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의회]][[분류:한자어]] |||| '''{{{#FFFFFF 언어별 명칭}}}''' || ||'''[[한국어]]''' ||단원제, 일원제 || ||'''[[한자]]''' ||{{{+1 單院制, 一院制}}} || ||'''[[영어]]''' ||Unicameralism (유니캐머럴리즘) || [목차] == 개요 == '[[의회]]를 상하(上下) 양원(兩院)으로 구분하지 아니하고 하나만 두는 [[제도]]'이다. '일원제'라고도 한다. [[입법부]]([[의회]])가 1개의 원(院)으로 구성되어 있는 체계.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원으로 구성하는 제도를 '다원제(多院制, multicameralism)'라고 한다.[* 현존 다원제는 전부 [[양원제]]이다.] == 단원제의 장·단점 == 장점으로는 국정처리가 신속하여 비용 절감이 된다. 그리고 [[국회]]의 책임소재가 명확하고 [[정부]]에 대한 국회지위가 강력하다. 단점으로는 다수당의 횡포에 견제가 어렵고 [[의회]]와 [[정부]]간의 충돌시 해결이 어렵다. 특히 [[대통령제]] 하의 단원제가 아닌 [[의원내각제|의회제(의원내각제)]] 하의 단원제인 경우 행정-입법부가 견제없는 단일권력이 되기 때문에 민주적인 의사결정 면에서 문제의 소지가 있다. [[양원제#s-3|양원제의 장·단점]] 문서로. == 단원제를 시행 중인 예 == * '''[[대한민국]]''' * [[대한민국 국회|국회]], [[지방의회|광역의회, 기초의회]]가 모두 단원제이다. * 1952년 [[1차 개헌]]으로 단원제를 [[양원제]]([[민의원]]·[[대한민국 참의원|참의원]])로 고쳤다가 1962년 [[5차 개헌]], 즉 제3공화국 헌법에서 다시 단원제를 채택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미국]] * [[지방의회]]: 미국의 주의회들은 대부분 [[양원제]]인데, 그보다 훨씬 낮은 권한을 가진 지방의회의 경우 거의 다 단원제라 봐도 무방하다. [[미국/주|주]]라고 하더라도 [[네브래스카]]와 미국 [[수도(행정구역)|수도]] [[워싱턴 D.C.]](주에 준하는 지역으로 간주)의 의회는 단원제이다. * [[영국]] * [[영국 의회]]와 별도로 입법 기능이 있는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자치 의회는 단원제이다. * [[속령]]의 의회: [[버뮤다]]([[해외 영토]])와 [[맨 섬]]([[왕실령]])을 제외한 나머지 상주 인구가 있는 지역은 단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으며, 상주인구가 없는 해외 영토에는 당연히 의회가 없다. * [[영국 의회]]도 형식상 양원제지만, 상원인 [[영국 귀족원|귀족원]]은 거의 권한이 없어 사실상 단원제처럼 국가가 운영된다. * [[호주]] * 주의회: [[퀸즐랜드]]주와 [[준주]], 해외 영토는 전부 단원제이다. * [[북한]] * [[최고인민회의]] * [[중화권]]: 전부 단원제이다. * [[중국]] * [[전국인민대표대회]] * [[대만]] * [[입법원|중화민국 입법원]][* 과거엔 다원제였다. [[양원제#s-5|과거에 양원제를 시행했던 예]] 문서로.] * [[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싱가포르]] * [[의원내각제]] 국가이지만 단원제다. * [[이스라엘]] * [[이스라엘/정치#입법부|크네세트]]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싱가포르처럼 의원내각제이면서 단원제인 사례. * [[베트남]] * [[베트남 국회]] * [[라트비아]] * [[사에이마]] * [[리투아니아]] * [[세이마스]] * [[에스토니아]] * [[리기코구]] * [[알바니아]] * [[알바니아 의회]] * [[북마케도니아]] * [[북마케도니아 소브라니에]] * [[몬테네그로]] * [[몬테네그로 의회]]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사보르]] * [[몰도바]] * [[몰도바 공화국 의회]] * [[불가리아]] * [[불가리아 국민의회]] * [[세르비아]] * [[세르비아 국민의회]] * [[덴마크]] * [[덴마크 의회]] * [[노르웨이]] * [[노르웨이 의회]] * [[스웨덴]] * [[스웨덴 의회]] *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 국민의회]] * [[우크라이나]] * [[최고 라다]]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 알팅그]] * [[포르투갈]] * [[포르투갈 공화국의회]] * [[프랑스]] * [[프랑스 의회]]가 양원제를 채택하는 반면 프랑스의 지방의회는 단원제로 운영된다. * [[핀란드]] * [[핀란드 의회]] * [[헝가리]] * [[헝가리 국민의회]] 나머지는 [[양원제#s-5|과거에 양원제를 시행했던 예]] 문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