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쓰촨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include(틀:쓰촨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000,#ddd 쓰촨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达州, ruby=Dázhōu)][ruby(市, ruby=Shì)] }}}'''[br]다저우시 | Dazhou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达州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쓰촨성]] 다저우시 퉁촨구 융싱루2호[br]四川省达州市通川区永兴路2号 || ||<-2> '''{{{#ffff00 지역}}}''' || [[시난]] || ||<-2> '''{{{#ffff00 면적}}}''' || 16,591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구 4현 1현급시 || ||<-2> '''{{{#ffff00 시간대}}}''' || UTC+8(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5,385,422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325명/km² || ||<-2> '''{{{#ffff00 서기}}}''' || 사오거쥔(邵革军) || ||<-2> '''{{{#ffff00 시장}}}''' || 옌웨이둥(严卫东)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55억 4,100만 ^^(2018)^^ || || '''{{{#ffff00 1인당}}}''' || $4,477 ^^(2018)^^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납매 || || '''{{{#ffff00 시목}}}''' || 황각수 || ||<-2> '''{{{#ffff00 차량번호}}}''' || '''川S'''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达'''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5117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818''' || ||<-2> '''{{{#ffff00 우편번호}}}''' || '''635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C-17''' ||}}}}}}}}} || ||<-3> [[http://www.dazhou.gov.cn/|홈페이지]] || [[파일:중국 다저우 1.jpg|width=450]]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쓰촨성]] 동북부의 지급시. [[충칭시]]에서 동북쪽, [[안캉시]]에서 서남쪽으로 180km, [[난충시]]에서 동쪽으로 120km 떨어진 분지에 위치한다. 관할 인구 56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160만이 거주하는 대도시이다. 청대의 사상가 당견(唐甄)과 혁명가 [[리셴녠]]의 고향이고, 본래 취현에 있었으나 다저우 박물관으로 이전된 한대의 심부군궐(沈府君阙) 입구 기둥이 대표적인 유물이다. 21세기 들어서 자연재해가 자주 일어나는 지역으로, 2013년의 가뭄에 이어 2021년 여름 중국 홍수 시에는 수해를 입었고, 2018년에는 싱크홀 현상으로 4명이 사망하고 폭염으로 인해 방공호를 개방했으며, 쇼핑센터의 대화재 진압을 위해 인공 강우를 동원하는 등 다사다난한 해를 보냈다. == 교통 == 관내에 다저우 허스 공항(达州河市机场) 및 다저우 진야 공항(达州金垭机场)이 존재하며, 둘 다 국내선 전용이다. 철도역의 경우 관내에 다저우역(达州站)이 존재하며, 샹위철도(襄渝铁路), 다완철도(达万铁路)가 지나간다. 그리고 고속철도역인 다저우난역(达州南站)이 현재 공사중에 있다. == 역사 == [[후한]] 대에 선한현(宣漢縣)이 설치되었고, 파군에 이어 파서군에 속하였다. [[남북조]]의 [[소량]] 시기 536년에는 만주에 속했다가 553년 [[서위]]에 의해 통주(通州)에 편성되었고, 선한현 역시 석성현으로 개칭되었다. [[수나라]] 대인 598년 석성현은 다시 통주현으로 개칭되었고 통주 혹은 통주군의 치소로 유지되었다. [[북송]] 대인 965년 통주는 현 지명인 달주로 개칭되었다. 이후 [[명나라]] 대인 1376년 달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514년 재차 주로 회복되어 기주부(夔州府)에 속하였다. [[청나라]] 대인 1728년 달주는 직예주가 되었고, 1809년 수정부(綏定府)에 속하였다. 1933년부터 [[광위안]] 등과 함께 중국 [[공산당]]의 소비에트 정부에 편성되었다. 현대에 들어 1976년 현급시를 거쳐 1999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 경제 == 쓰촨성과 후베이성, 산시성을 이어주는 사통팔달의 요충지로써 시가지를 관통하는 저우허 강 및 취장강을 이용한 수륙 교통이 모두 발달하였으며 천연가스와 석탄 등 자원도 풍부하다. 경제적으로는 화학, 석탄 공업이 발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