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단국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include(틀:단국대학교)] [include(틀:단국대학교의 단과대학)] [목차] == 개요 == 단국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부는 [[도시학과|도시지역계획학전공]]과 [[부동산학과|부동산학전공]]으로 나뉘는 학부이다. 도시지역개발 전문가와 부동산 금융, 부동산 건설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는 학과이며, 전국적으로는 수가 적은 소수 학과에 속한다. 학과가 아니라 학부여서 2학년 때 도시지역계획학과 부동산학 중 전공을 선택하게 되어 있는 학부이다. 그러나 인원의 8/90프로는 부동산학 전공을 선택한다.[* 물론 부동산학과 도시지역계획학을 둘 다 전공하는 학생도 상당수 존재한다.][* 참고로 부동산학과 도시지역계획학 전공은 4-2학기까지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단국대학교 안에서 숨은 꿀(?) 학과로 유명하며, 그만큼 취업률도 문과 안에서 높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신탁사, 건설사, 은행을 많이 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역사 == ||<-2>
[anchor(법과대학)]{{{+1 {{{#ffffff '''도시계획·부동산학부'''}}}}}} || || 연도 || 연혁 || ||1975||지역개발학과 설치|| ||1983||대학원 석사 과정 신설|| ||1985||대학원 박사 과정 신설|| ||1999||본교의 지역개발학과, 도시계획학과와 도시행정학과를 통합하여 도시 및 지역학부 (도시 및 지역계획학전공과 부동산학전공) 를 신설|| ||2000||광역학부제 실시로 사회과학부내 부동산학전공으로 변경.|| ||2006||사회과학부에서 소학부체제인 도시계획부동산학부로 독립|| ||2007||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126번지(죽전로 152) 죽전캠퍼스로 이전|| ||2007||부동산 건설대학원 개원|| == 교수진 == === 전임 교원 === * 고석찬 교수: 가장 원로 교수로 2023년 정년 퇴임 예정이다. 산업단지 전문이다. * 김호철 교수: 현 부동산 건설대학원 장이자 부동산 건설대학원을 일으켜세운 장본인이다. 또한 한국도시재생학회 초대 회장이자 도시재생학회를 설립한 교수이다. 주택정책쪽과 도시재생 전문이다. * 김현수 교수: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26대 학회장이다. 북한 사회주의 도시계획과 주택 정책 전문이다. * 박승훈 교수: 현 대학원장이자 단국대학교 학부 출신 교수이다. * 송명규 교수: 단국대학교 학부 출신 교수이다. 환경 철학 전문이다. 전 감정평가사 출제 위원이기도 하다. 특이점으로 충북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는 것이다. * 유정석 교수: 현 입학처장이다. 부동산 금융 전문이다. 학생들에게 관심과 애정이 많다. * 이혜경 교수: 현 학부장이다. * 이호병 교수: 전 한국부동산학회 학회장이다. 또한 공인중개사 학원 경록의 교재를 집필했다. 약력을 보면 공인중개사 시험 출제 경력도 있다. * 현동우 교수 === 특별 교원 === * 김병량 교수: 전 단국대학교 부총장, 죽전 캠퍼스 위치 선정 및 단국대학교 병원 건립의 주요 인물이다. [[조명래]] 교수와 함께 70년대 [[장충식]] 전 총장의 특별장학금의 수혜자 중 한명이다. * [[조명래]] 교수: 전 [[환경부 장관]]. 김병량 교수와 함께 70년대 [[장충식]] 전 총장의 특별장학금의 수혜자 중 한명이다. * 홍기용 교수 * 이동일 교수: 현 감정평가사 == 전공 과목 == * 도시지역계획학과 부동산학은 전공 기초와 전공 필수를 공유하며, 전공 선택에서만 갈리는 구조이다. [[파일:교육과정_최종.jpg]] === 전공 필수 === * 공간과 사회: 1학년 1학기 학부 기초이자 가장 철학적인 과목이다. 신입생들이 매년 난해하다고 불평하는 과목 중 하나이다. * 부동산과 생활경제: 부동산학의 기초를 배우는 과목이며 대부분 [[공인중개사]] 내용과 겹치는 과목이다. * 부동산학입문: 부동산과 생활경제에서 더 심도 깊게 배우는 과목이다. 상당수는 공인중개사 내용과 겹친다. * 현대 도시의 이해: 현대 도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루는 과목이다. 전반적으로 도시계획과 도시행정 관련에 대한 넓게 배운다. * 도시계획: 도시계획의 기초를 배운다. * 부동산입지 * 도시개발론 * 주택론입문 * 토지론입문 === 전공 선택 === ==== 도시지역계획학전공 ==== ==== 부동산학전공 ==== == 진로 == * 단국대의 문과 전체에서 경영경제대학 다음으로 취업률이 높은 학과이다. * 학과 인원의 상당수는 은행, 신탁사, 건설사로 취업하며 취업이 상당히 잘되는 편이다. 그래서 교수님들이 대학원 진학자가 없다고 불평(?)하기도 한다. * 공개된 [[감정평가사]]의 누적 합격자 수(11회~28회) 49명으로 17번째이다. 죽전 캠퍼스에 감정평가사 고시반이 없고 부동산학부에 대한 학교의 지원 부족을 고려하면 선방하는 편이다. * 신탁사, 건설사, 도시공사, LH, 은행 등 아웃풋이 문과 내에서 좋은 편에 속한다. 간혹 법원직9급, 로스쿨의 합격자도 나온다. == 학과 동아리 == * 유리드: 2014년에 만들어진 학술 동아리이다. 매년 학술제 등 여러 부동산 관련 학술 활동을 하고 있으며 건국대, 중앙대 부동산 학술 동아리와도 매년 교류를 한다. * 리업: 도시계획부동산학부의 축구 동아리이다. --보통 고학번들이 공격수를 맡는다.-- == 동문 == * [[조명래]] - 제18대 [[환경부장관]] * [[수잔 샤키야]] - 방송인 * [[원성수]] - 제7대 [[공주대학교]] 총장 * 김종득 - 제7대 前[[우리종합금융]] 대표이사 == 여담 == * 부동산건설대학원이 잘 나가는 편이다. 최근에 만들어진 [[한양대학교]] 부동산대학원도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을 벤치마킹에서 만든 대학원이다. * [[FM]]은 '비전 도시'이다. * 매년 11월에 1박 2일로 지역 답사를 간다.[* 처음으로 지역답사를 간 것은 1993년 한남 캠퍼스 지역개발학과 당시에 갔는데 첫 답사 지역은 [[분당신도시]]였다고 한다.][* 말이 지역답사지 사실상 엠티라고 보면 된다. ] * 1999년 한남캠퍼스 지역개발학과, 천안캠퍼스 도시행정학과, 야간 도시계획학과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학과인데, 동문회 간의 통합이 안 이뤄져서 현재까지도 통일된 동문회가 존재하지 않는 학과이다. * 한 학년에 75명이며 성비는 보통 여자가 약간 더 많은 편이다. * 유독 교수가 부족하고 강사가 많은 학과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단국대학교/학부, version=r488)] [[분류:단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