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창 84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창 849-1.jpg|width=100%]]}}} || || [[우창여객]] 차량 849 || [[우창여객]] 차량 849-1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9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교) ||<-2>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교) || ||<|2> 종점행 || 첫차 || 05:4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08 || 막차 || - || ||<-2> 배차 ||<-4> 22분 (금강동 방면 1일 3회) || ||<-2> 운수사명 || [[우창여객]] ||<-2> 인가대수 || 5대 || ||<|2> 노선 || '''본선''' ||<-4> 동호초교 - [[각산역]] - [[반야월역]] - ([[안심교]] → 성동마을[*A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 (849, 849-1을 한 노선으로 보면) ] → [[사월역]] → 신매초교 →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대구농업마이스터고교]]후문 → [[노변중학교|노변중교]][*A] → [[대공원역(대구)|대공원역]] → 무열대 → 효목네거리 → [[망우당공원]] → 반야월시장 → [[경북교통]]) 이후 역순 || || 금강 ||<-4> 동호초교 → '''본선''' → 동호육교 → 금강동 → 동호초교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버스 849 노선도.png|width=100%]]}}}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9-1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교) ||<-2>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교)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05 || 막차 || - || ||<-2> 배차 ||<-4> 25분 (금강동 방면 1일 3회) || ||<-2> 운수사명 || [[우창여객]] ||<-2> 인가대수 || 5대 || ||<|2> 노선 || '''본선''' ||<-4> 동호초교 - 각산역 - 반야월역 - (경북교통 → 반야월시장 → 망우당공원 → 효목네거리 → 무열대 → 대공원역 → 노변중교[*A] → 대구농업마이스터고교후문 → 신매초교 → 사월역 → 성동마을 → 안심교) 이후 역순 || || 금강 ||<-4> 동호초교 → 금강동 → 동호육교 → '''본선''' → 동호초교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849''' 방향 ||반야월저탄장, 연호동화훼단지 || || '''849-1''' 방향 ||대구농업마이스터고후문 || == 개요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 동호초등학교(8)에서 [[수성구]] 만촌3동 [[담티역]](4)과 [[사월역]](9)을 거쳐 동구 동호동 상록아파트--(8)--로 돌아오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본선 운행거리는 26.2(849)/27.7(849-1)km.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849000&stop_busyn=N&move_dir=1|동호-욱수-동호(849번)]],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849003&stop_busyn=N&move_dir=1|금강동(849번)]],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849102&stop_busyn=N&move_dir=1|동호-욱수-동호(849-1번)]],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849103&stop_busyn=N&move_dir=1|금강동(849-1번)]]) == 역사 ==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신설되었다. 개편 초기 때는 [[동호공영차고지]]~[[망우당공원]]~[[대구스타디움]]~[[시지지구]]를 운행했던 일반형 간선 849번으로 개통했다. 매여동~[[고모역]], 팔현마을, 가천동을 운행했던 가지노선도 있었다.[* 가지노선 차량 2대는 별도의 행선판을 붙이고 다녔다.] * 2009년 1월 17일 개편 때 동호지구에서 [[동구(대구광역시)|동구]]와 [[수성구]] 일대를 돌고 성동 안동네를 통해 동호지구로 돌아오는 [[순환버스]]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역방향 노선 849-1이 신설되었다. [[시내버스]]가 아예 없었던 성동 내부를 경유한다.[* 원래 계획은 성동 경유가 아니라 정평동과 대평동을 경유하는 것이었다. [[경산버스]]의 반대로 인해 성동 안쪽 경유로 바뀌었다.] * 2012년 2월 18일 개편 때 매여동, 고모역 가지노선은 [[대구 버스 수성2|수성2번]]으로 분리했다. [* 노선이 분리되기전 849번 본선을 타야하는 승객들이 매여동, 고모역 방면 버스로 잘못타서 중간에 내리는 일이 비일비재 했고, 기사조차 버스를 타는 승객들에게 849번 본선과 다른 노선이라고 일일이 설명해 줘야했다.] * 2012년 10월 20일 개편 때 대구스타디움 구간을 [[대구 버스 609|609번]]에게 넘기고 노변중학교 구간을 경유한다.[* [[대구미술관]] 구간은 [[대구 버스 604|604번]] 혼자 담당했다. 지금은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 수성3-1번]]이 대구미술관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 2013년 2월 4일에 849번은 [[대구신서혁신도시]] 안 중앙신체검사소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개편 직전 2013년 1월 15일과 1월 16일에 양일 간 임시로 운행했다.] * 2013년 8월 26일에 849번은 중앙신체검사소 서편에 있는 [[한국부동산원|한국감정원]]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 12월 8일에 849-1번도 대구신서혁신도시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 849번은 동부경찰서~[[안심역]]~중앙신체검사소~한국감정원~중앙신체검사소~안심역 경로로 변경되었다. 849-1번도 같은 코스로 들어갔다.[* 지금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 성서1-1번]]이 [[진천동]] 일대를 다니는 것처럼 역순은 아니었다. 새론초등학교/혁신도시휴먼시아 건너편의 서한e-다음아파트 앞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앞(병무청 동쪽 건너편)은 버스 정류장이 없었다.] * 2013년 12월 20일에 대구신서혁신도시 휴먼시아아파트(LH아파트)와 새론초등학교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대구신서혁신도시로 [[의도는 좋았다|들어갔던 건 좋았는데]], 원래 배차 간격이 긴 노선을 증편 없이 집어넣으니 배차간격이 아득해졌다. 2006년 신설 때 22분 정도였던 노선이 28분~30분까지 늘어났으니, 증편 의견이 많았다. 849-1번은 배차간격이 더 길다. * 2014년 4월 10일 안심역 1번 출구에서 신서네거리 방향으로 우회전하면 나오는 [[대구선]]2공원(옛 대구선 선로) 근처 정류장에 정차했다. * 2014년 4월 17일부터는 한국사학진흥재단 앞에도 정차했다. * 2014년 10월 18일 노선 개편 때 대구신서혁신도시 구간을 [[대구 버스 동구4, 동구4-1|동구4, 동구4-1번]]에 넘겼다.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과 맞바꿔 각산네거리에서 [[경북교통]] 차고지와 [[반야월역]]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동호지구 구간도 동호육교에서 곧바로 동호초등학교로 들어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단 금강동 노선은 선형상 신서성당을 경유한다. 대신 강동중고교를 안 거친다. 849-1번은 [[동호공영차고지]]로 돌아올 때에만 강동중고교를 경유하므로 왕복이 아니다.] 인가대수는 유지하므로 배차간격이 대구신서혁신도시로 들어가기 이전으로 줄어들었다.[* 이 개편으로 [[각산역]] ~ [[이마트 반야월점]] ~ [[안심역]] 구간은 [[대구 버스 518|518번]]만 운행했다. 지금은 [[대구 버스 518-1|518-1번]]도 이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 2017년 5월 29일부터 7월 17일까지 성동 구간의 도로포장 공사로 성동 구간의 운행을 잠시 중단했고, 해당 기간은 임시로 대평동, 정평역 경유로 운행했다.[* 동년 7월 16일에 성동 구간으로 복귀하여 양 방향 운행하는 모습이 목격, 예정보다 공사가 빨리 끝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정상 코스로 운행 중이다. 도로포장 정비가 끝난 후에는 저상버스 운행이 재개됐다.] * 금강동 방면 지선은 2021년 7월 31일부터 [[금강역]] 정류소도 정차한다. == 특징 == * 말이 간선이지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 수성3-1번]]과 같은 순환형 지선에 부합하는 노선이다.[* 오지노선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대구 버스 수성2|수성2번]] 독립 이전이면 얘기가 다르겠지만 지금은 오지노선이라고 보기 어려운 면들이 많다.] * 이 노선은 정평성당 정류장에서 잠깐 경산으로 넘어갔다가 시지대성유니드 정류장에서 다시 대구로 들어온다. * 일부 버스 정류장에 있는 849-1 노선안내도는 [[각산역]]이 긱산역으로 잘못 표기된 경우가 있다. * 여담으로, 대구광역시 순환형 간선버스 4개 노선[* [[대구 버스 101, 101-1|101/101-1번]], [[대구 버스 323, 323-1|323/323-1번]], [[대구 버스 410, 410-1|410/410-1번]], 849/849-1번] 중 유일하게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중구(대구광역시)|중구]]를 지나지 않는다. * 849-1은 [[시지지구]]에서 [[안심지구]]까지 환승없이 갈 수 있는 유일한 대중교통 노선이다 === 금강동 방면 === * 신서성당에서 금강동에 각각 1일 3회 [[지원운행]]하는 시간대가 있다. 다만, 왕복 운행이 아니며, 849번은 [[동호공영차고지]]로 들어올 때만, 849-1번은 [[동호공영차고지]]에서 출발했을 때만 금강동으로 들어온다.[* 이 마을 사람들은 실제로 15분 정도 걸어서 [[각산역]]이나 [[안심역]]까지 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나마 [[대구 버스 618|618번]]이 1일 7회뿐이지만 이 곳을 커버해 주고 있다. ==== 시간표 ==== * 849번 ||[[동호공영차고지|동호동]]||성동||덕원고||[[연호역]]||저탄장||'''금강동'''|| || 09:26 || 09:41 || 09:51 || 10:02 || 10:30 || 10:46 || || 12:14 || 12:29 || 12:39 || 12:50 || 13:18 || 13:34 || || 17:11 || 17:27 || 17:38 || 17:50 || 18:19 || 18:36 || * 849-1번 ||'''금강동'''||저탄장||[[연호역]]||농고후문||성동||[[동호공영차고지|동호동]]|| || 07:02 || 07:20 || 07:51 || 08:04 || 08:22 || 08:37 || || 10:29 || 10:46 || 11:16 || 11:29 || 11:47 || 12:02 || || 18:09 || 18:30 || 19:02 || 19:15 || 19:34 || 19:50 ||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9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1,118명 || - || || 2015년 || 1,212명 || {{{#red,#salmon △ 94}}} || || 2016년 || 1,190명 || {{{#blue,#6495ed ▽ 22}}} || || 2017년 || 1,196명 || {{{#red,#salmon △ 6}}} || || 2018년 || 967명 || {{{#blue,#6495ed ▽ 229}}} || || 2019년 || 1,070명 || {{{#red,#salmon △ 103}}}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687명[*B 경산시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 || {{{#blue,#6495ed ▽ 383}}} || || 2022년 || '''1,020명''' || {{{#red,#salmon △ 333}}}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9-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1,199명 || - || || 2015년 || 1,213명 || {{{#red,#salmon △ 14}}} || || 2016년 || 1,220명 || {{{#red,#salmon △ 7}}} || || 2017년 || 1,178명 || {{{#blue,#6495ed ▽ 42}}} || || 2018년 || 1,081명 || {{{#blue,#6495ed ▽ 97}}} || || 2019년 || 1,136명 || {{{#red,#salmon △ 55}}}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854명[*B] || {{{#blue,#6495ed ▽ 282}}} || || 2022년 || '''1,041명''' || {{{#red,#salmon △ 187}}}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각산역]], [[반야월역]], [[용계역]][* 강변동서마을 정류소 이용.]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사월역]], [[고산역]], [[대공원역(대구)|대공원역]], [[연호역]], [[담티역]], [[만촌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경산/영천간 시내버스)] [include(틀:대구 안심 연계 버스)] [include(틀:대구 시지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경산시 경유 관외노선]][[분류:2006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