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국악기]][[분류:국악]][[분류:현악기]] [include(틀:현악기)]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당비파.jpg|width=100%]]}}}|| || ''당비파 (唐琵琶)'' || ||[[파일:당비파1.jpg|width=100%]]|| || ''복원 당비파'' || [목차] [clearfix] == 개요 ==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를 전후하여 [[한국]]으로 들어온 [[중국]] 비파. == 역사 == ||[[파일:당비파 뒷모습.jpg|width=100%]] || || 당비파 뒷모습. 다른 [[비파]]들과 달리 이동하며 연주를 했기 때문에 동아시아에 남아있는 비파들 중에서 유일하게 비파 뒷부분에 [[줄]]이 있다. || 본디 중국에서 들어왔지만 오랜 세월이 흐르며 한국식 비파 중 하나로 변화, 정착하였기 때문에 현대 중국 비파와는 차이점이 있다. [[향비파]]와 달리 악기의 몸체가 크지 않고 연주자의 몸에 맬 수 있어 '''다른 [[비파]]들과 달리 이동 연주가 가능했다.''' 현재의 [[기타]]처럼 궁중은 물론 민간에서도 널리 쓰인 유용한 [[악기]]였다. 국악 장르 중 하나인 당악(唐樂)에서 썼다. 《삼국사기》 악지(樂志) 편에서는 [[통일신라]]시대 당비파가 통상 "비파"란 이름으로 불렀던 것으로 볼 때 한반도에서 자체적으로 탄생한 [[향비파]]와 구분하기 위해 당비파라는 이름을 따로 붙인 것으로 추측한다. [[비파]]란 악기 자체가 [[중앙아시아]]에서 출발하여 [[중국]]을 거쳐 [[한반도]]와 [[동아시아]] 각지로 들어왔으므로 시기상 [[향비파]]보다 당비파를 먼저 연주했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1935년까지 [[향비파]]와 같이 전국적으로 연주했으며, 중국에서보다 더 많이 연주하였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았다. 당시 민간에서도 [[대금]], [[퉁소]], [[거문고]]와 함께 [[비파]]를 활발히 연주하였다. 이렇게 메이저 악기로 사용했던 당비파는 1935년 이후로 연주하는 횟수가 줄어들었으나 1950년 이전까지는 어느정도 민간에서 지속적으로 연주해 왔다고 한다. 그러나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며 국내 비파 연주가들이 대거 사망하거나 실종되었으며 이에 따라 당비파도 1960년대 이후로 그다지 볼 수 없게 되었다. 지금은 [[국립국악원]]과 일부 당비파 연주가들이 연주하는게 전부이다. == 상세 == || [youtube(o7cEZm766SU)] || || 개량 당비파로 연주한 '[[찬기파랑가]]' || 향비파와 달리 넥 윗 부분이 구부러져 있어서 '곡경비파(曲頸琵琶)'라고도 한다. '당'자가 들어가는 만큼 당악에서 많이 사용했으나 [[조선]]시대 들어와서 향악에서도 널리 사용하였다. 제작 재료 또한 『악학궤범』에서 상세히 밝히고 있다. 공명통 뒷판으로 쓸 나무로는 화리(華梨)가 제일 좋고, 철양(鐵楊)·황상(黃桑)·산유자(山柚子)·괴목(槐木)·상수리나무(橡斯)·산행(山杏)·박달(朴達) 등 단단하고 빛이 좋은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였다. 복판의 경우는 두충(杜冲)이 최상이며 노목(盧木)·아목(牙木)처럼 부드럽고 결이 곧은 나무도 썼다. 머리와 목 등 모든 장식으로는 화리·오매(烏梅)·탄시(炭柿)·산유자를 재료로 삼았다. 안족 쪽에는 반죽(斑竹)을 쓰고 둘러메는 고리는 은이나 두석을 쓰고 둘러메는 줄은 홍진사를 썼다. 물방울 모양 공명통에 명주실로 만든 4현과 12주가 있는 모습이다. 이 중에서 공명통 속이 비고 겉이 찬 것은 하늘과 땅을 나타내며, 4현은 사계절을 본뜬 것이고, 12주는 12율에 짝지은 것이라고 악서(樂書)에 기록되어 있다. 당비파 연주법은 [[기타]]를 연주하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비파의 목을 잡고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네 줄을 짚으며, 오른손에는 나무 발(木撥)이나 가짜 손톱(假爪)을 활용하여 줄을 튕겼다. 성종대에는 평조(平調), 계면조(界面調), 상조(上調), 하조(下調) 네 가지 방식의 조율법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다양한 당비파 음악이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세종(조선)|세종]]대, [[연산군]]대, [[인조]]대, [[정조(조선)|정조]]대 등 조선전기와 후기에는 지속적으로 궁중에서 만들어 [[조선의 궁궐|궁중]]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였다. ||[[파일:attachment/포의풍류도.png]]|| || ▲ [[김홍도]]의 '포의풍류도'[* 그림에서 김홍도가 타고 있는 비파가 당비파이다.] || 여담으로 [[향비파]]와 당비파의 괘를 짚는 연주법이나 [[술대]]를 사용한다는 점이 [[거문고]]와 비슷해서인지 [[거문고]]를 연주하는 악사들이 곁다리로 연주법을 익혔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요즘 [[가야금]] 연주자들이 곁다리로 [[양금]]을 배우는 경우나, [[대금]] 연주자들이 [[소금]]을 배우기도 하는 것과 비슷하다.] [[기타]]나 [[리라]]라는 악기와의 유사성 때문인지 [[개역개정]]에서는 이 악기로 번역되었다. == 참고 자료 == [[https://www.gugak.go.kr/site/inc/file/fileDownload?dirname=/sites/gugak/files/site/20180820&filename=JNGC_037_014.pdf&type=E&boardid=1942|악학궤범 소재 당비파의 상조와 하조의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