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몽골어족)] ||<-3> {{{#fff {{{+2 '''다우르어'''}}}[br]'''{{{-1 Dagur }}}'''[br]{{{-2 Daur language}}}}}} || ||<-2> '''유형''' ||[[교착어]] || ||<-2> '''서자방향''' ||좌횡서 || ||<-2> '''문자''' ||[[로마자]]|| ||<-2> '''주요 사용 지역''' ||'''[include(틀:국기, 국명=몽골)]'''[br][include(틀:국기, 국명=중국)][br]└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시]] [[후룬베이얼시#s-5.1|하이라얼구]][br]└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br]└ [[신장 위구르 자치구]] [[타청지구]]|| ||<-2> '''원어민''' ||약 9만 6천 명 (1999년)|| ||<-2> '''계통''' ||[[몽골어족]][br]'''다우르어''' || ||<|3> '''언어[br]코드''' || [[국제표준화기구|{{{#fff '''ISO'''}}}]] '''639-3''' ||DTA || ||<|2> '''글로톨로그''' ||<|2>daur1238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bw04Mg8YStw)] || '''다우르어'''는 [[다우르족]]들의 언어이다. 다우르어는 [[거란어]]의 후손언어로 추정되고 있다. 다우르어는 [[몽골어족]] 동북몽골어군에 속한 언어로 [[몽골어]]와 매우 가까운 언어이다. 몽골어와 매우 가까워서 [[방언연속체]]에 속해 있다. 다우르족들이 [[거란족]]들의 후손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다우르어도 거란어의 후손 언어로 추정되고 있다. 다우르어는 몽골어와 가까워서 몽골어와 문법이 거의 비슷하고 어휘도 몽골어와 매우 가깝다. 그리고 다우르어는 [[중국어]]에서 유래된 어휘도 많이 있다. 심지어 [[거란어]] 역시 몽골어, 다우르어와 거의 비슷하다. 주요 단어는 "치치카르([[만주어]]: 치치하르/[[중국어]]: [[치치하얼]])"가 있다. 다우르어로 천연[[목장]]을 뜻한다고 한다. == 문자 == 다우르어는 예전에 [[몽골 문자]]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분류:몽골어족]][[분류:개별 언어]][[분류:중국의 언어]][[분류:중국-몽골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