속하는 [[창원시]]와의 교류가 많다. 반대로 [[경상북도]] 소속인 [[경주시]]는 [[부산·울산권]]에 속한다.] [[경상남도]]의 [[합천군]], [[거창군]] 역시도 대구권에 더 가까워 넓은 의미로 볼 땐 대구권에 포함한다. 이는 [[대구광역시]]가 [[경상남도]]와 인접하여 서로 가깝기 때문이다. 규모로는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 [[부산·울산권]]에 이은 대한민국 3번째 도시권이며, 면적으로는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다음으로 큰 도시권이다. [[대한민국 대통령]]을 가장 많이 배출한 도시권이기도 하다. == 범위 == ||<-3> '''{{{#white 대구권의}}} [[시(행정구역)/대한민국|{{{#white 시,}}}]] [[군(행정구역)/대한민국|{{{#white 군,}}}]] [[구(행정구역)/대한민국|{{{#white 구}}}]]'''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대구광역시|{{{#fff 대구광역시}}}]]'''}}}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 [[중구(대구광역시)|중구]] / [[동구(대구광역시)|동구]] / [[서구(대구광역시)|서구]] / [[남구(대구광역시)|남구]] / [[북구(대구광역시)|북구]] / [[수성구]] / [[달서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군(행정구역)/대한민국|자치군]]}}} || [[달성군]] / [[군위군]]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경상북도|{{{#fff 경상북도}}}]]'''}}}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시(행정구역)/대한민국|자치시]]}}} || [[구미시]] / [[경산시]] / [[영천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군(행정구역)/대한민국|자치군]]}}} || [[청도군]] / [[고령군]] / [[성주군]] / [[칠곡군]] / [[의성군]] / [[청송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경상남도|{{{#fff 경상남도}}}]]'''}}}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군(행정구역)/대한민국|자치군]]}}} || [[창녕군]] || [include(틀:대도시권의 범위)]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 '''좁은 범위''':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경산시]], [[고령군]], [[칠곡군]]. * '''일반적인 범위''':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구미시]], [[경산시]], [[영천시]], [[칠곡군]], [[의성군]], [[성주군]], [[청도군]], [[고령군]] + [[경상남도]] [[창녕군]]. * '''법적 범위''':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구미시]], [[경산시]], [[영천시]], [[칠곡군]], [[의성군]], [[성주군]], [[청도군]], [[고령군]], [[청송군]] + [[경상남도]] [[창녕군]]. 인구는 '''350만 6,036명'''. * '''넓은 범위''':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경주시]], [[포항시]][* [[경주시]]와 [[포항시]]는 [[울산광역시]]와도 가까워 [[부산·울산권]]의 영향도 받는다.], [[구미시]], [[영천시]], [[경산시]],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김천시]][* 대구와 대전의 정중앙에 있어서 그런지 대구나 대전으로 출퇴근 수요가 많다. [[김천역]]에 승하차하는 인원들 태반이 대전, 대구다.], [[상주시]] 일부, [[의성군]] + [[경상남도]] [[창녕군]], [[합천군]][* 이 곳 출신인 전두환은 학창 시절을 대구에서 보냈고 tk인사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pk인사로 분류된 적이 없다. 다만, 합천군 남부의 삼가면, 쌍백면, 가회면, 대병면, 대양면 지역은 진주시 생활권으로 분류된다.], [[거창군]], [[밀양시]]. == 교통 == [include(틀:대구권의 대중교통)] [[경산시]]와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및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대구]]와 [[경산시 시내버스|경산]]의 [[시내버스]]들이 다수 운행되고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하양대구가톨릭대역|하양]] 연장이 결정되어 연계가 편리하다. 그 외의 지역은 적은 배차의 [[시내버스]], [[서부정류장]](창녕, 합천, 거창, 고령, 성주 방면), [[북부정류장]](구미, 칠곡, 의성, 청송(진보) 방면),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청도, 영천, 청송(읍내) 방면)을 기점으로 삼는 [[시외버스]], [[경부선]], [[대구선]], [[중앙선]] [[무궁화호]] 일반열차로 해결해야 하는 형편이다. 대구권의 도시에서 [[대구광역시|대구]]로 들어오는 시내버스와 [[농어촌버스]]로 [[성주, 칠곡 버스 250|성주, 칠곡 250번]], [[고령 버스 606|고령 606번]], [[칠곡 버스 300|칠곡 300번]], [[영천 버스 55, 555|영천 55번, 영천 555번]], [[청도 버스 0|청도 0번]], [[의령 버스 의령-대구|의령 의령-대구번]],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 [[영천시]] [[금호읍]]으로 운행되는 [[대구 버스 808|대구 버스 808번]][* 금호 방면 한정. 대구대 방면의 경우 [[영천시]]를 거치지 않고 [[경산시]] [[진량읍]]으로 운행된다.]이 있다. [[대구광역시]]에서 [[경산시]], [[영천시]], [[칠곡군]] 지역으로 가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 노선에 대해서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참조. [[2023년]] [[7월 1일]]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군위군이 대구에 편입]]되는데,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75680|대구광역시청 교통국 공문]]에 따르면 [[군위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는 [[군위교통]]이 [[군위군 마을버스]]로 변경되며, [[대구광역시]]와 [[군위군]]을 이어주는 [[대구 버스 급행9|급행9번]], [[대구 버스 급행9-1|급행9-1번]]이 신설되었다. 한편 [[경부선]]의 지선인 [[대구선]]의 복선전철화가 2021년 12월 28일 완료되었으며,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을 개시하여 [[구미시|구미]]-[[왜관읍|왜관]]-[[대구광역시|대구]]-[[경산시|경산]]으로 이어지는 대구권 내부 교통망을 확충시킬 계획이 있고, [[대구권 광역철도]]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으며 2024년 개통 예정이다. 또한 2024년까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을 [[경산시]] [[하양읍]]까지 연장하기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며, 2021년 6월 29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하양~금호 연장 사업의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이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709936|최종 확정]]됨에 따라 추후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영천시]] [[금호읍]]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대구권의 광역 대중교통망이 발달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대구를 왔다갔다 할 때는 자가용을 많이 이용한다. 그 덕분에 출퇴근 시간대나 주말에 고속도로, 간선도로([[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가 자주 막히는 편이다. [[대구국제공항]]을 통해 [[제주국제공항|제주]] 등의 국내선 노선 및 [[중국]]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베이징]],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 [[일본]] [[나리타 국제공항|도쿄]],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 노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350만 광역 인구에 비하면 노선 수가 상당히 부족한 편이며, 운항 횟수가 적고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때문에 [[김해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 이용률도 꽤 있는 편이다. === [[도시철도]]/[[광역철도]] === 운행 중인 '''[[도시철도]]'''로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1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대구 2호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대구 3호선]]'''이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4호선|대구 4호선]]의 건설이 확정되었다. 계획 중인 노선은 순환선인 [[대구 도시철도 5호선|대구 5호선]]이다. 운행 중인 '''[[광역철도]]'''는 없으나 현재 [[구미시]]~[[칠곡군]]~[[대구광역시]]~[[경산시]]를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가 건설 중에 있으며, [[대구-경북 광역철도]]가 계획 중에 있다. 광역철도로 분류 되는 [[대구산업선]] 역시 건설이 확정되었지만, 노선을 보면 대구 내에서만 다니기에 광역철도보단 급행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의 형태에 더 가까워 보인다. == 교육 == 대구권은 '''남녀공학의 저주가 제대로 발동하는 곳''' 중 1곳이며, 전국에서 남고, 여고의 비율이 가장 높다. [[과학고등학교]], [[외국어고등학교]] 등 [[특수목적고등학교]]는 [[대구광역시]], [[구미시]], [[경산시]]에 몰려 있다. 대구권 지역 명문 고등학교들은 거의 남고와 여고이며 남녀공학 전환 이후 성적이 하락한 학교들[* [[덕원고등학교]], [[계성고등학교(대구)|계성고등학교]] 등.]도 숱하게 나온다. 이 때문에 남산고에서는 여고 환원을, 덕원고와 계성고에서는 남고 환원을 거세게 주장하고 있으며 경북고, 대륜고, 대구 경신고 등에서는 공학 전환이 금지어 수준으로 취급이 나빠졌다. 거기다가 이들 지역의 학교는 남녀공학이라도 남녀분반이다. == 교정 시설 == 대구권의 교정시설은 교도소 5곳[* [[대구교도소]], [[경북북부교도소|경북북부제1교도소, 경북북부제2교도소, 경북북부제3교도소, 경북직업훈련교도소]]], 구치소 1곳[* [[대구구치소]]], 소년원 1곳[* 대구소년원 (읍내정보통신학교)]이 있다. == 관련 문서 == * [[대구경북]] *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교통]] * [[경상북도]] * [[대경교통카드]] * [[대구권 광역철도]] * [[지리 관련 정보]] * [[도시권]] == 기타 ==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각주] [[분류:대구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