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주식회사 다원시스}}}'''[br]DAWONSYS CO.,LTD. || ||<-2> [[파일:다원시스 로고.svg|width=200]] || || '''설립일''' || '''[[1996년]] [[1월 9일]]''' || || '''업종''' || 전기회로 개폐, 보호장치 제조업 || ||<|2> '''전신''' || '''다원산전 주식회사'''[br]([[1996년]] [[1월 9일]]~[[2001년]] [[5월 9일]]) || || '''덕인산업'''[br]([[1995년]] [[12월 13일]]~[[2002년]] [[4월 14일]])[br]'''주식회사 로윈''' {{{-2 (흡수합병)}}}[br]([[2002년]] [[4월 15일]]~[[2017년]] [[2월 12일]]) || || '''대표자''' || 박선순 || || '''주요 주주''' || '''박선순: 15.95%'''[br]{{{-2 ([[2021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 분류''' || '''[[중견기업]]''' || || '''상장 여부''' || '''상장기업''' || || '''상장시장''' || '''[[코스닥|코스닥 시장]] ([[2010년]]~현재)''' || || '''종목코드''' || '''068240''' || || '''직원 수''' || 630명[br]{{{-2 ([[2021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 158억 1,525만 9,500원 {{{-2 ([[2021년]] 기준)}}} || || '''매출액''' || 연결: 2,954억 5,415만 6,585원 {{{-2 ([[2021년]] 기준)}}}[br]별도: 2,935억 9,945만 314원 {{{-2 ([[2021년]] 기준)}}} || || '''영업이익''' || 연결: -144억 9,173만 7,838원 {{{-2 ([[2021년]] 기준)}}}[br]별도: -145억 1,563만 9,350원 {{{-2 ([[2021년]] 기준)}}} || || '''순이익''' || 연결: -182억 5,495만 9,033원 {{{-2 ([[2021년]] 기준)}}}[br]별도: -93억 2,213만 1,486원 {{{-2 ([[2021년]] 기준)}}} || || '''자산총액''' || 연결: 6,765억 7,622만 5,278원 {{{-2 ([[2021년]] 기준)}}}[br]별도: 6,599억 53만 3,274원 {{{-2 ([[2021년]] 기준)}}} || || '''부채총액''' || 연결: 4,082억 7,923만 5,109원 {{{-2 ([[2021년]] 기준)}}}[br]별도: 3,800억 9,781만 1,842원 {{{-2 ([[2021년]] 기준)}}} || || '''부채비율''' || 연결: '''152.17%''' {{{-2 ([[2021년]] 기준)}}}[br]별도: '''135.84%''' {{{-2 ([[2021년]] 기준)}}} || || '''자회사''' || 다원인베스터[br]다원넥스트 || || '''비전''' || '''Global, Process Basis & Mass Production Company''' || || '''소재지''' || '''본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시화호수로]] 485 ([[성곡동(안산)|성곡동]])[br]'''평촌사무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부림로]]170번길 41-20, 5층 ([[관양동]])[br]'''김천공장''' - [[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어모로]] 447 (동좌리)[br]'''정읍공장''' - [[전라북도]] [[정읍시]] [[정읍시/행정#s-3.12|입암면]] [[입암로]] 345 (하부리) || || '''홈페이지''' || [[https://dawonsys.com|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 (주)다원시스 홈페이지]] || || '''전화번호''' || 대표전화: {{{#363995,#6a6cc8 '''031-8085-3013'''}}}[br]평촌사무소: {{{#363995,#6a6cc8 '''031-8085-5100'''}}}[br]김천공장: {{{#363995,#6a6cc8 '''054-435-6822'''}}}[br]정읍공장: {{{#363995,#6a6cc8 '''063-530-95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wLnoWXeVOQ)]}}}|| || {{{#ffffff '''▲ (주)다원시스 공식 홍보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원시스_HQ.png|width=100%]]}}} || || {{{#ffffff '''▲ (주)다원시스 본사 사옥'''[br]{{{-2 [[경기도|{{{#fff 경기도}}}]] [[안산시|{{{#fff 안산시}}}]] [[단원구|{{{#fff 단원구}}}]] [[시화호수로|{{{#fff 시화호수로}}}]] 485 ([[성곡동(안산)|{{{#fff 성곡동}}}]])}}}}}} || >'''끊임없는 혁신과 창의를 통해 내일의 희망을 꿈꾸며 미래를 향합니다!''' >---- >(주)다원시스 회사개요 中 >'''A Global Leader of''' Green Power Electronics >---- >(주)'''다원시스'''의 [[캐치프레이즈]] [목차] [clearfix] == 개요 == 전원장치 전문 기업으로 핵융합 전원 장치, 플라즈마 전원 장치, 입자가속기 및 방사광가속기용 전원장치 등 고전압 대전류이면서도 특히 높은 제어 정밀도를 요구한 전원 장치를 전문적으로 제작한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본사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시화호수로 485(성곡동 822)에 있으며, 생산공장은 [[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어모로 447(舊.동좌리 340)[* [[2017년]]에 합병한 옛 로윈의 본사였다. 로윈은 본래 [[1994년]] 덕인산업이란 이름으로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설립되었으며, [[2002년]]경에 로윈으로 사명을 변경한 이후 [[2008년]]에 본사를 [[경상북도]] [[김천시]]로 이전했다.], [[전라북도]] [[정읍시]] 입암면 입암로 345 (하부리) 에 있다. [[2019년]] [[11월 22일]]은 김천공장 제2공장을 시작했단 보도도 있으나 제대로 된 진행은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윈'''시스로 헷갈린 사람이 종종 있으나, 다'''원'''시스가 공식 명칭이다. == 역사 == '''[[1996년]] [[1월 9일]] 다원산전으로 설립, 발전기용 혹은 산업용 소자를 주로 생산했으며 [[1998년]]부터 [[2009년]]까지 여러 곳에서 우수 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다.''' '''[[2010년]] 코스닥에 상장하였고, [[2011년]]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로윈]]과 협력해서 자체 개발한 전동차인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SR001]]의 소자 개발 및 공급업체로 선정되었다.''' [[2016년]] [[10월 20일]]에 [[로윈]]을 흡수합병한 것이 결정되었으며, [[2017년]] [[1월 10일]]에 '''다원시스'''의 이사회에서 최종 승인된 후 [[2017년]] [[2월 13일]] 자로 합병이 이루어졌다. 이로써 '''다원시스'''는 김천공장을 확보함으로써 철도차량 전장품뿐만 아니라 철도차량 완제품도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18년]] 말부터 [[전라북도]] [[정읍시]] 입암면[* 정확히는 [[노령역]] 근처.]에 철도차량 생산 공장을 건설하였고 [[2020년 2월]]에 완공하여 [[3월]]에 가동에 들어갔다.[* 예전에 로윈이 [[2015년]]에 [[충청북도]] [[제천시]]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1617394|공장 신설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후에 아무런 소식이 없이 합병이 이루어진 것을 볼 때 다원시스가 신설할 정읍공장 계획으로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 == 사업 == '''다원시스의 주요사업은 핵융합 전원장치, 플라즈마 전원 장치, 입자가속기용 전원장치, 산업용 정류기, 제어기 등의 산업용 전원 제어 제품이다.''' 특히 핵융합전원장치엔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KSTAR]]와 [[ITER]] 프로젝트에도 장치를 공급하고 있다고.[[http://www.etnews.com/20160829000286|기사]] === 철도 사업 ===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SR002]]열차를 시작으로 자체적인 철도 차량을 생산 중에 있어 철도 동호인들에게도 익숙한 회사명으로 알려져 있다. 로윈과의 합병 이후엔 사실상 거의 유일하게 [[현대로템]]과 경쟁관계에 있는 업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태였다.'''[* [[우진산전]]은 [[현대로템]]의 경쟁관계라기보다 상호 협력관계에 더 가깝다. 대표적으로 전장품은 [[우진산전]]이, 완성품은 [[현대로템]]이 생산한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시리즈가 있다. 하지만 [[2018년 8월]], [[현대로템]]이 대구 도시철도 스크린도어 시공 하자 문제로 공공기관 입찰이 제한되자, 이 틈을 노려 간선형 전기동차(EMU-150) 150량 구매 입찰에 투찰하여 낙찰된 등 호시탐탐 현대로템의 지분을 깨려는 시도는 한 듯 했다. 해당 EMU-150 낙찰은 블라인드 규정 위반으로 다원시스로 넘어갔으나, [[2019년]] [[서울교통공사]] 5, 7호선 전동차 336량, [[별내선]] 전동차 54량을 낙찰받아 마침내 [[현대로템]]의 지분을 깨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2020년]] 현재는 [[우진산전]]도 본격적으로 중전철 전동차 입찰에 '''다원시스'''처럼 열심히 참여한 모습을 봐서는 반경쟁 반협력 관계가 된 것으로 보인다. 한때 [[철도 동호인]]들한테 매우 호평받았다. 후술할 여러 전동차 발주 사업들을 대량 수주하면서 동호인들의 기대감을 한몸에 담고 있을뿐만 아니라 내부/외부 디자인이 상당히 좋다고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2019년]] 들어선 [[우진산전]]이 제작한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의 혹평받는 내부 디자인에 이어 [[현대로템]]마저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4차분의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82160|내부가 공개되자마자]] 많은 사람들한테 욕을 바가지로 얻어먹으면서 디자인 면에서 '''다원시스'''가 더욱 재조명받고 있으나 막상 꼭 그렇지만은 않은 듯 하다. 2호선 전동차나 SR 시리즈의 영 좋지 못한 품질 때문에 디자인은 잘 뽑아내나 성능 및 안정성은 떨어진단 평도 엄연히 존재한다. 그리고 [[2020년대]] 현재는 [[EMU-150]]의 납기 지연 사태를 비롯한 기존 차량들의 결함으로 품질 문제 평가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또한 전동차용 인버터 모듈과 SIV(보조전원장치)를 만들고 있는데, 현재 이 회사가 신사업으로 밀고 있으며 [[독일]]의 [[인피니언]]이나 국내 회사인 [[KEC]]의 [[IGBT]] 소자를 활용해 제작한다. [[인피니언]] 소자는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5000호대 전동차]] {{{#996cac 502편성}}}에 장착되었고 KEC소자는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SR시리즈]]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2호선 3차분]]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태양광용 전원장치도 생산하고 있다.''' 이와 더 불어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기존 5호선 전동차]]의 소자 교체 사업도 수주[* {{{#996cac 502편성}}} 인버터 관련.]하였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신차 수주 사업에 과거 같이 전동차를 제작했던 [[로윈]]과 컨소시엄을 맺어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4호선 차량]]의 소자 교체 사업에도 참여했고,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부산 2호선 열차]]에도 소자 교체 사업에도 참여했으며, [[대구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대구 1호선 열차]]도 4개 편성이 이 회사 제품을 장착했다. 그래서 서울 2호선 '''다원시스''' 차량의 [[구동음]]이 들린 것이다. '''여기에 [[수도권 전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7호선 전동차]] 석남 연장 도입분 2편성 16량, [[코레일 391000호대 전동차|대곡-소사선 전동차]] 도입분 10편성 40량 수주 계약을 [[인천광역시청]], [[국가철도공단]]과 체결한 바 있다. 또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3호선 전동차]] 초퍼차량 대차분은 15편성 150량 수주 계약을, [[한국철도공사]]로부터 [[EMU-150]] 150량을 수주받았으며, [[신안산선]] 전동차도 제작할 예정에 있다. 또한 [[2020년]] 상반기에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4호선 차량]] 21편성 210량 수주 계약을 체결하였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전동열차 생산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듯하다.[[https://www.youtube.com/watch?v=F2FB9qGTMO0|#]] [[히타치 제작소|히타치]]가 [[대구도시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의 301편성을 직접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머지 편성들을 [[우진산전]]에 라이선스 생산을 맡긴 것처럼, [[인도]] [[콜카타]] 지하철 전동차 수주를 받아 일부는 [[대한민국]] 다원시스 공장에서 제작해서 수출하고, 일부는 현지 기업에 라이선스 생산을 맡기는 듯하다. 스위스 [[ABB]]와 철도차량 기술협력을 맺고 있다. [[VOITH]]와도 디젤기관차 기술협력을 맺고 있다.[[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12071400303360104225|#]] === 생산 차량 === * '''[[ITX-마음/차량]]''' *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2차분)''' *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3, 5차분) - 256량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2차분) - 150량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4차분) - 210량[*C '''히타치 기반 [[다원시스]] [[IGBT]]''']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5, 6차분) - 208량[*C '''[[도시바]] PMSM [[IGBT]]'''] * [[수도권 전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3~4, 8~9차분) - 128량 *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4차분) - 54량[*C]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차량]]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3차분) - 8량 * [[부산 도시철도 오륙도선]] 트램 == 지배구조 == '''[[2021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박선순 || 15.9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자기주식]] || 1.54%|| == 사건·사고 == ===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도입 관련 === [[2015년]] [[3월 21일]] [[조달청]]에 따르면, 최근 [[서울 지하철 2호선]]의 노후 전동차 200량(20편성) 교체에 따른 구매 입찰에서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5760&yy=2015#axzz3V1KR7v8t|당시 로윈(현.다원시스) 컨소시엄이 적격자로 낙찰되었다]]. 이는 [[현대로템]]의 독점 체제를 깬 것이다. [[현대로템]]이 몇 년 전부터 독점 체제와 몇몇 제품의 결함으로 철도 동호인들에게 미운털이 박힌 상황이라 [[철도(지하철) 갤러리|철갤]]과 철도 동호회, 철도 동호인들의 반응은 그야말로 "[[풍악을 울려라]]!" 그러나 입찰에 참여했던 [[현대로템]]에선 로윈의 입찰 참가자격 유무를 문제삼아 법원에 후속절차 중지 가처분을 신청한 등 강하게 반발했다. [[한국철도공사]]의 경우 [[서울메트로]]와 달리 로윈의 완성차 제작 실적을 인정하지 않은 바 있다.[* '''[[2011년|2011~]][[2013년]]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발주에 이미 입찰한 바 있으나 번번히 떨어졌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동 시기에 반입된 무개화차는 죄다 로윈제였다.'''] 사실 기관차로 견인한 무동력 객차나 화차는 자력으로 움직여야 한 동차에 비해 크게 기술을 요하지 않으므로, 완성차 범주에 넣기는 어렵다.[[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50424151115742|관련기사]] 하지만 법원에선 [[http://www.moneyweek.co.kr/news/mwView.php?no=2015043015238024615|현대로템의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다]]. 어느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은 로윈&'''다원시스''' 컨소시엄으로 납품업체를 선정한 것에 대해 직무유기라며, 시민의 안전을 무시한다고 [[서울메트로]]를 대차게 깠다. [[서울특별시의회]]에서도 이로 인해[[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0924411|로윈의 김천공장을 시찰할 정도였다.]] 이후에도 몇 차례 [[서울특별시의회]]가 김천공장을 시찰했다. '''게다가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7호선 SR 열차]]가 출입문 제어장치, 주공기 압축기 등 핵심 부품의 고장이 잦아 소속 기지인 [[천왕차량사업소|천왕차량기지]]에서 논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드러나 우려를 사고 있으며, 로윈의 회사 사정으로 정상적인 부품 수급이 되지 않아 타 전동차의 부품으로 돌려막기할 정도라고 한다.'''[* 이 때문에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노동조합에서도 이번 [[서울메트로]]의 [[로윈]]제 전동차 도입을 부정적으로 봤다고 한다.] 특히 SR열차 중 마지막으로 들어온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SR007]]({{{#747f00 770편성}}})은 한 동안 부품 셔틀로 전락했다. 그럼에도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SR열차]]를 제작해 본 경험을 통해 노하우를 얻어서인지, [[2017년 4월]] [[서울특별시의회]]가 시찰한 바에 의하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7920863|평가는 괜찮아진 모양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55&aid=0000533543|2017년 5월 24일에 다원시스가 만든 새로운 2호선 전동열차가 정식으로 공개됐다.]] === [[서울교통공사]] [[VVVF]] 전동차 제작후 부품 이상발생 사건 === '''[[현대로템]]의 독점체제를 깨고 제작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3차분 전동차와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2차분 전동차의 이상이 발생한 일이 생겼다. 2호선 3차분은 총 20개 편성이 있으나 구동장치 이상발생 문제로 인해 단다이아(평일 출•퇴근 시간) 위주로 운행하여 운행차량수가 감소해 전보다 상당히 보기가 힘들어졌다. 3호선 2차분 전동차는 제동장치 이상으로 최초도입분 {{{#ef7c1c 316편성}}}을 제외한 모든 편성 중 일부가 한동안 계속 시운전만 하다 투입되었다. 제때 들여왔으나 아직도 투입되지 않은 전동차도 있다.''' === [[EMU-150]] 차량 납기지연 및 [[무궁화호]] 대체차량 부족 사태 === [[한국철도공사]]가 곧 수명이 다 한 노후 [[무궁화호]] 대체사업을 위해 내놓은 EMU-150 차량 제작을 '''다원시스'''가 수주받아 진행하였으나, 기업의 역량을 아득히 뛰어넘는 무리한 수주와 이로 인해 발생한 인력 부족으로 인해 사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한국철도공사]]의 무궁화호 대체사업에까지 큰 차질이 생기게 되었다. 납기지연 덕분에 한국철도공사에 무려 '''1,000억 원'''의 배상을 해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고로 이 사업의 계약금이 2건에 걸쳐 약 2천억 원, 3천억 원 대였다.] '''본래 계획상 [[2021년 9월]] 기준 150량 공정률은 88%에 이르렀어야 할 사업을 27%밖에 완수해내지 못했고, 이후 208량 사업도 계획 10.8%대비 실제로는 3.8%밖에 진행하지 못했다.''' 더욱 문제인 것은 품질 부적합 문제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건이 무려 68건'''에 이른 점이다. 이는 EMU-150 차량이 무궁화호 대체사업이긴 하나 이용 계획상 더욱 고속으로 운행될 것이기에 작은 결함에도 대형사고의 가능성이 더욱 높은 차량이므로 안정성이 더욱 요구된단 점을 생각하면 이러한 잦은 품질 부적합 판정은 더욱 문제가 된 상황이다. 아무래도 기업이 수행가능한 작업량을 훨씬 초월한 무리한 수주를 하다 보니 숙련된 용접공의 수나 역량이 부족하여 생긴 문제로 추정된다. '''게다가 이는 [[한국철도공사]]에도 상당한 문제가 되는데, 노후된 [[무궁화호]]의 사용연한이 다하여 [[폐차]]를 진행 중인 상황에서 이를 보충할 차량이 들어오지 못함에 따라 [[무궁화호]]의 차량 부족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 운행중인 열차의 차량을 떼어 다른 노선에 보충하여 겨우 사태를 완화시키면서도 차량 부족사태가 심각하여 여러 노선을 감축운행하며 서민의 발을 끊는단 등 언론으로부터 상당한 공격을 받고 있다.''' '''더 불어 상술했듯 다원시스가 [[한국철도공사]]에 납기지연 배상금으로 지불해야 한 금액이 무려 1,000억 원'''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렇게 큰 금액을 배상하면 사업전체에서 마진이 남긴 한지도 의문이고, 그 이전에 차량부품 소조립 부적합, 대조립 부적합, 부품자체 부적합 등등 종목을 가리지 않고 품질부적합이 골고루 발생한 마당에 정상적으로 안전한 차량을 제작할 수 있을지부터 의문인 상황이다. '''또한, 그 동안 국산 부품들로만 채택해오던 다원시스가 [[EMU-150]]의 견인 전동기로 중국 [[CRRC]]의 전장품을 채택하여 여러 결함이 발생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CRRC]]에서 제작된 전동차의 기계결함으로 인한 탈선으로 신뢰도 하락, [[CRRC]]가 중국 국영기업이란 점에서 여론의 반응은 좋지 않은 상태. [[현대로템]]과 [[우진산전]]에서 채택하였던 일본산 전장품과는 많이 대비되어 보인단 여론 또한 적지 않다.''' 이로 인해 [[2022년]] 현재 동호인들 사이에선 '''다원시스'''의 평가가 많이 떨어진 반면, [[현대로템]]의 평가는 반대로 급격히 좋아졌다. 대표적인 예시가 '''다원시스''' 2호선 [[VVVF]] 3차분 전동차와 디자인으로 비교되며 까였던 [[현대로템]] 2호선 VVVF 4차분 전동차. 특히 [[서울교통공사]] 5, 8호선 전동차 298량 입찰 당시 [[모갤]]를 비롯한 동호인들은 [[현대로템]]이나 [[우진산전]]의 수주를 원한 여론이 지배적이었고, '''다원시스'''의 수주를 원한 여론은 적었다. [[2015년]] 2호선 [[VVVF]] 3차분 전동차 200량을 수주했던 당시, '''다원시스'''를 찬양하고 [[현대로템]]을 까기 바빴던 분위기를 생각하면 격세지감이다. == 여담 == '''다원시스 본사엔 고전압 대전류 고정밀의 각종 전원장치 및 철도차량 전장품의 생산 공장이, 김천공장은 철도차량 완성품의 생산 공장이 각각 위치해 있다. 특히 김천공장 내부엔 [[경북선]]을 통해 [[김천역]]에 접속할 수 있는 인입선이 설치되어 있어서, [[갑종회송]] 화물은 보통 [[김천역]]에서 출발하게 된다.''' 김천공장의 전신인 옛 로윈은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2000년대]] 중반을 중심으로 전동차 내장재 교체 사업을 진행했으며,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의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s-2.3.2|SR 시리즈]]나 월미은하레일(現.[[월미바다열차]])의 완성차를 생산한 업체이기도 하다. 이렇게 꽤 성과를 올리고 있으나 이후 계약금 지급이 미뤄진 등[* [[월미바다열차]]가 안전 등의 이유로 계속 운행이 미뤄지게 되었던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자금 사정이 좋아지지 못하게 되어 대부분의 직원이 퇴사했고, [[http://www.bizwatch.co.kr/pages/view.php?uid=4678&datatype=|포스코와 캐나다 봉바르디에와 합작한 업체에서 인수한다는 소식이 있다.]] '''다만 이후로는 회사 사정이 그래도 좀 괜찮아졌는지 다원시스와 합동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서울 지하철 2호선]] 신형 전동열차 생산 입찰에 참여했고, 이후 2호선 신차 수주가 계기가 되었는지 양사가 [[2017년 2월]]에 서로 합병하게 됐다.''' [[2018년]] 현재 [[현대로템]]과 철도차량 수주전 경쟁에서 선전하고 있다. 520억 원 규모의 대곡소사선 전동차 수주에 성공했으며[[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8715369|#]], 1408억원 규모의 2,3호선 전동차 수주에도 성공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225718|#]] 게다가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809874|#]] 2468억원 규모의 [[EMU-150]] 수주에도 성공[* [[우진산전]]의 제재로 인한 재입찰]했다고 한다. 이 EMU-150 사업은 역대 '''다원시스'''의 철도 사업 중 가장 큰 규모의 사업으로 이번 사업이 어떻게 성과를 내느냐에 따라 '''다원시스'''의 사세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것이다. '''하지만 [[2021년]] 납기일을 전혀 지키지 못하며 [[한국철도공사]]의 사업에 피해를 끼치고 사업수행 역량부족이 드러나며 여러가지 문제를 빚고 있다.''' [[http://gbjob.tistory.com/681|2012년 대학생 기업탐방 취업캠프로 로윈(現 다원시스 김천공장)을 방문했던 학생이 쓴 글.]] [[분류:1996년 설립]][[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 제조사]][[분류:코스닥상장법인]] [include(틀:포크됨2, title=다원시스, d=2022-07-12 05:3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