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경찰청)]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구경찰청관.jpg|width=100%]]}}} || || '''대구광역시경찰청'''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height=50]]||{{{+1 {{{#2350a9 '''대구광역시경찰청'''}}}}}} [br] {{{#2350a9 大邱廣域市警察廳}}} [br] {{{#2350a9 Daegu Metropolitan Police}}} ||}}} || || '''약칭''' || 대구경찰청/대구청/대구시경/대구광역시경 || || '''설립일''' || [[1981년]] [[7월 1일]] || || '''청장''' || [[치안감]] [[김수영(1967)|김수영]] || || '''관할구역''' || [[대구광역시]] || || '''상급기관''' || [[대한민국 경찰청]](국가)[br][[https://www.daegu.go.kr/dgmpc/index.do|대구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자치)[* 2021년 7월 1일][br][[국가수사본부]](수사) || || '''전신''' || 대구직할시경찰국(大邱直轄市警察局)[br]대구지방경찰청 || ||<|2> '''{{{#ffffff 소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경찰청, 너비=100%)]}}}|| ||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227 || || '''웹사이트''' || [[https://www.dgpolice.go.kr|대구광역시경찰청]]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를 관할하는 지방경찰청. 청장에는 [[치안감]]이 보임된다. 청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227[* 부지 내 청사 별로 부여된 도로명주소가 다르다. 본관, 식당, 별관1동은 무학로 227, 부지 내 구 의무경찰교육센터, 교통정보센터, 실내사격장, 싸이카순찰대는 무학로 229, 별관2, 3동 (구 경찰특공대)은 무학로 237과 같이 주소를 부여받았다. [[https://www.dgpolice.go.kr/dgpo/PageLink.do?link=dgpo/06/02_05_08#office_map_top|출처]]]에 있다. == 청장 == * [[치안감]] [[김수영(1967)|김수영]] == 직제 == === 본청 === * 청장 * 홍보담당관 * 홍보계 * 청문감사인권담당관 * 감사계 * 감찰계 * 민원봉사실 * 112치안종합상황실 * 관리팀 * 상황팀 * 공공안전부 * 경무기획정보화장비과 * 경무계 * 기획예산계 * 인사계 * 교육계 * 경리계 * 시설계 * 정보화장비기획계 * 정보통신운영계 * 장비관리계 * 경비과 * 경비경호계 * 대테러계 * 공공안녕정보외사과 * 정보관리계 * 정보분석계 * 정보상황계 * 정보협력계 * 외사계 * 수사부 * 수사심사담당관 * 수사심의계 * 수사과 * 수사1계 * 수사2계 * 피해자보호계 * 형사과 * 강력계 * 폭력계 * 사이버수사과 * 사이버수사기획계 * 사이버범죄수사대 * 디지털포렌식계 * 과학수사대 * 과학수사관리계 * 과학수사대 * 광역수사대 * 반부패·경제범죄수사 1·2계 * 강력범죄수사계 * 마약범죄수사계 * 국제범죄수사계 * 안보수사과 * 안보수사관리계 * 첨단안보수사계 * 안보수사1·2대 * 자치경찰부 * 생활안전과 * 생활안전계 * 생활질서계 * [[지하철경찰대]] * 여성청소년과 * 여성보호계 * 아동청소년계 * 여성청소년수사지도계 * 여성청소년수사대 * 교통과 * 교통계 * 교통안전계 * 교통조사계 === 직할대 === * 제1기동대 (수성구 파동) * 제2기동대 (동구 효목동) * 제3기동대 (동부경찰서) * 제4기동대 (북부경찰서) * 제5기동대 (성서경찰서) * [[경찰특공대]] * 제9여경제대 === 휘하 경찰서 === [include(틀:대구광역시경찰청 휘하 경찰서)] || {{{#ffffff 경찰서}}} || {{{#ffffff 지구대·파출소}}} || {{{#ffffff 치안센터}}} || {{{#ffffff 관할구역}}} || ||<|7> {{{#000 대구수성경찰서}}} || 고산지구대 || 고산1, 고산2 || || || 만촌지구대 || 만촌1 || || || 범어지구대 || 범어3, 수성 || || || 상동지구대 || 중동 || || || 지산지구대 || 지산2, 범물 || || || 황금지구대 || 범어4, 황금2 || || ||<-2> 파동파출소 || || ||<|9> {{{#000 대구동부경찰서}}} || 큰고개지구대 || 신암5, 신암4 || || || 남신암지구대 || 신천, 신암1 || || || 동대구지구대 || 동대구역, 신천3, 효목2 || || || 안심지구대 || 용계 || || || 동촌지구대 || 방촌 || || ||<-2> 공산파출소 || || ||<-2> 봉무불로파출소 || || ||<-2> 팔공파출소 || || || 동내혁신파출소 || 대림 || || ||<|4> {{{#000 대구중부경찰서}}} || 동덕지구대 || 동인, 대봉 || || || 서문지구대 || 서문시장, 역전 || || || 남산지구대 || 남문, 신남 || || ||<-2> 중앙파출소 || || ||<|5> {{{#000 대구남부경찰서}}} || 봉천지구대 || 이천, 덕천 || || || 동대명지구대 || 명동, 명덕 || || ||<-2> 서대명파출소 || || ||<-2> 대명파출소 || || ||<-2> 남대명파출소 || || ||<|4> {{{#000 대구북부경찰서}}} || 고성지구대 || 칠성 || || || 노원지구대 || 3공단, 노원2가 || || || 복현지구대 || 검단, 복현 || || ||<-2> 산격지구대 || || ||<|5> {{{#000 대구달서경찰서}}} || 송현지구대 || 송현1동 || || || 상인지구대 || 상인2동, 상인3동 || || || 월배지구대 || 유천 || || ||<-2> 월성파출소 || || || 대곡파출소 || 도원 || || ||<|8> {{{#000 대구성서경찰서}}}[*경무관보임] || 신당지구대 || || || ||<-2> 죽전파출소 || || ||<-2> 두류파출소 || || ||<-2> 두류3동파출소 || || ||<-2> 성당파출소 || || ||<-2> 용산파출소 || || ||<-2> 성서파출소 || || ||<-2> 감삼파출소 || || ||<|11> {{{#000 대구달성경찰서}}} || 다사지구대 || 다사 || || ||<-2> 현풍파출소 || || ||<-2> 화원파출소 || || ||<-2> 가창파출소 || || ||<-2> 공단파출소 || || ||<-2> 구지파출소 || || ||<-2> 논공파출소 || || ||<-2> 옥포파출소 || || ||<-2> 유가파출소 || || ||<-2> 하빈파출소 || || ||<-2> 화남파출소 || || ||<|4> {{{#000 대구강북경찰서}}} || 동천지구대 || 태전 || || || 강북지구대 || 칠곡 || || || 무태파출소 || --연경-- || || || 관문파출소 || 매천 || || ||<|5> {{{#000 대구서부경찰서}}} || 평산지구대 || 북비산, 평리, 원평 || || || 서도지구대 || 내당1, 내당2 || || ||<-2> 이현지구대 || || || 비원지구대 || 비산7 || || ||<-2> 내당4동파출소 || || ||<|8> --{{{#000 대구군위경찰서}}}--[* [[2024년]] [[1월 1일]]부터 대구군위경찰서가 된다. [[경상북도]] [[군위군]]은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었지만, [[행정안전부]]에서 주민의 혼란 및 불편 예방, 행정부처의 예산 배정 및 인사·평가 등이 1년 단위로 이뤄져야 한다는 내용의 지침을 이미 경찰에 전달했기 때문에 군위경찰서의 경우는 [[2024년]] [[1월 1일]]부터 경상북도경찰청 소속에서 대구광역시경찰청 소속으로 이관된다.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124010003042|#]]] || --중앙파출소-- || || --[[군위읍]]-- || || --효령파출소-- || || --[[효령면]]-- || || --부계파출소-- || || --[[부계면]]-- || || --의흥파출소-- || || --[[의흥면]]-- || || || --소보-- || --[[소보면]]-- || || || --산성-- || --[[산성면]]-- || || || --우보-- || --[[우보면]]-- || || || --삼국유사-- || --[[삼국유사면]]-- || == 의경 생활 == 대구경찰청 청사 부지 내 별관3동에 의무경찰교육센터가 있었다.[* 현재 어린이집과 안보수사대가 들어와 있는 건물, 과거에는 [[경찰특공대]]도 있었다. (현재는 달성으로 이전)] 대구는 물론 [[경북경찰청]]과 [[강원경찰청]]에 발령받은 신임대원들도 교육을 받았으며, [[독도경비대]] 역시 [[육군훈련소]]를 수료한 후 이곳을 거쳐갔다. 타 지방청과 마찬가지로 대다수의 대원들은 기동중대, 각 경찰서에 마련된 방범순찰대와 112타격대로 배치되었다. [[2022년]] 6월 [[경찰청 의무경찰|의무경찰]] 제도의 폐지를 앞두고 관내에서 근무하던 대원들이 타 지역으로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20412010001526|재배치]]됨에 따라, 대구의 의무경찰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아래는 폐지 전까지 존재했던 부대 목록이다. 시대에 따라 서술된 내용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참고할 것. 기동중대는 [[대구성서경찰서|성서경찰서]]에 있었던 '''기동1중대'''와 교통전담중대였던 '''기동2중대'''가 있었다. 원래 기동2중대가 성서경찰서 부지 내에 있었으나, 2008년경 [[수성구]] [[파동(대구)]]에 있었던 기동1중대가 이전해오며 2중대는 해체되었다. 대원들 역시 다른 중대로 모두 재배치되었다. 시기와 T/O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교육센터를 수료하는 교육생들 중 나이가 어린 대원들 위주로 배치되었다는 증언이 있다. 현재 성서경찰서에는 제5기동대가, 파동에 있었던 구 청사에는 제1기동대가 소재하고 있다. 전경대는 '''제608전경대'''와 '''제703전경대'''가 존재했다. 둘 다 대구경찰청 청사 부지 내에 소재하고 있었다. 때문에 검열 성과물이 부진하면 지방청 경비과장이 "들어가서 보자." 며 이를 갈았다는 괴담(...)이 있었다. 703전경대는 [[백골단|사복중대]]로 활동했던 과거가 있어 특수전경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으며, 재난관리부대로 지정되어 정기적으로 [[경찰특공대]]에서 위탁훈련을 받았다. 배우 [[김인권]]이 복무했던 부대로도 알려져 있다. 두 중대 모두 훈련량이 어마어마한 부대로 유명했다. 시기미상 [[튀르키예]]에서 방한한 앙골라 경찰청장 앞에서 검열시범을 보인 적도 있었다. [[전투경찰순경|작전전경]] 폐지후 의경대로 승계되지 않고 모두 해체되었다. 방순대는 중부(119), 동부(129), 서부(139), 남부(149), 북부(159), 수성(169), 달서(179)경찰서에 존재했다. 북부경찰서는 관내에 [[경북대학교]]가 존재했기 때문에 전국에서 최초로 방범순찰대가 설치된 곳 중 하나였으며, 과거에는 훈련량 역시 매우 많았다. 서부방순대는 2013년 12월 11일 부대가 동부경찰서로 이전하면서 해체되었으며[* 이후 그 자리에 대신 들어온 상설중대는 없었으며 타격대만 존재했다. 방순대 건물은 별관으로 쓰이다 2019년 신청사가 착공함에 따라 철거되었다.], 수성방순대와 남부방순대는 대구경찰청에 가장 마지막까지 [[https://youtu.be/6TwLmaKoGXI|남아있었던]] 의경 중대였다. 현재 동부경찰서에는 제3기동대, 북부경찰서에는 제4기동대가 입주해 있다. 112타격대는 관내 모든 경찰서에 존재했는데, 자서 방순대로 배치된 대원들 중 면담 혹은 면접을 거친 이들을 타격대 대원으로 데려오는 경찰서도 있었다. 관내 경찰서 중 가장 늦게 개서한 강북서 타격대의 경우에는 각 방범순찰대에서 인원을 차출해 편성되었다. [[서울경찰청|서울]]처럼 매일 큰 시위가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광역시라는 특성상 작지 않은 규모의 상황이 종종 발생했으며, [[주한미군 THAAD 배치 논란|사드 배치 반대 시위]]가 절정에 다다랐을 땐 대부분의 중대가 [[성주군]]으로 교대로 출동하는 등 타 지방청 지원 역시 잦았다. 남부경찰서 관내에 [[캠프 헨리]]와 [[캠프 워커]]가 있어 해당 시설에 대한 경비수요 역시 있었다. 지휘검열은 보통 [[칠곡(대구)|강북서 관내]]에 있는 옻골동산이나 두류야구장, 수성구민운동장에서 주로 실시했다. == 여담 == * 무학산 밑에 있으며, 청사 옆으로 능인중고등학교가 있다. 인근에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지산역]]이 있다. 청사 담벼락에는 경찰을 모티브로 한 화사한 벽화가 조성되어 있으며 버스정류장 셸터는 경찰차 모양의 조형물로 꾸며놓고 경찰 홍보물도 부착하고 있다. * 청사 뒤에는 [[능인중학교|능인중]]ㆍ[[능인고등학교|고등학교]]가 있으며, 옆으로는 대구보건환경연구원, [[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환경본부, 대구교통연수원이 있다. 그 맞은 편에 [[수성구]] 공연장인 [[수성아트피아]]가 있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048866|사진보기]] * 과거에는 청사 내에 [[경찰특공대]]와 608/703전경대, 의무경찰교육센터[* [[경북지방경찰청]]과 [[독도경비대]], [[강원지방경찰청]]으로 배치되는 신임대원들의 교육도 담당했다.]가 소재하고 있었지만 2022년 기준 모두 이전/폐지되었다.[* 경찰특공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으로 이전했으며 603/703전경대는 2010년대에 해체되었다. 의무경찰교육센터는 의경 폐지를 앞두고 신임대원 양성교육을 기동경찰교육센터에서 일괄 담당하게 되며 기능을 상실했다.] * [[경찰헬기|항공대]]와 [[고속도로 순찰대]]는 없다. 관련업무는 인근 [[경북경찰청]]이 담당하는 중. 경북청 항공대는 관내의 [[대구 공군기지]]에 있고, 고속도로순찰대 제3지구대는 인근 [[왜관IC]]에 있어 빠른 지원이 가능하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시내버스 === ||<-2> {{{+1 {{{#373a3c,#c3c6c8 '''대구경찰청(20389)·대구경찰청건너(20391)'''}}}}}}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204|{{{#ffffff 20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403|{{{#ffffff 40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449|{{{#ffffff 44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814|{{{#ffffff 814}}}]]}}}|| === 도시철도 === || 역명 || 노선 || || [[지산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 매체에서의 등장 == === 영화 === * [[권순분 여사 납치사건]] - 안재도. 대구중앙경찰서 소속. * [[아이들...]] - 박경식. 대구지방경찰청 소속. * [[제8일의 밤]] - 김호태, 박동진. 대구중부경찰서 강력2팀 소속. [[분류:대구광역시경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