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CL의 음반, rd1=Doctor Pepper)] [include(틀:LG생활건강)]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닥터페퍼.jpg|width=100%]]}}}|| [[미국]] 큐리그 닥터페퍼(Keurig Dr Pepper Inc.)[* 구 닥터페퍼-스내플 그룹. [[2018년]] [[6월 9일]], 자사에 [[인수합병]]되어 현재에 이른다.]의 닥터페퍼/[[세븐업]]사에서 제조해 판매하는 [[탄산음료]] 기업이다. [[미국]] [[텍사스]] 주에 본사가 위치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큐리그 닥터페퍼가 직접 생산 및 판매한다. 다만 [[유럽]]과 [[대한민국]][* 코카콜라음료에서 제조한다.], [[일본]]에선 [[코카콜라]]에 [[위탁생산|위탁]], [[캐나다]]와 [[오세아니아]]에서는 [[펩시콜라]]에서 생산 및 판매를 [[위탁생산|위탁]]한다. == 역사 == [[1885년]], [[텍사스]] 주에서 처음 판매되어 100여 년을 넘는 역사를 가진 근본 있는 음료[* 스스로 최초의 [[콜라]]라고 주장했다는 루머가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출시 연도를 봤을 때 코카콜라보다 몇 년 빠르므로, 최초로 상업화된 탄산음료로 볼 수는 있다.]로 닥터페퍼라는 이름의 유래는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제대로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닥터페퍼의 개발자인 찰스 앨더튼을 고용하고 있던 [[약국]] 주인 모리슨이 제안한 이름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모리슨의 [[약국]]은 페퍼라는 성을 가진 [[의사]]가 [[진단서]]를 끊어주면 약을 제조해 주는 즉 Dr. Pepper의 전속 [[약국]]이었기 때문. 여기에는 '''모리슨이 페퍼의 딸을 좋아했기에 제안'''했다는 숨은 비화가 있다. 이 말대로면 공식 홈페이지에서조차 유래를 찾을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이 회사는 [[2008년]]에 캐드베리-슈웹스 아메리칸 베버리지스를 인수해 과일 음료 '하와이안 펀치'[* 이 음료는 [[1932년]]에 A.W. 레오와 톰 예이츠, 랄프 해리슨 3명이 [[캘리포니아]]주 [[풀러턴]]에서 개발해 [[1946년]] 투자자 루벤 P. 휴즈에게 팔려 사명도 '퍼시픽 하와이안 프로덕츠 사'가 됐다. [[1963년]], [[담배]] 재벌 R. J. 레이놀즈에 팔렸다가 [[1988년]]에 모기업이 콜버그 크래비스 로버츠에 매각되자 [[1990년]]에 [[P&G]]에 인수 되었다. [[1999년]]에 [[영국]] 캐드베리-슈웹스에게 팔렸다.]도 품에 안았다가, [[2018년]] [[커피]] 업체 큐리그 그린마운틴에 인수되어 '''큐리그 닥터페퍼'''가 되었고, 닥터페퍼-스내플 그룹을 인수합병했다. == 맛 == 제조사의 주장에 따르면 블랙[[체리]], [[아몬드]], [[감초]], [[캐러멜]], [[콜라]], [[생강]], [[레몬]], [[자두]] 등 여러 재료의 23가지 맛과 향이 베이스라고 한다. 다만 판매되는 제품은 천연 향료가 아닌 합성 향료가 들어간다. 확 꼬집어서 말하기 힘든 오묘한 맛이 난다. 그나마 좀 객관적인 평이라 함은 '체리 향이 연하게 나는 캐러멜 + 옅은 체리 맛의 탄산음료' 혹은 '[[투시 팝스]]의 체리맛을 음료수로 만든 맛', '체리맛 사탕 + 마시멜로'. 굳이 말하자면 체리맛 콜라랑 비슷하다는 정도지만, 이마저도 실제로는 두 음료 간에 차이가 나는 편이다. [[아몬드]] 맛이라는 평도 있다. 실제로 볶지 않은 생아몬드의 경우, [[체리]]와 상당히 유사한 향[* 아몬드 역시 [[벚나무]]속이다.]이 나며, 아몬드 [[리큐르]]인 [[디사론노]] 역시 닥터페퍼와 굉장히 유사한 맛과 향이 난다. 이를 [[맥주]]와 섞은 '플레이밍 닥터페퍼'라는 [[칵테일]]이 있을 정도. 플레이밍 닥터페퍼 레시피와 유사하게 맥주(대부분은 [[인디아 페일 에일|IPA]]를 쓴다)와 디사론노를 넣고 여기에 펩시나 코카콜라를 같이 섞으면 '알코올릭 닥터페퍼'가 된다. IPA를 별로 좋아하지 않다면, 콜라만 넣고 디사론노와 섞어도 된다. 체리 코크와 비슷하게 느끼는 이유는 캐러멜 베이스에 체리 향이 가미된 느낌 때문이지만, 체리 코크와 같이 마셔보면 체리 코크는 코카콜라 특유의 맛과 향에 체리 향이 약간 가미된 정도의 느낌이지만, 닥터페퍼의 경우에는 캐러멜 베이스에 인공 체리 향이 강하게 나는 느낌이기 때문에 맛 차이가 크다. 이름에 페퍼라 쓰여서 [[후추]] 향이나 후추 맛이 나나 걱정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여기서 페퍼는 사람 이름이라서 후추 맛이 나거나 하진 않는다. 약간 [[향신료]] 같은 알싸한 맛은 있지만, 후추의 맛은 아니다. 페퍼라는 단어 자체가 중의적이라면, 향신료와 후추 두 가지를 지칭하는데, 여기서는 그나마 향신료와 중의적인 사람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까지가 통상 [[한국]]에 판매 중인 닥터페퍼의 맛이고, 다른 콜라나 [[환타]]처럼 닥터페퍼도 매우 다양한 [[베리에이션]]이 있는데, 한국에서는 오리지널(23가지 향이 첨가된 닥터페퍼)만 판매되지만, 미국 본토에서는 닥터페퍼 다이어트, 닥터페퍼 제로 슈거, 닥터페퍼 체리, 닥터페퍼 체리 바닐라, 닥터페퍼 카페인 프리, 닥터페퍼 바닐라 플로트, 닥터페퍼 크림 소다, 닥터페퍼 텐 등이 판매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러한 베리에이션 제품들을 [[미군]] 부대를 통해 반출된 소매점에서 드물게 찾아볼 수 있었으나, 미군 부대 [[PX]] [[면세]] 제품에 대한 유통이 불법이고 단속을 강화하여 현재는 미국산 닥터페퍼를 취급하는 곳을 찾기 어렵게 되었다. 찾기 어려운 특성 탓에 존재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있고, 그런 사람이 타 지역에 갔다가 냉장고에 보이는 빨간 캔을 코카콜라인 줄 알고[* 코카콜라와는 향과 맛이 달라서 그렇지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콜라이기는 하다]].] 구매하기도 한다. 불호 쪽은 이렇게 낭패당하고 안티로 돌아서는 경우가 많다.[* 다만 제로 슈거는 특유의 호불호 갈리는 체리맛과 향(일명 체리 사탕맛)이 많이 줄어들어서 입문용으로는 가장 괜찮은 편.] == 한국에서 == [[1980년대]]에 250ml 캔으로 정식 발매된 것이 시초. [[1990년대]]를 거치면서 일시 판매 중지됐다가 [[1999년]] 한국코카콜라를 통해 [[해태음료]]에서 다시 250ml캔으로 발매됐다. 이후 판매 중단하다가, 355ml로 판매 중. 250ml는 [[2014년]]에 잠시 부활했다가 다시 모습을 감췄다. [[1990년대]]에는 수입품 전문점에서 종종 취급했으며, 미군 부대 [[PX]]에서 유출된 물량을 [[노점상]] 등지에서 팔기도 했다. [[신촌]], [[압구정동]] 등 번화가에서 당시 유행하던 테이블에 전화기 달린 [[카페]]에서도 많이 취급했었다. 이런 카페에선 얼음이 담긴 컵과 355ml 캔을 따로 내줘서[* [[1980년대]] 중반~[[1990년대]] 중반 이야기인데, 그런 카페에서는 값도 비쌌다. [[1990년]]에 6,000~8,000원이었는데, [[2018년]]의 물가로 환산하면 만오천 원에서 이만 원 정도.] 당시 캔 음료의 용량이 250ml가 대부분이었고[* [[주스]], 음료류는 작은 깡통에서 커진 경향이 있고, 콜라 사이다 같은 탄산음료는 뚱캔이 줄어드는 쪽으로 바뀌었다.], [[1990년대]] 중반 이전에는 수입 음료도 흔하지 않아서 마치 [[2000년대]] 중반 [[스타벅스]] [[로고]]가 달린 [[종이컵]]이 가지는 위상을 당시에는 355ml 수입 캔이 누리고 있었다. 그냥 슈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게 카페엔 있으니, [[웰치 소다|웰치스]]와 닥터페퍼는 카페에서만 파는 줄 알던 사람도 많던 시절. [[2000년대]] 이후에는 왠지 [[PC방]]에서 355ml짜리 캔으로 파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그 외에도 [[한솥]]이라든가 [[아이스크림]] 할인점이라든가 [[국도]]변의 논-프랜차이즈 [[편의점]] 등 참으로 미묘한 소매점에서만 팔고 있었다. 일단 가장 확실하게 입고시켜 놓는 곳은 [[써브웨이]]. 써브웨이 음료 냉장고를 보면 닥터페퍼가 항상 자리잡고 있다. 다만 가격은 1500원으로 약간 비싼 편. 그 외 국내 생산 공장이 [[안동시]] 소재라[* 안동과 함께 [[예천군|예천]] 단 두 곳에 있는 공장에서만 만든다.] 안동시 시내에선 타지보다 자주 보인단 증언도 있다. [[서울 지하철 9호선]][* 9호선 자판기에선 일자미상에 사라졌다.]이나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등의 [[자판기]]는 한국코카콜라가 계약 운영하는데, 이런 자판기에서는 꽤 높은 확률로 닥터페퍼도 판매하고 있다. 또한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한국외대 글로벌캠퍼스]] 도서관에 설치된 자판기에서도 판매하고 있다. [[2010년대]] 중후반 이후로는 3대 전국구 [[대형마트]] 체인부터 중소형 마트, 식자재 마트, 소규모 [[슈퍼마켓]]에 이르기까지 적잖은 곳에서 닥터페퍼를 판매하고 있어 예전에 비해 확실히 많이 퍼진 편이다. [[2021년]] [[10월]], 500ml 페트를 [[https://twitter.com/CocaCola_Korea/status/1452530370084102146|런칭]]했다. [[10월]]~[[11월]]에는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을 통해서 선발매되었으며, 다소 지난 후에 타 편의점 체인에서도 취급 시작했다. === 제로 출시 === [[2022년]] [[10월]] 초, 한국코카콜라의 직영 몰을 통해 닥터페퍼 [[제로칼로리|제로]] 355ml의 예약 판매 접수가 시작되었다. 닥터페퍼 오리지널 이외의 베리에이션이 국내에 발매되는 것은 처음으로 [[10월 21일]]부터 출고 중. [[2023년]] [[3월]]부터는 편의점 체인을 통해 일반 소매점에서의 유통도 개시했다. 전체적으로 제로음료 중에서 원본의 맛을 충실히 재현했다는 평을 받으며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 닥터페퍼 증후군? == '인기가 없는 닥터페퍼를 마시며 남들과 다르다는 우월감을 느끼는 병'이라는 내용과 '[[2011년]] 연구 논문을 통해 [[심리학]]계에 정식 등록된 [[정신병]]'이라는 내용을 담은 '''낚시글'''이 인터넷에 올라오는 경우가 있다. 이런 [[정신 질환]]은 당연히 존재하지 않는다. [[2011년]] 경에 닥터페퍼에 환장하는 주인공들이 나오는 [[슈타인즈 게이트]]와 [[하느님의 메모장]]이 방영되어 한국 [[서브컬처]] 팬덤에 널리 알려졌는데, 닥터페퍼가 한국에서는 마시는 사람만 마시는 음료이기 때문에, 그리고 구매층 중에 오타쿠가 제법 있다보니 생긴 말로 추정된다. 다만 이런 증후군이 거짓이란 것과는 별개로 힙스터 픽이라는 인식 자체는 있는편이다. == 사건 == [[2008년]] [[10월]], 10년 넘게 나온다는 소문만 무성한 채 그 모습을 드러낼 기미가 안 보이던 [[건즈 앤 로지스]]의 신보 '[[Chinese Democracy]]'가 이번엔 정말로 발매된다는 소식이 나오자 닥터페퍼 측에서 "그들의 신보가 올해 안으로 나오기만 한다면, [[건즈 앤 로지스]]의 멤버였던 [[슬래시(기타리스트)|슬래시]]와 [[버킷헤드]]를 '''제외한''' 모든 [[미국인]]들에게 닥터페퍼를 쏘겠다"라고 선언, [[건즈 앤 로지스]]가 [[11월 23일]]로 발매일까지 발표하자 "그것이 사실이라면 우리는 (사람들에게 돌릴) 닥터페퍼를 차갑게 준비해 두겠다"라고 발표했다. 그리고 결국 'Chinese Democracy'가 발매[* 'Chinese Democracy'는 원래 [[1994년]]부터 레코딩을 시작했지만 중간에 멤버들이 나가는 등의 사건들이 계속 겹치면서 릴리즈 데이트가 계속 질질 늘어났다. 그래서 일부에선 '''[[중국]]이 [[민주화]]될 때 나오는 것 아니냐'''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되자 "설마 현실로 일어나게 될 줄은 몰랐지만 약속은 지킨다"라며, 쿨하게 무료 이벤트를 시행했다. 닥터페퍼는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닥터페퍼를 한 캔 교환할 수 있는 무료 쿠폰을 프린트할 수 있게 했으나, 방문객 폭주로 인해 서버가 마비되는 바람에 많은 사람들이 불만을 토로하자 단 하루만 실시했던 이벤트를 일주일로 연장하기도 했다.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는 닥터페퍼 측이 극심한 손해를 봤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닥터페퍼의 이 무료 이벤트는 홍보 마케팅계에선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의 대박으로 평가받는다고 한다. 평소에 닥터페퍼가 무슨 맛인지 몰랐던, 혹은 알아도 별로 관심이 없었던 미국인들이 이번 기회에 시음을 하면서 무료 이벤트가 끝난 후에도 계속 사 마셨기 때문에 매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또한 [[건즈 앤 로지스]]의 홍보도 됐으니 어쨌든 [[윈윈]]. 정작 [[액슬 로즈]]는 그 마케팅의 실행 과정이 본사가 얘기한 것처럼 매끄럽지 않아서 닥터페퍼 측에 불쾌함을 표시하기도 했다. == 창작물에서 == * [[풀 메탈 패닉!]]에선 '''김이 빠진 닥터페퍼를 [[고문]] 도구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 에피소드 이후에 〈전대장의 한가한 하루〉 편에선 [[안드레이 세르게이비치 칼리닌]]의 [[보르시]]를 이 김 빠진 닥터페퍼에 비유한 내용이 나온다. 이때 칼리닌은 보르시에 숨은 재료로서 [[된장]] 가루와 [[코코아]] 가루를 넣어 먹었는데[* 아내가 해준 보르시였다고 한다.], 원래 보르시는 그런 음식이 절대 아니다. 해당 문서 참조. 특유의 향이 강하기에 김이 빠지면 그 향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더욱 혐오하나 그 향에 반한 마니아들은 "김 빠져도 맛있고 안 빠져도 맛있다!"라고 주장한다고 한다. * 영화 [[포레스트 검프]]에서 포레스트 검프가 [[백악관]]에서 무료라고 계속 마시던 음료수이기도 하다.[* 닥터페퍼 옆에는 [[7up]] 병들도 보인다. 큐리그 닥터페퍼의 [[PPL]]로 보인다.] 그 덕분에 [[존 F. 케네디]]와의 만남에서 "기분이 어떠냐?"라는 질문에 재미있게 대답하는 모습들이 영화에서 나타났다. * 영화 [[캐스트 어웨이]]에서 [[톰 행크스]]가 [[무인도]]에서 4년 만에 탈출하여 구조된 후, 돌아가는 비행기 안에서 얼음 두 컵과 닥터페퍼 한 캔을 받는다. * 영화 [[미션 투 마스]]에서 [[우주 정거장]]에 미세한 구멍이 생기는 비상 사태가 발생하였다. 모두들 구멍을 찾고 있으나 미세한 구멍이라 발견이 어려울 때, 비상 수단으로 [[우주식]]으로 포장된 닥터페퍼를 터뜨려 음료수가 빨려 나가는 걸 보고 구멍을 찾는다. * 영화 [[스파이더맨 트릴로지]] 중 [[스파이더맨(영화)|스파이더맨]](2002)에서 수퍼 거미에 물린 후 피터가 [[거미줄]] 연습 삼아 닥터페퍼 캔을 표적으로 이용한다. [[스파이더맨 2]](2004)에서도 [[피자]] 가게에 닥터페퍼 냉장고가 등장한다. * 영화 [[엑스맨 2]]에서 [[울버린(엑스맨 유니버스)|울버린]]이 [[찰스 자비에(엑스맨 유니버스)|자비에]] 영재 학교의 휴게실에서 맥주 대신 마실 음료로 찬장에 있던 [[탄산음료|소다]] 병을 꺼내고는 미지근해서 마시길 주저하는데 이를 건네받은 [[아이스맨(엑스맨 유니버스)|아이스맨]]이 입김 한 방으로 시원하게 얼려준다. 이 소다가 닥터페퍼. * [[단간론파]]에서 [[코마에다 나기토]]가 자판기에서 잔뜩 얻어 갔다. * 영화 [[로스트 인 더스트]]에서 태너가 [[주유소]] 편의점에서 주인공인 동생 토비에게 닥터페퍼와 담배 한 갑을 부탁했다. 그리고 닥터페퍼가 없어 미스터 핍을 사오자 이건 [[찐따]]들이나 마시는 거라고 한다. * [[하느님의 메모장]]에서 [[앨리스(하느님의 메모장)|앨리스]]가 주식으로 삼고 있다. 본인 왈 모든 영양소를 공급받는다고... 닥터페퍼를 꺼내 오라면서 다른 거랑 착각하지 말라고 했는데, 냉장고에 닥터페퍼만 한가득 들어 있다. 애니메이션판에선 일본식 약칭을 그대로 써놓은 Dokupe란 상표로 나왔다. 한국으로 치면 Dakpe 정도. * [[Steins;Gate]]의 [[오카베 린타로]]도 자신을 '닥터페퍼리안'이라고 칭할 만큼 좋아한다. 일명 '지적 음료'. 오카베만큼은 아니지만 [[마키세 크리스]]도 좋아하는 음료. 여기선 Dr.Pepper처럼 보이는 Dk.Pepper라고 나온다. *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애니메이션판에선 [[타카나시 릿카]]가 Mr. Peter를 '마력 보급용 드링크'라면서 마시는데 릿카에 따르면 관리국이 각처에 은밀히 숨겨두고 있다고 한다. 그래선지 이걸 뽑기 전에 자판기에 특수 조작을 한다는 설정. * [[길티 크라운]]에선 Dr.[[생강|Ginger]]로 나왔다. 전철 광고판에 광고하고 있으며 캔 색깔이 [[진저에일|초록색이다]]. * [[내가 아가씨 학교에 ‘서민 샘플’로 납치당한 사건]]에선 [[이탈리아]]풍 이름인 독토르 페퍼로 등장한다. 여기선 [[텐쿠바시 아이카]]와 [[아리스가와 레이코]]가 닥터페퍼를 마시곤 거하게 뿜었다. 초보자가 함부로 도전할 만한 게 아니라고... * [[소울 이터 NOT!]] 1화에도 등장, [[마카 알반]]이 계단을 힘겹게 올라가던 신입생 [[하루도리 츠구미]]를 보고 계단 끝에 다 올라오면 마시라고 놓아뒀는데 츠구미 왈, '이상한 맛, 미국의 맛'. 만화에선 Death Pepper, 애니에선 Pepper Energy Drink란 이름으로 나온다. * [[고스트 메신저]] 극장판 중 쓰레기 버리는 장면에서 콜라, 웰치스와 함께 버려지는 캔 중 하나. * 일본에서 가끔 애니메이션이나 소설의 소재로 쓰이는 것은 원래 마이너한 음료였던 닥터페퍼를 적극적으로 퍼뜨린 일부 인물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초기 일본의 고속 인터넷 보급 시절엔 블로그의 전 단계라고 할 만한 텍스트 사이트라는 게 있어서 이 텍스트 사이트의 주인들이 적극적으로 민 것 중에 하나가 닥터페퍼이다. 다른 것들은 [[메가 맥]] 시리즈와 [[펩시 블루]]를 이용한 요리 등. 어쨌거나 일본에서 유독 닥터페퍼를 밈으로 사용하는 건 그런 연유. 비슷한 맥락에서 [[맥콜]]도 일본에서 컬트적인 유명세를 얻은 적이 있다. * [[에픽하이]]의 [[99(음반)|7집]] 앨범 수록곡인 'DON'T HATE ME'의 뮤직 비디오에선 이것의 패러디인 '닥쳐 페퍼'가 등장한다. 환타는 '환자'로... * [[SCP 재단]] 내에서 온갖 괴식을 뽑아내기로 정평이 난 SCP-261 자판기에서도 '닥터페퍼의 즐거운 빨대'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웬 '''4차원 빨대 하나'''만 덩그러니 있는 구조지만, 빨대 끝을 들여다 보면 닥터페퍼 소다수가 있어서 빨아들이면 어딘가와 연결돼 현실의 닥터페퍼 캔 용량과 비슷한 용량의 닥터페퍼를 마실 수 있다고 한다. * [[사우스 파크]]에선 [[불가지론]]자들이 좋아하는 음료로 묘사된 에피소드(1514 the poor kid)가 있다. 이유는 신이 있으면서도 없다고 주장하는 불가지론자들의 사상과 닥터페퍼의 [[루트비어]] 맛도 아니고 콜라 맛도 아닌 것 같은 맛의 애매함이 일치한다고 해서. * [[페르소나 시리즈]]에선 후추박사(胡椒博士/Dr. Salt)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3 ~ 4에서는 다른 자판기 음료들처럼 SP를 5만 회복해 주는데, [[페르소나 4]]부터 후속 제품으로 등장한 후추박사 NEO의 설명이 '''SP를 50 회복'''으로 오역돼 많은 한글판 플레이어들을 낚았다. [[페르소나 Q 섀도우 오브 더 래버린스]]엔 휴식 이벤트에 음료 대표로 잠깐 등장한다. [[페르소나 5]]에서는 애석하게도 HP 20 회복 음료수로 바뀌면서 사먹을 일이 줄어들었다. * [[2NE1]]의 [[CL]]이 참여한 해외 뮤지션 [[Diplo]]의 노래 제목이 바로 [[Doctor Pepper]]다. 국내에선 [[Keith Ape]]의 노래 [[잊지마]]의 원작자로 유명한 OG Maco가 참여해서 화제가 됐다. [[https://www.youtube.com/watch?t=77&v=VVth_C1zYrw|뮤직비디오]] 이 곡의 영향으로 CL은 한국에서 닥터페퍼 [[https://youtu.be/S-STdefkwak|광고]] 모델로 발탁되기도 했다. * 국산 [[RPG]] [[쯔꾸르 게임]] [[동결세계]]의 주인공 유수연의 별명이 '페퍼'이다. 유수연이 항상 닥터페퍼 음료수만 마신다고 해서 그녀의 친구인 송지아가 붙여준 별명. 유수연의 어머니가 음료수 공장 사장님이라 어렸을때 부터 닥터페퍼를 먹고 자랐다고 한다. * [[수상한 메신저]]의 등장인물 [[707(수상한 메신저)|707]]이 닥터페퍼를 좋아한다. 참고로 수상한 메신저에서는 닥터페퍼가 닭털페퍼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사실상 같은 제품. [[홍대던전]] 콜라보 카페에서 [[707(수상한 메신저)|707]]의 음료로 나왔다. * [[히트맨(2016)]]에선 dr. pepp이라는 이름의 아이템으로 등장한다. 타 아이템처럼 땅에 던지면 나는 소리로 유인을 할 수 있지만, 히트맨 특성상 '''적의 머리에 조준선을 갖다 대고 던지면 캔이 터지면서''' 기절시킬 수 있다. * [[오버워치]]의 [[66번 국도]] 공격 팀 첫 대기 기지의 소다 기계를 보면 닥터페퍼 대신 [[닥터 붐]]으로 표기돼 있다. [[하스스톤]]의 [[박사 붐(하스스톤)|박사 붐]]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 게임 [[Friday Night Funkin']]에서 주인공의 여자친구가 좋아하는 음료수라고 한다. * [[초차차원게임 넵튠 Re;Birth1]]의 MAGES가 '닥페'를 찾는 모습을 보여준다. * [[오소마츠 상]]의 [[마츠노 이치마츠]]가 좋아하는 음료이다. * [[키프클랜]]의 [[빈첸]]이 좋아하는 음료이다. 같은 멤버 [[김하온]]이 맛없다고 했다가 빈첸에게 욕을 먹고 팬이 주셔서 맛있다고 사과했다. *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 [[어벤져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어벤져스]] 멤버들과 함께 [[호크아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호크아이]]의 집에 간 [[토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토르]]가 생각에 빠졌다가 [[토스터]]에서 [[토스트]]가 나오는 장면을 보면 식탁 위에 닥터페퍼가 한 캔 놓여 있다. * 영화 [[토르: 천둥의 신]]에서 [[디스트로이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디스트로이어]]의 공격으로 인해 [[뉴멕시코]] 주민들이 피난을 갈 때, 식당에 닥터페퍼 캔이 놓여 있고 거리에도 닥터페퍼 전광판이 있다. * 영화 [[리얼 스틸]]에서 [[휴 잭맨]]의 아들로 나온 다코다 코요가 밤새도록 주인공 로봇을 개조하는 장면에서 최소 5캔 이상 쌓여 있다. * 영화 [[샤잠!]]에서 주인공 [[샤잠(DC 확장 유니버스)|빌리 뱃슨]]과 친구 [[프레디 프리먼(DC 확장 유니버스)|프레디]]가 닥터페퍼 자판기에 마법을 쏴서 음료수가 전부 쏟아지게 되자 전부 다 마셔버리는 장면이 나온다. * [[소녀전선]]에 AR 인형인 [[K11(소녀전선)|K11]]의 일러에 닥터 제퍼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 [[언젠가 천마의 검은 토끼]]에서 소설에선 닥터페퍼 그대로, 애니에선 닥터 시나몬으로 이름이 바뀌어서 나온다. * [[전파교사]]에서는 주인공 카가미 준이치로가 즐겨 마시는 음료로 자주 등장한다. * [[F.E.A.R. 2: Project Origin]]에서는 프로페서 닥터라는 이름으로 괴짜 [[엔지니어]] [[테리 할포드]]의 방에 한가득 놓여 있다. 자판기에도 큼지막한 광고가 붙어있다 * [[Daum]]의 [[다음 웹툰|화요 웹툰]] 닥터 파인의 하루에서 닥터 파인이라는 음료가 모티브로 삼았다. * [[수요웹툰의 나강림]]에서 주인공인 나강림이 즐겨먹는 음료료 등장한다. * [[도우미 여우 센코 씨]]에선 Dr. Vinegar란 이름으로 나온다. Pepper가 음식에 넣는 후추를 의미하니 비슷한 음식에 넣는 재료인 [[식초]]를 갖다 붙인 듯. 코엔지 야스코가 좋아하는 듯하다. * [[잔나비]] 로맨스의 왕 뮤비에도 출연할 정도로 잔나비 [[최정훈]]은 닥터페퍼 사랑맨이다. *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의 [[라이트 노벨]] [[눈을 떴더니 최강 무장과 우주선을 가지고 있어서, 집 한채를 목표로 용병으로 자유롭게 살고 싶다]]에서는 '''미스터 페퍼로니(ミスターペパロニ)'''라는 이름으로 등장하여, 코○콜라를 생각하고 마신 주인공 히로는 "닥○페퍼잖아!" 하고 절규했다. * [[승리의 여신: 니케]]에는 [[페퍼(승리의 여신: 니케)]]라는 캐릭터가 나오는데 직업이 의사 즉 닥터(doctor)다. 대놓고 노린 것인지 피부색도 마치 닥터 페퍼처럼 체리 느낌의 붉은색이다. * [[리버스: 1999]]에서 [[레굴루스(리버스: 1999)|레굴루스]]가 좋아한다. 의외로 많이 언급되는데, 가상 몽유에서는 '''무려 주인공 [[버틴]]의 크리터화를 풀어버리는 전례없는 활약을 한다!''' == 여담 == * 아류작으로 [[코카콜라]]가 내놓은 Mr. Pibb란 음료가 있는데 어째선지 [[흑인]]들이 많이 마신다. Mr. Pibb은 남부에서 더 많이 찾을 수 있다. [[The Lonely Island]]의 노래 'Lazy Sunday' 중 편의점에서 Mr. Pibb과 Red Vines를 사면서 "Mr. Pibb and Red Vines equal crazy delicious"란 가사가 나온다. 2001년 이후오는 Pibb Xtra라는 이름으로 리브랜딩. * [[빌 클린턴|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부부가 좋아하는 음료로 잘 알려져 있다. 실제로 [[힐러리 클린턴|힐러리]]가 당시 갓 [[영부인]]이 된 후 어느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좋아하는 음료를 닥터페퍼라고 말한 적 있다. 그런데 그걸 본 [[의전]] 담당관은 이후 클린턴 부부가 묵는 호텔마다 닥터페퍼를 냉장고에 '''가득''' 쌓아놓았다고 한다.[* 힐러리 클린턴, '살아있는 역사' 중에서 발췌.] * [[빅뱅 이론]]의 메리 쿠퍼([[셸든 쿠퍼]]의 어머니)는 이 음료의 중독자다. * 미국의 [[메탈(음악)|메탈]] 밴드 [[Skillet]]의 리드 보컬 존 쿠퍼도 이 음료를 좋아한다. * 마약 성분의 [[버섯]]이 재료 중 일부로 들어간다는 말이 있다. 당시 [[코카콜라]]엔 [[코카인]]이 들어갔던 걸 생각하면 [[카더라 통신|가능성 있을지도.]] * 닥터페퍼와 시중에서 파는 일반 맥주를 특정 비율로 섞으면 '''[[흑맥주]]''' 맛이 난다고 한다. 이 비율은 절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비율이란 듯. * [[플로트]]를 해 먹으면 아주 맛있다. 미국인들이 유난히 많이 해 먹는 방법인데 음료를 따른 후에 그 위에 [[아이스크림]]을 띄워 먹으면 된다. 일반적으로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사용하지만, 다른 맛의 아이스크림도 취향에 따라 사용하면 좋다. * [[아이언맨 2]] 개봉 당시 광고도 있다. 여기엔 [[스탠 리]]가 [[https://youtu.be/DGPXEiPCpik|아이언맨 아머들을 청소하는 청소부로 나왔다.]] * 닥터페퍼를 60세부터 꾸준히 섭취한 1910년생의 엘리자베스 설리번, 일명 '닥터페퍼 할머니'는 하루 세 캔을 마시며 "'그 음료가 당신을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라고 경고했지만, '''[[장수|그렇게 경고한 의사들이 먼저 세상을 떠났다.]]''' 나는 이렇게 건강하게 살아 있다."라고 말해 화제가 됐다. 닥터페퍼 회사에서 캔 모양 생일 케이크도 보내주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07/2016040701739.html|텍사스 레인저스 홈 그라운드에서 시구도 했다고 한다.]] 2017년 11월에 결국 향년 106세의 고령으로 사망했지만 [[의사]]들이 철저히 관리하는 웬만한 [[부자]]들보다도 오랫동안 장수를 누렸다. 100살 넘기기도 힘든 편인데 100살 하고도 6년을 더 살았으니. * 한국 한정으로 상술했듯 이름을 단어 그대로 해석하여 '''[[후추박사]]'''라는 별명이 있기도 하다. * 많이 마실 경우 부작용으로 [[위경련]]이 오기도 한다고 한다. 사실, 이건 대부분의 [[탄산음료]]가 해당하지만, 닥터페퍼에 사례가 많은 편이다. * 닥터페퍼가 최초로 설립된 [[텍사스]] 주에는 [[https://drpeppermuseum.com/|닥터페퍼 박물관]]이 인기를 얻고 있다. * [[아는형님]]에서 [[서장훈]]이 집에서 마시는 유일한 [[탄산음료]]라고 말하였다. [[분류:탄산음료]][[분류:인터넷 밈/음식/호불호]][[분류:1885년 출시]] * [[2NE1]] [[CL]]이 닥터페퍼 애호가이며, 닥터페퍼 광고 모델로도 발탁되었다. [[https://youtu.be/S-STdefkw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