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ada594><-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530_f00_s0.png|width=40]] 0530 [[몰드류]] || [[파일:icon0531_f00_s0.png|width=40]] '''0531 {{{#000,#fff 다부니}}}''' || [[파일:icon0532_f00_s0.png|width=40]] 0532 [[으랏차]] || ||<-3><#ada594>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33333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하나도감 목록|{{{#FFFFFF 하나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BW|BW]] || || [[파일:530새2박스아이콘.png]] 036 [[몰드류]] || [[파일:531스위치아이콘.png]] '''037 {{{#000,#fff 다부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32MS.png]] 038 [[으랏차]]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BW2|BW2]] || || [[파일:노고치 도트.png]] 035 [[노고치]] || [[파일:531스위치아이콘.png]] '''036 {{{#000,#fff 다부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11MS.png]] 037 [[야나프]] || ||<-3><#5a5aff>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6세대#센트럴칼로스도감|{{{#FFFFFF 센트럴칼로스도감}}}]] || || [[파일:545새2박스아이콘.png]] 122 [[펜드라]] || [[파일:531스위치아이콘.png]] '''123 {{{#000,#fff 다부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35MS.png]] 124 [[루브도]] || ||<#663366><-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 목록|{{{#FFFFFF 가라르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왕관설원도감(DLC)|왕관설원]] || || [[파일:마그마번 도트.png]] 020 [[마그마번]] || [[파일:531스위치아이콘.png]] '''021 {{{#000,#fff 다부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82MS.png]] 022 [[배바닐라|바닐프티]] || }}}}}}}}} || }}} ||<#ada594>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531 다부니.png|width=100%]] || [[파일:531 메가다부니.png|width=100%]] || || 다부니 || 메가다부니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ada594> {{{#FFFFFF 이름}}} ||<#ada594> {{{#FFFFFF 도감 번호}}} ||<#ada594>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531_f00_s0.png|width=40]][br]'''다부니'''[* 이름의 유래는 '아마도(多分)'와 '다문(多聞)'의 중의적 의미. 한국판 이름에는 전자의 뜻으로 '다분히'를 소리나는 대로 적었으며 북미판 이름에는 후자의 뜻으로 '듣다'를 뜻하는 접두사 'Audi-'가 들어가 있으며 "I don't know"와 비슷하게 들리기도 한다.] [br] タブンネ(타분네) [br] Audino ||<|2> 전국: 0531[br]하나: 037^^BW^^ / 036^^BW2^^[br]센트럴칼로스: 123[br]가라르: 021^^왕관설원^^ || [include(틀:노말타입)] || || [[파일:icon0531_f01_s0.png|width=40]][br]'''메가다부니''' [br] メガタブンネ(메가타분네) [br] Mega Audino || [include(틀:노말타입)][br][include(틀:페어리타입)] || [anchor(앵커-특성)] ||<-2><#ada594>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메가진화|{{{#FFFFFF 메가진화}}}]] {{{#FFFFFF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ㅊ#치유의마음|치유의마음]] || 턴이 끝날 때마다 1/3 확률로 곁의 아군의 상태이상을 치유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ㅈ#재생력|재생력]] || 교체 시 총체력의 1/3을 회복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ㅅ#서투름|서투름]] || 지니고 있는 도구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 || **[[포켓몬스터/특성/ㅊ#치유의마음|치유의마음]] || 턴이 끝날 때마다 1/3 확률로 곁의 아군의 상태이상을 치유한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ada594> {{{#FFFFFF 포켓몬}}} ||<#ada594> {{{#FFFFFF 분류}}} ||<#ada594> {{{#FFFFFF 신장}}} ||<#ada594> {{{#FFFFFF 체중}}} ||<#ada594> {{{#FFFFFF 포획률}}} || || 0531 다부니 ||<|2> 히어링 포켓몬 || 1.1m || 31.0kg ||<|2> 255 || || 메가다부니 || 1.5m || 35.0kg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요정 || 20 || 800,000 || [anchor(앵커-진화)] ||<#ada594><-4>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ada594> [[메가진화|{{{#FFFFFF 메가진화}}}]]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audino.gif]][br]0531 다부니 || [[파일:attachment/메가진화/531_Dabuni_stone.png ]][br]다부니나이트[br]↔ || [[파일:attachment/Spr_oras_531-mega.gif]][br]메가다부니 || [anchor(앵커-방어 상성)] ||<-5><#ada594>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FFFFFF 0배}}} || || [[파일:icon0531_f00_s0.png|width=40]][br]다부니 || [include(틀:격투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include(틀:풀타입)] || - || [include(틀:고스트타입)] || || [[파일:icon0531_f01_s0.png|width=40]][br]메가다부니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독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악타입)] ||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ada594><-8> [[종족치|{{{#FFFFFF 종족치}}}]] || ||<#ada594> {{{#FFFFFF 포켓몬}}} ||<#ada594> {{{#FFFFFF HP}}} ||<#ada594> {{{#FFFFFF 공격}}} ||<#ada594> {{{#FFFFFF 방어}}} ||<#ada594> {{{#FFFFFF 특수공격}}} ||<#ada594> {{{#FFFFFF 특수방어}}} ||<#ada594> {{{#FFFFFF 스피드}}} ||<#ada594> {{{#FFFFFF 합계}}} || || [[파일:icon0531_f00_s0.png|width=40]][br]다부니 || 103 || 60 || 86 || 60 || 86 || 50 || 445 || || [[파일:icon0531_f01_s0.png|width=40]][br]메가다부니 || 103 || 60 || 126 || 80 || 126 || 50 || 545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531_f00_s0.png|width=40]][br]{{{#FFFFFF 다부니}}} || ||<#ffffff,#000000><-2><:>{{{#!HTML}}}|| ||<-2> [[파일:icon0531_f01_s0.png|width=40]][br]{{{#FFFFFF 메가다부니}}}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ada594>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다부니#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ada594> [[파일:icon0531_f00_s0.png|width=40]][br]{{{#FFFFFF 0531 다부니}}} || || 블랙 ||<|4>귀의 더듬이가 상대에게 닿으면 심장 소리를 듣고 몸 상태나 기분을 알 수 있다. || || Y || || 알파사파이어 || || 포켓몬 GO || || 화이트 ||엄청난 청력을 가졌다. 조그만 소리로 주변 상태를 레이더처럼 파악한다. || || BW2 ||<|3>귀의 더듬이로 상대의 컨디션이나 알에서 포켓몬이 언제 나올지도 알 수 있다. || || X || || 오메가루비 || || 소드 ||뛰어난 청각을 가졌다. 2km 떨어진 곳에서 구르는 돌멩이 소리도 들을 수 있다. || || 실드 ||마음 착한 포켓몬이다. 더듬이를 갖다 대어 상대의 마음과 몸 상태를 파악한다. || ||<-2><#ada594> [[파일:icon0531_f01_s0.png|width=40]][br]{{{#FFFFFF 0531 메가다부니}}} || || 포켓몬 GO ||귀의 더듬이로 상대의 컨디션이나 알에서 포켓몬이 언제 나올지도 알 수 있다. || ||<-2><#ada594>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5세대에서 등장한 포켓몬. 모티브는 [[간호사]]. 청력이 매우 좋아서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는 음파에도 반응하며, 귀에 달려 있는 더듬이를 청진기처럼 상대방에게 가져다 댐으로써 상대방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고 한다. == 스토리 진행 == ||<#ada594>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 다소 제한적 || || {{{#FFFFFF 사유}}} || 너무 낮은 물리공격, 특수공격 || || {{{#FFFFFF 대체안}}} || 플래시+파도타기 요원 || 하나지방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풀숲에서 흔들리는 풀숲으로 접근하면 대부분 다부니가 나온다. 쓰러뜨리면 '''엄청나게 많은 경험치'''를 얻을 수 있어 포켓몬의 육성을 위해서는 대단히 중요한 야생 포켓몬이다. 5세대인 블랙/화이트에서는 트레이너와의 재대전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체렌]]이나 [[뇌문시티]]의 스타디움 등 일부 예외는 있다.) 포켓몬을 쓰러뜨렸을 때 받는 경험치의 양은 해당 포켓몬이 가지는 고유한 경험치 수치가 기본적으로 반영되는데, 다부니의 고유 경험치 수치는 '''390'''으로 '''[[아르세우스]](324)보다도 높다.''' 사실 [[럭키(포켓몬스터)|럭키]]나 [[해피너스]](각각 395, '''608''')보다는 낮은 수치지만, 럭키는 야생 출현률이 1%고, 해피너스는 아예 나오지 않으니 실질적으로 다부니가 '''경험치를 가장 많이 주는 포켓몬'''이다.[* 니코동에서 [[http://www.nicovideo.jp/watch/sm12446594|#]] 해외판 미뇽 레벨 1에 딜파워, 행복의알, 둥실라이드의 대폭발을 이용하여 레벨 65 다부니의 경험치를 몰아줘본 결과 '''무려 레벨 52'''까지 상승했다. 경험치 178632. 업로더의 코멘트에 따르면 80만 타입이면 60까지도 찍을 수 있다는 듯.] BW2에서는 아예 대놓고 다부니를 잡으라는 듯이 "다부니라는 포켓몬...대체 왜 그렇게 많은 경험치를 주는 거지?"라며 [[팁(동음이의어)|NPC의 대사로 알려주기까지 한다.]] BW에서도 바람개비숲 입구에 한 트레이너에게 말을 걸면 "다부니라는 포켓몬은 경험치를 많이 주는 참 고마운 포켓몬이지" 라는 말을 한다. 경험치와 함께 체력 [[노력치]]도 많이 주기 때문에(+2) 수많은 트레이너들이 5세대를 플레이할 때마다 다부니를 사냥해왔다. 다부니가 쓰는 성가신 기술로는 역시 [[헤롱헤롱]]과 [[비밀의힘]]을 들 수 있다. 꼴에 자속이라고 내구가 약한 미진화체 포켓몬들에겐 제법 아프게 들어오며, 대부분 다부니를 풀숲에서 만나게 되므로 가끔씩 수면 부가효과가 터진다. 둘 다 걸린다면 제법 열이 뻗칠 것이다. 그 외에는 가끔 들고있는 자뭉열매가 성가신 정도. 극초반에는 오히려 오랭열매가 더 무섭다. 하지만 공격기라곤 연속뺨치기, 비밀의힘, 돌진, 이판사판태클이 끝. 죄다 노말 타입 기술이라 고스트 타입 포켓몬 상대로 다부니는 무슨 수를 써도 데미지를 주지 못한다. 따라서 고스트 타입 포켓몬에 맹독을 가르친다면 1레벨짜리도 레벨 50이 넘는 고레벨 다부니를 혼자 잡을 수 있고, 이러면 행복의알 + 딜파워 등 경험치 보정에 힘입어 한 번에 레벨을 30~40대까지 올릴 수 있다. 엔딩 후 저레벨 포켓몬을 육성할 때 다부니로 경험치작을 하려 한다면, 학습장치를 이용하면 다부니가 주는 경험치의 최대 75%밖에 받지 못하므로, 자폭 계열 기술을 통해 경험치를 몰아주는 것이 좋다. 하나도감 내에서 쓸 수 있는 방법으로는 [[너트령]]의 [[대폭발(포켓몬스터)|대폭발]]과 [[배쓰나이]], [[어지리더]]의 [[목숨걸기]]를 쓰면 된다. 레벨 올릴 포켓몬에게 행복의알을 지니게 하고 선두에 세운다음, 다부니가 뜨면 자폭몬으로 교대, 대폭발로 터지거나 목숨걸기로 기절시킬 체력까지 줄인 뒤 동귀어진하면 된다. BW의 자이언트홀 다부니(Lv.52~55) 기준으로 1레벨 포켓몬이 한 번에 3만 대의 경험치를 얻을 수 있고, 딜파워에 따라 4만 대까지 습득이 가능하다. 경험치량 무관 최소 30 이상은 보장되는 경험치량이다. 클리어 이전에는 10번 도로, 클리어 이후에는 [[자이언트홀]]에서 높은 레벨의 다부니를 만날 수 있다.또 뇌문 스타디움에서 의사양반과 간호사가 64레벨의 다부니를 들고나오는데, 한방에 높은 경험치를 얻고 싶다면 노려보는것도 하나의 방법.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BW2]]에서는 [[하나의 난관|새로운 경험치 스팟]][* 특히 백의 수동에선 다부니보다 경험치를 더 많이 주는 럭키, 해피너스를 들고 오는 트레이너가 있다. 레벨도 더 높아 이쪽에선 경험치 [[카운터 스톱]]을 볼 수 있다.]의 등장으로 엔딩 후에는 전작만큼 다부니가 무참히 사냥당하는 일은 줄었다. 그래도 많이 당하는 건 여전한데, 여길 입성하게 되면 다부니가 주는 경험치를 뛰어넘지만, 엔딩 전에는 다른 일반 포켓몬을 아무리 잡아봐야 비슷한 레벨의 다부니가 주는 경험치와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라 초중반 노가다에 유용하기 때문. 비슷한 수준으로 가려면 3단 진화형 포켓몬의 최종진화형에 트레이너들이 써서 경험치 1.5배 보정을 받는 정도까지 가야 비교가 된다. 5세대에서 주로 쓸만한 다부니 스팟이 몇 군데 있다. * '''BW1''' * [[바람개비숲]] 외곽 - 출현 레벨 12~15. 보통 알로에에게 도전하기 전 모든 엔트리를 20 전후로 맞추는 데 유용하다. 특히 여기서 타격귀를 채용하는 경우엔 19에 카운터, 21에 깨트리다를 배우기 때문에 더욱 유용하다. * [[하나 16번도로]] - 출현 레벨 19~22. BW 중반부의 고비인 카밀레를 잡기 위한 수련에 유용하다. 두더류에 스톤샤워를 쥐어주려거나 아예 몰드류까지 진화시키려 할 때, 또는 깜눈크를 악비르로 진화시키려 할 때 유용하다. * [[하나 7번도로]] - 출현 레벨 26~29. 태엽산 입성 전이나 풍란에게 도전하기 전 엔트리 레벨을 30대 중반으로 맞추려고 할 때 유용하다. * [[자이언트홀]] - 출현 레벨 52~55. 엔딩 후 주 노가다 스팟. 2회차 엔딩인 리그 도전을 위해 엔트리를 70 언저리에 맞추려면 노가다 할 곳이 뇌문 돔이랑 여기 밖에 없다. 13번도로와 인접한 외곽 말고, 동굴을 지난 뒤 큐레무한테 가는 길목의 풀숲에서 노가다해야 50대 다부니가 나온다. 가끔 5% 확률로 튀어나오는 맘모꾸리랑 메타그로스는 조심하자. * '''BW2''' * [[모란만콤비나트]] - 출현 레벨 10~13. 체렌 전 이후 모란만시티 도착후 바로 보미카에게 도전하는 게 수순이라 들어가기 전 엔트리 레벨 상승에 유용하다. 챌린지 모드라면 거의 필수 코스. * [[구름시티]] - 구름하수도 지나서 들어오는 비밀 정원에서 15~18. [[불비달마]]나 [[몰드류]]를 키우려면 이 때가 영입시점인데 아티전 이전에 레벨업할 구간이 마땅치 않아 활용하게 된다. * [[하나 7번도로]] - 출현 레벨 30~33. 전작에 비해 레벨이 올라갔다. 여기서 엔트리 레벨을 40대로 안 맞춰놓고 가면 풍란까지는 괜찮은데 사간전에서 급격한 레벨 상승을 감당하기 어려워진다. 가디를 키우고 있다면 여기서 가르칠 거 다 가르치고 윈디로 진화시키는 게 좋다. 무한배틀 가능한 포켓몬 브리더를 같이 활용해서 레벨업하는 게 좋다. * [[챔피언로드]] - 출현 레벨 47~50. 1회차 엔딩 직전에 레벨이 딸릴 경우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앞선 레벨업 구간에서 레벨 관리를 잘 했을 경우 자이언트홀 시점에서 이미 엔트리 레벨이 충분히 높기 때문에 굳이 활용할 일은 많지 않다. * [[하나 3번도로]] - 출현 레벨 55~58. 하나링크로 백의 수동을 해금하지 못한 블랙2 버전이나, (알까기 후 개체치 확인 등) 단기간에 레벨업이 필요할 경우 엔딩 후에 활용할 수 있는 지역이다. 다만 백의 수동 에리어 6 이상을 뚫었다면 그 쪽으로 가는 편이 훨씬 낫다. 꿈터나 1~2번 도로가 레벨이 1씩 더 높긴 하지만 키우미집과 가깝기 때문에 이쪽에서 하는 게 편하다. 6세대에 와서는 사람들은 경험치를 위해 열심히 [[사파리존|다부니 사파리]]를 찾고 있을지도 모른다. 단 경험치 노가다로는 [[배틀샤토]] 쪽이 더 나을지도 모르는데, 후작까지 올라가면 등장하기 시작하는 [[기모노드레스]] 트레이너들은 '''전부 다부니만 소지'''한다. 거기다 검은 초대장을 사용할 경우 더치스 기모노드레스 트레이너들이 꺼내는 건 '''레벨 65 다부니 3마리.''' 어마어마한 경험치를 노릴수 있다. 하지만 ORAS에서는 자유로운 포켓몬/기배가 가능한 비밀기지 친구와의 배틀로 경험치를 얻을 수 있으므로 경험치 셔틀의 지위를 마리당 경험치 최대인 [[해피너스]]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 그렇지만 해피너스 도장은 1일 5회 한정이므로 그 이후에는 환상섬[* [[황금마을]] 남쪽], 환상숲[* [[109번수로]] 남쪽, [[132번수로]] 남쪽], 환상산[* [[125번수로]] 북쪽]을 발견하여 다부니를 잡기도 한다. 8세대에서는 짤렸다가 왕관의 설원에서 복귀했다. 어지간한 대부분의 평지 필드에서 심볼로 돌아다니고, 플레이어를 보면 럭키마냥 도망간다.~~PTSD~~ 여전히 경험치 셔틀이라는 포지션을 위해서였는지 이녀석이 나오는 맥스레이드에 가면 경험사탕과 이상한 사탕을 엄청나게 퍼부어준다.[* 얼마나 퍼부어주냐면 이상한 사탕은 무려 최대 '''8개''', 5성 기준으로 모든 종류의 경험사탕을 3개씩 준다. 또한 은왕관은 물론이고, 잘하면 '''금왕관'''까지 받을 수 있다.] == 포획 == 도감의 서식지 분포도를 보면 하나 지방의 거의 전체에서 나오는 것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처음 만날 수 있는 곳이 꿈터이다. 즉, 게임 극초반부터 레벨 노가다가 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다. 그 때문인지 칠보시티에 사는 NPC 중 다부니에 대해 핵심을 찌르는 설명이 "상냥한 포켓몬". 정말로 각잡고 다부니 노가다를 하면 칠보시티에서 스타팅 포켓몬 3단계 진화도 얼마든지 손쉽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만날 수 없고, 흔들리는 풀숲을 밟아야만 만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에몽가]] 등 다른 희귀 포켓몬이 나오기도 한다. 그보다도 더 낮은 확률로 필드에 초기형으로 출몰하는 포켓몬의 최종진화형이(예를 들어 [[모아머]]라든가 심하면 [[메타그로스]]라든가) 나오기도 하니 육성이 귀찮으면 포획해보자.] 흔들리는 풀숲은 BW, BW2를 막론하고 첫 번째 배지 획득 후에 활성화된다. 참고로 흔들리는 풀밭에 도착하기 전에 전투가 일어나면 흔들리는 풀밭의 위치가 초기화된다. 4세대에서 '포켓트레'를 사용했을 때와 비슷하다. 다부니가 사실상 모든 필드에서 나온다는건 좋은 것만은 아니다. 다른 진화체들을 그만큼 더 잡기 힘들다는 소리이기도 하니까. 흔들리는 풀숲중에 10개중 9개는 다부니. 다른 진화체들은 대부분 필드에 나오는 것들의 진화체[* 9번도로는 듀란의 진화체인 란쿨루스가, 자이언트홀에는 메탕구의 진화체인 메타그로스가 뜨고 10번도로에는 수리둥보/벌차이의 진화인 워글/버랜지나가 뜨는걸 보면 이해가 갈듯.]니까 상관은 없지만. 오죽하면 일덕이나 양덕들 사이에서 레어 포켓몬 전투 BGM이 다부니 테마곡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다. BW2에서도 거의 대부분의 맵에 분포하며, 초반 맵인 산가지목장과 20번 도로에서 흔들리는 숲에서는 [[노고치]]와 같이나오지만 노고치가 나올 확률은 낮은편이라 매우 높은 확률로 다부니만 주구장창 나온다. 예외로 19번 도로만 흔들리는 풀숲에서 다부니가 나오지 않고 보르쥐가 ~~다부니 테마곡을 틀면서~~ 나온다. XY에서는 칼로스 6번도로에서 풀숲에서 등장하며, ORAS에서는 환상섬에서 등장한다. 울트라썬문에서는 울트라워프라이드 이용시 조우 가능하다. 소드실드에서는 왕관의 설원에서 등장한다. == 대전 == 대전에서 써 보면 높은 경험치와 회복기 중심의 기술배치 등은 비슷하지만, 종족치의 배분은 해피너스만큼 극단적이지는 않다. 대전에서는 높은 기술폭을 이용한 내구형 특공 어태커로 쓸 수 있다. [[냉동빔(포켓몬스터)|냉동빔]], [[화염방사(포켓몬스터)|화염방사]], [[파도타기(포켓몬스터)|파도타기]], [[사이코키네시스]], [[솔라빔]], [[섀도볼]], [[10만볼트]], [[풀묶기]]를 채용할 수 있으며 [[불대문자(포켓몬스터)|불대문자]], [[눈보라(포켓몬스터)|눈보라]], [[번개(포켓몬스터)|번개]]를 채용해 모자란 종족값을 채울 수도 있다. 하지만 이래도 모자란 점이 많기 때문에 [[전기자석파]]나 [[하품(포켓몬스터)|하품]], [[천사의키스]]등의 보조 기술을 활용해 주어야한다. 내구형 특수 어태커로서는 훨씬 단단한 해피너스가 있고 해피너스는 하늘의은총을 이용한 부가효과도 노릴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대신 해피너스에겐 없는 특성 재생력으로 구애안경을 지닌후 공격하다 교체하면서 HP를 보충하는식으로 사용할수있다. 또한 [[맘복치]]와 비슷하게 재생력+[[희망사항(포켓몬스터)|희망사항]]으로 자힐+타힐이 가능한 얼마 없는 포켓몬이다. 맘복치만큼은 못하지만 체력이 높은 편이기에 충분히 활용 가치가 있다. 더블 배틀에 유용한 서포팅 포켓몬으로 쓰기 좋은 [[심플빔]], [[치유파동]], [[도우미(포켓몬스터)|도우미]]등의 기술을 자력으로 배우고 기술머신으로 [[리플렉터]], [[빛의장막]]을 배우며 교배기로 [[치료방울]]을 배우는 터라 그쪽을 파고드는게 좋다. 또한 경험치도 80만 타입이라 빨리 100레벨을 찍을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쓰이는 형태는 [[트릭룸]] 요원 겸 [[치유파동]]을 필두로한 서포터.[* 2017년 8월 28일 현재, 더블과 트리플에선 92% 정도의 다부니가 트릭룸을 채용했다.] 그러나 이런 형태는 멘탈허브 없이도 '아로마베일' 특성으로 도발에 걸리지 않으며, 저 두 가지 기술을 모두 배우는 [[프레프티르]]에게 밀리는 감이 있기 때문에 다른 보조기를 채용해야 한다. 숨겨진 특성은 [[이어롭]]과 같은 '서투름'. [[동료만들기]]로 상대의 특성과 도구를 동시에 봉인시킬 수 있지만 그걸로 끝이다. 이어롭은 교배기로 [[바꿔치기]]를 배워서 물리어태커에게 화염구슬을 넘겨주는 등의 전술도 쓸 수 있는 반면, 다부니가 배울 수 있는 도구 관련 기술은 [[기프트패스]]와 [[내던지기]] 뿐이다. 이어롭과 내구력 면에서 차별화가 될 듯 하지만 정작 회복기가 [[희망사항(포켓몬스터)|희망사항]]과 [[잠자기]] 정도. B2/W2에서 기술가르침으로 [[아픔나누기]]가 추가 되긴 했지만 애초에 체력이 많아서 살짝 미묘하다. 재생력 특성의 우수성에 비하면 활용하기 어려운 편. 몇 안되게 [[심플빔]]을 배우는 포켓몬이므로 심플빔으로 상대 특성을 단순으로 바꾼 뒤 트레이스 특성의 [[가디안]]을 꺼내 랭업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상대가 먼저 교체해버리거나 랭업기를 쓴다면 낭패다. 어찌 되었든 귀여운 외모에 넓은 인지도, 넓은 기술폭에 비해 능력치는 그리 좋지 않고 다부니보다 더욱 뛰어난 포켓몬들이 워낙 많아서, 실전에서 다부니가 큰 활약을 하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 [[메가진화|메가다부니]] === [include(틀:포켓몬스터/메가진화)] ||[[http://pokemonkorea.co.kr/?inc=special_site-oras-sub03_05_09|공식 홈페이지 소개]]||적의를 꺾는 치유의 파동을 만들어내 몸에서 방출한다. 치유의 파동은 강력하여 누구라도 마음이 평온해진다. 제2의 촉각에 접촉한 자는 누구라도 깊은 잠에 빠져버린다. || 2014년 8월 12일, 포켓몬 코리아에서 실수로 [[야도란#s-2.1|메가야도란]]과 메가다부니가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 페어리타입이 추가되어 노말/페어리타입이 되고 특성이 치유의마음으로 고정되며 방어와 특수방어가 크게 오른다. 외형도 간호사에서 [[마취통증의학과|의사]]처럼 변화하는데, [[전신마취|가슴 부분에 생긴 청진기 비슷한 제 2의 촉각에 접촉한 자는 누구든 잠이 든다고 한다.]] 참고로 국내 공식 홈페이지에서 유출된 메가다부니의 정보중 다부니에 대한 내용이 포켓몬 설명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조리 메가이어롭의 정보로 되어 있었다. 히어링포켓몬이 아닌 토끼포켓몬이라든가, 노말타입이 아닌 노말/격투타입이라든가, 특성이 근성으로 적혀있다거나… 8월 20일에 정식으로 공개된 정보에는 모두 수정되었다. 이후 게임스컴 2014에서 마스다 준이치의 영상 메시지와 함께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메가다부니는 최초의 5세대 메가진화 포켓몬이다. 메가다부니의 공개로 드디어 5세대 포켓몬 역시 메가진화가 가능하다는게 밝혀졌다. 노말/페어리가 되기 때문에 격투약점이 사라져 메가진화를 통해 격투기술을 버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상성은 고스트와 드래곤에 0배, 벌레와 악타입에 0.5배라서 무시할 수 없는 상성이다. 방어와 특수방어가 오른다고하니 종족치도 필요한 곳에 분배된 편. 하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특성인데 치유의마음은 상태이상을 풀어주기 때문에 화상이나 마비를 커버해 줄 수 있지만 문제는 이 확률이 30% 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 그래서 대부분은 특성은 재생력으로 맞추고 상태이상 대책이 필요하다면 [[치료방울]]을 사용했는데 이런 특성을 메가진화로 줘버렸다. 아군에게만 적용돼서 싱글이라면 아예 특성이 없는 셈인 건 덤. 동료만들기로 특성에 의존하는 상대에게 치유의마음을 끼얹어 바보로 만드는 식으로 활용하면 싱글에서도 쓸모가 있긴 하다만, 여기에 더해 도구까지 쓸 수 없게 만드는 서투름 [[이어롭]]이나, 2턴마다 한 번씩 쉬게 만드는 게으름 [[아이앤트]]도 있는데 굳이 메가스톤까지 할당하면서 이들보다 특성 약화의 수준도 약한 메가다부니로 이런 짓을 할 이유가 없다. 결국 현재까지 공개된 모든 메가진화 포켓몬 중에서 사용률 최악을 달리고 있다. 아무 쓸모 없는 특성에다가 제대로 된 특징도 없어서 대전에서는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메가진화 후의 특성을 능동적으로 활용하기 힘든 [[헬가(포켓몬스터)|헬가]], [[나무킹]], [[프테라(포켓몬스터)|프테라]][* 헬가는 가뭄 포켓몬을 하나 더 채용해야 하는 것에 대한 파티의 안정성 문제로 저평가를 받지만 종족값 분배 자체는 물공에 투자되지 않고 특공/내구/스피드에 깔끔하게 분배되어 있고, 나무킹은 종족값 분배와 특수 기술폭이 발목을 잡지만 메가진화를 하면 스피드가 145로 빨라지기 때문에 선공권을 잡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프테라 또한 특성 보정을 받는 고위력기의 부재로 저평가받지만 종족값 분배 자체는 무난하다.]나 메가진화보다 일반 형태가 더 많이 채용되는 [[라티오스]], [[한카리아스]]보다도 더욱 더 안보이는 구제불능 상태이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포켓몬스터 TCG]] === ==== 다부니 EX ==== ||||||<:>[[파일:external/assets.pokemon.com/XY10_EN_84.png]]||||<:>|| || '''한글판 명칭''' ||||||||'''다부니 EX'''|| || '''영어판 명칭''' ||||||||'''Audino-Ex'''|| || '''일어판 명칭''' ||||||||'''タブンネEX'''|| || '''수록 블록, 팩''' ||||||||XYH 메가 배틀 60장 덱 M다부니 EX || || '''카드의 종류''' ||||||||기본 포켓몬|| |||| '''HP''' |||| '''타입''' || '''레어도''' || |||| 180 |||| 무 || - || |||| '''약점''' |||| '''저항''' || '''후퇴비용''' || |||| 격투 |||| - || 3 || || '''분류''' || '''이름''' || '''코스트''' || '''데미지''' |||| '''효과''' || || 기술 || 드레인뺨치기 || 무 || 20 ||||이 포켓몬의 HP를 「20」회복한다.|| || 기술 || 친구사이 || 무무무 || 60+ ||||자신의 벤치 포켓몬의 수 x 10데미지를 추가한다.|| 기술 친구사이는 벤치와 교체하면서 싸우는 구축덱과 컨셉이 맞춰져 있다. 동봉된 페어리가든을 사용하면 페어리 에너지를 붙이고 자유롭게 포켓몬 교체가 가능. ==== 메가다부니 EX ==== ||||||<:>[[파일:external/assets.pokemon.com/XY10_EN_85.png]]||||<:>|| || '''한글판 명칭''' ||||||||'''M다부니 EX'''|| || '''영어판 명칭''' ||||||||'''M Audino-Ex'''|| || '''일어판 명칭''' ||||||||'''MタブンネEX'''|| || '''수록 블록, 팩''' ||||||||XYH 메가 배틀 60장 덱 M다부니 EX || || '''카드의 종류''' ||||||||M진화 포켓몬|| |||| '''HP''' |||| '''타입''' || '''레어도''' || |||| 220 |||| 무 || - || |||| '''약점''' |||| '''저항력''' || '''후퇴비용''' || |||| 격투 |||| - || 3 || || '''분류''' || '''이름''' || '''코스트''' || '''데미지''' |||| '''효과''' || || 기술 || 매지컬심포니 || 무무무 || 110 ||||이 차례에 패에서 서포트를 꺼내서 사용했다면 상대의 벤치 포켓몬을 1마리 선택해서 그 포켓몬에게도 50데미지를 준다. (벤치는 약점, 저항력 계산을 하지 않는다.)|| 무색 에너지만을 요구해서 더블 무색 에너지와 호환되고 어느 덱이나 들어갈 수 있는 점이 장점이다. WCS2016 TCG부문 마스터 '''우승자'''가 메가다부니덱을 이용했다. 앱솔, 코바르온, [[마기아나]]EX를 채용한 반 강철덱. 밤의행진을 상대로는 앱솔을 동원하면 미리 50데미지를 뿌린 후 앱솔을 보내면 공짜로 프라이즈를 1장 가져올 수 있고, HP130인 수많은 포켓몬들을 M다부니의 타점까지 넣어줄 수 있다. [[대로트]]를 상대로 기본 대로트를 110으로 일격에 잡고 후속 나목령까지 50대미지로 잡아낼 수 있으며, 대로트 브레이크 역시 110+50으로 무너뜨릴 수 있다. 그렇게 강력한 카드는 아니지만, 환경을 정확히 꿰뚫는 카드라는 점이 빛을 발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2072991&logNo=220796721230|출처]]. === 애니메이션 === 베스트위시에서는 [[간호순]]의 파트너가 되어 [[해피너스]] 계열의 포지션을 계승하였다. XY에서는 푸크린에게 포지션이 이전되었다. [[파일:attachment/다부니/audino_suicide.jpg|width=300]] 애니메이션에서는 특수한 음파를 내보내는 기계로 온 마을의 다부니가 로켓단에게 납치당한다. 애니메이션의 다부니 성우는 [[후쿠엔 미사토]], [[타카하시 치아키]], [[하야시바라 메구미]], 한국판은 하나는 [[장경희(성우)|장경희]]. [[파일:attachment/다부니/audino_ranger.jpg|width=300]] 이후 지우일행과 엑스트라들의 도움으로 풀려나 다양한 기술로 로켓단을 관광보낸다. 직접 "다부니는 상냥할 뿐 아니라 여러 기술을 쓸 수 있다."고 다부니의 넓은 기술폭을 언급한다.[* 위의 사진에서 나온 기술들만 보면, [[화염방사(포켓몬스터)|화염방사]], [[냉동빔(포켓몬스터)|냉동빔]], [[10만볼트]], [[차지빔]], [[파괴광선]], [[섀도볼]], [[솔라빔]]을 쐈다. ~~파워풀허브 썼나~~] [[파일:애니메부니.png|width=300]] XY&Z에서 '''다부니의 메가진화에 성공한 간호순'''이 등장한다. 기술배치는 그로우펀치/연속뺨치기/치유파동/돌진. === [[포켓몬 셔플]] === 9스테이지에서 획득 가능하며, 바로 다음 스테이지가 다부니 메가진화 스테이지라서 가장 먼저 사용해보게 될 [[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이다. 타점도 50으로 낮고 능력도 급소찌르기라서 별 볼일 없기 때문에 리더로만 사용되는데, 메가진화 효과는 터치한 곳 주변의 1칸을 전부 없애는 것이고 같은 메가다부니가 이 메가진화 효과에 휩쓸려 지워지면 그 지워진 곳을 중심으로도 1칸을 없애준다. 때문에 다른 노말 타입 메가진화 포켓몬인 [[이어롭]]이나 [[캥카]]의 경우에는 지우는 양은 더 많지만 가로 또는 세로 한 줄 전체를 지우는 방식이라서 사용해야 할 상황이 극명하게 갈리는 것과는 달리, 연쇄 반응을 일으키기 쉬워서 나름대로 성능이 괜찮은 편이라 메가진화 포켓몬이 부족한 극초반에는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맥스레벨업도 최대 15개까지 적용 가능하다. 특히 메가진회에 들어가는 에너지 충전도 그 양이 적어서 메가스타트 쓰지 않는다는 가정하에는 그나마 제일 빨리 발동시킬 수 있는 편 하지만 타점도 낮고 방해가 자주 등장하는 스테이지에서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거기에다 결정적으로 '''노말 타입이라서''' 스킬업과 레벨업을 모두 끝마친 [[아르세우스]]와 [[레지기가스]]가 없으면 낮은 타점 때문에 다른 노말 타입 포켓몬처럼 중반부터는 버려지기 일쑤다. 물론 아르세우스와 레지기가스를 충분히 성장시켜 두었다면야 다시 쓸만해지긴 하지만, 이 둘을 구하거나 레벨업을 해주기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서…. 이후 이벤트 스테이지를 통해 윙크를 하는 다부니 아종이 새롭게 추가되었는데, 타점은 여전히 50으로 낮지만 능력이 잊게만들기(상대의 방해 카운트 최대치)이고 메가진화 효과가 메가[[뮤츠]] Y 원종이나 [[다크펫]]과 동일한 '동일한 타입의 포켓몬 10개 없애기'라서 좀 더 쓸만하다. 맥스레벨업을 최대 15개까지 적용 가능한 것도 그대로. 윙크 다부니를 구해두었고 아르세우스와 레지기가스의 성장을 끝마쳤다면 윙크 다부니를 쓰는 것이 훨씬 이득이다. === [[Pokémon GO]] === 2020 발렌타인 이벤트로 등장. 맘복치와 함께 등장하였는데, 이벤트 공개 포켓몬치고는 출현율이 매우 저조하며 황금 라즈열매를 먹여도 포획률 원의 색깔이 여전히 빨간색으로 나올 정도로 포획률이 극악으로 낮다. 성능은 좋지 않다. 낮은 능력치와 노말 타입 특유의 문제 때문에 체육관 방어용으로만 어느정도 쓸법한 정도. 내구는 좋지만, 평타 성능과 기술폭이 좋지 않아 PvP에서도 사장되었다. 하지만 이런 극악의 포획 난이도와 절망적인 성능에도 다부니가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에 속하지 않는 이유는 바로 포획 시 나오는 별의모래 때문이다. 잡으면 무려 '''2100'''모래를 준다![* 날씨부스트 버프를 받은 상태로 잡을시 '''2625'''모래] 기존에 1000 모래를 지급하던 [[치렁]]보다도 2배나 많은 양이다. 이후 5주년 행사에서 이로치가 공개되었고 기간 한정으로 치렁과 함께 대량으로 출현했다. ==== 메가다부니 ==== 현재까지 각 세대별 메가진화 가능한 포켓몬 중 유일하게 메가진화가 미구현 상태다. == 기타 == 디자인한 사람은 [[미즈타니 메구미]].일반 다부니 외에 메가다부니도 디자인해서인지 위화감이 적은 편이다. 덤으로 여성적인 생김새에 비해 암수 성비가 반반. 게임 내 세계관에서는 제법 인기가 많은 듯 하여 필드 위에 다부니를 데리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뇌문시티]]의 유원지에는 다부니 모양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기도 하며 그 앞에 주인과 함께 놀고 있는 진짜 다부니가 있다. 그렇게 필드 위에 있는 다부니들에게 말을 걸어 보면 자기 이름 외에도 참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등장할 때의 [[울음소리(포켓몬스터)|울음소리]]와 기절할 때 [[울음소리]]가 많이 달라 사냥이 계속 될 수록 더더욱 측은해진다. 커뮤니티에서는 '삑삑!'거리는 포켓몬으로 통하고 있다. 정작 구름시티 포켓몬센터에 있는 다부니의 의태어는 다-부-니?라고 표현된다. 가끔씩은 동성 포켓몬에게 헤롱헤롱을 쓴다는 것 때문에 게이 포켓몬으로도 인식된다.(...)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희생양, 상처받는다는 점이 부각되어 [[N(포켓몬스터)|N]]과 엮이기도 한다.([[http://www.pixiv.net/member_illust.php?mode=medium&illust_id=13416541|예시]]) 더해서 [[pixiv]] 등지에서는 タブンネ로 검색하면 ゴメンネ[* 모르는 사람을 위해 달아주자면, 고멘네, 뜻은 '''미안해'''(...)], [[야메타게테요오!|やめたげてよぉ!]] 등의 태그가 딸려나온다. 몇몇은 [[검은 닌텐도]] 태그도 (매우 적절하게도) 딸려온다.([[http://www.pixiv.net/member_illust.php?mode=medium&illust_id=13535903|1]], [[http://www.pixiv.net/member_illust.php?mode=medium&illust_id=13552258|2]])[* 번역은 "나를 쓰러트리는 것으로 많은 사람이 기뻐해. 그러니 나도 모두가 기뻐한다면 그걸로 됐다고 생각하고 살아왔지만 언제부터인가 너무나도 가슴이 아파. 좋아해 주고 있는데 마음이 굉장히 아파. 아...파..."] 영칭이 'audino'다 보니까 포켓 파크 Wii 2에서는 자주 이름에 라임을 맞춰서 말한다. 예를 들어 말할때마다 I donno....라든지... [[https://www.youtube.com/watch?v=VUJKGARziYk|심영물로 구현된 BW의 다부니의 일생.]] [[http://www.pixiv.net/member_illust.php?mode=medium&illust_id=16970887|가끔 잡을맛 나는 아종들이 출현하기도 하나보다.]] 마음껏 [[큐베|잡아주자.]] 이런 안 좋게 평가받는 다부니지만 어떤 유튜버가 '''1렙 메가다부니로 상대방을 전멸시키는데 성공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2hzxvf-8ZMw|#]])[* 다부니를 쓰기 전에 독압정 2번, 압정 1번을 깔고, 멜리시의 옹골참을 [[스킬스왑]]을 이용해서 전달한 다음 상대가 잠든 동안 다부니가 스킬스왑을 사용해서 옹골참을 받았다. 상대가 맹독으로 말라죽--고 회복기로 발악하--는 동안 옹골참 특성으로 상대의 공격을 버티고, 상대와의 HP 차이가 엄청나기 때문에 [[아픔나누기]]를 쓰면 상대는 거의 반피가 되는 동시에 다부니는 다시 풀피가 되어 옹골참이 재활성화된다. 여기에 리프레쉬로 메가깜까미가 건 화상을 치료하고, 시간벌기용 방어도 사용해서 승리하는데 성공했다. --여담으로 상대의 마지막 포켓몬이 쓰러지기 전에 상대에게 다시 옹골참을 돌려주는 능욕 플레이가 일품이다.-- 다부니의 기술세팅은 아픔나누기, 스킬스왑, 방어, 리프레쉬.][* 여담으로 상대는 해커다. 사용 포켓몬 중 이로치 후파와 볼케니온이 있는데, 이 둘은 이로치가 풀리지 않았다.] == 관련 문서 == * [[메가진화]] [[분류:5세대 포켓몬]][[분류:노말타입 포켓몬]][[분류:페어리타입 포켓몬]][[분류: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