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HqHkrXsdX5w,width=100%,align=center)] 2022년 1월 1일 날 발매한 [[Redmoon : ∞]]의 수록곡이다. 가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노래의 주제는 Redmoon이다. == 가사 == ||
'''<달꽃의 춤>''' || || 어둠이 이 밤을 스칠 때 내 안에 밝게 피어나는 뜨거운 네가 점점 자라서 파도처럼 밀려 온대도 끝 없이 그 바다로 가라 앉아도 좋아 '''{{{#skyblue 이}}} {{{#blue,#dodgerblue 순간}}}{{{#skyblue 을}}} {{{#blue,#dodgerblue 영}}}{{{#skyblue 원}}}{{{#blue,#dodgerblue 히 잊}}}{{{#skyblue 지}}} {{{#gold 못}}}{{{#yellowgreen 하}}}{{{#skyblue 게}}}''' '''{{{#skyblue 둘}}}{{{#blue,#dodgerblue 만}}}{{{#gold 의 색으}}}{{{#blue,#dodgerblue 로}}} {{{#skyblue 서}}}{{{#blue,#dodgerblue 로}}}{{{#gold 를}}} {{{#red 덧}}}{{{#gold 칠}}}{{{#blue,#dodgerblue 해}}}''' '''{{{#yellowgreen I`m fal}}}'''ling down '''{{{#skyblue 붉}}}{{{#blue,#dodgerblue 은}}} {{{#skyblue 달}}}{{{#blue,#dodgerblue 이}}} {{{#gold 이}}} {{{#skyblue 밤}}}{{{#yellowgreen 을}}}''' 감싸'''{{{#blue,#dodgerblue 면}}}''' '''{{{#skyblue 그}}} {{{#blue,#dodgerblue 빛에 물}}}{{{#yellowgreen 들}}}{{{#skyblue 어}}}''' '''{{{#skyblue 거}}}{{{#blue,#dodgerblue 부}}}{{{#skyblue 할}}} {{{#blue,#dodgerblue 수}}}{{{#gold 도}}} {{{#skyblue 비}}}{{{#yellowgreen 킬}}}''' 수'''{{{#blue,#dodgerblue 도}}} {{{#skyblue 없게}}} {{{#blue,#dodgerblue 나를 안}}}{{{#yellowgreen 아}}}{{{#skyblue 줘}}}''' '''{{{#yellowgreen 더}}} {{{#gold 자}}}{{{#blue,#dodgerblue 유}}}{{{#skyblue 롭}}}{{{#yellowgreen 게 더}}} {{{#gold 숨}}}{{{#blue,#dodgerblue 이}}} {{{#skyblue 차}}}{{{#blue,#dodgerblue 게}}}''' '''{{{#yellowgreen 월광}}}'''의 춤'''{{{#green 으}}}{{{#skyblue 로}}} {{{#blue,#dodgerblue 불}}}{{{#skyblue 타}}}{{{#green 오}}}'''르'''{{{#yellowgreen 게}}}''' '''{{{#gold 내}}} {{{#skyblue 안}}}{{{#yellowgreen 에}}}''' 넘치'''{{{#blue,#dodgerblue 는 또 다른}}} {{{#yellowgreen 너}}}{{{#skyblue 는}}}''' '''{{{#skyblue Beau}}}{{{#green ti}}}{{{#yellowgreen ful}}} {{{#green Flo}}}'''wer For your soul '''{{{#skyblue Beau}}}{{{#green ti}}}{{{#yellowgreen ful}}} {{{#green Flo}}}'''wer 어둠이 이 밤을 스칠 때 어지러이 내 몸'''{{{#yellowgreen 에}}}''' 퍼지는 '''{{{#yellowgreen 너}}}'''의 따뜻한 체온들이 '''{{{#yellowgreen 아}}}'''이처럼 날 잠재워도 그대로 잠들어 깨지 않아도 좋아 '''{{{#skyblue 이}}} {{{#blue,#dodgerblue 순간}}}{{{#skyblue 을}}} {{{#blue,#dodgerblue 영}}}{{{#skyblue 원}}}{{{#blue,#dodgerblue 히 잊}}}{{{#skyblue 지}}} {{{#gold 못}}}{{{#yellowgreen 하}}}{{{#skyblue 게}}}''' '''{{{#skyblue 둘}}}{{{#blue,#dodgerblue 만}}}{{{#gold 의 색으}}}{{{#blue,#dodgerblue 로}}} {{{#skyblue 서}}}{{{#blue,#dodgerblue 로}}}{{{#gold 를}}} {{{#red 덧}}}{{{#gold 칠}}}{{{#blue,#dodgerblue 해}}}''' '''{{{#green I`m fal}}}'''ling down '''{{{#skyblue 붉}}}{{{#blue,#dodgerblue 은}}} {{{#skyblue 달}}}{{{#blue,#dodgerblue 이}}} {{{#gold 이}}} {{{#skyblue 밤}}}{{{#yellowgreen 을}}}''' 감싸'''{{{#blue,#dodgerblue 면}}}''' '''{{{#skyblue 그}}} {{{#blue,#dodgerblue 빛에 물}}}{{{#yellowgreen 들}}}{{{#skyblue 어}}}''' '''{{{#skyblue 거}}}{{{#blue,#dodgerblue 부}}}{{{#skyblue 할}}} {{{#blue,#dodgerblue 수}}}{{{#gold 도}}} {{{#skyblue 비}}}{{{#yellowgreen 킬}}}''' 수'''{{{#blue,#dodgerblue 도}}} {{{#skyblue 없게}}} {{{#blue,#dodgerblue 나를 안}}}{{{#yellowgreen 아}}}{{{#skyblue 줘}}}''' '''{{{#yellowgreen 더}}} {{{#gold 자}}}{{{#blue,#dodgerblue 유}}}{{{#skyblue 롭}}}{{{#yellowgreen 게 더}}} {{{#gold 숨}}}{{{#blue,#dodgerblue 이}}} {{{#skyblue 차}}}{{{#blue,#dodgerblue 게}}}''' '''{{{#yellowgreen 월광}}}'''의 춤'''{{{#green 으}}}{{{#skyblue 로}}} {{{#blue,#dodgerblue 불}}}{{{#skyblue 타}}}{{{#green 오}}}'''르'''{{{#yellowgreen 게}}}''' '''{{{#gold 내}}} {{{#skyblue 안}}}{{{#yellowgreen 에}}}''' 넘치'''{{{#blue,#dodgerblue 는 또 다른}}} {{{#yellowgreen 너}}}{{{#skyblue 는}}}'''[* '''{{{#gold 너}}}{{{#blue,#dodgerblue 는}}}{{{#skyblue ㅡ}}} {{{#yellowgreen 워}}}{{{#darkorange 어}}}{{{#gold 어}}}'''] 이 순간을 영원히 잊지 못하게 둘만의 색으로 서로를 덧칠해 I`m falling '''{{{#!html down}}}''' '''{{{#skyblue 붉}}}{{{#blue,#dodgerblue 은}}} {{{#skyblue 달}}}{{{#blue,#dodgerblue 이}}} {{{#gold 이}}} {{{#skyblue 밤}}}{{{#yellowgreen 을}}}''' 감싸'''{{{#blue,#dodgerblue 면}}}''' '''{{{#skyblue 그}}} {{{#blue,#dodgerblue 빛에 물}}}{{{#yellowgreen 들}}}{{{#skyblue 어}}}''' '''{{{#skyblue 거}}}{{{#blue,#dodgerblue 부}}}{{{#skyblue 할}}} {{{#blue,#dodgerblue 수}}}{{{#gold 도}}} {{{#skyblue 비}}}{{{#yellowgreen 킬}}}''' 수'''{{{#blue,#dodgerblue 도}}}'''[* '''{{{#gold 거}}}{{{#red 부}}}{{{#darkorange 할}}} {{{#red 수도}}} {{{#darkred 비}}}{{{#violet 킬}}} {{{#red 수}}}{{{#darkred 도}}}'''] '''{{{#skyblue 없게}}} {{{#blue,#dodgerblue 나를 안}}}{{{#yellowgreen 아}}}{{{#skyblue 줘}}}''' '''{{{#green 더}}} {{{#gold 자}}}{{{#blue,#dodgerblue 유}}}{{{#skyblue 롭}}}{{{#yellowgreen 게}}}'''[* '''{{{#blue,#dodgerblue 예}}}'''] '''{{{#yellowgreen 더}}} {{{#gold 숨}}}{{{#blue,#dodgerblue 이}}} {{{#skyblue 차}}}{{{#blue,#dodgerblue 게}}}'''[* '''{{{#gold 워}}}'''] '''{{{#green 월광}}}'''의[* '''{{{#darkviolet 후}}}'''] 춤[*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red;" '''워'''}}}]'''{{{#green 으}}}{{{#skyblue 로}}} {{{#blue,#dodgerblue 불}}}{{{#skyblue 타}}}'''[*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darkred;" '''화'''}}}{{{#!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darkviolet; color: darkviolet;" '''아'''}}}]'''{{{#green 오}}}'''르'''{{{#yellowgreen 게}}}'''[*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gray; color: black;" ['''휘'''}}}{{{#!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gray; color: black;" '''이'''}}}] '''{{{#gold 내}}} {{{#skyblue 안}}}{{{#yellowgreen 에}}}''' 넘치'''{{{#blue,#dodgerblue 는 또 다른}}} {{{#yellowgreen 너}}}{{{#skyblue 는}}}''' '''{{{#skyblue Beau}}}{{{#green ti}}}{{{#yellowgreen ful}}} {{{#green Flo}}}'''wer Under the Redmoon '''{{{#skyblue Beau}}}{{{#green ti}}}{{{#yellowgreen ful}}} {{{#green Flo}}}'''wer Under the Redmoon '''{{{#skyblue Beau}}}{{{#green ti}}}{{{#yellowgreen ful}}} {{{#green Flo}}}'''wer[* '''{{{#skyblue 후}}}{{{#green 우}}}{{{#yellowgreen 우}}}{{{#green 우}}}''' 후우우] Under the Redmoon '''{{{#skyblue Beau}}}{{{#green ti}}}{{{#yellowgreen ful}}} {{{#green Flo}}}'''wer[* '''{{{#blue,#dodgerblue Fl}}}{{{#gold o}}}{{{#skyblue wer}}} {{{#green 후}}}'''워] Under the Redmoon Beautiful Flower[* '''{{{#green Flo}}}'''wer''' {{{#yellowgreen 워어}}}'''] || -1옥타브 파#(F#1) 구간은 '''{{{#!html 파란 배경 효과}}}''' 2옥타브 파#(F#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솔#(G#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skyblue 하늘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gold 노란색}}}''' 3옥타브 레(D5) 구간은 '''{{{#darkorange 주황색}}}''' 3옥타브 미(E5) 구간은 '''{{{#red 빨간색}}}''' 3옥타브 파#(F#5) 구간은 '''{{{#darkred 버건디색}}}''' 3옥타브 솔#(G#5) 구간은 '''{{{#violet 분홍색}}}''' 3옥타브 라(A5) 구간은 '''{{{#darkviolet 보라색}}}''' 4옥타브 미(E6) 구간은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red;" '''빨간 배경 효과'''}}} 4옥타브 파#(F#6) 구간은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darkred;" '''짙은 빨강 배경 효과'''}}} 4옥타브 라(A6) 구간은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darkviolet; color: darkviolet;" '''보라색 배경 효과'''}}} 5옥타브 도#(C#7) 구간은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gray; color: black;" '''검은 배경 효과'''}}} == 곡 분석 == * 조성 : 가장조(A) * 최고음 : '''진성 3옥타브 도#(C#5)''' / 가성 3옥타브 미(E5) * 최저음 : 진성 0옥타브 파#(F#2) /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darkred;" '''그로울링 -1옥타브 파#(F#1)'''}}} * 애드리브 : '''휘슬 5옥타브 도#(C#7)''' [* 공식적으론 5옥타브 도#] * 전체 음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darkred;" '''5옥타브 8키'''}}} 애드리브 포함 시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darkred;" '''[[Transformation(사일런트 아이)|Transformation]], 현세지옥과 함께 국내 모든 남성 곡 중 난이도 1위'''}}} 인 곡이다.[* 현재까지 국내 최악의 난이도의 곡인 [[사일런트 아이]]의 [[Transformation(사일런트 아이)|Transformation]]와 비견되거나 그 이상으로 보인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3옥타브 파#(F#5)'''을 난사하며 최고음이 '''3옥타브 시(B5)'''까지 치솟는 Transformation이 훨씬 높지만 달꽃의 춤은 애드립이 휘슬이긴 하나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darkred;" '''5옥타브 도#(C#7)'''}}}인데다 바닥을 뚫는 저음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darkred;" '''-1옥타브 파#(F#1)'''}}}까지 포함하면 오히려 달꽃의 춤이 더 어려울 수 있다. 저음 부문에서는 더 끝판왕인 현세지옥이 있다. 모든 가사가 -1옥타브 레로 도배되었다.(...)--어차피 셋 다 사람이 부를 수 없는 곡인데 의미가 있나--][* 다만 달꽃의 춤에 나오는 5옥타브 도#은 사실 거의 코러스에 가까워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라 애드리브를 안 부르면 난이도가 크게 낮아진다. 물론 그래도 매우 어려운 곡으로, Transformation은 고음역대, 현세지옥은 저음역대, 달꽃의 춤은 넓은 음역대로 목을 조지기 때문에 제대로 된 보컬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이라면 절대로 따라해서는 안 된다.] 마크툽도 라이브로는 단 한 번도 부르지 않은 노래니 말 다 했다. 템포도 빠르고, 벌스와 후렴구가 전체적으로 높다. --[[오늘도 빛나는 너에게|어디서 본듯한..]]--[* 실제로 애드립을 제외한 난이도도 [[오빛너]]와 동급이다. 오늘도 빛나는 너에게 역시 굉장히 높은 난이도를 자랑한다는 걸 감안하면..] 후렴구가 시작하기 직전에는 초반인데도 3옥 미가 가성으로 나오고, 본격적으로 후렴구로 가면 어지간한 남자 노래 최고음인 2옥타브 라~3옥타브 도#이 쫙 깔려 있다. 2옥타브 중반에서 별로 안 내려온다. 한술 더 떠서 템포도 빠르니 지독하게 어렵다. 그리고 3절 직전 'falling down' 가사에서 1옥타브 파#, 0옥타브 파#,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darkred;" '''-1옥타브 파#(F#1)'''}}}으로 한 옥타브씩 내려간다. 3절 후렴구 후반부엔 3옥타브 후반~4옥타브를 넘나드는 것을 넘어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darkred;" '''5옥타브 도#(C#7)'''}}}까지 올라가는 잔인한 고음을 자랑한다. 휘슬인 걸 감안해도 이 음은 절대 쉽게 낼 수 있는 음이 아니다. 사실상 커버하는 게 불가능에 가까운 노래다(...). 저음도 만만치 않다. 평균 남성 최저음이 0옥타브 중반인데, 이것을 뚫어서 그로울링으로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4px red; color: darkred;" '''-1옥타브 파#(F#1)'''}}}까지 가는 엄청난 저음을 선보인다. 그로울링이 약간 편법이긴 하지만 이 음은 옥타비스트 음역이다. '''국내 노래 중 음역변동폭이 가장 넓은 노래이기도 하다'''.이 정도면 국내를 넘어 '''세계 모든 곡 통틀어서도 TOP에 속할 정도다.''' 기본적인 곡 음역대가 0옥타브 ~ 4옥타브인 카자흐스탄 유명 가수 [[디마시 쿠다이베르겐]] 노래 중에서도 이 곡 이상의 음역을 가진 노래는 원곡 기준으론 한 개도 없을 정도. [각주] [[분류:가요]][[분류:한국 노래]][[분류:발라드]][[분류:2022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