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구광역시)]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교통)] [include(틀:대구경북의 대중교통)] [목차] == 개요 == [[http://car.daegu.go.kr|대구광역시 실시간 교통 정보]] 여느 도시나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굳건한 단일(단핵) 도심체제인 [[대구광역시]]의 특성상 시내 대중교통은 [[중구(대구광역시)|중구]]에 몰려 있는 현실이다. 도시철도 1, 2, 3호선이 모두 중구로 지나면서 환승역도 중앙으로 편중되어 있고, 거의 대부분의 시내버스도 중구를 거친다. 대중교통의 중부 편향적 문제는 시민들이 도심이 아닌 곳을 서로 오갈 때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서 도심보다 거리가 더 가까운 곳으로 가는데도 도심으로 가는 것보다 시간이 더 걸리는 기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성서(대구)|성서]]에서 [[대곡역(대구)|대곡역]]까지 가는 경우, 도심으로 가는 것보다 훨씬 적은 거리지만 버스로 30분이 걸린다. 지하철로만 가면 더 걸리는데, 이는 1, 2호선 환승역이 도심인 [[반월당역]]에 있기 때문이다. [[시지(대구)|시지]]에서 [[안심(대구)|안심]]까지 가는 경우도 비슷한데, 이 곳의 경우엔 지하철로는 1시간 30분 넘게 걸리고, 버스도 수성3번, 849, 849-1 세 대 밖에 없는데다 수성3(-1)번은 시지 겉을 훑어 소용이 없고, 849와 849-1도 배차간격이 길어 짧게 잡아도 30분 정도 소요된다. 시지와 안심은 5km도 채 안 떨어져 있다. 시외교통은 경부축선상 지역이냐, 그 외의 지역이냐에 따라 철도교통 초강세와 도로교통 초강세가 극명하게 갈린다. 경부고속선 개통의 수혜를 제대로 받은 지역으로, [[경부고속철도]]가 1차 개통된 2004년 이후 김포-대구 간 항공노선이 사라지기도 하였으며 주요 대도시인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를 고속철도를 통해 이어준다. 다만 경부축선 이외의 지역으로는 철도망이 부실한 대신 고속도로가 사통팔달로 뚫려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은 이들 고속도로를 통한 고속/시외버스 노선이 커버하고 있다. 굉장히 큰 [[분지]]에 도시가 형성된 만큼 시내 도로망은 잘 발달되어 있다. 다만 통행량이 날로 늘어나서 문제지... 고속도로도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대구포항고속도로]] 등이 사방으로 뻗어나가기 때문에 자동차 이용에는 큰 무리가 없는 상황이다. == [[철도]] == ||<-999> '''{{{+1 대구광역시 관내 철도역}}}''' || ||<-999>|| ||<-999> '''[[경부고속선]]''' || ||<-999>|| ||<|2> 소재지 ||<|2> 역명 ||<|2> 접속노선 ||<-4> 정차열차 || ||<-2><#024999> '''{{{#white KTX}}}''' ||<-2><#6D1F60> '''{{{#white SRT}}}''' || || [[동구(대구광역시)|동구]] || '''[[동대구역|동대구]]''' || '''{{{#d93f5c ●}}}'''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대구 1호선)]] ||<-2> O ||<-2> O || ||<-999>|| ||<-999> '''[[경부선]]''' || ||<-999>|| ||<|2> 소재지 ||<|2> 역명 ||<|2> 접속노선 ||<-4> 정차열차 || ||<#024999> '''{{{#white KTX}}}''' ||<#6D1F60> '''{{{#white SRT}}}''' ||<#c2002f> '''{{{#white ITX-새마을}}}''' ||<#f55839>'''{{{#white 무궁화}}}'''|| ||<-999><#808080> [[서울역|'''{{{#white ▲ 서울}}}''']]·[[용산역|'''{{{#white 용산}}}''']]·[[영등포역|'''{{{#white 영등포}}}''']]·[[수원역|'''{{{#white 수원}}}''']]·[[대전역|'''{{{#white 대전 방면▲}}}''']] || || [[서구(대구광역시)|서구]] || '''[[서대구역|서대구]]''' || || O || O || X || X || || [[북구(대구광역시)|북구]] || '''[[대구역|대구]]''' || '''{{{#d93f5c ●}}}''' [[대구역(도시철도)|대구역(대구 1호선)]] || X || X || O || O || || [[동구(대구광역시)|동구]] || '''[[동대구역|동대구]]''' || '''{{{#d93f5c ●}}}'''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대구 1호선)]] || O || O || O || O || ||<|3> [[수성구]] ||<-999><#d3d3d3> [[경부고속선]] 분기 || || [[고모역|고모]] || || X || X|| X || X || || [[가천역|가천]] || [[대구선]] || X || X|| X || X || ||<-999><#808080> [[부산역|'''{{{#white ▼ 부산}}}''']]·[[구포역|'''{{{#white 구포}}}''']]·[[밀양역|'''{{{#white 밀양}}}''']]·[[경산역|'''{{{#white 경산 방면▼}}}''']] || ||<-999>|| ||<-999> '''[[대구선]]''' || ||<-999>|| ||<|2> 소재지 ||<|2> 역명 ||<|2> 접속노선 ||<-4> 정차열차 || ||<-4><#f55839> '''{{{#white 무궁화}}}''' || ||<-999><#808080> [[고모역|'''{{{#white ▲ 경부선 고모역 방면▲}}}''']] || || [[수성구]] || [[가천역|가천]] || [[경부선]] ||<-4> X || || [[동구(대구광역시)|동구]] || [[금강역|금강]] || ||<-4> X || ||<-999><#808080> [[영천역|'''{{{#white ▼ 중앙선 영천역 방면▼}}}''']] || ||<-999>|| ||<-999> '''[[중앙선]]''' || ||<-999>|| ||<|2> 소재지 ||<|2> 역명 ||<|2> 접속노선 ||<-4> 정차열차 || ||<-4><#f55839> '''{{{#white 무궁화}}}''' || ||<-999><#808080> [[청량리역|'''{{{#white ▲ 청량리}}}''']]·[[동해역|'''{{{#white 동해 방면▲}}}''']] || || [[군위군]] || [[우보역|우보]] || ||<-4> X || || [[군위군]] || [[화본역|화본]] || ||<-4> O || || [[군위군]] || [[봉림역|봉림]] || ||<-4> X || ||<-999><#808080> [[동대구역|'''{{{#white ▼ 동대구}}}''']]·[[부전역(동해선)|'''{{{#white 부전 방면▼}}}''']]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철도)] === [[KTX|고속]][[SRT|열차]] 및 일반열차 === 주변 동네인 경산, 청도, 밀양, 구미, 김천만큼은 아니지만, 대구광역시도 철도교통편이 상대적으로 번성한 도시다. [[경부고속선]], [[경부선]], [[대구선]], [[중앙선]]이 지난다.[* 그 외에 대구 관내에 있는 역은 아니지만, [[시지(대구)|시지지구]] 주민들의 경우 부산방면 경부선 열차를 이용할 때 상대적으로 가까운 [[경산역]]을 이용하기도 한다.] 철도교통은 중심역명이 지역의 이름과 같은 다른 지역과 달리, [[동대구역]]이 메인이다. 광주광역시도 [[광주역]]이 아닌 [[광주송정역]]이 메인인 것처럼, 대구만 이런 것은 아니다. 다만 기술적인 이유 때문에[* [[호남고속선]]의 배선 및 평면교차 문제 때문에 [[호남고속선]]에서 [[광주선]] 진출입이 어려워져서 그렇다. 사실 서대구역에서 다니는 KTX 하행의 대부분이 기존 경부선 경유 및 경전선으로 다니는 것, 포항 가는 KTX가 서대구역에 들어오지 않는 것도 서대구역이 기존 경부선상에 있어서 선로를 바꿔타야 하는 기술적 문제가 있는 게 크다. 그래서 대구북연결선의 정규 가동이 재개된 것이다.] 중심역이 이동한 광주와 달리 [[대구역]] 주변이 시가지화되면서 대구역을 확장할 수 없어서 [[동대구역]]을 신설한 후 역 기능 상당수를 [[동대구역]]으로 옮겼기 때문이며, 그 외에 [[달빛철도]] 등을 추진 중이다. * [[대구역]] : [[서울역|서울]], [[대전역|대전]], [[부산역|부산]] 방면 [[ITX-새마을]], [[무궁화호]], [[점촌역|점촌]], [[영주역|영주]] 방면 무궁화호와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 [[마산역|마산]], [[진주역|진주]] ITX-새마을,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다. 하계수송기간이나 명절 연휴에 임시로 서울, 대전 방면 [[누리로]]를 운행하기도 하지만 정기편이 아니고, 운행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 [[동대구역]] : [[서울역|서울]], [[대전역|대전]], [[울산역|울산]], [[부산역|부산]] 방면 [[KTX]], [[SRT]]와 [[ITX-새마을]], [[무궁화호]], [[점촌역|점촌]], [[영주역|영주]] 방면 무궁화호, 부전, [[안동역|안동]], [[강릉역|강릉]] 방면 무궁화호/[[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 [[마산역|마산]], [[진주역|진주]] 방면 KTX와 ITX-새마을, 무궁화호. [[포항역|포항]], [[경주역|경주]] 방면 KTX와 무궁화호가 이용 가능하다. 하계수송기간이나 명절 연휴에 임시로 서울, 대전 방면 [[누리로]]를 운행하기도 하지만 정기편이 아니고, 운행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특히 [[동대구역|동대구]]~[[대전역|대전]] 구간은 [[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가 같이 엮인 탓에, [[빗자루질(교통)|빗자루질]]이 일어나는 구간이기도 하다. 그 구간에서 [[부산역|부산]], [[포항역|포항]], [[진주역|진주]]로 오가는 열차가 각각 [[경부고속선]] 및 [[경부선]]을 무조건 이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속버스 대전복합-동대구|대전 ↔ 대구]] [[고속버스]] 노선은 운행 횟수가 적고, 막차도 빨리 종료되었다. 그리고 코로나19의 여파로 대전방면 버스교통 수요가 급감하며[* 코로나19 이후 기준으로 철도의 요금이 오르지 않은 사이에 고속버스 요금이 두 차례 인상되면서 고속철도와 우등고속버스의 요금 차이가 계속 좁아진 것도 이를 부채질했다. 울산같은 경우는 대전 ↔ 울산 구간에서 아예 우등고속버스가 [[SRT]] 요금을 역전해 버렸다.] 대전 ↔ 경부연선 방면 남행 고속버스 노선은 전멸했다.[* 그나마 철도편이 적거나 없는 경전선(마창, 김해, 진주 등) 및 통영대전선 연선 등지만 대전방면 버스가 살아남았다. [[오송역]]이 있는 [[청주시]]는 그나마 [[오송역]]이 [[대전역]]만큼 열차가 많이 정차하지 않다 보니, 청주방면은 버스가 약간이나마 남아 있다. 그리고 서울, 천안 등으로 가는 북행 고속/시외버스는 멀쩡하게 운행되고 있다.] * [[서대구역]] : [[서울역|서울]], [[대전역|대전]], [[울산역|울산]], [[부산역|부산]] 방면 [[KTX]], [[SRT]]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마산역|마산]], [[진주역|진주]] 방면 KTX도 이용 가능하다.[* [[포항역|포항]] 방면 열차는 정차하지 않으므로, 동대구역에서 이용해야 한다. 전술했듯이 기술적인 요인이 큰데, 서로 다른 선로로 넘어가야 해서 그렇다.] * [[화본역]] : [[청량리역|청량리]], [[부전역(동해선)|부전]], [[동해역|동해]] 방면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다. [[2024년]] 중앙선 복선 전철화와 함께 폐역되고, 산성면 북쪽의 의흥면에 [[군위역]]이 신설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도시철도]] === [include(틀:대구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대구 도시철도]]는 [[1997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1차 개통된 것을 시작으로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을 거쳐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을 개통했다. 또한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고 버스와 도시철도의 무료환승이 이루어지면서 [[대중교통]] 이용이 매우 편리해졌다. 1호선은 [[달서구]] [[월배]] 지역과 대구 [[도심]], [[동대구역]],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안심(대구)|안심]] 지역을 역세권에 편입시키고 2호선은 [[수성구]] [[시지지구|시지]] 일대와 [[만촌동]], [[범어동(대구)|범어동]] 및 [[달서구]] [[성서(대구)|성서]] 지역 등 [[달구벌대로]] 일대를 역세권으로 만들었다. 3호선은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칠곡(대구)|칠곡]](주로 2지구와 3지구)과 [[수성구]] 동남부를 역세권에 편입시켰다. 그러나 3호선까지 개통되어도 여전히 전철 이용이 불편한 곳이 적지 않은데 가장 대표적인 지역은 바로 [[서구(대구광역시)|서구]]다. 아예 안 지나는 건 아니지만 유독 서구 지역은 구 중앙을 가르는 노선이 없고 그나마 서구를 지나는 2호선([[감삼역]]~[[반고개역]]), 3호선([[공단역]]~[[북구청역]]) 모두 구 경계선에만 지나는 실정이다. 서구와 마찬가지로 열악한 지역인 [[남구(대구광역시)|남구]]조차 구 중앙을 가르는 1호선이 지나면서 도시철도 수혜를 입은 것에 비하면 천지차이. 미래에 [[대구 도시철도 5호선]][* 최근 [[대구 도시철도 4호선]]이 우선적으로 추진 중이긴 하나 노선색은 순환선 쪽이 4호선의 색을 받았다.]이 생기면 이 문제가 상당수 해결되고 지하철 승객도 많이 늘겠지만 개통은 커녕 착공은 언제 할지는 아직 기약이 없다. [[대구교통공사]](DTRO)가 운영하는 1~3호선과 별개로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이 운영하는 [[구미역]]~[[경산역]] 간 [[대구권 광역철도]]가 2024년경 개통을 목표로 공사 중에 있다. 수도권 전철 국철 구간과 같은 시스템으로 [[구미역]]에서 왜관역, 대구역, 동대구역을 거쳐 경산역 사이를 운행하는 전철로서 많은 승객들의 수요가 예상된다. 그 외에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대구권 광역철도]] 2단계 구간 사업으로 [[김천역]]까지 확장이 된다면 더 많은 수요도 예상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김천시]]에서도 대구권 생활인지라 더 많은 수요와 공급이 일어날 것이다. 확장이 빨리 된다면, 김천~구미~대구~경산 간의 많은 수요와 공급이 될 것이다. 현재 [[대구 도시철도 4호선]]이 2020년 12월 29일에 예타에 통과하였는데 이 노선은 시내를 경유하는 역 자체가 없이 [[엑스코]]에서 행사를 할 경우 타 지역에서 자동차를 끌고 오지 않는 이상 KTX나 SRT를 타고 [[동대구역]]으로 와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 노선이 예타에 통과한 이유도 다소 이 요인이 없지 않아 반영된 듯 하다. 2024년 1월 13일부터 요금이 인상된다.[* 어린이 요금과 청소년 요금은 동결이다.] 교통카드 이용 시 시내버스·도시철도 요금은 1250원에서 1500원, 급행버스는 1650원에서 1950원으로 인상되며 현금 이용 시 시내버스·도시철도는 1400원에서 1700원, 급행버스는 1800원에서 2200원으로 인상된다. 이번 요금조정은 2016년 12월 이후 7년 만이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202312288567h|#1]] [[https://v.daum.net/v/20231228152842651|#2]] [[https://theqoo.net/square/3052460276|#3]] == [[도로]]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도로)]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금호JC|금호 분기점]], [[북대구IC|북대구 나들목]], [[도동JC|도동 분기점]], [[동대구JC|동대구 분기점]]), [[중앙고속도로]]([[군위JC|군위 분기점]], [[군위IC|군위 나들목]], [[금호JC|금호 분기점]], [[동대구JC|동대구 분기점]], [[동대구IC|동대구 나들목]], [[수성IC|수성 나들목]], [[칠곡IC|칠곡 나들목]]), [[새만금포항고속도로]]([[도동JC|도동 분기점]], [[팔공산IC|팔공산 분기점]]), [[광주대구고속도로]]([[옥포JC|옥포 분기점]]), [[중부내륙고속도로]]([[현풍JC|현풍 분기점]], [[현풍IC|현풍 나들목]]),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금호JC|금호 분기점]], [[서대구IC|서대구 나들목]], [[남대구IC|남대구 나들목]], [[유천IC|유천 나들목]], [[화원옥포IC|화원옥포 나들목]], [[옥포JC|옥포 분기점]], [[달성IC|달성 나들목]], [[북현풍IC|북현풍 나들목]], [[현풍JC|현풍 분기점]], [[현풍IC|현풍 나들목]]),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달서IC|달서 나들목]], [[다사IC|다사 나들목]], [[북달성TG|북달성 요금소]], [[북다사IC|북다사 나들목]], [[동명동호IC|동명동호 나들목]], [[서변IC|서변 나들목]], [[연경TG|연경 요금소]], [[파군재IC|파군재 나들목]], [[둔산IC|둔산 나들목]], [[상매JC|상매 분기점]], [[율암TG|율암 요금소]]), [[상주영천고속도로]]([[서군위IC|서군위 나들목]], [[군위JC|군위 분기점]], [[동군위IC|동군위 나들목]])가 관통한다. 동대구, 서대구, 남대구, 북대구 [[톨게이트|요금소]]는 모두 존재하는데 정작 [[대구TG|대구 요금소]]는 없다. 원래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고속도로]] 상행에만 있었으나, 톨게이트가 폐지되고 [[하이패스]] 전용으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 [[국도]] === [[4번 국도]], [[5번 국도]], [[25번 국도]], [[26번 국도]], [[28번 국도]], [[30번 국도]], [[67번 국도]]가 지난다. * [[4번 국도]]: [[칠곡군]]에서 넘어와 북구로 들어온다. 북구와 동구를 관통하여 [[경산시]] [[하양읍]]으로 빠지는 도로. [[칠곡중앙대로]], [[노원로(대구)|노원로]], [[동북로(대구)|동북로]], [[화랑로(대구)|화랑로]]로 지정되어 있다. * [[5번 국도]]: [[창녕군]]에서 넘어와 [[달성군]]을 남북으로 관통한 뒤 달서구, 서구, 북구를 거쳐 [[칠곡군]] [[동명면]]으로 빠지는 도로. [[비슬로]], [[월배로]], [[성당로]], [[두류공원로]], [[서대구로]], 칠곡중앙대로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부 구간은 [[4번 국도]]와 중첩된다. * [[25번 국도]]: [[경산시]]에서 넘어와 수성구를 거쳐 [[4번 국도]] 또는 [[5번 국도]]와 중첩된다. 단독 구간은 [[달구벌대로]], [[무열로]]로 지정되어 있다. * [[26번 국도]]: [[고령군]]에서 넘어오자마자 [[5번 국도]]와 중첩된 뒤 [[두류역]]에서 끝난다. * [[28번 국도]]: * [[30번 국도]]: [[성주군]]에서 넘어와 [[하빈면]], [[다사읍]], 달서구를 거쳐 두류네거리에서 끝난다. 전 구간 [[달구벌대로]]로 지정되어 있다. * [[67번 국도]]: === [[지방도]] === * [[30번 지방도]] * [[67번 지방도]] * [[79번 지방도]] * [[919번 지방도]] * [[908번 지방도]] === 시내도로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대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도]] 대구 시민들도 [[부산광역시|부산]]처럼 운전 습관이 나쁘다는 평가가 있는 곳이지만, 부산이랑 가장 크게 대비되는 특징이 바로 대구는 기본적으로 시내 도로가 잘 닦여 있는 편이라는 것. 큰 도로도 많은 편이고, 전체적으로 대구의 동과 서를 크게 가로지르는 [[달구벌대로]]와 남과 북을 가로지르는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신천동로]], 그리고 십자로 이루어진 두 도로를 중심으로 시내를 순환하는 [[1차 순환선]], [[2차 순환선]], [[3차 순환선]] 및 [[4차 순환선]]과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가 이루어져 있고, 순환 시내버스도 꽤 있다. 이러한 대로(大路) 사이로는 적절한 격자형 도로가 구성이 되어있다. 부산의 시내 도로를 본 후 대구의 시내 도로를 보면, 대구가 상대적으로 심플한 편이다. 대구광역시의 도로가 이렇게 잘 설계된 이유는 서울 등 다른 대도시는 인구가 폭증한 뒤 도로를 이미 존재하는 건물들에 맞춰 닦은 반면, 대구는 인구 급증을 겪기 전에 미리 일제강점기의 측량 결과를 토대로 도로를 계획해 그에 맞춰 시설들이 들어섰다. 당대에는 세금 낭비라고 평가되었으나, 결과적으로는 당시 공무원들의 혜안이었던 셈. 좀 더 자세한 예를 들자면 1960년 대구시의 구도시계획은 1937년 일제강점기 인구 15만 명의 당시 [[대구부]]를 측량하여 30년 후(1965년)의 인구가 35만 명임을 추정한 자료를 활용하여 만든 것이다. 당시 구역면적 67㎡에 달하는 구역만이 설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 1965년 대구시의 인구는 80만 명에 육박했으나, 계획구역도 3배 넘는 영역에 달해 있었다. 당시의 대구시는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방사순환형태의 가로망 구조의 도로를 구축했다. 이것이 대도시 도로망의 근간이 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발전한 구성곽내 도심부가 동남부로 이전되면서 전보다는 더욱 크게 자리잡게 됐다. [[국채보상로|동, 서신로]]의 확장과 포장을 마치고 남북지하도가 개통되면서 동서를 잇는 도로뿐 아니라 남북을 잇는 도로망까지 차근차근 갖추어지게 되면서 현재의 대구 도로망이 시작된 것.[* 출처: 1996년 대한지리학회지 제31권 ‘대구시 도심부의 가로망 변화’] 대구 또한 부산과 마찬가지로 차들의 속도도 빠르고 운전자들이 거친 편이긴 하지만, 부산의 도로 상황과는 정반대인 대구의 넓찍한 도로사정과 쭉쭉 뻗은 길 덕분에 운전하기 쉬운 편. 1980년대 들어 개발이 시작된 [[수성구]]의 경우는 처음부터 완전한 격자형 형태 도로구성 및 철저한 도시개발 덕분에 도시 개발이 덜 이루어진 [[달성군]]이나 난개발이 이루어진 [[월배]] 일부 정도를 빼면 [[심시티]]처럼 정렬이 잘 되어 있다. 거기다 분지인 지형이라 산지 지형이 시내에 거의 없는 데다가 시내를 가로지르는 커다란 강같은 지형적 장애물도 거의 없어서 시 외곽을 제외하면 차량 통행이 많은 시내 지역에 터널과 긴 다리같은 지형 극복 시설이 아예 없다. 달구벌대로는 길이 굉장히 넓지만 넓은 만큼 이용량도 엄청나게 많아서, 출퇴근 시간에는 어쩔 수 없이 정체가 심하다. [[대구역]]지하차도에서 침산동 및 [[칠성동2가]]로 이어지는 도로의 일부는 아스팔트가 아닌, [[로마]]에서 볼 듯한 돌로 포장되어 있었다. 대구 사람이라면 이 길을 지나면서 한 번쯤 의문을 가져봤을 부분인데, 이는 고저차로 인해 한여름에 차가 많이 지나다니면 아스팔트 도로가 물러지기 때문에 1960년대에 돌로 포장한 것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005313|출처 기사]] 현재는 돌 포장을 전부 뜯어내고 아스팔트 포장으로 전부 재포장되었다. [[https://map.naver.com/v5/?c=14315293.5025527,4283623.1620781,17,0,0,2,dha&p=ePxa3JotWY1BYJlgzNUgqg,3.71,-15.09,80,Float|아스팔트 재포장 전 로드뷰]] 오거리나 육거리는 교통사고를 유발하고 운전자를 헷갈리게 하는데, 특히 부산의 경우나 서울 영등포로터리를 보면 그렇다. 대구는 도로 정렬이 잘 되어 있어서 오거리와 육거리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복현오거리, 오봉오거리, 큰고개오거리, 두산오거리, 수성못오거리, 계산오거리, 원대오거리로 총 7군데. 특히 계산오거리는 제대로 된 오거리라 보기 어려운 게 [[달구벌대로]]와 서성로, 명륜로가 만나는 사거리에 남산초등학교로 가는 일방통행길이 붙은 수준. 큰고개오거리와 오봉오거리도 마찬가지로 신호 체계로 보면 실질적으로는 사거리다. 여기에 열거되지 않은 실질적인 오거리도 있는데, 성당네거리와 조암남로 상에 위치한 이름 없는 오거리가 있다. 성당네거리는 서부정류장에서 진출입하는 시외버스를 위한 신호가 따로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오거리이며, 조암남로에 있는 오거리는 다섯방향 모두 동시신호인 오거리이다. 대구에서 육거리는 딱 한 군데 있다. 바로 봉산육거리. 이마저도 제대로 된 육거리는 아니고, 이천로와 달구벌대로가 만나는 사거리에 골목 두 개가 붙은 수준이라 사실상 사거리이며, 신호 체계도 사거리이다. 대구에서 운전하는 운전자들이 이러한 직선형 및 방사형 도로와 우회도로가 구축된 시스템이 적응이 되어서 그런지 대구와는 지형부터 도로사정까지 모두 정 반대인 [[부산광역시]]에서의 운전을 다른 지역 운전자들보다 더 어려워하거나 아예 꺼리는 경우가 많다. 우회전 신호처럼 흔하지 않은 신호 체계나 시내도로 곳곳에서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유료터널과 다리 등에 익숙치 않으며, [[내비게이션]]에서도 시야 확보가 어려운 골목 산복도로를 안내한다거나 대구 시내와 기타 지역을 운전하면서 보기 어려웠던 새로운 도로안내가 나와서 당황할 수밖에 없다. 회전교차로에서 쓰이는 “진입로 기준 두 번째 출구”라던지 오거리 이상의 교차로에서 잘 쓰이는 “몇 시 방향” 등의 표현. 특히 길을 잘못 들었을 경우 “유턴하는 곳에서 유턴하면 되겠지” “대충 이 옆 골목으로 들어가서 되돌아가면 되겠지” 같은 생각이 운전자를 큰코 다치게 만든다. 옛 대구읍성을 허문 자리에는 크고 작은 길이 조성되어 있다. 방위를 기준으로 대구 최대의 번화가인 [[동성로(대구)|동성로]], 타올가게가 많은 [[서성로(대구)|서성로]], 공업부품가게가 많은 [[북성로(대구)|북성로]], [[약령시(대구)|약령시]]를 위시한 약전골목이 있는 [[남성로(대구)|남성로]]가 바로 그 것이다. 그 밖에 특이사항을 꼽자면 주요 도시 중에서 [[대전광역시]]와 더불어 교차로나 사거리를 '''네거리'''로 부르는 지역이다. 엄밀히 말하면 대구와 경북 남부 지역([[구미]], [[경산]], [[경주시|경주]] 등)이 원조고 대전이 1990년대 들어와서 따라한 것이다. 실제 지역 주민들의 일상 용어에서 보면 대구 사람들은 대부분 네거리라고 하는데 비해 대전 사람들은 사거리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많다. 다만 최근에 개발된 [[대구테크노폴리스]] 일대는 '''사거리'''로 부른다. 대구는 분지라서 무척 덥고 습한 지역인데다, 열섬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대도시 지역이다. 거기다 아스팔트 포장 도로가 뜨거운 기운을 더 증폭시키고 도로변을 따라 늘어선 고층빌딩들이 열을 더욱 가둔다. 이에 대비해서 대구광역시에서는 도로에 물을 분사하여 도로 표면 온도를 낮추고 미세먼지 감소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클린 로드” 시스템을 운영 중에 있으며 대표적으로 달구벌대로 도심 구간에서 볼 수 있다. 여담으로 대구에는 “나루체”로 이루어진 구형 표지판을 꽤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도시다. [[http://kko.to/aVhsa6kHPv|침산로 DGB대구은행파크 앞]] [[http://kko.to/Ta51tlydwO|침산로 침산네거리 북편]] 거기다 도로 안내표지판이 아니라 교차로 명칭 안내판이나 “비보호” 등이 적힌 보조 표시는 거의 남아있는 도시라고 보면 된다. 심지어 2013년까지 [[맥쿤-라이샤워 표기법]]이 살아있던 표지판도 꽤 있었고, 현재도 남아있는 곳들이 있다. [[http://kko.to/Qw8UlQiQyh|앞산순환로]] [[http://kko.to/52daLq89Gy|신천동로]] [[파일: 캡처8.jpg|width=120]] 이 표지판들은 교체되지 않고 영어만 땜질된 채로 잘 살아있다. 2010년대 이전에는 정말 많이 남아있었던 것에 반해 많이 사라진 것이지만 그래도 많다. 도시 구조가 30년 전과 딱히 변형되지 않아서 교체되지 않아도 별 상관 없는 곳이 많은 듯. 그러나 달구벌대로 같은 주요 도로에서는 사라졌고, 2020년대 들어서는 신형 표지판으로 교체가 훨씬 빨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태가 심각한 표지판이 남아있는 경우도 더러 있다. [[http://kko.to/dWToKmmk9x|침산남로]] [[http://kko.to/Lau05vOO1m|와룡로]] 주로 도시개발이 이루어진지 꽤 시간이 지난 [[남구(대구)|남구]], [[서구(대구)|서구]] 그리고 [[북구(대구)|북구]] 일부 지역에 많이 남아있다. [[파일:2A6FA575-B1FB-432F-AC5A-F1FA704FA587.jpg|width=50%]] 또한 도로표지판 위쪽 대신에 신호등 옆에 작은 크기의 파란색 바탕으로 된 교차로 명칭 표지판이 달려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 범어네거리와 같이 큰 교차로에서는 두 방식이 병행되기도 한다.] 이 역시 대구광역시에서만 유일하게 사용되는 방식이다.[* 서울시 관내에서 가끔 볼 수 있는 구형 교차로 안내판과도 유사한 면이 있다.] 위 서술처럼 대다수가 '''나루체'''로 되어있다. 이 형식의 표지판은 꼭 교차로에만 있는 것이 아닌데, 시내 주요 장소 앞 신호등에도 설치되어 있는게 특징이다. [[신호등/대한민국|신호등]]은 1990년대 당시 다른 지역은 가로형으로 대부분 교체되었으나 대구 및 주변 지역은 상당수가 세로형으로 남아있었다. 2000년대 들어 다른 지역처럼 가로형으로 대부분 교체되었으나 중반까지 세로형이 소수 남아 있었다. [[https://blog.naver.com/kimes3333/221642294296|2005년 4월 평리 롯데캐슬 앞]][* [[세진교통]]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대구]] 1호 저상버스이자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대구]] 유일의 [[자일대우버스 BS#s-3.4|BS120CN]]도 볼 수 있다. 다만 [[평리 롯데캐슬]]은 2010년 1월 입주했다.] [[https://blog.naver.com/kimes3333/221869121380|2006년 4월 평리3동과 2005년 10월 경산네거리]] 세로형 신호등에는 2007년 삭제된 경음기 사용금지 표지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Korean_Traffic_sign_%28No_horn%29.svg.png]]]이 시내전역 보조표지판과 같이 달려 있는 경우가 많았다. [* 그런데 2023년 2월경 반월당네거리 동성로 대중교통전용차로 우회전 진입로에 역사속으로 사라진 '''옆기둥식 세로형태의 신호등이 신규 설치되었다.''' 2023년 1월 22일부터 시행된 우회전심색등 설치기준 때문인듯 보인다. 해당 신호등에는 “적신호시 우회전 금지” 보조표지가 달려있다. 이 신호등은 무조건 세로형식이어야 해서 조건을 충족하는 교차로 중 중앙주식 신호등 도입이 어려운 곳에 더 설치될 것으로 보인다.] [[파일:직우금지.png]][[파일:직좌금지.png]][[파일:좌우금지.png]] 법령에는 없는 도안인 직진 및 우회전 금지, 직진 및 좌회전 금지, 좌우회전 금지 표지판이 다른 지역보다 많다. ==== 이륜자동차 및 원동기장치자전거 통행금지 도로 ==== 대체로 오토바이 [[폭주족]]들이 정리된 다른 대도시와는 달리 대구광역시는 여전히 [[오토바이]]를 타고 굉음을 내며 질주하는 운전자들이 상당히 많이 남아있다. 그래서인지 [[이시아강변로]]나 [[앞산순환로]]처럼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닌 도로에도 오토바이 및 이륜차의 통행을 금지하는 곳이 많다.[* 당연히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는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테크노폴리스로]]도 오토바이 통행 금지다.] 시내 일반 [[고가차도]]나 [[지하차도]]도 마찬가지로 오토바이의 통행을 금지한다. 일부 철도를 횡단하는 도로는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고가 하단 또는 지하차도 상단으로 우회를 유도하고 있다. 즉 대구광역시에서는 오토바이를 타고 대부분의 고가차도나 지하차도를 이용할 수 없다. 시내 일부 터널이나 교량도 오토바이 통행이 막혀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통경찰]]의 단속은 특별 단속 기간을 제외하고는 미미한 편이고 통행금지 [[교통 표지판]]마저도 지하차도 코앞이나 혹은 지하차도 진입부를 지나서야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고의든 실수든 범법행위를 하는 오토바이 운전자들이 비일비재하다. 그런데 2022년 9월 8일 경찰서장이 [[오토바이/고속도로 통행/대한민국#s-6|일반도로 이륜차통행제한]]을 할 때 별도 기간을 명시하지 않고 설정된 것이 도로교통법 위반이라는 의정부지방법원의 선고(2021구합925)가 나온바에 따라 향후 대구광역시 구내의 이륜차 통행제한 도로도 점차 해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도로교통법 제6조(통행의 금지 및 제한)'''[br] ② 경찰서장은 도로에서의 위험을 방지하고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우선 보행자나 차마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한 후 그 도로관리자와 협의하여 금지 또는 제한의 대상과 구간 및 기간을 정하여 도로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일단 대구시의 통행제한의 경우 경찰서장이 아니라 재량권이 그보다 더 큰 대구시경찰청장의 권한으로 제한된 것이라 무기한 통행제한 조치 자체는 합법적이다. 그러나 현재 통행제한 조치의 비현실성과 실효성 논란이 있어 대구시경찰청에서 자체적으로 일부 구간 해제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https://angryrider.com/bbs/board.php?bo_table=info&wr_id=105|#]] || 순번 || 구간명 || 상세구간 || 도로명 || 자동차전용도로 여부 || 비고 || || 1 || 신천대로 || 전구간 || 신천대로 || 전용도로 || [* 공평로~경대교 램프도로는 일반도로로서 통행허용][* 경대교~도청교 램프도로는 일반도로지만 통행금지] || || 2 || 테크노폴리스로 || 전구간 || 테크노폴리스로 || 전용도로 || || || 3 || 범안로 || 관계삼거리~율하네거리 / 안심고가교~율암IC || 범안로 || 전용도로 || || || 4 || 서변남로 || 전구간 || 서변남로 || 전용도로 || || || 5 || 앞산터널로 || 전구간 || 앞산터널로 || 전용도로 || || || 6 || 이시아강변로 || 동화천교차로~공항교 / 불로IC~팔공산IC입구 || 이시아강변로 || 일반도로 || || || 7 || 매천대교 || 교량 내 || 매천로 || 일반도로 || 자동차전용도로 연결도로 || || 8 || 달성IC진입도로 || 전구간 || - || 일반도로 || 고속도로 연결도로[* 논공로~논공중앙로 구간은 고속도로와 상관없으나 일괄 통행제한 ] || || 9 || 무학터널 || 터널 내 || 무학로 || 일반도로 || || || 10 || 팔조령터널 || 터널 내 || 가창로(30번 국가지원지방도) || 일반도로 || || || 11 || 혁신대로 || 화물차고지~율암IC || 혁신대로 || 일반도로 || 고속도로·자동차전용도로 연결도로[* 율하교동교차로 ~ 율암IC는 전용도로와 상관없으나 일괄 통행제한] || || 12 || 봉무지하차도 || 지하차도 내 || 팔공로 || 일반도로 || || || 13 || 불로지하차도 || 지하차도 내 || 팔공로 || 일반도로 || || || 14 || 서변지하차도 || 지하차도 내 || 호국로 || 일반도로 || || || 15 || 서변고가차도 || 고가차도 내 || 서변남로~호국로 || 일반도로 || 고속도로·자동차전용도로 연결도로 || || 16 || 고촌지하차도 || 지하차도 내 || 고촌길 || 일반도로 || || || 17 || 복현고가차도 || 고가차도 내 || 동북로 || 일반도로 || || || 18 || 효목고가차도 || 고가차도 내 || 동북로 || 일반도로 || || || 19 || 율하지하차도 || 지하차도 내 || 율하서로 || 일반도로 || 자동차전용도로 연결도로 || || 20 || 망우당고가차도 || 고가차도 내 || 화랑로 || 일반도로 || || || 21 || 앞산고가교 || 고가차도 내 || 앞산순환로 || 일반도로 || || || 22 || 현충고가교 || 고가차도 내 || 앞산순환로 || 일반도로 || || || 23 || 안지랑고가교 || 고가차도 내 || 앞산순환로 || 일반도로 || || || 24 || 대명고가교 || 고가차도 내 || 앞산순환로 || 일반도로 || || || 25 || 송현고가교 || 고가차도 내 || 앞산순환로 || 일반도로 || || || 26 || 대서지하차도 || 지하차도 내 || 앞산순환로 || 일반도로 || || || 27 || 월촌고가교 || 고가차도 내 || 앞산순환로 || 일반도로 || || || 28 || 쌍계지하차도 || 지하차도 내 || 테크노순환로 || 일반도로 || 자동차전용도로 연결도로 || || 29 || 매천시장지하차도 || 지하차도 내 || 매천로 || 일반도로 || || || 30 || 태전고가교 || 고가차도 내 || 매천로 || 일반도로 || || || 31 || 담티고가교 || 고가차도 내 || 청수로 || 일반도로 || || || 32 || 월드컵지하차도 || 지하차도 내 || 유니버시아드로 || 일반도로 || || || 33 || 동대구역동고가교 || 고가차도 내 || 신암남로 ~ 효신로 || 일반도로 || || || 34 || 동대구역북고가교 || 고가차도 내 || 동대구로 ~ 신암남로 || 일반도로 || || || 35 || 상인고가차도 || 고가차도 내 || 상인로 || 일반도로 || || || 36 || 강정보 || 교량 위 || - || 일반도로 || 전동PM 허용 || == [[버스]] == ===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터미널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가장 큰 터미널은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를 통해 [[동대구역]]과 연계돼 있는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이다. 그 외 터미널로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서부정류장]], [[북부정류장]],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 [[현풍공영버스정류장]]이 있다.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은 동대구발 고속버스 노선의 중간 승하차장 역할을 하고 있다. 서부정류장은 관내에서 2번째로 큰데, 대구가 대구경북권의 중심 도시임에도 서부정류장에서 경북으로 나가는 노선은 구미, 경주, 포항 노선밖에 없고, 대부분의 노선은 부울경이나 전라도로 가는 노선이다. 오히려 경북 지역 노선은 북부정류장이 더 많은데, 주로 중앙-중부내륙선 연선의 북부권으로 간다. 버스 터미널 이름과 행정구역 사이에 약간의 괴리가 있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다. 이름과는 달리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은 [[북구(대구광역시)|북구]]에, [[북부정류장]]은 [[서구(대구광역시)|서구]]에, [[서부정류장]]은 [[남구(대구광역시)|남구]]에 있으며, 현재는 폐쇄된 [[남부정류장]]은 [[수성구]] [[만촌동]]에 있었다. 그야말로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의 연속. 다만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과 대구북부정류장은 대구 북서부에 있으며, 현재의 확장된 시역이 아닌 원도심([[중구(대구광역시)|중구]]) 기준으로 봤을 때 서부정류장은 대구 남서부, 남부정류장은 대구 남동부에 있다고 봐줄 수는 있다. 다행히(?)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과 계획 중인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는 실제로 각각 [[동구(대구광역시)|동구]]와 [[서구(대구광역시)|서구]]에 있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1981년에 고정 배차제가 생겼다가, 1990년에 공동 배차제가 생겼다. [[대구 도시철도]]가 들어서기 전이나 버스 노선의 체계가 잡히기 전에는 대중교통이 상당히 불편한 편이었지만 [[1998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1998년 5월 5일 개편]]으로 시내버스 번호를 권역별 세 자리로 통일하면서 앞 숫자는 출발지역, 두번째 숫자는 경유지역, 세번째 숫자는 도착지역 이런 식으로 통일하였다. 초기에는 멀쩡한 번호 왜 바꾸냐고 욕을 먹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바뀐 덕분에 정확한 버스 번호를 모르더라도 번호가 상징하는 지역만 알면 버스 이용을 잘 할 수 있기에 이후에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예를 들어서 숫자 '''4'''가 들어가는 버스는 대구 수성방면에 기종점이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 번호규칙에 예외([[대구 버스 156]][* 6에 해당하는 달서구는 기종점이 아니다. 원래 종점이 월성2동이었다가, 성서산단 직통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대구 버스 240]][* 중구를 지나간다는 의미의 0이 아니라 폐선된 노선과의 구분으로 인해 0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 중구를 경유한다.~~] 등)가 있기도 하다. 서비스의 질이 향상된 것은 일단 2006년 2월 18일 [[준공영제]]의 시행과 함께 공동 배차제가 막을 내린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과거 대구의 공동배차제는 모든 업체들이 모든 노선을 일정기간 동안 번갈아가며 운행을 하는 방식으로 매우 특이한 체계였다.[* 2023년 2월 18일에 폐지된 중간종료 운행 방식은 고스란히 공동배차제의 흔적이다.] 준공영제 시행과 더불어 2009년 1월 17일에 대구-경산 간 무료 [[환승]]제가 도입되면서 사정이 엄청나게 좋아졌다. 자세한 것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시계외요금]] 문서 참조. 타 대도시에 비해 [[시내버스]]의 배차간격이 매우 긴 편이다. 이건 대구광역시만 해당되는것이 아니라 부산을 뺀 모든 지방광역시들이 그렇긴 하지만, 대구는 다른 지방 광역시들과 비교해도 그 정도가 심하다. 대구는 극소수 노선들만 9~10분이고 간선 노선들은 기본 13~17분, 심하면 25분 이상, 지선 노선들도 극소수의 단거리 노선을 제외하면 기본 배차가 15분부터 시작해서 차량 한 대를 놓치게 되면 왜 달려서 버스를 잡지 않았을까, 당장 자가용 사고 말 것이라는 분노가 치솟게 된다. 여기에 주말이 되면 안 그래도 긴 배차 간격에서 또 감차한다. 물론 주말에 되려 증차가 되는 노선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대구 버스 급행1|급행1]] 동화사 증회 운행.이것은 노선 개편을 할 때마다 전체 차량 대수를 감차했기 때문인데 2006년 때 150~160대 이상, 2015년 때 추가로 60대가 또 감차되어 도시 인구에 비례한 시내버스 대수에서도 그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이와 동시에 도시철도에는 해줄 수 있는 온갖 수혜는 다 갖다바치고 있는데, 고작 3호선 개통했으면서 시내버스를 계속 줄여나가자 시민들은 대구시의 시내버스 행정에 대해 대다수는 강한 불만을 갖고 있다. 2015년에는 많은 반대에도 강행한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인해 마침내 그 분노가 폭발하여 정점을 찍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불도저식 행정을 강행 하는 [[대구광역시 버스운영과]]는 노선 개편 이후로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에겐 그야말로 공공의 적이 됐다. 2015년 수성못 불꽃축제 이후로는 전철 이용객들에게도 해당. 3호선의 수송량이 감당이 안되는데 시내버스를 증차하지 않은 것도 모자라 오히려 주말이라는 이유로 주말 시간표대로 운행했다. 특이한 점은 고속버스, 시외버스 터미널에 인근 지역의 버스 노선들이 들어온다. 단, [[구미시 시내버스]]는 대구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으므로 제외한다. 대신 [[구미 버스 885|구미시 885번 시내버스]]가 대구 인근 칠곡군 동명면 [[동명교통]] 차고지[* 동명교통은 대구 시내버스 회사로, 동명면은 대구광역시 생활권이다.]로 들어오며 [[대구 버스 칠곡3|대구 칠곡3번]]이 구미시 장천면과 산동읍까지 운행하는 가지 노선을 통해 인근수요를 충족하고 있다. [[인동(구미)|인동]]이나 [[강동(구미)|구미 강동]]에선 교통카드를 이용해 [[칠곡경대병원역]]과 [[칠곡운암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으로 환승하거나, [[대구 버스 급행3|급행3번]]으로 갈아타면 도심까지 저렴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 단, 시간대가 맞아떨어진다는 조건 하에. 환승은 불편하지만, 그 대신 시계외요금이 없다. * [[고령군 농어촌버스]], [[성주군 농어촌버스]][* 고령 606번, (서부정류장 경유 및 진입)] * [[경일교통|칠곡군, 성주군 농어촌버스]](북부정류장 내부 진입)[* 칠곡, 성주 250번, 성주~서대구 버스] * [[영천시 시내버스]](동대구터미널 경유)[* 영천 55번, 555번] * [[청도군 농어촌버스]](동대구터미널 내부 진입)[* 청도 0번] * [[경전여객|의령군 농어촌버스]](서부정류장 진입) 또 다른 특이점은 버스정류장 안내판에 '앞'과 '건너'나 숫자를 표기해 두어 방향을 헷갈릴 일이 없다. 이는 [[경산시]], [[영천시]] 등 일부 [[경북]] 지역은 마찬가지이다. [[https://youtu.be/-resdgUVeEs|영상]] 2024년 1월 13일부터 요금이 인상된다. 교통카드 이용 시 시내버스·도시철도 요금은 1250원에서 1500원, 급행버스는 1650원에서 1950원으로 인상되며 현금 이용 시 시내버스·도시철도는 1400원에서 1700원, 급행버스는 1800원에서 2200원으로 인상된다. 이번 요금조정은 2016년 12월 이후 7년 만이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202312288567h|#1]] [[https://v.daum.net/v/20231228152842651|#2]] [[https://theqoo.net/square/3052460276|#3]] == [[택시]] == ||<-2>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ffffff '''대구광역시 택시''' }}} || ||<|5> '''일반택시''' || || 기본요금 4,000원(2km) || || 추가(병산제) 100원(31초/130m) || || 야간할증 20% || || 시외할증 30% || ||<|5> '''모범택시''' || || 기본요금 5,500원(3km) || || 추가(병산제) 200원(26초/113m) || || 야간할증 20% || || 시외할증 30% || ||<-2> 대구-군위 간 여정에서 팔공산터널, 79번 지방도 이용 시에만 시계외할증 미적용[* 중앙고속도로, 5번국도 이용 시 시계외할증 적용] || ||<-2> 유로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대구광역시의 택시 인가대수는 개인 법인 합쳐 2023년 기준 15,706대이며, 도시 규모로 볼 때 과한 감이 있다. 적정 인가 대수보다 약 5천대 가량 더 많은 택시가 돌아다니고 있다. [* 2019년 용역조사 결과에 따르면, 택시 과잉 공급 비율이 33.7%에 달하여 전국 1위의 비율을 차지했다.] [[동대구역]] 앞에 가면 [[서울역]]에서도 볼 수가 없는 적어도 수십대가 택시 정류장 앞에서 엉켜있는 진풍경이 벌어진다. 이 길게 늘어선 택시 행렬 때문에 동대구역 고가를 통과하는 차량이나 시내버스는 방해를 많이 받고 있다. 다만 지금은 [[동대구역]] 한정으로 중앙차로가 설치되어 그나마 나아졌다. 대구광역시에서 택시 인가를 과하게 받은 것이기 때문에 정작 [[대구 도시철도]]와 시내버스의 막차 시간을 늦은 시간으로 연장하지 못해서 생긴일이다. 지금은 중간종료제도가 폐지되면서 조금은 누그러진것 같다. 대구광역시에서도 심야 시내버스 및 지하철/전철의 운영시간 연장을 생각 안 해본 건 아니겠지만, 택시회사 눈치보느라 실행을 못한다.[* 그렇다고 해서 대구의 택시들이 돈을 많이 버느냐 묻는다면, 그것 역시 아니다. 오히려 업체가 너무 많다 보니 매출은 전국 최하 수준이다. 그야말로 과거에 대책 없이 저지른 정책으로 인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그래서 시 당국은 코로나19 기간동안 감차 지원사업을 해 왔는데, 이마저도 상상 이상의 혈세가 투입되는데다 효과가 크지도 않아 중단된 상태다.] 그래서 생각한 제도가 택시할인 환승제인데 도입이 무산되었다. 이 때문에, 택시를 타는 방법 외에는 대구에서는 늦은 밤에 차 없이는 빠른 귀가가 절대 불가능하다. 결국 시내버스 중간종착제가 폐지됐지만 심야이동수요를 층족하기엔 부족하다. 그리고 이런 특성 때문에 [[총알택시]]([[레인보우 택시]])라는 것이 대구에 생기게 되었다. 또 대구와 경산 연담화로 지하철/전철 및 시내버스는 시계외 요금이 폐지된 지 오래이나 택시만큼은 아직 시계외 요금이 살아있어 경산 시민들의 곤란함을 초래한다. 또 아예 일부 기사는 시계외요금을 목표로 잡고 시내 승객은 승차거부하고 (야간에 서울의 큰 번화가[* 대표적으로 강남역, 신촌, 가락시장역 등지]에서 시계외+야간할증 장사하러 서울로 오는 인천 및 경기도 택시같이) 경산 가는 택시 승객만 잡는 등 문제가 많다. 심지어 [[서울특별시|서울]]과 더불어 [[모범택시]]에도 심야, 시계외 할증이 적용이 되는 도시이다. 모범택시는 달성군, 군위군을 제외한 대구 시계내 승차를 거부하며, 부산과 더불어 차급이 대체로 좋은 편이다. == [[교통카드]] == [[교통카드/선불|선불]]은 아래와 같다.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 [[캐시비]] - 가판대와 편의점에서 충전을 할 수 있다. * [[이즐|이즐카드]] - 구 로카모빌리티카드. 캐시비 후속 카드이며, 충전 방식도 동일. * [[티머니]] - 사용은 가능하나 전철역이나 가판대에서 충전은 되지 않지만, 편의점에서는 충전이 가능하다. (일부 은행 ATM[* 신한은행, 하나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우체국 등]에서 충전 가능) * [[한페이]] - 2014년 12월 [[광주광역시]] 교통카드 상호 호환을 시작으로 광주의 [[한페이]]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사용은 가능하나 충전이 어렵다. 편의점 중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대구 인근 지역 시내버스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경산이나 칠곡 등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하므로 참고. * [[레일플러스]] - 2014년 12월 [[한국철도공사]]의 교통카드 [[레일플러스]]가 호환되었다. 다만, 이것 역시 이용만 가능하며, [[대구역]]이나 [[동대구역]]에 있는 스토리웨이 또는 일부 은행 ATM에서만 충전할 수 있다. 교통카드 도입 직후엔 대경교통카드, [[KB국민카드|국민카드]]만 사용 가능해서 그 카드가 없으면 얄짤 없이 현금이 있어야 했다. 그러다 2011년 대구에서 탑패스라는 새 카드가 나오기 시작했고, [[티머니]], [[캐시비]]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굳이 대경교통카드가 사야할 이유가 없어졌다. 그러나 당시 유페이먼트의 재정난과 카드넷의 텃세로 인해 탑패스가 제대로 폭망, 양 사의 합병을 거치면서 원패스가 나오기에 이르렀고 점차 대경교통카드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한국 대부분 어디가 우세냐만 달라질 뿐 이미 [[티머니]] vs [[이즐]]로[* 다른 지역 교통카드의 경우 대전 한꿈이는 티머니, 광주 한페이는 이즐에 속해 있다.] 굳었지만 유독 대구에서만 [[원패스]] vs [[이즐]] 구도이다. [[교통카드/후불|후불]]은 [[KB국민카드|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은행|NH농협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 외환카드는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 합병하게 되면서 하나카드라고 불린다. 하나SK카드도 하나카드로 변경되었다.], [[한국씨티은행/카드|씨티카드]], [[전북은행/카드|JB카드]]를 쓸 수 있다. 역시 교통카드 도입 직후엔 국민카드만 사용 가능했으며, 2011년에 비씨카드가 추가되었지만 역시 유페이먼트의 재정난과 카드넷의 텃세, 합병 문제로 인해 카드사가 추가되지 않아 중소도시보다도 못하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다가 2013년에 합병이 완료되면서 카드사가 순차적으로 현재와 같이 늘어났다. 버스 이용 시 "최초 하차" 후 30분 이내 무제한 환승이라 불만이 굉장히 많으며 그나마 원래는 3회 이내였는데 민원 때문에 바뀐 듯하다. 번호가 다른 버스와 버스, 버스와 전철간의 무료환승제가 있으며 일반버스(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에서 좌석버스(급행버스)로 탈 때에는 추가운임을 내야 한다. 단, 000번과 000-1 버스는 서로 역순 운행이지만 다른 번호로 인식되기 때문에 환승가능하다. 예를 들어 달서4번과 달서4-1번은 환승할 수 있다. == 항공 == 동구 [[지저동]]에 [[대구국제공항]]이 있다. 과거에는 국제공항답지 않게 노선과 수요가 적어 반쪽짜리 국제공항 소리를 들었던 시절도 있었다. 하지만 해외여행에 대한 허들이 점차 낮아지고 [[저비용 항공사]] 유치에 힘쓰면서 국제선이 최근에는 많이 늘어났으며 2016년부터 흑자가 날 정도로 흥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적자로 전환되었다가 [[엔데믹]]에 들어서며 2023년 부터 흑자로 전환중이다. 국내선은 제주행이 있으며, 인천행 노선도 존재한다. 단, 인천행 노선은 국제선 환승 승객을 위한 한정 노선. 국제선은 현재 중국·일본·대만·동남아 노선이 운항 중이다. 대구국제공항은 [[대한민국 공군]] [[제11전투비행단]]과 부지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구국제공항은 활주로 촬영이 금지되어 있다. [[동남권 신공항]]이 [[김해국제공항]] 확장으로 결론난 이후 대구국제공항과 [[제11전투비행단]]의 통합 이전이 [[대구경북신공항]]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되고 있다. == 대구와 주요 도시 간 소요시간(대중교통) == 단, 해당 도시 목록들 중 경부선을 경유하지 않는 경상북도의 도시들은 사실상 철도 교통의 소요시간은 큰 의미가 없다. 이는 경부선이 아닌 곳은 버스가 대세인 지역이 많기 때문이다. === 수도권 === * [[서울특별시]] : 1시간 40~2시간([[KTX]], [[SRT]]), 3시간 20분~4시간(ITX-새마을, 무궁화호), 3시간 30분([[고속버스 서울경부-동대구|버스]]) * [[의정부시]] : 2시간 40분~3시간(KTX+[[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서울역]] 하차 기준], 4시간 30분([[시외버스 의정부-동대구|버스]]) * [[수원시]] : 2시간([[KTX]])[* 수원-대전 구간은 기존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3시간~3시간 30분(ITX-새마을, 무궁화호), ~~3시간 20분(버스)~~ * [[인천광역시]]: 3시간 40분([[고속버스 인천-동대구|버스]]) === 강원특별자치도 === * [[원주시]] : 2시간 30분([[고속버스 원주-동대구|버스]]) * [[춘천시]] : 3시간 30분([[고속버스 춘천-동대구|버스]]) * [[강릉시]] : 4시간(버스), 7시간 40분(무궁화호, 누리로 환승), 3시간 50분(KTX 환승) * [[동해시]] : 4시간 50분, 5시간([[무궁화호]]) === 충청도 === * [[대전역|대전]][[대전복합터미널|광역시]] : 45~50분([[KTX]], [[SRT]]), 1시간 40~50분([[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2시간([[고속버스 대전복합-동대구|버스]])~~ * [[청주시]]: 1시간~1시간 15분(KTX, SRT), 2시간 50분(무궁화호) - 오송역 기준. 2시간 30분([[고속버스 청주고속-동대구|버스]]) * [[천안시]]: 1시간([[KTX]], [[SRT]]) , 2시간 35분~45분([[ITX-새마을]], [[ITX 마음]], [[무궁화호]]), ~~2시간 50분(버스)~~ - 단, KTX [[천안아산역]]은 실질적으로 천안시와 붙어있는 것과 다름 없으므로 10km나 떨어진 [[아산시]] 시내와는 좀 거리가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 [[제천시]]: 2시간 20분([[시외버스 제천-동대구|버스]]), 4시간 30분(무궁화호 직통), 3시간~3시간 30분(환승) === 전라도 === * [[광주광역시]] : 2시간 50분([[고속버스 동대구-광주|동대구발 고속버스]]), 2시간 20분([[시외버스 대구서부-광주|서부정류장발 시외버스]]) * [[전주시]] : 2시간 40분([[고속버스 전주-동대구|고속버스]]) * [[순천시]] : 2시간 40분([[고속버스 동대구-순천|고속버스]]) * [[목포시]] : 3시간 30분([[시외버스 구미-목포|고속버스]]) === 경상도 === * [[부산광역시]] : 40~50분([[KTX]], [[SRT]]), 1시간 20분~30분(KTX 기존선 경유, ITX-새마을, 무궁화호), 1시간 10분([[고속버스 동대구-부산|버스]]). KTX는 시가지에서 가까운 부산역에 정차하고(기존선 경유일 경우에는 김해에 가까운 구포역에도 정차해 준다.), 고속버스터미널은 부산 동북부인 노포동에, 시외버스는 부산 서부인 김해국제공항에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이동을 위해서는 목적지에 따라서 열차편을 이용할지 버스편을 이용할지를 선택하는 게 낫다. 예를 들어 [[태종대]]나 보수동 책방골목 등을 간다면 부산역에 내리는 것이 가깝고, [[부산대학교]]에 볼일이 있다면 노포동터미널이 목적지에 가깝다. 사상이나 하단 쪽에 볼일이 있는 경우 서부산(사상)터미널이나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것이 낫다. 대구에서 사상터미널로 가는 버스편이 적기 때문에,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버스는 공항 가는 사람들만 이용하지 않는다. 해운대[* BEXCO 방면 포함] 방면으로 갈 경우 동대구터미널에서 고속버스를 타는 게 빠르다. * [[울산광역시]] : 30분([[KTX]], [[SRT]])(역시 시가지와는 거리가 있음), 1시간 40분([[시외버스 동대구-울산|버스]]), 1시간 25~30분(무궁화호) * [[안동시]] : 1시간 10~40분([[시외버스 안동-동대구|버스]]), 1시간 50분(무궁화호) * [[포항시]] : 30~40분([[KTX]]), 1시간 10~30분([[시외버스 동대구-포항|버스]]), 1시간 40분~50분(무궁화호) * [[경주시]] : 15~20분([[KTX]], [[SRT]])(역시 시가지와는 좀 거리가 있다), 55분(버스), 50분~1시간(무궁화호)(역시 시가지와 좀 거리가 있다.) * [[구미시]] : 20~25분([[KTX]], [[SRT]])(김천과 같이 [[김천(구미)역]]이용, 단 시가지와 거리가 좀 있다) 35~40분(ITX-새마을, 무궁화호), 50분(버스) * [[김천시]] : 20~25분([[KTX]], [[SRT]])(구미와 같이 [[김천(구미)역]]이용) 45~50분(ITX-새마을, 무궁화호), --1시간 15분(버스)--[*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중단] * [[창원시]] : 1시간([[KTX]]), 1시간 20분(버스), 1시간 20~30분(ITX-새마을, 무궁화호) * [[진주시]] : 1시간 40분([[KTX]]), 2시간 10분([[고속버스 동대구-진주|버스]]), 2시간 20분(ITX-새마을, 무궁화호) * [[영천시]] : 30분(무궁화호), 45분(버스), 1시간(시내버스)[* [[영천 버스 55, 555|55번 또는 555번]]을 타면 영천까지 시내버스로 갈 수 있다.] * [[밀양시]]: 30분(KTX, ITX-새마을), 40분(무궁화호) == 기타 관련 문서 ==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 [[대구권 광역철도]] * [[달성군/교통]] * [[군위군/교통]] [[분류:대구광역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