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단국대학]][[분류:단국대학교]][[분류:서울특별시의 남자고등학교]][[분류:1941년 개교]][[분류:서울특별시의 특성화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강남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한민국의 특성화고등학교)] [include(틀: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단국대학교)] ||<-2> '''{{{#white {{{+1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br]Dankook University Software High School[br]檀國大學校附屬소프트웨어高等學校 }}}''' || ||<-2> [[파일: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교표.png|width=200%]] || ||<-2> [include(틀:지도, 장소=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너비=100%)] || || {{{#white '''개교'''}}} || [[1950년]] || || {{{#white '''유형'''}}} || [[특성화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자고등학교|남학교]] || || {{{#white '''운영형태'''}}} || [[사립]] || || {{{#white '''학교법인'''}}} || [[학교법인 단국대학|단국대학]] || || {{{#white '''교장'''}}} || 전영철[* 교장 직무대리. 2023. 9. 1. ~ 현재] || || {{{#white '''교감'''}}} || 전영철 || || {{{#white '''교훈'''}}} || 나를 알며 참에 살고 공부하며 일하자 || || {{{#white '''교목'''}}} || 향나무 || || {{{#white '''교화'''}}} || 철쭉 || || {{{#white '''교수'''}}} || 곰 || || {{{#white '''학생 수'''}}} || 289명^^(2023학년도)^^ || || {{{#white '''교직원 수'''}}} || 41명^^(2023학년도)^^ || || {{{#white '''관할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 {{{#white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로64길 21 ([[대치동]]) || ||<-2> [[http://dankook.sen.hs.kr/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홈페이지)^^ [[https://www.schoolinfo.go.kr/ei/ss/Pneiss_b01_s0.do?HG_CD=B100000581|[[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학교알리미)^^ [[https://www.instagram.com/dksogo.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공식 인스타그램)^^ [[https://www.youtube.com/@user-ih9yi7zz2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공식 유튜브 채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단대소고 교사.jpg|width=100%]]}}} || || '''학교 교사(校舍)'''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8wrRpArJJ8I)] || || {{{#ffffff '''▲ 2024년 단대소고 홍보영상'''}}} || >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는 2020년 3월 개교했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창의 인재 양성을 목표로 '지식 습득'보다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교육을 진행한다.''' > ---- >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설립 목적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Dankook University Software High School, DKSH)'''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이다. [[2020년]] [[3월]] 교명을 지금과 같은 이름으로 변경하였고 기존 학과들을 모두 폐지하고 소프트웨어고등학교의 성격에 맞게 인공지능소프트웨어·사물인터넷소프트웨어·게임콘텐츠 등 3개 학과를 신설했다. ==# 연혁 #== * 1941.05. 25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당동 52-7호에서 일본인 杉市卽平(당시 경성부 의회 부회장)씨가 朝鮮工業 技術學園을 창립하고 초대 원장으로 일본인 木間敎義씨가 취임. 야간부 3년제 토목과 3학급, 기계과 2학급 * 1945. (미상) 木間敎義씨 사임 * 1945.08.15 8. 15 해방과 더불어 柳志玉씨가 본교를 인수하고 교명 櫻工學校를 朝鮮工業學校로 개명하였으며 야간부는 폐지함. 기계과,토목과,전기과의 3개학과(9학급)를 설치하고, 2대 교장에 柳志玉씨 취임 * 1945. 02. 14 재단법인櫻工學校로승격함과동시에 韓.日 학생혼성으로 주.야간 동시수업하다. * 1947.02.08 재단법인백남학원이 구성되어 교명을 白南工業中學校로 변경하고 6년제로 개편 인가 받음 * 1948.10.20 재정상 운영난에 봉착, 재단법인 檀國大學에서 운영권 인수. * 1949.04.20 교장 柳志玉씨 사임 제 3대 교장에 朴堯喆씨 취임. * 1950.06.01 학제변경으로 白南中學校(3년제)와 白南工業高等學校(3년제)로 변경 운영. * 1950.06.25 6.25사변으로 일시 휴교함과 동시에 교장 朴堯喆씨 사임. * 1950.10.01 9.28 수복으로 개교함과 동시에 4대 교장 李宗洽씨 취임. * 1952.06.17 부산 檀國大學 가교사에서 개교함과 동시에 교장 李宗洽씨 사임하고 제 5대 교장에 張炳俊씨 취임. * 1953.08.26 서울 복귀와 동시에 교장 張炳俊 사임. * 1953.09.05 6대 교장에 李明植씨 취임. * 1954.03.01 재단 增財로 재단법인 檀國大學에서 분리 운영 * 1954.07.30 교장 李明植씨 사임하고, 7대 교장에 朴玉來씨 취임. * 1955.03.09 교장 朴玉來씨 사임하고. 8대 교장에 鄭聖杰씨 취임. * 1958.11.12 재단법인 白南學園을 재단법인 檀國大學에 병합키로 인가 받다(문기 제1741호). * 1959.07.27 白南工業高等學校를 檀國工業高等學校로 교명을 병경하고 교장에 鄭聖杰씨 취임.학급으로 개원함 * 1959.09.09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당동282-10호로 교사 이전. * 1962.07.07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당동 282-10호에서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산8번지로 교사 이전. * 1963.12.05 기계과 3학급을 6학급으로 증설 인가받다. * 1964.09.21 교장 鄭聖杰씨 사임하고 교장 직무대리 張鳳植씨 취임하다. * 1964.10.27 교장 직무대리 張鳳植씨 사임하고 교장서리 池東植씨 취임. * 1964.12.17 전기과 3학급을 6학급으로 증설 전학급15학급으로 증설 문교부 인가받다. * 1965.01.21 교장서리 池東植씨 사임. * 1965.01.22 9대 교장으로 李宗洽씨 취임. * 1966.12.12 토목과를 폐지하고 화공과를 신설. * 1968.01.22 교장 李宗洽씨 사임하고 10대 교장으로 張鳳植씨 취임하다. * 1969.03.01 中學校와 高等學校를 분리 운영하다. * 1982.08.25 한남동 산8-35에서 강남구 대치1동 1013번지로 교사 이전. * 1984.10.02 전기과 2학급, 기계과 1학급 , 화공과 1학급 전학급 12학급으로 인가받다. * 1990.02.28 교장 張鳳植 사임. * 1990.03.01 교장 직무대리 尹錫禹씨 취임하다. * 1991.09.01 제 11대 교장으로 尹錫禹씨 취임. * 1991.10.22 전기과 2학급, 기계과 2학급, 화공과 1학급으로 전학급 15학급으로 인가받다. * 1994.08.17 기계과를 폐지하고 전자기계과를 신설 인가받다. * 1997.08.12 교장 尹錫禹씨 사임하고 교장직무대리 金弘銑씨 취임하다. * 1998.10.01 제 12대 교장으로 金弘銑씨 취임. * 1999.07.14 전기과, 화공과를 폐지하고 컴퓨터전기과, 시스템분석화학과를 신설 인가 받다 * 1999.09.01 교장 金弘銑씨 정년퇴직하고 교장직무대리로 金成和씨 취임하다. * 2000.09.01 제13대 교장으로 金成和씨 취임하다. * 2003.09.02 교장 金成和씨 정년퇴임하고 교장직무대리로 辛胤夏씨 취임하다. * 2004.08.01 제14대 교장으로 辛胤夏씨 취임하다. * 2005.03.04 학교법인 이사장에 박석무씨 취임하다. * 2006.09.01 교장 辛胤夏씨 정년퇴임하고 교장직무대리로 徐鴻河씨 취임하다. * 2006.09.01 15대 교장으로 徐鴻河씨 취임하다 * 2007.09.01 교장직무대리 徐鴻河씨 정년퇴임하고 교장직무대리로 金相洙씨 취임하다. * 2008.06.01 제16대 교장으로 金相洙씨 취임하다. * 2007.11.21 학교법인 이사장 박석무씨 사임하고 직무대행 박유철씨 취임하다. * 2008.01.03 학교법인 이사장에 박유철씨 취임하다. * 2008.09.01 교장직무대리로 張畯星씨 취임하다. * 2011.09.01 오석무 교장선생님 취임 * 2012.01.01 학교법인 단국대학 김학준 이사장 취임 * 2012.08.17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제9회 Be the CEOs * 2013.03.01 장충식 이사장 취임 * 2015.03.01 박인열 교장선생님 취임 * 2016.11.23 사단법인한국생활안전연합회 이수패 수여 * 2017.03.01. 민병남 교장선생님 취임 * 2020.03.01. 김종승 교장선생님 취임 * 2020.03.01. 교명변경,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개교 * 2020.12.24. 장호성 이사장 취임 * 2021.03.01. 오장원 교장선생님 취임 * 2023.09.01. 교장 직무대리로 전영철 교감선생님 취임 == 상징 == === [[교훈]] === * '''나를 알며''': 학생으로서, 한국인으로서, 세계인으로서의 나 (가치관 확립) * '''참에 살고''': 정의 존중, 충효심 양양, 인류애 발휘 (진리추구) * '''공부하며 일하자!''': 학업충실, 일인일기 습득, 실천봉공 (보은 보국) === [[교화]] === * [[철쭉]] 연분홍빛 꽃은 열정을 상징하고, 초록빛잎은 평화를 상징한다. 온 산에 가득 피는특성을 통하여 공존공영과 민주성 그리고보편성을 본받는다. === [[교목]] === * [[향나무]] 측백나무과의 삼록침엽 교목으로 ‘향기가 나는 나무’ 라는 의미의 향나무는 예로부터 청향이라 하여 정신을 맑게 하고부정을 없애는 향이라고 믿어왔다. 사철푸르름으로 강인한 의지와 예리한 기지를표방한 향나무처럼 올곧은 마음가짐으로세상의 청향제 역할을 단국인으로 성장하기를 표상한다. === [[교가]] === ||
[youtube(rfQ7Zd8vo7U)] || || {{{#ffffff '''▲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교가'''[* 영상은 [[단국대]], [[단대부중]], [[단대부고]] 교가로 나오지만 [[학교법인 단국대학|단국재단]] 산하의 학교들은 모두 같은 교가를 공유해서 단대소고도 마찬가지로 위 영상과 같은 교가를 사용한다.]}}} || ||
[[파일: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교가.jpg]] || || 영기찬 백두산의 정기를 받고 한양성 배움터에 모여든 학도 젊은피 끓는 가슴 부둥켜 안고 찬연한 앞을 향해 뛰어 나간다 받들라 혜당여사 높은 그 뜻을 빛내라 단국학원[*a [[단국대학교]]의 경우에는 '''단국대학'''으로 나온다.] 우리의 모교 받들라 범정선생 굳센 그 뜻을 빛내라 단국학원[*a ] 우리의 모교 || || [[http://dankook.sen.hs.kr/crosseditor/binary/files/schoolsong/SEI_00001178/schoolSong.mp3|음원]] || == 학과 == 학과는 2학년에 진학할 때 정하게 되며, 1학년때는 공통과목을 수강한다. *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2개반 (1, 2반) * 사물인터넷소프트웨어과 2개반 (3, 4반) * 게임콘텐츠과 1개반 (5반) == 학교 특징 == === 시설 === * 단대부고와 달리 100여명의 학생들이 한 층을 사용하므로 시설이 매우 관리가 잘 된다. * 공고에서 소프트웨어 고등학교로 변경된 이후, 지속적인 리모델링 공사를 해서 전체적인 시설들이 거의 새것이나 다름없다. * 실습실마다 다르지만, 펜티엄 G4400~11세대 i7까지 만나볼 수 있다. (지하 1층에 있는 컴퓨터들이 펜티엄일 확률이 높다.) * 스터디카페, 자습실 등이 매우 잘 갖추어져 있다. 1학년은 4층 위클래스, 주말에는 2층 스터디카페에서 공부할 수 있다. * 2023년 5월 이후 1학년 교실이 일반칠판에서 전자칠판으로 교체된 이후로 전학년 모두 전자칠판을 사용하게 되었다. 1학년 기준으로 전자칠판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는 인텔 코어 i7 기반의 컴퓨터이다. * [[1982년]]에 [[용산구]] [[한남동]] 산 8번지[* 지금의 [[한남더힐]]의 위치. 당시 [[단국공업고등학교]]와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단국중학교]]가 [[단국대학교/서울캠퍼스|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랑 한 자리에 있었다.]에서 현 교사(校舍)인 [[대치동]] 1013번지로 이전할 당시에는 학교 건물이 3층까지 있었다. 이후 [[1985년]]에 지금의 1학년 교실인 4층이 확장되었다. 당시 4층 건물을 올릴 때, 학교 인근에 있던 아파트의 [[일조권]]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4층을 확장하기 위해 높이를 낮게했다고 한다. 그래서 1학년(4층) 교실만 높이가 유독 2,3학년 교실보다 낮다. === 복장 === * 로고 등이 부착되지 않은 단색 카라 티셔츠[* 티나지 않는 작은 로고 등은 허용된다.][* DKSH라고 적힌 반팔티는 단체 구매하여 각 반에서 배부하는 것이다. 교복은 아니지만 암묵적으로 허용한다.] * 베이지색 면바지 * 과잠(선택) 기본적으로 단색 카라 티셔츠에 베이지색 면바지를 입고 오는 것이 규칙이지만, 로고가 없는 단색 티셔츠를 찾기란 굉장히 힘들기에 작은 로고는 그냥 허용한다. 바지의 경우 베이지색이 범위가 넓어서, 첫 등교하면 다들 베이지색 면바지긴 한데 색이 제각각이다. 과잠은 선택 구매하면 되는데, 생각보다 따뜻하고 디자인도 무난무난해서[* 다른말로 평범하다.] 하나쯤 구매해두면 나쁘지 않다. === 진학 === '''<2022년>''' 12월 31일 : 2023학년도 대입 수시전형 결과 재학생 100명 중 48명 합격 (1기 졸업 예정자 - 중복제외) '''<2023년>''' 02월 28일 : 2023학년도 3학년 졸업생 100명 중 84명 합격 (1기 졸업자 - 중복제외) [[https://www.etnews.com/20230314000103|링크]]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2021년>''' 09월 24 ~ 25일 :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포트폴리오 전시 페스티벌 09월 25일 : 스마트도시 강남구 | 2030 미래 진로 체험 릴레이 특강 === 특화 프로그램 === * 소프트웨어 분야 * SW선도학교 * [[강남구청]] 강남아올학교 * [[메이커스페이스]] 디케이게러지(DK-Garage) * [[중소벤처기업부]] 청소년 비즈쿨 운영학교 * 자기주도학습프로그램 베네듀 * 정보통신윤리교육 * 교양 분야 * 민주시민의식 함양교육 * 동영상활용 명상교육 * 영어단어 인증제 * 교내외 대외활동 * 독서토론대회 * 프로그래밍경진대회 * 자기주장 영어발표대회 * 학교홍보 UCC 대회 * SW-AI 융합경시대회 * 개임개발경연대회 * 메이커톤대회 한마당 * 영어에세이쓰기대회 === 학교 일과 === ||<-2> {{{#FFF '''시간표'''}}} || || '''등교''' || 8시 10분[* 8시를 넘으면 학급 지각이고, 8시10분을 넘으면 미인정 지각이다.] || || '''학급 조회''' || 8시 10분 ~ 8시 20분 || || '''1교시''' || 8시 30분 ~ 9시 20분 || || '''2교시''' || 9시 30분 ~ 10시 20분 || || '''3교시''' || 10시 30분 ~ 11시 20분 || || '''점심시간''' || 11시 20분 ~ 12시 10분[* [[단대부고]] 시간을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단대소고는 3교시후에 먹는다] || || '''4교시''' || 12시 10분 ~ 13시 00분 || || '''5교시''' || 13시 10분 ~ 14시 || || '''6교시''' || 14시 10분 ~ 15시 || || '''7교시''' || 15시 10분 ~ 16시 || || '''학급 종례''' || 16시 ~[* 월요일은 6교시 수업으로 3시 종례이다. ] || ||<-2> {{{#FFF '''자율학습 시간표'''}}}[* 원하는 요일과 원하는 교시를 선택할 수 있다] || || '''1교시''' || 15시~ 16시[* 월요일만 해당한다.] || || '''석식''' || 16시 ~ 17시 || || '''2교시''' || 17시 ~ 20시 50분 || || '''3교시''' || 21시 ~ 21시 50분 || || '''4교시''' || 22시 ~ 22시 50분 ||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노선 === ||<-2>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2> 단대부고.대치아이파크아파트 (23-221/91-059)[br]도곡렉슬아파트정문 (23-332/91-060) || [[서울 버스 242|242]], [[서울 버스 472|472]], [[서울 버스 2415|2415]], [[서울 버스 3414|3414]], [[서울 버스 3426|3426]], [[서울 버스 4432|4432]] || ||<-2> 한티역 3번출구.서울강남고용노동지청 (23-222, 23-265) || [[서울 버스 333|333]], [[서울 버스 340|340]], [[서울 버스 361|361]], [[서울 버스 420|420]], [[서울 버스 461|461]], [[서울 버스 2415|2415]], [[서울 버스 4312|4312]] || ||<-2> 한티역 2번출구.서울강남고용노동지청 || [[서울 버스 333|333]], [[서울 버스 340|340]], [[서울 버스 361|361]], [[서울 버스 420|420]], [[서울 버스 461|461]], [[서울 버스 4312|4312]] || === 철도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 [[한티역]]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0]]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 [[도곡역]] == 출신인물 == * [[곽인식(정치인)|곽인식]] * [[김학규(노이즈)|김학규]] * [[박민혁(셰프)|박민혁]] * [[김태현(범죄자)]] == 기타 == * 간혹 단대부고 학생들이 단대소고 학생들을 특성화고라는 이유만으로 비하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단대부고는 일반고 중에서도 전국적으로 유명한 학교지만, 그렇다고 하여 다른 학교를 비하하거나 비난하는 행위는 옳지 않다.] * 과잠에 있는 마크의 'D' 모양이 [[두산 베어스]]의 심볼 마크와 매우 유사하게 생겼다. * 2023년부터 [[단대부고]]와 단대소고 모두 핸드폰을 걷는다. * 단대소고 갤러리에 적힌 글들은, 어느 학교나 그렇지만 부정적인 경우가 많다. 명문으로 꼽히는 단대부고 갤러리만 봐도 그렇다... 갤러리는 재미로만 보도록 하자. * 학교 분위기 자체는 특성화고 하면 떠올리는 노는 학생들이 많은 이미지와 달리 상당히 공부에 열중하는 학생들이 많다. 더군다나 선생님들이 단대부고에서 수업하신 경험이 있는 분들도 많아서 100% 그렇다고 할 수는 없지만, 수업의 질도 상당히 좋다. * 이른 아침에 축구나 농구를 하는 학생들도 있다. * 점심시간이나 선생님이 허용하는 수업에서는 노트북으로 코딩을 하는 친구들도 있다. 물론 웹서핑이나 게임을 하는 경우도 있다. [* 선생님마다 차이가 있으나, 잘못 걸리면 전자기기를 압수당할 수 있다. 물론 애초에 게임 자체를 수업시간에 하는 것 자체가 잘못이다.] * 운동장이 매우 넓지만, 단대부중, 단대부고, 단대소고 3개 학교가 사용하므로 실제로는 그렇게 넓은 것은 아니다. 물론 체육시간이 다른 반들과 겹치지 않으면 그 넓은 운동장을 독점할 수도 있다.[* 다만 높은 확률로 수업을 마친 단대부중 학생들이 축구 골대 일부와 농구장 절반을 점거한다] * --과잠을 입고 가방을 메어서 소프트웨어 고등학교를 의미하는 영문을 가리면 단국대학교 학생인 척 할 수 있다.-- * [[단국대학교]]가 발전하면서 당시 [[단국대학교/서울캠퍼스|서울 한남동 캠퍼스]]의 건물을 더 지을 공간이 없자 한 울타리 안에 있었던 [[단국공업고등학교]]와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단국중학교]]를 [[대치동]]에 있는 학교용지 6천평으로 이전 시킬 계획을 세웠다. 원래는 땅 주인으로부터 학교용지만 인수하려고 했지만 땅 주인의 공원용지 끼워 팔기에 더해 학교 설계를 하면서 보니 땅 주인이 가지고 있던 공원용지까지 포함시키지 않고서는 도저히 제대로 된 학교가 나오지 않게 되었고, 게다가 [[이태섭(1939)|지역구 국회의원]]의 인문계 고등학교 설립 요구까지 더해 어쩔 수 없이 공원용지까지 인수하면서 공원용지를 학교용지로 전환하고 [[1982년]]에 모든 공사를 완공시켰다. 이후 [[단국공업고등학교]]가 이전하고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단국중학교]]는 이전과 동시에 지금의 이름인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인문계 고등학교인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 둘러보기 == * [[단국대학교]] *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학교법인 단국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