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치아|[[파일:다치아 로고(2021) 화이트.pn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치아 산데로.png|width=100%]]}}} || || {{{#fff '''SANDERO'''}}} || [목차] '''Renault / Dacia Sandero / Sandero Stepway[* 크로스오버 사양] / Stepway[* 2020년형 [[라틴 아메리카]] 시장 크로스오버 사양]''' == 개요 == [[루마니아]]의 자동차 제조사이자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산하의 기업인 [[다치아]]에서 생산하고 있는 소형차이다. [[러시아]], [[멕시코]], [[중남미]], [[이란]], [[이집트]],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국가군에서는 [[르노]] 브랜드로 [[배지 엔지니어링]]되어 판매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 상세 == === 1세대(2007~2015) === [[파일:2007 다치아 산데로.png|width=700]] 차량의 플랫폼은 [[다치아 로간|로간]]과 공유하고 있으나, 휠베이스는 좀 짧은 편이다.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에 위치한 [[르노]] 기술 연구 센터에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브라질]] 및 [[루마니아]]에 위치한 지역 엔지니어링 센터와 연계를 통해 설계됐다. 디자인은 [[스페인]]의 르노 디자인 바르셀로나에서 이뤄졌다. [[2007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첫 선을 보였으며, 공식적으로 [[2007년]] 12월에 [[르노]] 로고를 단 산데로가 [[브라질]] 시장에 출시되었는데, 이는 유럽 밖에서 [[르노]]가 직접 선보인 최초의 차량이었다. 이후 [[2008년]] 3월에 열린 제네바 모터쇼에서 [[다치아]] 브랜드 사양의 산데로가 출시되었다. [[파일:2008 르노 산데로 스텝웨이.png|width=700]] 2008년형 르노 산데로 스텝웨이 [[2008년]] 10월에서 [[르노]]의 [[브라질]] 지사에서 크로스오버 차량인 스텝웨이 사양을 먼저 공개했으며, 112마력의 1.6L 16v 하이플렉스(가솔린/에탄올)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브라질]] 외에도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에도 수출되었다. [[파일:2009 다치아 산데로 스텝웨이.png|width=700]] 2009년형 다치아 산데로 스텝웨이 반면, 유럽형은 [[2009년]] 5월 7일 바르셀로나 모터쇼에서 공개되어 같은 해 10월에 대부분 [[유럽]] 시장에서 판매되었으며, 90마력의 1.6L 가솔린 I4 엔진과 70마력의 1.5L [[르노 K 엔진|K9K]] dCi 디젤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생산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슬린(Rosslyn, Gauteng) 공장에서 [[2009년]] 2월부터 생산되기 시작했고 같은 해 12월부터는 [[러시아]] [[모스크바]] 아브토프라모스(Avtoframos) 공장에서 생산이 시작되었다. 이외에도 [[루마니아]]의 미오베니 [[다치아]] 공장, [[브라질]] 상조세두스피냐이스 공장, [[콜롬비아]] 엔비가도 공장[* [[칠레]] 등 주변국 수출 및 자국 시장용으로 [[르노]] 버전의 차량을 생산하였다.], [[모로코]] [[카사블랑카]] 공장, [[이란]] [[테헤란]] 파스 코드로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 [[파일:2007 르노 산데로.png|width=450]] || [[파일:2011 르노 산데로.png|width=450]] || || 초기형 르노 산데로 || 후기형 르노 산데로 || [[2011년]] 5월에 [[브라질]] 시장에서 유럽형 사양과 비슷하게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으며, 외관 디자인 및 실내 공간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콜롬비아]] 시장에서는 [[2012년]] 초에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는데, 도어락의 위치 및 조수석 에어백이 들어가는 등 다른 사양과 차별화가 이루어졌다. 차량의 전장은 4,020mm~4,091mm, 전폭은 1,746mm~1,753mm, 전고는 1,534mm~1,590mm, 휠베이스는 2,589mm, 공차중량은 1,025kg~1,204kg이었다. ==== 안전성 ==== || [youtube(rP69YfNElo8)] || [youtube(91jfo8OwqIQ)] || || 기본형 차량 || 안전 패키지 탑재 차량 || ||||||<#000080> '''{{{#FFFFFF 다치아 산데로 1세대 충돌테스트 결과(기본형, 유로 NCAP)}}}''' || ||<#FFFFFF> '''구분''' ||<#FFFFFF> '''점수''' ||<#FFFFFF> '''별점''' || || '''어른 승객''' || 25점 || {{{#FFFF00 ★★★}}}☆☆ || || '''어린이 승객''' || 38점 || {{{#FFFF00 ★★★★}}}☆ || || '''보행자''' || 6점 || {{{#FFFF00 ★}}}☆☆☆☆ || ||||||<#000080> '''{{{#FFFFFF 다치아 산데로 1세대 충돌테스트 결과(안전 패키지 탑재,유로 NCAP)}}}''' || ||<#FFFFFF> '''구분''' ||<#FFFFFF> '''점수''' ||<#FFFFFF> '''별점''' || || '''어른 승객''' || 31점 || {{{#FFFF00 ★★★★}}}☆ || || '''어린이 승객''' || 38점 || {{{#FFFF00 ★★★★}}}☆ || || '''보행자''' || 6점 || {{{#FFFF00 ★}}}☆☆☆☆ || 안전성 면에서는 [[유럽]]의 규제 기준을 따르고 있어 최대 4개의 에어백이 탑재되었으며 능동형 안전 기술로는 EBD 기능 및 비상 시 브레이크 보조 장치(EBA)가 적용된 [[보쉬]] 사의 8.1 [[ABS]] 장치가 탑재되었다. 유로 NCAP 테스트 때는 기본형 차량과 안전 패키지를 탑재한 차량 2대를 가지고 테스트가 이루어졌는데, 앞좌석 안전벨트 하중 제한장치, 운전석 정면 에어백 및 조수석 정면 에어백만 탑재된 기본형은 별점 부분에서 성인 3점, 어린이 4점, 보행자 1점의 성적을 기록했다. 여기에 측면 에어백 및 머리 보호 에어백, 전면부 안전벨트 프리텐셔너가 적용된 '안전 패키지' 차량은 성인의 별점 부분이 4점으로 향상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부분에서 차이는 없었다. ==== 파워트레인 ==== ||||||||||||||||||||||||<#000080> '''{{{#FFFFFF 다치아 산데로 1세대 파워트레인}}}''' || || '''구분''' || '''1.0L 16v I4 엔진''' || '''1.2L 16v I4 엔진''' |||| '''1.4L 8v I4 엔진''' |||| '''1.6L 8v I4 엔진''' |||| '''1.6L 16v I4 엔진''' |||| '''1.5L dCi I4 엔진''' || || '''엔진 코드명''' || D4D 하이-플렉스 || D4F 732형 || K7J 710형 || K7J형 LPG || K7M 800형 || K7M 하이-토크 || K4M 696형 || K4M 하이-플렉스 |||| K9K 892형 || || '''연료''' || 휘발유/에탄올 || 휘발유 || 휘발유 || 플렉스-퓨얼 || 휘발유 || 휘발유/에탄올 || 휘발유 || 플렉스-퓨얼 |||| 경유 || || '''연비''' || - || 약 16.9km/L || 약 14.5km/L || 약 10.9km/L || 약 14.9km/L || - || 약 14.7km/L || 약 10.8km/L || 약 22.2km/L || 약 21.7km/L || || '''최고 출력''' || 77마력 |||| 75마력 || 72마력 || 85마력 || 95마력 || 105마력 || 112마력 || 75마력 || 90마력 || || '''제로백''' || 14.1초 || 13.6초 |||| 13.0초 || 12.9초 || 11.7초 || 11.3초 || 10.8초 || 15.0초 || 13.0초 || || '''최고 속도''' |||||||| 161km/h || 169km/h || 174km/h || 181km/h || 195km/h || 157km/h || 167km/h || === 2세대(2012~현재) === || [[파일:2012 다치아 산데로 스텝웨이.png|width=450]] || [[파일:2012 다치아 산데로.png|width=450]] || || 초기형 스텝웨이 사양 || 초기형 해치백 사양 || [[2012년]] 파리 모텨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스텝웨이 사양도 공개되었으며, 공개 직전에 아우토빌트 지와 자 룰럼(Za Rulem) 지에 의해 나온 해치백 및 스텝웨이 사양의 CGI가 같은해 6월, 7월, 9월에 등장하기도 했다. 공식 사진은 [[2012년]] 9월 17일에 공개되었으며, 2세대 [[다치아 로간]]과 유사한 외관과 [[다치아 롯지]]에서 영향을 많이 받은 듯한 대시보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같은 해 10월 1일부터 [[루마니아]] 시장에서 계약이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영국]] 시장에 진출을 공식화하면서 [[다치아 더스터]]와 함께 [[2013년]]부터 판매되기 시작하면서 시장에서 가장 합리적인 수준의 자동차로 알려지기도 했다. [[2014년]] 6월에 [[라틴 아메리카]] 시장에서 [[르노]]로 [[배지 엔지니어링]]을 거친 산데로가 출시되었으며, [[러시아]] 시장에서는 같은 해 9월에 [[아브토바즈]]의 [[톨리야티]] 공장에서 현지 생산이 이루어졌다. [[루마니아]] 미오베니 공장에서 생산되는 산데로는 내수용, [[영국]], [[아일랜드]], [[키프로스]]등 우핸들 국가군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 여기에는 [[르노]]로 [[배지 엔지니어링]]이 이루어졌다.] 시장에 판매되었고 [[2016년]]부터는 [[알제리]] 오랑 지역의 공장에서 스텝웨이 사양이 내수 시장 판매 목적으로 제조되었다. 이외에도 [[브라질]] 상조세두스피냐이스 공장, [[콜롬비아]] 엔비가도 공장, [[모로코]] [[카사블랑카]] 및 [[탕헤르]] 공장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졌다. [[파일:2013 르노 산데로 스텝웨이.png|width=700]] [[2013년]]형 르노 산데로 스텝웨이 || [[파일:2016 르노 산데로 스텝웨이.png|width=450]] || [[파일:2016 산데로 스텝웨이.png|width=450]] || || 1차 페이스리프트 차량(남미형) || 1차 페이스리프트 차량(국제형) || || [[파일:2020 르노 산데로 스텝웨이.png|width=450]] || [[파일:2020 산데로 스텝웨이.png|width=450]] || || 2차 페이스리프트 차량(르노 스텝웨이,남미형) || 2차 페이스리프트 차량(국제형) || 크로스오버 사양의 산데로 스텝웨이는 2세대 출시 후에도 변경되어 판매가 이루어졌는데, 지상고 상승, 회색 플라스틱 스커트, 오버 펜더 및 크로스오버 느낌의 범퍼가 탑재되었다. [[라틴 아메리카]] 시장에서는 [[다치아]] 브랜드와 [[르노]] 브랜드로 병행해서 판매하는데, [[2020년]]부터는 산데로와 별개인 독립된 라인업으로 분화하였다. [[파일:르노 산데로 RS.png|width=700]] 또한, 산데로 RS 사양 역시 존재하는데 [[2014년]] 8월에 패트리스 라티 르노 스포츠 CEO는 오토카 지와 함께한 인터뷰에서 [[2015년]] 초중반 즈음에 등장할 핫 해치 차량 사양인 산데로 RS 시험 차량의 제작을 준비 중이라는 언급이 있었고 2.0L 16v F4R형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며 [[제로백]]이 약 8초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졌고 최초로 [[프랑스]] 이외 지역에서 만들어진 르노 스포츠 차량이기도 했다. [[멕시코]] 시장에서는 [[2019년]] 10월 21일에 출시되었다. 이 차량은 [[2015년]] 9월 [[브라질]] 시장에 출시되었는데, 일반 사양과 비교 시 노멀, 스포츠, 스포츠+ 형태의 ECU 제어 장치, [[ABS]]를 탑재한 [[디스크 브레이크]] 4종, [[르노 클리오]]에 탑재되는 RS [[스티어링 휠]], 전자식 안정성 프로그램 및 6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는 등의 차별화가 이루어졌다. || [[파일:2019 다치아 산데로.png|width=450]] || [[파일:2019 다치아 산데로 스텝웨이.png|width=450]] || || 해치백 사양 || 스텝웨이 사양 || [[페이스리프트]]는 [[2016년]] 파리 모터쇼 때 최초로 공개된 후 [[2016년]] 11월에 출시가 이루어졌다. 페이스리프트 차량에서는 LED 주간주행등과 테일램프가 탑재되며, 기본형 차량에 1.0L 가솔린 I3 엔진을 탑재해 기존에 있었던 1.2L I4 엔진을 대체하였다. [[파일:2020 르노 산데로.png|width=700]] [[브라질]] 사양 [[페이스리프트]] [[2019년]] 7월에는 [[르노]] 브랜드로 판매되는 [[브라질]] 등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는데, 전면부에서는 사소한 변화가 있었으나, 후면부가 크게 변화되었으며 [[루마니아]]에서 판매되는 다치아 차량과 비슷하게 만들어졌으나 테일램프가 테일게이트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 안전성 ==== [youtube(5Asusu4cXcE)] 충돌테스트 영상(2013년) ||||||<#000080> '''{{{#FFFFFF 다치아 산데로 2세대 충돌테스트 결과(유로 NCAP)}}}''' || ||<#FFFFFF> '''구분''' ||<#FFFFFF> '''점수''' ||<#FFFFFF> '''별점''' || || '''어른 승객''' || 29점(80%) || {{{#FFFF00 ★★★★★}}} || || '''어린이 승객''' || 39점(79%) || {{{#FFFF00 ★★★★★}}} || || '''보행자''' || 21점(57%) || {{{#FFFF00 ★★★★}}}☆ || || '''안전 보조 장치''' || 5점(55%) || {{{#FFFF00 ★★★★}}}☆ || 1세대에 비해 기본형 차량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었는데 [[2013년]] 5월에 이루어진 충돌 테스트 결과 평균 3점의 성적을 받았던 1세대 차량에 비해 개선된 부분이 있었는데, 보행자 안전성이 4점으로 크게 향상되었으며, 어른 및 어린이 승객 보호는 별점 5점으로 증가했고, 새로 생긴 안전 보조 장치 부분에서도 별점 4점을 획득하였다. ==== 파워트레인 ==== ||||||||||||<#000080> '''{{{#FFFFFF 다치아 산데로 2세대 파워트레인(가솔린)}}}''' || || '''구분''' || '''0.9L 12v TCe''' || '''1.0L 12v SCe''' || '''1.2L 16v''' || '''1.2L 16v LPG''' || || '''엔진 코드명''' || H4Bt 400형 || B4D 411형 || D4F 732형 || D4F 732형 LPG || || '''엔진 종류''' || 가솔린 터보 I3 엔진 || 플렉스 퓨얼 I4 엔진 || 가솔린 I4 엔진 || 가솔린/LPG I4 엔진 || || '''연비''' || 약 20.4km/L || 약 19.2km/L || 약 16.9km/L || 약 13.2km/L || || '''최고 출력''' || 90PS/5,000rpm || 73PS/6,300rpm || 75PS/5,500rpm || 72PS/5,500rpm || || '''최고 토크''' || 140Nm/2,250rpm || 97Nm/3,500rpm || 107Nm/4,250rpm || 105Nm/4,250rpm || || '''제로백''' || 11.8초 || 14.2초 || 14.5초 || 15.1초 || || '''최고 속도''' || 173km/h || 158km/h || 162km/h || 154km/h || || '''Co2 배출량''' || 90g/km || 117g/km || 137g/km || 120g/km || ||||||<#000080> '''{{{#FFFFFF 다치아 산데로 2세대 파워트레인(디젤)}}}''' || || '''구분''' || '''1.5L dCi 75형''' || '''1.5L dCi 90형''' || || '''엔진 코드명''' |||| K9K 612형 || || '''엔진 종류''' |||| 디젤 I4 엔진 || || '''연비''' |||| 약 25.6km/L || || '''최고 출력''' || 75PS/4,000rpm || 90PS/3,750rpm || || '''최고 토크''' || 200Nm/1,750rpm || 220Nm/1,750rpm || || '''제로백''' || 14.6초 || 12.1초 || || '''최고 속도''' || 159km/h || 167km/h || || '''Co2 배출량''' |||| 103g/km || === 3세대(2020~현재) === [[파일:2020 다치아 산데로.png|width=700]] [[2020년]] 9월 29일에 3세대 [[다치아 로간]]과 함께 사진이 공개되었다. [[르노삼성 XM3]]/국제형 [[르노 아르카나]]와 같은 [[르노-닛산 CMF 플랫폼|CMF-B 플랫폼]]이 탑재된다. [[파워트레인]]은 1.0L H4D SCe 65형 가솔린 I3 엔진, 1.0L H4Dt TCe 90형 가솔린 터보 I3 엔진, 1.0L H4Dt 에코-G 100형 가솔린/LPG 터보 I3 엔진이 탑재된다. 이와 함께 5단 [[수동변속기]], 6단 [[자동변속기]], [[무단변속기|CVT]]가 탑재된다. 차량의 전장은 4,088~4,099mm, 전폭은 1,848mm, 전고는 1,499~1,535mm, 휠베이스는 2,604mm이다. 페이스리프트에 힘입어 출시 첫해인 [[2021년]] [[2020년대 반도체 부족 사태| 차량용 반도체 대란]] 와중에도 [[https://www.autocar.co.uk/car-news/new-cars/best-selling-cars-europe-2021|196,729대가 판매]]되어 [[폭스바겐 골프]], [[푸조 208]]에 이어 유럽 내 판매 3위를 기록했다. 특히 2위와의 차이는 불과 140대 정도로, 4월부터 인도가 시작된 것을 감안하면 선전한 셈이다. == 미디어에서 == [youtube(bxJJXQ4MkE8)] [[탑기어]]의 전 MC인 [[제임스 메이]]가 농담 격으로 가장 좋아하는 차량이며, 탑기어의 뉴스 코너에서 자주 유머 소재로 써먹었다. ~~[[제임스 메이|Great news!!!]]~~ ~~[[제레미 클락슨|What?]]~~ [* Drivetribe라는 채널에서 제임스 메이가 다치아 산데로 3세대를 리뷰하기도 했다. ~~ Good news!~~] [[제레미 클락슨]]이 밈으로 유명한 "Oh no! Anyway..."라는 말을 남기게 한 차량이기도 하다. 제임스 메이가 이 차의 출시가 지연되었다고 소식을 전했기 때문. 이후 제임스 메이가 탑기어 소형차 특집에서 타고 나온 적이 있었다.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에서는 1.36 버전에 추가된 트래픽카로 등장하며, 모델은 2세대 후기형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다치아의 차량)] [include(틀:르노의 차량)] [[분류:다치아/생산차량]][[분류:르노/생산차량]][[분류:아브토바즈/생산차량]][[분류:2007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