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23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보2455.jpg|width=100%]]}}} || ||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세한여객]] 차량 || [[성보교통]]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2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623.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달성군청]]) ||<-2> 종점 ||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검단동(대구)|검단동]]([[성보교통]]) || ||<|2> 종점행 || 첫차 || '''[평일, 공휴일]''' 05:30 / '''[토요일]''' 05:35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22:11 || 막차 || '''[평일]''' 21:57 / '''[토요일]''' 21:58 / '''[공휴일]''' 22:03 || ||<-2> 평일배차 || 12분 ||<-2> 주말배차 || 15분 || ||<-2> 운수사명 || [[성보교통]],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세한여객]] ||<-2> 인가대수 || 26대[* 운수사별로 절반씩 인가][* 토요일 25대 / 공휴일 21대 운행] || ||<-2> 노선 ||<-4> [[달성군청]][* 차량 측면 행선판에는 아직도 금포초등학교로 표시되어 있다.] - 달성우신미가뷰[* 623번 단독구간이다.] - 옥포 - 명곡 - 화원시장 - [[진천역]] - 월성1동 [[행정복지센터]] - [[달서구청]] - [[서부정류장]] - [[대명역]]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 [[서구청(대구)|서구청]] - [[서문시장(대구)|큰장네거리]] - [[경상감영공원]] - [[경명여자고등학교|경명여고]] - [[경대교]] - [[대구광역시청|대구시산격청사]] - 연암네거리 - 복현오거리 - 검단동 행정복지센터 - [[성보교통]]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검단동''' 방면 ||<(>서구청, 월성청구코아^^평일, 토요일^^, 명곡미래빌5단지 || || '''달성군청''' 방면 ||<(>대구가톨릭대학병원^^평일, 토요일^^, 서구청, 성북교^^공휴일^^, 산격주공아파트^^평일, 토요일^^ || == 개요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 달성군청(6)에서 [[서구(대구광역시)|서구]] 평리3동 서구청(2)을 거쳐 북구 검단동 성보교통 차고지(3)까지 운행하는 [[세한여객]]과 [[성보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간선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74.7km. [[http://map.naver.com/?busId=41092|전체 정류소 목록]] == 역사 == [[파일:DGBUS 89.jpg|width=500]] * 89번 시절의 모습(출처: [[MBC 뉴스데스크]]) * 1998년 개편 이전에는 유천교~[[검단동(대구)|검단동]] 민들레아파트를 운행하던 일반버스 89번이었다.[* 참고로 89번 시절에는 행선판 기점란에 '''월배'''라고만 쓰여 있었다. 이후 1998년 개편으로 623번으로 변경되면서 기점 부분이 '''월배유천교'''로 되었다가 2006년 개편으로 연장되었다.] * 1991년 말 월성지구 경유 전에는 [[서부정류장]]에서 유천교까지 [[월배로]]를 타고 우회 없이 운행했다. 1992년 89번의 좌석버스 버전인 389번이 개통했는데, 신설 당시에는 89번처럼 월배~검단동 구간을 운행하다가 머지않아 월배~불로동 구간으로 조정되었다. 그러나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으로 인해 월배~[[대구대학교|대구대]]로 변경한 후 1994년에 폐선되고 대신 동년 신설된 397번 좌석버스가 칠곡목련아파트~대구대 구간을 운행했다. 397번 좌석버스는 이후 산호한양아파트로 종점을 이전했고, 1998년 개편 때 [[대구, 경산 버스 708|708번]]으로 변경되었다. * 월성지구로 들어가게 된 후 89번 시절에는 [[이마트 월배점]]행만 다녔고[* 이마트월배점 및 월배지구가 생기기 전에는 그 일대에 소규모 공단이었던 월배공단이 있었다.] 오랫동안 월성지구 및 월배공단 일대를 전담했다. * 1998년 5월 개편 때 623번으로 번호를 변경하였다. 또한 1998년 5월 10일부터 5월 31일까지 21일동안 성당시장 구간을 버리고,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서 우방타워랜드(현재 [[이월드]]) 정문~두류네거리~황제예식장(현 [[홈플러스 내당점]])을 거쳐서 반고개로 운행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 노선 역시 기존 성당시장 방면 이용객들의 민원 때문에 얼마 못 가 다시 성당시장 경유로 환원된 적이 있었다. * 1999년 1월 3일 개편 때 [[롯데백화점 상인점]] 방면(상인네거리([[상인역]]) 방면)이 추가되었다. 일반적으로 1/2로 운행하는 분리노선들과 달리 특이하게도 전체 운행 차량의 2/3이 상인네거리, 1/3이 월배공단을 경유했다. 월배공단이 소규모 공단인 데다가, 월배지구 개발 전에는 주변에 아무것도 없어서 승객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이렇게 운행한 것이다.[* 2006년 개편 이전에는 이런식의 분리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 더러 있었다. 301번, 524번이 예인데, 301번의 경우 만평네거리/향교 구간이 전체 운행대수의 1/3, 노원네거리/반월당 구간이 전체 운행대수의 2/3가 운행했고 524번의 경우 서대구역네거리 구간이 1/3, [[삼익뉴타운]] 구간이 2/3을 운행했다. 분리 구간에서 이용하는 승객 수의 차이가 많이 날 경우 이런 식으로 운행했는데, 별로 좋은 운행 방식은 아니었다. 전체 차량의 1/3이 들어오는 곳에서는 버스 배차간격이 3배로 늘어나며, 2/3이 들어오는 곳 역시 운이 안 좋으면 배차간격의 2배까지 기다려야 했기 때문이다. 623번의 경우도 월배공단 구간에서는 배차간격이 30분이었으며 상인네거리 구간에서도 한 대 놓칠 경우 '''버스가 10분뒤에 올지 20분뒤에 올지 모르는 상황이 되었다.''' 2006년 개편 전만 하더라도 버스정류장에 버스가 언제 오는지 알려 주는 BIS 안내기도 없었고 인터넷이나 휴대폰으로 버스 위치를 확인하는 것도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 2005년 유천교 ~ 대천교 ~ 성서산단 간 직통 도로인 [[달서대로]]의 건설 공사를 하면서 이 노선과 [[대구 버스 618|618번]]이 쓰던 유천교 회차지가 사라지게 되며 대곡지구([[남도버스]]) 종점까지 연장되었다.[* 회차지가 없어지는 바람에 유천네거리에서 대곡지구 방면으로 좌회전했는데, 2006년 개편 때 조정된 후 이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은 현재 없다. 당시 618번은 대곡지구에서 [[진천역]]으로 갔다가 유천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삼성래미안아파트 근처에 노상 정차했다.]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대구 버스 613|613번]] 구간을 이어받아 기점을 명곡지구(화원고교 뒷편)으로 연장되었다. 중간 경유지도 변경되었다. 상인역 경유와 이마트 월배점 경유 차량이 1:1 비율로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고[* 이 때 기존 월배공단/월성1동 지역이 월배지구 아파트 단지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월성2동주민센터 경유가 [[달서구청]] 경유로 변경되었으며[* 당시 기초의회 의원들은 지방선거 때 623번 월성2동주민센터 방면 운행 환원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실제로 환원되지 않았다. 노선 개편으로 노선 어느 부분이 단축되지 않는 이상 환원될 가능성은 거의 0%인데, 623번이 변경되면 달서구청을 경유하는 간선버스는 706번만 남게 되며, 운행시간도 길어진 마당에 월성2동주민센터까지 경유할 경우 자체로도 돌아가는 경로인 데다가 월성네거리 북쪽 월곡로가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또는 신천대로로 진입하려는 차들 때문에 상습 정체구간이 되었기 때문이다.] 두류공원네거리에서 성당시장~구남보건고~[[반고개역]]~구.대영학원(비산2,3동주민센터)~비산네거리 구간을 [[대구 버스 618|618번]]에 넘기고, [[이월드]]정문~[[두류역]]~신평리네거리~[[서구청(대구)|서구청]] 구간으로 변경되어 해당 구간에서는 [[크고 아름다운]] S자를 그린다. 또한 연암네거리에서 복현오거리로 직진하지 않고 상수도시설관리소에서 [[대구종합유통단지]]로 들어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성광중고교에서 복현오거리, 산격대우아파트 방향으로 다이렉트로 연결해 주는 노선이 아예 없어졌다. 특히 개편 초기에는 검단청구유성아파트(성광중고교 남쪽)에서 복현오거리로 직진하는 노선 자체가 없어서 [[코스트코 대구점]]이 있는 검단네거리로 내려와야 했다. 개편 전에는 303(-1)번(현재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순환2(-1)번]]의 모태), [[대구 버스 723|723번]](2006년 개편 때 폐선)이 있었다. 산격대우아파트 건너편에 산격종합시장이 있어서 여기서 [[복현동]], [[검단동(대구)|검단동]]을 오가는 승객이 제법 있다.] 대구종합유통단지 구간은 [[대구 버스 653|653번]]도 있으니 653번과도 '''[[대구광역시청]] 산격동 청사부터 상당 구간 중복되었다.''' 중간에 경명여자중고교를 경유한다는 점만 빼면 사실상 '''[[KT]] 서대구지사부터 검단동까지 중복된다.'''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순환2(-1)번]]도 623번처럼 산격[[주공아파트]], 상수도시설관리소에서 대구종합유통단지로 들어간다.[* 단, 순환2(-1)번은 산업용재관에서 우편집중국 대신 [[EXCO]] 뒷길에 있는 [[이랜드그룹|NC아울렛]] 엑스코점 및 한국패션센터(FCK)로 들어간다.] * 2006년 9월 24일 상수도시설관리소에서 대구종합유통단지 대신 산격대우아파트, 복현오거리, 복현대백맨션, [[코스트코 대구점]]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원래 [[대구 버스 653|653번]]처럼 서성네거리에서 좌회전해서 태평네거리(경진테크빌)를 경유해서 [[대구역]]지하도로 들어갔지만, 이 구간도 역시 같은 날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경유로 변경되어 중앙네거리에서 좌회전하는 형태가 됐다. * 2012년 6월 16일 개편 때 이마트 월배점 방면으로 일괄 통합했다. 분리구간 배차간격은 20분에서 10분으로 줄었다. 상인네거리에 비해 월성1동(조암남로) 교통 여건이 월등히 더 열악했기 때문이다. 분리구간 통합 이후 월배지구(신월성)에 아파트 단지가 많이 들어서자 월성1동 인구가 늘면서 623번의 수요도 늘었다. 신월성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인 [[진천역]] 연계가 가능하다. * 2013년 11월 18일부터 노선 트레이드로 [[경상버스]] 대신 [[성보교통]]이 623번을 운행한다. * 2016년 2월 13일 개편 때 [[대구 버스 836|836번]]의 개편 전 구간을 가져와 기점을 [[논공읍]] 금포리로 연장했다. 단, 달성군[[예비군]]훈련장 종점이 폐쇄된 데다가 836번이 위천 인근까지 가서 회차해야 했던 불편으로 인해 기점은 금포초등학교가 되었다. 이에 따라 달성군청 U턴을 포함하여 왕복 77km 가까이 나오게 됐다. 화원고등학교 뒷편 회차도 노상 대기기 때문에 휴식 여건이 좋지 않은 데다가 화원옥포IC 쪽에서 명곡지구[* 더 멀리는 화암로와 서산로를 따라 가면 상습 정체 구간인 상화로를 피해서 대곡지구까지도 갈 수 있다.]로 가는 지름길이기 때문에 통행량이 많아 U턴 회차 시 사고 위험도 크기 때문에, 회차지점을 옮길 필요도 있었을 듯. 거기에 월성지구를 지나는 특성으로 인해 편도 운행 시간이 2시간 30분 정도 나오면서 단축 전의 [[대구 버스 600|600번]]에 맞먹을 정도로 운행 시간이 길어졌다. 이 연장 개편으로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이 배차에 참여한다. 공차 거리 단축을 위해 [[대구 버스 356|356번]]과 차량 비율을 같이 조절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복현오거리에서 안지랑네거리를 거쳐 [[화원읍]] 설화리를 다시 연결하게 되고[* 2006년 개편 전 636번이 이 구간을 운행했다.] 두류네거리에서 [[논공읍]]으로 가는 노선이 다시 생기게 된다.[* 단축 전에 600번이 이 구간을 운행했었다. 다만 두류네거리에서 논공까지 직선으로 운행하던 600번과 달리 623번은 두류네거리에서 월성지구, 명곡지구를 경유해서 굴곡이 크다. 그나마 600번에 비하면 배차간격이 짧은 편인 게 다행인 점이다.] 그리고 [[대구 버스 북구1|북구1번]] 2010년식 입석차량 1대가 623번으로 이동했다. * 2016년 4월 7일부터 금포초교~세한여객 차고지(노이3리) [[공차회송]] 구간 사이에 정류장 2곳이 설치되어 영업운전 구간으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노이3리를 풀 타임으로 운행하게 됐다. 공배하는 양 회사 간의 차고지 셔틀이 된 셈으로, [[대구 버스 달성2|달성2번]] 노이1리(갈실)행도 노이3리에 정차한다. * 세한여객의 [[유곡리공영차고지|유곡리]] 이전에 따라 2017년 4월 30일부터 달성군청이 기점이 되며, 금포1교에서 금강로를 통해 진입하여 달성군청 착발로 변경된다. 그리고 교항리에서 옥포지구 안쪽으로 들어간다. * 2018년 8월 13일에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을 증차를 위한 [[대구 버스 655|655번]]의 차출분을 메우기 위해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배차분 1대가 감차되어 655번으로 이동했다. [[http://gall.dcinside.com/transit/76612|관련 게시물]] * 2020년 10월 17일 개편 때 성보교통 소속 차량 1대가 [[대구 버스 가창2|가창2번]]으로 이동했다. * 2021년 3월 13일부터 금포리 우신미가뷰를 경유한다. 평일 배차간격은 굴곡이 추가됨으로써 13분으로 늘어났다. == 특징 == * '''[[대구 버스 356|356번]]과 더불어 [[성보교통]]의 주력/간판 노선이자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의 준주력 노선이다.''' * 경대교에서 성북교와 연암네거리와 산격종합시장을 거쳐 복현오거리에 도달하므로 [[대구실내체육관]]을 경유했던 2006년 개편 전보다 [[산격동]] 구간에서 굴곡이 더 커졌다.[* 굴곡이 많아져서 그런지 평일이나 주말에 배차간격이 안 맞을 때가 많고 신월성 구간에서 차가 많이 밀려 제 시간 안에 종점인 [[달성군청]]에 도착하지 못하고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시내 구간이나 큰장네거리 구간에 버스 2대가 붙어서 다니는 경우를 종종 목격할 수 있다.] * 이 버스는 입석 승객이 있는 모습이 다른 과밀노선들보다 드물지만, [[대구광역시]] 버스 노선 승객 수 top 10에 항상 들어간다. 구간마다 장거리 승객이 많아서 그렇다.[* 대곡역, 서부정류장, 국민건강보험공단, 큰장네거리, 경상감영공원, [[칠성시장]](전자상가), 산격대우아파트(산격시장) 등에서 많이 승하차한다.] 2015년 개편 이후에는 승객이 더 늘어났으며, [[대구 버스 600|600번]]을 이용했던 [[두류역|두류네거리]]~6권역 이동 승객들이 상당수 넘어왔다. 두류네거리 근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너편(신흥초교) 정류장에서 보면 정류장에 많은 승객들이 버스를 기다렸다가 이 노선을 많이 탄다. * [[저상버스]]는 2005년 시범 운행을 시작해 2007년부터 정식 운행을 시작했다. 상인역 방면만 운행하다가 2009년부터 이마트 월배점 방면도 운행을 시작했다. 한때 저상버스는 [[성보교통]]만 운행했다. 2016년 12월부터 [[해피투게더 세한여객]]도 운행 중이다. * 금포초등학교에서 운행을 끝낸 후에는 노이3리 세한여객 차고지로 내려가서 회차했다가 얼마 후 정식 종점으로 변경되어 [[유곡리공영차고지|유곡리]]로 이전하기 전까지 이용했다. [[LED]] 행선판에는 연장 초기에는 금포초교로 표기했다가 단축 전의 [[대구 버스 836|836번]]같이 그냥 논공으로만 표출 중이다. * 성보교통 차고지에서 장기정차한다. 가스 충전도 검단동CNG충전소에서 한다. * 성보교통 기사 교대는 성보교통 차고지에서,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기사 교대는 대곡역에서 한다. *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에 입사하고 추후 정식 차량 배정을 받으면 이 노선부터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 623번 말고 [[대구 버스 356|356번]]으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356번의 경우 조야동 회차지와 월광수변공원에서의 휴식 여건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대구 버스 655|655번]]에 비해 운행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 2023년 2월 17일까지는 고정 순번을 두지 않고 운행했다. 2023년 2월 18일부터는 성보교통 종료 순번을 성보교통이, 달성군청 종료 순번을 세한여객이 전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문제점 === * 2016년경 옥포지구 연장 이후부터 일부 순번은 편도 2시간 30분 정도의 운행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대구 버스 600|600번]], [[대구 버스 655|655번]]보다 운행 여건이 악화된 노선이다.[* 600번과 655번은 위천삼거리 남쪽으로는 정류소 간격도 넓고 승하차 승객이 적지만, 623번은 수시로 승객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100% 시내도로만 경유하기 때문에 체감 피로도는 더욱 높다.] '''[[http://www.gyotongn.com/news/articleView.html?idxno=317384|양 업체(성보교통,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기사들은 623번 운행 여건이 힘들다고 호소하고 있다.]]''' 이 때문에 노선 직선화 또는 노선 단축 의견이 올라오고 있으며, 2021년 3월부터 달성우신미가뷰 아파트를 경유하면서 문제가 심화되었다. 왕복 3번만에 운행이 종료되거나 2시간 42분 걸리는 순번도 존재하며, 얼마나 심하냐면 2023년 2월 18일부터 기종점 막차 출발 시각이 21시 57분으로 변경되면서 대도시권 간선 시내버스를 기준으로 다소 이른 시간표가 설정되었다. 따라서 기점을 [[대천동공영차고지]]로 단축하든지[* 대천동공영차고지로 단축한다면 유천네거리 이남 구간은 다른 노선으로 대체가 필요하다.] 일부 굴곡 구간을 직선화하든지 운행 거리를 줄일 필요가 있다.[* 여건이 열악하고 수요가 많은 화원시장, 조암남로 구간은 존치할 필요가 있지만, 안지랑네거리, 경명여고 구간은 다른 노선이 충분히 대체할 수 있어서 대체 노선에게 넘길 필요가 있다.] * 새로 경유하는 금강로4길은 왕복 2~3차선이라 길에 주정차 차량이 있거나 반대 방면의 차량을 마주할 경우 버스 진입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비슷한 사례로 [[대구 버스 306|306번]]과 [[대구 버스 칠곡4|칠곡4번]]이 있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승차량 TOP 10에 랭크된 노선이지만, 2차례 이상 감차되었다.[* 최초 금포초등학교 연장 시 [[대구 버스 655|655번]]에서 세한여객 차량과 [[대구 버스 북구1|북구1번]]에서 성보교통 차량을 차출하였으나, 차량 수 대비 증가한 거리 때문에 평일 배차간격이 1분 늘어났다.] 평일 배차간격은 [[화원고등학교]] 기점 당시 10분에서 2023년 2월 17일까지 달성군청 기점 기준 13분으로 대폭 늘어났다. 증차 없이 불필요한 굴곡 구간들을 추가했던 것도 배차간격 증가의 원인이다. 배차간격은 이 노선의 장점이었지만 퇴색되었다. 그래도 2023년 2월 18일 운행시간표 수정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12분으로 줄어들었는데, 평일 배차간격 12분이면 대구 버스들 중에서는 짧은 편.~~[[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과 [[대구 버스 518|518번]] 의문의 1패~~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23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13,682명 || - || || 2015년 || 14,793명 || {{{#red,#salmon △ 1,111}}} || || 2016년 || 15,682명 || {{{#red,#salmon △ 889}}} || || 2017년 || 14,931명 || {{{#blue,#6495ed ▽ 751}}} || || 2018년 || 14,887명 || {{{#blue,#6495ed ▽ 44}}} || || 2019년 || 14,275명 || {{{#blue,#6495ed ▽ 612}}}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9,734명 || {{{#blue,#6495ed ▽ 4,541}}} || || 2022년 || '''10,340명''' || {{{#red,#salmon △ 606}}}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대구 버스 600|600번]]의 서구 권역 수요를 흡수하고, 2016년에 [[옥포지구]]로 연장하면서 일평균 승차량이 증가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역]], [[대곡역(대구)|대곡역]], [[진천역]], [[서부정류장역]], [[대명역]], [[안지랑역]],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대구역(도시철도)|대구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두류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 섬유회관 하차] * 일반 철도역: [[대구역]](ITX-새마을,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월배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