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당신은 아직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 (2012)[br]Vous n'avez encore rien v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당신은 아직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 국내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미스터리]] || || '''감독''' ||[[알랭 레네]] || || '''각본''' ||[[알랭 레네]], 로랑 에르비에 || || '''원작''' ||장 아누이의 희곡[br]<에우리디케>, <앙트완: 혹은 실패한 사랑> || || '''제작''' ||장 루이 리비, 크리스토프 조프로이, 줄리 살바도르 || || '''출연''' ||사빈 아제마, [[마티유 아말릭]], 랑베르 윌슨, [[미셸 피콜리]] ,,외,, || || '''촬영''' ||에릭 고티에 || || '''편집''' ||에르베 드 루즈 || || '''미술''' ||자크 솔니에르 || || '''음악''' ||마크 스노우 || || '''의상''' ||재키 버딘 || ||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F Comme 필름[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카날+|스튜디오 카날]][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스 2 시네마[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알라모데 필름[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크리스마스 인 줄라이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화사조제 || ||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카날+|스튜디오 카날]][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화사조제 || ||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12년 5월 21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2012년 9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2년 11월 22일 || || '''화면비''' ||2.35 : 1 || || '''상영 시간''' ||1시간 55분 ||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1,166,740''' || || '''북미 박스오피스''' ||'''$18,929'''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5,577명'''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알랭 레네]] 감독의 2012년작 프랑스 영화. [[제65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장 아누이의 희곡 <에우리디케> (1941)과 <앙트완: 혹은 실패한 사랑> (1969) 두 편을 느슨하게 원작으로 삼았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vERdw3nbiU)]}}}|| || {{{#ffffff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저명한 극작가 앙뜨완이 죽고 > 그의 성에 초대받은 13명의 배우들! > 그들은 과거 앙뜨완의 연극 ‘에우리디케’에 출연했던 배우들이었다. > > 모두가 모인 자리에서 그들은 앙뜨완이 남긴 영상메세지와 함께 > 젊은 배우들이 연기하는 새로운 ‘에우리디케’를 보게 되는데.. == 등장인물 == * 사빈 아제마 - 에우리디케 역 * [[마티유 아말릭]] - 무슈 앙리 역 * 랑베르 윌슨 - 오르페우스 역 * [[미셸 피콜리]] - 오르페우스의 아버지 역 * 앤 콘시니 - 에우리디케 역 * 이폴리트 지라르도 - 뒬락 역 * 드니 포달리데스 - 앙트완 당탁 역 * 피에르 아르디티 - 오르페우스 역 * 아니 뒤프레 - 에우리디케의 어머니 역 * 앙드레 세베린 - 마셸린 역 * 미셸 빌레모 - 뱅상 역 * 제라르 라티고 - 역 * 장노엘 브루테 - 마티아스 역 * 비마라 폰스 * 미셸 로빈 - 카페 웨이터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you-aint-seen-nothin-yet, critic=69, user=4.2)]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you_aint_seen_nothin_yet, tomato=86, popcorn=59)] [include(틀:평가/IMDb, code=tt1690389, user=6.5)]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you-aint-seen-nothin-yet, user=3.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83422, presse=4.0, spectateurs=2.5)]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vousnavezencorerienvu, MYMOVIES=3.50, CRITICA=3.36, PUBBLICO=3.04)]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549269, user=6.358)]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57781, user=3.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40146, user=7.3)]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4918501, user=7.4)]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4RPgd, user=3.7)]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63514, light=87.18)]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95257, expert=8.67, audience=8.75, user=7.85)]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71384, user=6.5)] [include(틀:평가/CGV, code=76676, egg=XX)]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MRQE, code=vous-navez-encore-rien-vu-m100101249, user=75)]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X±)] [include(틀:평가/TMDB, code=103717-vous-n-avez-encore-rien-vu, user=67)]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ihr-werdet-euch-noch-wundern, user=6.4)] [include(틀:평가/RogeEbert.com, code=you-aint-seen-nothin-yet-2013, user=3.0)]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 code=235038, user=7.78)] > '''일망무제(一望無際)''' >---- > - [[이동진]][* [[씨네21]]에서 1301호 기념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2010년대 베스트 10편 중 하나로 꼽기도 했다.] '''([[이동진/별 다섯 개 영화 목록|★★★★★]])''' > '''90살 어르신의 복습이자 실험''' >---- > - [[박평식]] '''(★★★)''' > '''영화적 형식으로 쓴 기억, 죽음, 사랑. 이건 미리 듣는 유언인가''' >----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 기타 == ## 문단 분리가 되지 않은 잡다한 정보들을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 (내용1) * (내용2) == 외부 링크 == * [[https://www.youtube.com/watch?v=krQRyuoP9NI|유튜브]] - [[이동진]] 평론가 [[영화당]] 해설 [[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독일의 드라마 영화]][[분류:2012년 영화]][[분류:희곡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