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인터넷 방송인, rd1=다누리(인터넷 방송인))] [include(틀: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include(틀: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radial-gradient(circle at 50% 40%, #9c949a, #d4d4dc 45%, transparent 47%), linear-gradient(to top, #0f0f12, #161c28, #0f0f12)" {{{+2 '''현재 상태'''}}}}}} || || {{{#ffc30f {{{+5 '''{{{#00a650,#59ffa9 탐사 중}}}'''}}}}}} [br] || ||<-7> '''{{{+3 진행상황}}}''' || || {{{-1 계획}}} || {{{-1 개발}}} || {{{-1 발사장 이송 및 점검}}} || {{{-1 발사 및 항행}}} || {{{-1 달 궤도 진입}}} || {{{-1 탐사}}} || {{{-1 임무종료}}} || ---- ||<-3> '''{{{+3 다누리}}}[br]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 || ||<-3>[[파일:다누리1.jpg|width=100%]]|| || '''설계 및 제작''' ||<-2>[[한국항공우주연구원|[[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CI.svg|width=100&theme=light]][[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CI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 '''총 중량''' ||<-2>678kg (연료 무게 260kg 포함)[* 임무 개시 전 전체 중량의 38%에 달한다.] || || '''크기''' ||<-2>1.82m×2.14m×2.29m (임무 너비 6.3m)|| || '''탑재체 수''' ||<-2>6기 || || '''발사일''' ||<-2>[[2022년]] [[8월 5일]] (한국시간 기준) || || '''발사체''' ||<-2>[[팰컨9 블록5]][* 재활용 버전으로 발사. 1단 발사체 시리얼 넘버는 『B1052』이며, 이전에 다섯 번 화물 운송 미션을 수행한 적이 있다.] || || '''발사 장소''' ||<-2>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기지]] || || '''전이 궤도''' ||<-2>BLT/WSB || || '''운용 궤도''' ||<-2>달 상공 100km 원 궤도, 경사각 90도 || || '''임무 기간''' ||<-2>3년[* 초반에 계획된 임무 기간은 1년이었으나, 2025년까지 임무기간이 2년 연장됨.] || || '''궤적수정기동[br](TCM)''' ||1차 : {{{#00a650,#59ffa9 성공}}} {{{-3 (22. 8. 7.)}}}[br]2차 : 생략[br]3차 : {{{#00a650,#59ffa9 성공}}} {{{-3 (22. 9. 2.)}}}[br]4차 : 생략[br]5차 : {{{#00a650,#59ffa9 성공}}} {{{-3 (22. 11. 2.)}}} ||6차 : {{{#00a650,#59ffa9 성공}}} {{{-3 (22. 11. 16.)}}}[br]7차 : 생략[br]8차 : 생략[br]9차 : 생략[*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8980|당초 9번으로 계획한 TCM을 4번으로 줄였다고 한다.]]] || || '''달 진입 기동[br](LOI)''' ||1차 : {{{#00a650,#59ffa9 성공}}} {{{-3 (22. 12. 17.)}}}[br]2차 : {{{#00a650,#59ffa9 성공}}} {{{-3 (22. 12. 21.)}}}[br]3차 : 생략 {{{-3 (22. 12. 23.)}}} ||4차 : {{{#00a650,#59ffa9 성공}}} {{{-3 (22. 12. 26.)}}}[br]5차 : 생략 {{{-3 (22. 12. 27.)}}} || || '''웹페이지''' ||<-2>[[https://www.kari.re.kr/kpl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news.kbs.co.kr/special/danuri/2022/intro.html|[[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60&theme=light]][[파일:KBS 로고(1984-2023) 컬러 화이트.svg|width=60&theme=dark]]]][* KBS가 항우연의 협조로 제작한 특집사이트] || ||<-3> '''미션 패치''' || ||<-3> [[파일:다누리 미션 패치.png|width=70%]] || [목차] [clearfix] == 개요 == '''다누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하여 [[2022년]] [[8월 5일]]에 발사한 [[대한민국]]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이다. 달 궤도를 돌며 [[달]]을 탐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2년]] [[12월 28일]], 다누리가 달 궤도 진입에 성공하면서 대한민국은 세계 7번째 달 탐사국[* [[대한민국]]에 앞선 달 탐사 6개국은 [[소련]] [[루나 1호]](1959), [[미국]] [[파이어니어 계획|파이어니어 4호]](1959), [[일본]] 히텐(1990), [[유럽연합]](EU)의 달 탐사, [[중국]] [[창어 1호]](2007), [[인도]] 찬드라얀1호(2008)이다. 흥미롭게도 이들은 한국보다 먼저 탑재중량 1톤급 이상의 우주 로켓(한국의 [[누리호]]에 해당)을 독자 개발, 발사해낸 국가이기도 하다.] 반열에 올랐다. 다누리의 정식 영문명은 '''Danuri'''이며, NASA에서는 KPLO(The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로 칭하는 가운데 NASA 이외의 해외 우주관련 기사에서는 대부분 Danuri로 명기한다. == 목표 == 다누리의 목표는 달 탐사 기술과 과학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우주 탐사 위성 기술의 독자 개발, 국제 협력 증진, 미래 달 자원 확보 및 우주 영역 증대, 새로운 세대에게 우주 관련 활동에 대한 영감과 교육 등을 목표로 한다. 위성 본체 개발 기술은 대부분 확보되어 있으므로 심우주 탐사 위성 개발 관련 기술인 비행/관제/제어 기술 (소위 심우주 G(Guidance), N(Navigation), C(Control) 기술) 및 심우주 지상국 개발 기술, 대형 추진 시스템 개발 기술을 획득/검증하는 것이 목표이다. 과학적 목적은 2단계 달 임무인 달 착륙지 선정을 위한 달 표면의 고해상도 영상 촬영, 달의 지질과 자원 탐사, 달 표면과 근처 영역의 우주환경 연구로 달 자기장 지도 획득, 방사능 세기 연구 및 고에너지 입자 밀도 연구 등이 있다. == 제원 == 다누리는 발사형상 체적이 1.82m(가로)×2.14m(세로)×2.29m(높이), 궤도형상 체적은 6.30m(가로)×3.18m(세로)×2.67m(높이)에 총 중량 678kg(연료 260kg 포함)이다. 탑재체의 기능을 지원하는 본체 및 궤도선 고유의 임무를 수행하는 탑재체(6개, 총 34.2kg)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고, 소비 전력은 760w이다. === 플랫폼(본체) === * 본체 컴퓨터 + 임무 시스템 * 항행항법 장치 + 유도제어 장치 + 신호전력분배 장치 + 전장품열제어 장치 + 태양전지판 2개 * [[심우주]]통신 장치 + 고이득 안테나 + 저잡음 수신기 * 추진분리제어 장치 + 30N급 [[하이드라진]] 궤도조정용 추력기[* 금번 KPLO와 훗날 화성 및 소행성 탐사선용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한화]]가 개발한 하이드라진 단일추진제 방식의 대형 추력기이다. 질량(m) 1kg의 물체를 1m/s^^2^^으로 가속하는 데 드는 힘이 1뉴턴(1N)이므로, 지구 해수면의 [[중력#s-6.3|중력가속도]] 9.8m/s^^2^^을 반영하면 1N은 질량이 약 102g인 지구상 물체의 무게(w)에 해당한다. 따라서, 30N은 지구 표면에서 약 3.06kg의 물건을 들 때 쓰이는 힘이다. 한화와 항우연은 이보다 효율성, 저장성, 비추력 측면에서 진보한 10N급 이원추진제 추력기 개발도 착수하여 향후 정지궤도위성용 국산 추력기로 장착할 계획이다.] 4기 + 4.45N급 하이드라진 자세조정용 추력기 8개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1bWqXTJL8o, width=100%)]}}} || === 탑재체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Dpa_J2fQa0, start=46,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795_12504_044_v150.jpg|width=100%]]}}} || || '''다누리 주요 탑재체''' || 다누리(KPLO - NSSDCA[* NASA 우주과학자료 공동문서(NASA Space Science Data Coordinated Archive)] ID: [[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2022-094A|2022-094A]]) 에 탑재되는 주요 탑재체는 총 6개이며, 이들 장비의 합산 중량은 34.2kg이다.[* 다누리 총 중량인 678kg의 약 5%에 해당되며, 연료 무게를 제외한 순 중량 418kg의 약 8%를 차지한다.] * LUTI (Lunar Terrain Imager); 고해상도 카메라 [12.0kg]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개발 * 한국형 달 탐사선이 착륙할 수 있는 후보지를 촬영하는 5m급 고해상도 카메라 * NSSDCA ID: [[https://nssdc.gsfc.nasa.gov/nmc/experiment/display.action?id=2022-094A-01|2022-094A-01]] * PolCam (Wide-angle Polarimetric Camera); 광시야 편광카메라 [2.6kg] * [[한국천문연구원]] 개발 * 달 표면 입자 및 우주선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달 표면 편광영상을 촬영하는 장비 * NSSDCA ID: [[https://nssdc.gsfc.nasa.gov/nmc/experiment/display.action?id=2022-094A-02|2022-094A-02]] * KMAG (KPLO Magnetometer); 자기장 측정기 [3.2kg] * [[경희대학교]] 개발 * 달 표면에서 100km 상공까지의 자기력을 측정하는 자력계 * NSSDCA ID: [[https://nssdc.gsfc.nasa.gov/nmc/experiment/display.action?id=2022-094A-04|2022-094A-04]] * KGRS (KPLO Gamma-Ray Spectrometer); 감마선 분광기 [6.3kg]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개발 * 달 표면을 이루는 원소의 성분과 분포 양상을 분석하는 장비 * NSSDCA ID: [[https://nssdc.gsfc.nasa.gov/nmc/experiment/display.action?id=2022-094A-03|2022-094A-03]] * DTNPL (Delay Tolerant Network Payload); 우주인터넷 탑재체 [0.8kg] * [[한국전자통신연구원]]([[한양대학교]], 루미르) 개발 * 지연-내성 네트워크(DTN)을 시험하여 우주 인터넷을 시험하는 장비 * [[ETRI]] 소개영상, DTN 기술 설명영상, [[방탄소년단]]의 [[Dynamite]] 뮤직비디오 등을 메모리에 저장, 통신 테스트에 사용 * NSSDCA ID: 지정번호 없음[* KPLO 본연의 달표면 탐사연구 임무와 직접적 연관은 없기에 공란인 것으로 판단] * SHC (ShadowCam); 영구음영지역 카메라 [9.3kg] * [[NASA]]([[애리조나 주립대학교]]) 개발 * 물에 대한 증거를 찾기 위해 달 표면에서 영구적으로 그림자가 있는 지역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장비 * NASA는 SHC의 임무자료가 [[아르테미스 계획]]의 달탐사선 착륙지 선정에 관한 중요 정보로 활용된다고 공지[[https://blogs.nasa.gov/artemis/2022/08/04/nasas-shadowcam-launches-aboard-korea-pathfinder-lunar-orbiter/|#]] * NSSDCA ID: [[https://nssdc.gsfc.nasa.gov/nmc/experiment/display.action?id=2022-094A-05|2022-094A-05]] 탑재체 및 그 목적들을 보면 알겠지만 다누리는 [[한국형 달 착륙선]]을 띄우기 위한 준비이면서, '''동시에 [[아르테미스 계획]]과 그 이후 인류의 달 탐사의 선봉이 될 예정이다.''' 다누리는 LUTI, KGRS, PolCam으로 달의 지형도와 자원 지도를 완성하고, 섀도우캠으로 달 남극의 물 분포를 분석해 최적의 [[달 기지]] 건설부지를 찾아내어 미래 인류의 달 탐사에 크게 기여할 것은 물론, DTNPL으로 [[세계 최초]]의 지구-달 우주 [[인터넷]]을 실증해 향후 [[루나 게이트웨이]]와 그 이후 건설될 월면 기지에서 이를 응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하는 LUTI를 제외한 다른 국내 탑재체들은 공모를 통해 2016년에 선정되었다. [[한미 우주협력협정]]에 따라 [[NASA]]로부터 [[한국]]에서 처음 시도하는 심우주 비행/관제/제어 기술에 대한 지원을 받는 대신 [[NASA]]의 탑재체를 싣기로 하였으며, [[미국]] [[애리조나 대학교]]에서 제안한 섀도우 캠(Shadow Camera, SHC)을 2017년 NASA에서 선정하였다.[[https://www.nasa.gov/feature/nasa-selects-shadowcam-to-fly-on-korea-pathfinder-lunar-orbiter/|#]] 이 탑재체는 달의 극지방의 영구적으로 어두운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측하여, 극미량 존재하는 달의 물 분자를 탐지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시스템 사양 === |||| [[Microchip Technology]][* [[Atmel]]사를 인수] '''[[LEON프로젝트|LEON2]]-FT AT697F''' 32비트 프로세서 || || 코어클럭 || 80~100MHz || || L1 캐시 || 32KB 인스트럭션 16KB 데이터 || || L2 캐시 || 없음 || || 코어수 || 1 || || 명령어 셋 || SPARC V8 || || 버스 인터페이스 || PCI 2.2 + MIL-STD 1553B + DMA/UART || || 메모리 || 6MB CPU SRAM 4MB EEPROM 64KB PROM --MB SDRAM || || 저장장치 || 16GB NAND 플래시 메모리 || || 부가기능 || SpaceWire[* 유럽우주기구(ESA)가 주도하는 IEEE1754 기반의 우주 네트워크 통신포트. 주로 탐사선의 내장된 각종 실험, 과학탐사장비와 연결한다. 전송속도는 20~400MB/s] 인터페이스 카드 || || 소프트웨어 || [[윈드 리버(컴퓨터)|윈드 리버]] VxWorks 6.5 || || 전송속도 || X-bend 295.31 Mbit || == 경과 == === 개발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4112100356_0.jpg|width=100%]]}}} || [[노무현 정부]]는 달 탐사 계획을 최초로 고안하여, [[2020년]] 달 궤도선 발사를 목표로 세웠다. [[박근혜 정부]]는 이를 각각 [[2017년]]으로 앞당겼으나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문재인 정부]] 들어서 [[2020년]]으로 다시 바뀌었다. 이후, [[2019년]]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애초 2020년으로 계획된 1단계 달 궤도선이 19개월 미뤄져 [[2022년]] [[7월]]로 미뤄졌다는 소식을 전했다.[[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091038511|#]] 2016년부터 계획된 달 궤도선의 목표 중량은 550 kg이었으나 현실성을 고려해 678 kg으로 높이도록 했다. 당초 원궤도(장·단반경 100 km)에서만 운항하도록 한 계획도 바꿔 9개월은 타원궤도(장반경 300 km, 단반경 100 km)에서, 3개월은 원궤도에서 하도록 변경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PLO_위상전이궤도.jpg|width=100%]]}}} || 위 이미지상의 궤도는 위상 전이 궤적이라 하며, 지구궤도를 여러 번 돈 후에 지구궤도를 이탈, 달 궤도로 전이한다. 연료 소모량이 많은 편이지만 대신 달 궤도 진입까지 여유가 있어 탐사선의 오류나 오차 수정 등 이상사태 대응에 용이하다.[[https://www.sciencetimes.co.kr/?p=195075&cat=29&post_type=news|#]] 2019년 9월 항우연은 위상 전이 궤적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늘어난 위성중량에 따른 연료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년 내내 100km의 원궤도에서 운용하기로 한 것을, 9개월 타원궤도(장반경 300 km, 단반경 100 km) + 3개월 원궤도(100 km)로 조정한 것이다. 중간에 탐사선의 궤도를 변경해야 한다는 고난이도 과제가 있어서 이를 위한 [[NASA]]의 지원이 필요한데, 초반에 NASA 측은 이러한 항우연의 궤도수정 계획에 반대했다.[[http://www.etnews.com/20191018000213|#]] 이에 NASA는 WSB(Weak Stability Boundary) 궤적을 이용하여 달 궤도에 진입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는 탐사선을 [[라그랑주점]] 중 L1 포인트까지 보낸 후 약간의 추력을 이용해 달 궤도로 보내는 방법으로, 연료소모량이 적다. 중량이 늘어남에도 항우연이 희망하는 탐사기간 1년을 충족시킬 수 있지만, 성공한 지 30년도 안 지난 비교적 최신예 항법으로 우주개발에 막 뛰어든 대한민국과 같은 국가에겐 무리수였다. 그러나 [[아르테미스 계획]]과 연결되면서 [[NASA]]가 WSB 궤적에 대한 기술지원을 해주겠다고 적극적으로 자처하였다. 항우연 측에서 NASA의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했으며[[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2852837|#]] 최종적으로는 '달 궤도 전이 방식'(BLT/WSB)으로 확정됐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308821|#]] 2021년 4월. 달 궤도선 개발이 완료됐다.[[https://news.v.daum.net/v/20210401120047676|#]] 2021년 8월 30일, NASA에서 개발한 주요 탑재체중 하나인 섀도캠이 탑재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830068200017|#]] 2021년, 궤도선의 조립 시험과 환경 시험을 완료하였다. 2022년 1월 26일부터 2월 28일까지 궤도선의 이름 공모전을 진행했으며, 2022년 5월 23일 최종적으로 다누리로 결정되었다.[[https://www.kari.re.kr/kplo|관련 사이트]] 2022년 7월 5일 특수 컨테이너에 실려 항우연을 떠났으며, 항공편을 통해 [[미국]] 발사장으로의 이송을 시작했다. [[https://youtu.be/UUvm-WRsFRg|#]] 2022년 7월 7일 [[아틀라스 항공]] [[보잉 747-400|보잉 747-400F]] 화물기에 실려 [[올랜도 국제공항]]까지 [* 5Y8540편.] 이송된 뒤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 무사히 도착했고 [[https://www.youtube.com/watch?v=dvGjFkFstB4|#]], 이후 시스템 점검, 추진제 극성시험, S밴드 통신시험 등을 거치며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다. 위와 같은 달 궤도선 다누리 개발비를 포함한 총 탐사 비용은 2019년에 당초 계획한 1,978억 원에서 355억 원이 추가되어 2022년 8월 초 기준 총 2,333억 원이 투입되었다. === 발사 및 항행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누리항행궤적.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96560_311689_5319.jpg|width=100%]]}}} || || '''다누리의 우주 항행 과정 및 임무 궤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누리 태양기준 궤적.png|width=100%]]}}} || || '''태양 기준 다누리의 우주 항행 과정''' || 궤적수정기동 1차, 3차, 6차, 9차는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며[* 그러나 9차 궤적수정기동은 생략되었다.], 나머지는 오차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완료 사항】 * 다누리(KPLO)는 당초 한국시간 8월 3일에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스페이스X사가 다누리를 발사할 팰컨9 발사체 점검 작업 지연으로 인해 8월 5일로 발사가 연기되었다. * 한국시간 2022년 8월 5일 오전 8시 8분[* 현지시간 2022년 8월 4일 19시 8분], 미국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KPLO가 [[스페이스X]]의 [[팰컨9 블록5]]로 발사됐다.[* 팰컨9은 2021년 1월 한 번에 최대 143개의 위성을 쏘아 올리는 등 복수의 탑재체를 나를 수 있으나, 이번에는 다누리 하나만 탑재된 단독 발사였으며, 해당 발사체의 1단은 금번 6번째 재사용된 경우이다. 1단이 발사 전부터 이미 검게 그을려져있는데, 이게 다 재사용의 흔적이다. ] KPLO는 발사 40분 22초 만에 고도 약 703㎞에서 팰컨9 2단과 초속 10.15㎞의 속도로 분리됐고, 태양전지판을 펼쳐 전력을 만들기 시작하여 발사 92분 후 지상국과 첫 교신을 하였다. * 한국시간 8월 5일 오후 2시경, KPLO가 달 전이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하였다. 발사 후 24시간이 경과한 6일 오전에 고이득 안테나를 펼쳤으며, 10시 29분에는 KPLO와 지상 간 교신으로 탐사선이 정상운용 모드에 있음을 확인하였고 24시간 위치 추적을 개시했다.[* [[https://www.kari.re.kr/kplo|여기]]에서 자세히 보기를 클릭하면 다누리와 지구 간 현재 거리와 항행 속력을 볼 수가 있다.] * 8월 7일 오전 10시경, 항공우주연구원은 KPLO의 추력기를 켜서 궤적 오차를 보정하는 첫 궤적 수정 기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5703|#]] 약 4개월 반에 걸친 기간에 KPLO는 지구에서 달까지 최대 9번의 궤적 수정 기동을 하는데, 미 항공우주국(NASA)과 협력 하에 연료 소비를 최소화하는 BLT(Ballistic Lunar Transfer) 방식으로 통신 관제를 받으며 항행한다. * 본래 8월 12일 2차 궤적 수정 기동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1차 궤적 수정 기동이 예상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2차 궤적 수정 기동은 수행하지 않았다. * 9월 2일, KPLO는 라그랑주 지점(L1)에 이르러 초고속 비행에서 초속 0.17㎞(시속 612km)로 속도를 낮춰 자세를 제어하면서 지구-달 쪽으로 방향을 트는 가장 중요한 3차 궤적 수정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또한 궤적수정기동이 성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당초 9월 16일로 계획되었던 다음 궤적수정기동은 생략했다. * 11월 2일 오전 11시에 5차 궤적 수정 기동을 수행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DIRN5NqY1o, width=100%)]}}} || * 11월 7일, 다누리에 장착된 고해상도 카메라로 9월 15일 ~ 10월 15일까지 한 달간 매일 한 번씩 달의 공전 과정을 촬영해 하나로 합성한 사진을 공개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설명에 따르면 본래 기획된 임무는 아니고, 8월 말에 연구팀에서 더 의미 있는 일을 해보자를 취지에서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검토 후 이 촬영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해 수행한 것이라고 한다. 특히 지구와 달이 항상 한 화면에 담기도록 조정하려면 고도의 자세 기동이 필요한데, 이걸 무난히 해낼만한 기술력과 노하우가 있다는 걸 실제로 증명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u7SOujee72M|#]] 또한 지난 10월 9일에 다누리에 장착된 감마선 분광기로 [[블랙홀]] 탄생으로 발생한 감마선 폭발도 관측했다는 사실도 공개했다. * 11월 7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항우연, 미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와 함께 8월 25일(지구로부터 약 121만km 거리)과 10월 28일(약 128만km 거리) 두 차례 우주 인터넷 탑재체 성능검증시험을 수행해 성공했다는 발표를 했다. 전자의 실험에선 다누리에 저장해뒀던 ETRI 전경 사진과 [[방탄소년단]]의 [[Dynamite]] MV를 재생해 전송하는 데 성공했으며, 후자의 실험에선 ETRI가 보낸 문자를 다누리가 받아 그대로 재전송하는 문자메시지 송·수신에 성공했다.[* 신호 품질이 양호함을 나타내는 영문 표현인 'five by five'와 국문으로 '잘 가고 있다. 기다려라 달님'을 송·수신했다고.] 두 번 모두 통상 통신거리의 3배 이상 멀었음에도 성공적으로 인터넷이 작동함을 확인한 의의가 있다. [[https://www.kari.re.kr/kplo/danuri/multi/multiMediaView.do?idx=11|#]] * 12월 17일 오전 2시, KPLO는 첫번째로 달궤도 진입 임무를 개시했는데, 1차 달궤도 진입에 필요한 약 8,000km/h에서 약 7,500km/h으로 감속 운행, 달 궤도 안착 위치 등 종합적인 분석결과 달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한국시간 12월 19일 12시 경 월요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2NTP4qCcgFw|(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TV) 다누리 최대 난관 1차 임무궤도 진입기동 성공, 다누리 진정한 '달 궤도선'되다!]]] 1차 달궤도 진입 경로 안착은 가장 어려운 단계로 여겨지고 있다. * 12월 28일 오전 10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22년 12월 27일에 '''다누리가 달 궤도 진입을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이후 15시, 브리핑을 통해 [[오태석(공무원)|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이번 다누리의 궤도 진입 성공으로 2032년 달 착륙선을 보낸다는 목표가 현실적인 목표가 됐다"며 "궤적을 설계하는 기술이라든지, 항행, 관제기술, 우주공간에서 심우주통신기술 등 중요한 기술을 다 해보며 (달 탐사의) 첫 단추를 열었다"고 평가했다.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238&pageIndex=&bbsSeqNo=94&nttSeqNo=3182591&searchOpt=ALL&searchTxt=|#1]] [[https://www.yna.co.kr/view/AKR20221228117300017|#2]] [[https://youtu.be/A98k7mfhphU|#3]] * 다누리는 2023년 1월 초, 초속 약 1.62km(5,832km/h)의 속도로 임무 궤도인 달 상공 100km(+/-30km)을 약 2시간 주기로 공전 중이다. * KPLO는 2023년 1월 2일부터 2월 3일까지 시운전을 마치고 본격적인 달 탐사 임무를 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PLO의 필요 기동 수행 후 남은 잔여 연료량 등 상황에 따라 임무 연장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 탐사 === KPLO가 달 궤도에 안착하면 한달 가량 본체의 기능 시험, 각 탑재체 초기동작 점검, 광학탑재체 검보정 등 시운전을 한 뒤, [[2023년]] [[2월 4일]]부터 본격적인 탐사 임무에 착수했다. KPLO의 정상운용 궤도는 달 상공 100km이며, 달의 북극-남극을 지나는 궤도를 하루 12회 공전하면서 달 관측 및 과학기술 임무를 수행한다. 필요시 탐사선의 안정적인 궤적 유지를 위한 궤도 기동과 태양 직사광 노출에 따른 열 조건 유지 차원에서 회전 기동을 행한다. 이러한 KPLO의 탐사 활동은 [[대전]]에 있는 임무운영센터(KMOC)에서 심우주 통신용 대형안테나가 위치한 경기여주위성센터[* [[2017년]]에 착공, [[2020년]] 12월 안테나 상량을 거쳐 [[2022년]] 3월 완공된 심우주지상국 내에 있으며 현재 [[SK브로드밴드]]가 운영하고 있다.] 및 [[NASA]] 산하 [[심우주 통신망|DSN]] 기지국을 통해 관제한다. ||
[[파일:20220803182336520.jpg|width=99%]] || [[파일:1010130_060-medium-1024x819-2_eng.jpg|width=75%]][br][[파일:93429690_919887278434581_486427783828865024_n.jpg|width=75%]] || || KPLO와 교신을 위해 구축된 심우주 안테나[* [[유럽우주국]](ESA)의 [[칠레]] [[https://www.esa.int/var/esa/storage/images/esa_multimedia/images/2012/11/esa_s_malarguee_tracking_station/12114560-5-eng-GB/ESA_s_Malarguee_tracking_station_pillars.jpg|Malargüe 심우주 안테나]]와 8각형 하대 등 전제척 형상이 비슷하다.]【경기도 여주】[br]^^(지름 35m, 높이 42.7m, 무게 709.55톤, 사업비 248억원, 구축비 174억원)^^ || KPLO와 교대로 통신하는 국외 심우주 안테나[br] 【스페인 마드리드(상) 및 LA 골드스톤(하)】[* 한반도와 [[경도]]가 비슷한 호주 캔버라 안테나는 국내 시설의 이상 시 백업으로 활용된다. 2022년 9월 3일 한국시간 이른 오후, KPLO가 캔버라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황이 포착됐다.][br][[https://eyes.nasa.gov/dsn/dsn.html| NASA 산하 DSN 기지국 실시간 통신상황 보기 (KPLO 포함)]] || 2023년 6월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다누리의 임무운영 기간을 당초 계획인 1년에서 3년으로 연장했다고 밝혔다. 즉, 본래 계획상으론 2023년 12월 즈음에 임무를 종료할 예정이었는데, 2025년 12월까지 달 탐사를 이어가게 된 것. 팰컨 9이 정확하게 계획된 경로로 다누리를 올려줬고, 항행 및 달 궤도 안착 과정 또한 매우 정밀하게 이뤄져 본래 202.64㎏로 예상됐던 연료 소모량이 172.92㎏만 사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한다. 현재 남은 잔여연료량이 약 80kg 정도라 연간 평균 연료사용량을 약 26~30㎏로 잡으면 최소 2년 이상은 임무연장이 가능하고, 그 이후엔 다누리 본체 부품의 노후화 문제로 인해 하루의 2/3 정도만 가동하는 식으로 운영하는 제약이 생기지만 탐사에는 크게 지장이 가는 수준은 아니라고. [youtube(ZIYE0wNa9OY)] 일단 1년은 예정 임무를 마치고 추가 2년동안 이전 촬영 위치를 더욱 자세히 촬영하고 다른 각도에서 찍는 임무 및 통신 실험을 하기로 했다. == 다누리가 보내온 자료들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2022년|{{{#fff 2022년}}}]] [[8월 26일|{{{#fff 8월 26일}}}]][br]{{{-1 지구로부터 124만㎞ 거리[*L1 L1 라그랑주점 부근]에서 촬영한 지구와 달의 모습}}}}}}'''}}}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누리(08.26)_1.jpg|width=100%]]}}} ||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지구와 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누리(08.26)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누리(08.26)_3.jpg|width=100%]]}}}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지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달}}}}}}'''}}}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2022년|{{{#fff 2022년}}}]] [[8월 29일|{{{#fff 8월 29일}}}]][br]{{{-1 지구로부터 124만㎞ 거리[*L1 L1 라그랑주점 부근]에서 촬영한 지구와 달의 모습}}}}}}'''}}}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누리(08.29)_1.jpg|width=100%]]}}} ||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지구와 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누리(08.29)_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누리(08.29)_3.png|width=100%]]}}}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지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달}}}}}}'''}}}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2022년|{{{#fff 2022년}}}]] [[11월 7일|{{{#fff 11월 7일}}}]][br]{{{-1 22.9.15~22.10.15 한달간 촬영한 지구-달 공전 사진}}}}}}'''}}}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지구달공전_다누리.jpg|width=100%]]}}} ||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달의 공전}}}}}}'''}}}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2022년|{{{#fff 2022년}}}]] [[11월 7일|{{{#fff 11월 7일}}}]][br]{{{-1 우주인터넷탑재체 성능검증 영상}}}}}}'''}}}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navertv(30547203)]}}} ||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시연 영상}}}}}}'''}}}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2022년|{{{#fff 2022년}}}]] [[12월 31일|{{{#fff 12월 31일}}}]], [[2023년|{{{#fff 2023년}}}]] [[1월 1일|{{{#fff 1월 1일}}}]][br]{{{-1 계묘년 새해에 촬영한 지구와 달}}}}}}'''}}}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새해1_다누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새해2_다누리.jpg|width=100%]]}}}||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12월 31일}}}}}}'''}}}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1월 1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2023년|{{{#fff 2023년}}}]] {{{#fff 1월}}}[br]{{{-1 다누리의 첫 달 표면 사진들}}}}}}'''}}}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레이타 계곡_다누리.jpg|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폭풍의 바다_다누리.jpg|width=100%]]}}}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1월 5일, 레이타 계곡}}}}}}'''}}}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1월 13일, }}}}}}[[폭풍의 대양|{{{-1 {{{#fff 폭풍의 바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비의 바다_다누리.jpg|width=100%]]}}} ||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3594D3)" '''{{{#fff {{{-1 1월 10일, }}}}}}[[비의 바다|{{{-1 {{{#fff 비의 바다}}}}}}]]'''}}} ||}}}|| == 인력 == * 한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사업단(단장 김대관) 및 위성관제실 등 KARI 요원 40여명, 민간 우주기업 전문가 30명 등 총 70여명 * 미국: NASA 먀샬우주비행센터 케일럽 패셋 박사, 우주과학연구원 달탐사분야 학자 2명 및 4개 대학의 우주분야 과학자 등 총 9명[[https://www.nasa.gov/feature/nasa-selects-nine-scientists-to-join-korea-pathfinder-lunar-orbiter-mission|#]][* 2021년 3월, NASA가 KPLO 미션에 3년 간의 예산으로 전임 또는 겸직으로 참여하는 과학자 9명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이들 가운데 중국 태생의 행성지질학 박사와 일본 출신의 위성-행성과학 박사 두 명이 포함돼 있다.] ==# 타임라인 #== ===# 발사 준비 절차 #=== || '''날짜 (미국 현지기준)''' || '''카운트다운''' || '''이벤트''' || || '''7/6 ~ 7/8''' || '''L-27d ~ L-25d ''' || '''발사장 도착 및 발사 준비 작업장 이동, 시스템 점검 준비''' || || '''7/9 ~ 7/11''' || '''L-24d ~ L-22d ''' || '''시스템 점검''' || || '''7/12 ~ 7/13''' || '''L-21d ~ L-20d ''' || '''추진 시스템 극성 시험, S-Band 통신 시험''' || || '''7/14 ~ 7/18''' || '''L-19d ~ L-15d ''' || '''추진제 충전실 이동 및 누유 시험''' || || '''7/19 ~ 7/22''' || '''L-14d ~ L-11d ''' || '''연료 충전 및 충전 후 마무리 작업''' || || '''7/13 ~ 7/25''' || '''L-10d ~ L-8d ''' || '''최종 발사 형상 확인 및 점검''' || || '''7/26 ~ 7/28''' || '''L-7d ~ L-5d ''' || '''페어링 모듈에 탑재 및 페어링 모듈과 발사체 결함''' || || '''7/29 ~ 7/31''' || '''L-4d ~ L-2d ''' || '''발사대 이동 및 점검''' || || '''8/1''' || '''L-1d''' || '''발사대 기립 및 발사 대기''' || ===# 발사 #=== || '''날짜 (미국 현지기준)''' || '''카운트다운''' || '''이벤트''' || || '''8/4 18:30''' || '''T-00:38:00''' || '''SpaceX Launch Director는 추진제 적재를 확인''' || || '''8/4 18:33''' || '''T-00:35:00''' || '''RP-1 (로켓급 등유) 적재중''' || || '''8/4 18:33''' || '''T-00:35:00''' || '''1단계 LOX (액체산소) 적재 진행 중''' || || '''8/4 18:52''' || '''T-00:16:00''' || '''2단계 LOX [* 액체산소] 적재 진행 중''' || || '''8/4 19:01''' || '''T-00:07:00''' || '''[[팰컨 9]]는 발사 전에 엔진 냉각을 시작''' || || '''8/4 19:07''' || '''T-00:01:00''' || '''최종 사전 발사 확인을 시작하기 위한 비행 컴퓨터 명령''' || || '''8/4 19:07''' || '''T-00:01:00''' || '''비행 압력에 대한 추진제 탱크 가압 시작''' || || '''8/4 19:07:15''' || '''T-00:00:45''' || '''SpaceX Launch Director, 발사 확인''' || || '''8/4 19:07:57''' || '''T-00:00:03''' || '''엔진 컨트롤러는 엔진 점화 시퀀스를 시작하라는 명령을 내림''' || || '''8/4 19:08''' || '''T+00:00:00''' || '''팰컨 9 발사''' || || '''8/4 19:09:15''' || '''T+00:01:15''' || '''[[최대동압점|Max-Q]] [* (en) maximum dynamic pressure [br] (ko) 최대 동적 압력]''' || || '''8/4 19:10:34''' || '''T+00:02:34''' || '''MECO [* (en) Main Engine Cutoff [br] (ko) 주 엔진 차단 ]''' || || '''8/4 19:10:39''' || '''T+00:02:39''' || '''스테이지 분리''' || || '''8/4 19:10:46''' || '''T+00:02:46''' || '''SES-1 [* Second Engine Startup-1 [br] 2단 엔진 점화-1]''' || || '''8/4 19:11:17''' || '''T+00:03:17''' || '''페어링 분리''' || || '''8/4 19:14:56''' || '''T+00:06:56''' || '''1단 재진입 점화''' || || '''8/4 19:16:05''' || '''T+00:08:05''' || '''SECO-1 [* Second Engine Cutoff-1 [br] 2단 엔진 차단-1]''' || || '''8/4 19:16:40''' || '''T+00:08:40''' || '''1단 착륙''' || || '''8/4 19:42:22''' || '''T+00:34:22''' || '''SES-2 [* Second Engine Startup-2 [br] 2단 엔진 점화-2]''' || || '''8/4 19:43:21''' || '''T+00:35:21''' || '''SECO-2 [* Second Engine Cutoff-2 [br] 2단 엔진 차단-2]''' || || '''8/4 19:48:22''' || '''T+00:40:22''' || '''페이로드 분리''' || || '''8/4 19:52:53''' || '''T+00:44:53''' || '''달 전이궤적 진입''' || || '''8/4 19:53''' || '''T+00:45:00''' || '''태양전지판 전개''' || || '''8/4 19:59''' || '''T+00:51:00''' || '''태양전지판 전력생성 시작''' || || '''8/4 20:08''' || '''T+01:00:00''' || '''지상국 교신 및 달 궤도선 초기 점검 시작''' || || '''8/5''' || '''T+1:00:00:00''' || '''고이득 안테나 지구 지상국 지향''' || ===# 항행 #=== || '''날짜 (미국 현지기준)''' || '''카운트다운''' || '''이벤트''' || || '''8/7''' || '''T+2:00:00:00''' || '''궤적수정기동 1''' || || '''9/2''' || '''T+29:00:00:00''' || '''궤적수정기동 3 [* 2차 궤적 수정 기동 생략]''' || || '''9/13''' || '''T+40:00:00:00''' || '''태양-지구 L1 라그랑지점 [* 지구에서 150만 km]''' || || '''9/27''' || '''T+54:00:00:00''' || '''최대 거리 도달 [* 지구에서 154만 8,272km]''' || || '''11/2''' || '''T+90:00:00:00''' || '''궤적수정기동 5 [* 4차 궤적 수정 기동 생략]''' || || '''11/16''' || '''T+104:00:00:00''' || '''궤적수정기동 6 [* 7,8,9차 궤적 수정 기동 생략]''' || || '''12/17''' || '''T+135:00:00:00''' || '''달 진입 기동 1''' || || '''12/21''' || '''T+139:00:00:00''' || '''달 진입 기동 2''' || || '''12/26''' || '''T+144:00:00:00''' || '''달 진입 기동 4 [* 3차 달 진입 기동 생략]''' || || '''12/28''' || '''T+146:00:00:00''' || '''달 진입 기동 5''' || || '''12/31''' || '''T+146:00:00:00''' || '''임무 궤도 달성 [* 달 상공 100km]''' || || '''2023/02/04''' || '''T+181:00:00:00''' || '''약 2시간 주기로 달을 공전하며 1년간 달 표면 관측등 임무 수행''' || || '''2023/06/27''' || '''T+324:00:00:00''' || '''임무 운영 연장 결정''' || || '''2025/12/??''' || '''T+???:00:00:00''' || '''다누리 임무 종료 예정[* 단 2025년 3월과 9월에 개기월식이 예상되는 관계로 다누리의 배터리가 방전된다면 임무가 조기 종료될 수도 있다.] ''' || == 기타 == === 명칭 === 이름이 지어지기 전에는 한국형 달 궤도선 또는 시험용 달 궤도선으로 불렸으며, 이후 공모전을 통해 다누리로 불리게 되었다. 다누리는 대한민국 달 탐사 계획의 1단계 사업이기도 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누리 표준국어대사전.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누리 어형.png|width=10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측에 따르면 '다누리'는 '[[달]]'과 누리다는 뜻의 '[[누리]]'가 더해진 이름이다. [[아라온호]]와 비슷하게 국가주도 사업에 [[순우리말]] 명칭 내지는 [[가짜 순우리말|순우리말과 비슷한 느낌을 주는 조어]]를 붙이는 관례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여성가족부]]의 다문화 가정 지원 사이트 이름도 '다누리'인데, 이 다누리는 '다양한 가족 모두가 누리다'라는 의미이다. === [[누리호]]가 아닌 [[팰컨 9]]으로 발사한 이유 === * 누리호는 1톤급 탑재체를 고도 수백km 이내로 쏘아올리기 위한 저궤도용 로켓이며, 때문에 그보다 훨씬 먼 거리인 달까지 보낼 추력이 한참 부족하다. 반면 팰컨 9은 누리호 2배의 추력으로 달은 물론이고 [[라그랑주점]] L2까지 페이로드를 보낼 수 있을 만큼 힘이 충분하다.[[https://biz.chosun.com/it-science/bio-science/2022/08/03/HJ3KMCCIFJFNNDKNCYBFNBWABI/|#]] * 다누리를 발사하는 시점에서 누리호는 단 한 번의 발사 성공 경험밖에 없어서 다누리와 같은 중요 화물을 탑재하기에는 아직 신뢰도가 떨어진다. 그에 반해 팰컨 9은 수 백번의 미션을 성공해 신뢰도가 월등이 높다. * 팰컨 9은 1단 발사체 재사용이 가능한데, 재사용 옵션을 선택해서 쏘면 [[스페이스X]] 측에서 비용의 약 30% 정도를 할인해준다. 즉, 타 발사체에 비해 비용적으로 저렴해 예산을 아낄 수 있는 것. 참고로 금번 다누리(KPLO) 발사체에 쓰인 팰컨 9 1단(B1052)은 여섯 번째 발사다.[* 다누리 발사 미션 수행 후 불과 31일 만인 9월 5일에 51개의 [[스타링크]] 위성을 실은 Group 4-20 미션을 수행했고, 약 약 7개월 뒤엔 2023년 4월 말에 [[팰컨 헤비]] ViaSat-3 Americas 미션에서 미회수 버전 부스터로 사용되어 착수 후 폐기되었다.] * 다누리에는 위성 자세를 제어하는 [[자이로스코프]]가 장착되는데, 이 부품은 [[한국산]] 기술이 아닌 [[미국산]] 부품으로 [[미국]] 발사체가 아닌 타국 발사체에 이를 장착해 발사하려고 하면 ITAR 기술 통제에 걸린다.[[https://www.ytn.co.kr/_ln/0105_202207170731467043|#]] 쉽게 말해, 인공위성에 타국이 생산한 특정 부품이 들어가면 한국에서 개발한 발사체의 성능과 신뢰도가 충분하더라도 못 쏘아 올린다는 말이다. 다누리 개발에 미국산 부품이 들어갔고 그 때문에 발사체도 미국산인 펠컨 9을 사용해서 쏴야 했다. === 그 외 === * 발사 당일인 [[8월 5일]], [[네이버]]는 '다누리, 달을 향한 여정을 응원합니다!' 라는 문구를 담은 로고로 바꾸었다.[* [[파일:다누리 발사일 네이버 로고.png|width=450]]] * [[KBS]]가 달궤도 진입 15일 전을 기념하여 '다누리 MOON을 열다' 특집 사이트를 오픈하였다.[[https://news.kbs.co.kr/special/danuri/2022/intro.html|#]] * 2023년 4월 7일 기념우표로 발행될 예정이다. * 다누리 탐사선은 [[아폴로 계획]]에 따른 아폴로 11호와 17호의 착륙지 사진을 촬영하는데 성공했으며, 그 사진에는 레이저 반사경과 같은 구체적 장비들까지도 선명하게 나타나 있다. [youtube(5omQ38T2sHw)] == 참여 산업체 == ||<-2> [[다누리|[[파일:다누리 미션 패치.png|width=50]]]][br]'''{{{+1 {{{#fff 다누리 개발 참여 산업체}}}}}}''' || || '''기업명''' || '''주요 역할''' || ||<-2><#0047a0> '''{{{#fff 본체}}}''' || || [[한화(기업)|한화]] ||추진시스템 제작 || || 큐니온 ||통신분배장치 제작 || || 아이원스 ||궤도선 상태정보 인터페이스 장치 제작 등 || || 링스컴퓨터 시스템즈 ||시험용 장비(전기시험용 자세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 ||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구조체 시제작, 조립시험 지원 등 || || 에이엠시스템 ||설계지원(도면제작) 등 || || 티오엠에스 ||설계지원(설계모델 분석) 등 || || 캠틱종합기술원 ||기계조립/검사용 장비 제작 등 || || AP위성 ||전장품(탑제컴퓨터 등) 개발, 시험장비 제작 등 || || JIT ||전기시험 지원 || || 솔탑 ||전기시험장비 제작 등 || || MTG ||전기지상지원 장비 설계 및 제작 || || 이이엠티 ||지상전기시험장비 제작 || || 웨이브온 ||주파수 국제등록 기술지원 || || 비엔씨텍 ||배터리 유지보수 장치 제작 || || 모루기술 ||열 제어부 온도센서 제작 || ||<-2><#0047a0> '''{{{#fff 본체/탑재체}}}''' || || 이엘엠 ||고해상도카메라 열 제어부, 정전기방지 스크린 제작 등 || ||<-2><#0047a0> '''{{{#fff 탑재체}}}''' || || i3Systems ||고해상도카메라 전자모듈 개발 || || [[한화시스템]] ||고해상도카메라 전원공급유닛 개발 || || 데크항공 ||고해상도카메라 고안정구조체 개발 || || 그린광학 ||고해상도카메라 렌즈모듈 개발 || || 루미르 ||우주인터넷 탑재체 전자부 제작 || || (주)샛별 ||광시야월면편광카메라 광학계 제작 || || 미래기술 ||광시야월면편광카메라 열해석 || || 인공위성연구소 ||광시야월면편광카메라 전자부 제작 || || 센서피아 ||자기장측정기 센서 제작 || || 라컴텍 ||자기장측정기 CFRP 붐 제작 || || 뉴케어 ||감마선분광기 전자부 제작 || ||<-2><#0047a0> '''{{{#fff 심우주지상시스템}}}''' || || [[SK브로드밴드]] ||심우주지상안테나 제작 || || 케이씨이아이 ||비행항법시스템 HW 개발 || || [[쎄트렉아이]] ||비행항법시스템 SW 개발 || || [[한글과컴퓨터#s-3.7|한컴인스페이스]] ||지상국운영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 || 비온디솔루션 ||해외와 연동가능한 통신지연 극복 장비 개발 || || 제이아이티솔루션 ||달 궤도선 탑재 모듈 모사 SW 개발 || ||<-2><#0047a0> '''{{{#fff 2단계 선행(로버/원자력전지)}}}''' || || 스페이스솔루션 ||고성능 티타늄 연소관 개발을 위한 성형 및 용접공정 개발 || || [[현대로템]] ||로버 구조 구동부 설계/제작 || || 나노퓨어웍스 ||방사성동위원소 열원원료합성 공정설계 || || SE&T ||저궤도시험용 원자력전지 시제품 제작 등 || || 씨에스엔지니어링 ||ETG 구조체 및 복사열 차폐제 제작 || || 에이스시스템즈 ||원자력전지 성능평가용 진공챔버 제작 || == 관련 영상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HwUHQhobt8, width=10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Q1uD_JpJjQ, width=100%)]}}} || === 발사 생중계 === [[스페이스X]]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토대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한 지상파 방송사 3사, 뉴스전문채널 등에서 [[한국어]] 중계방송을 진행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t6Uejg-HRs, width=10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TrkHZjiO_8, width=100%)]}}} || 스페이스X에서 생중계했던 KPLO 미션 영상.[* 발사 40분 후까지의 영상이다. 여담이지만 15:00쯤 발사 직후 발사통제관이 한국어로 “다누리, 가자 달로!”라고 말하였다. --발음이 꽤 정확하다--] === 다큐멘터리 === * [[https://youtu.be/Fpq_xY1dfkg|누리호 성공, 달 탐사 카운트다운]] - [[YTN 사이언스]] * [[https://youtu.be/tqIdZjRkyUI|고요의 바다, 달의 부활]] - [[YTN 사이언스]] * [[https://youtu.be/OAzIngAB0CE|다누리, 달 탐사 너머 우주로]] - [[YTN 사이언스]] * [[https://youtu.be/WF8x3Ri2LHw|고요의 바다, MOON을 열다]] - [[KBS]] == 관련 문서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형 달 착륙선]] * [[아르테미스 계획]] == 외부 링크 == * [[https://www.kari.re.kr/kplo|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누리 공식사이트]] * [[https://news.kbs.co.kr/special/danuri/2022/intro.html|KBS 다누리 특집사이트]] * [[https://www.shadowcam.asu.edu|애리조나 주립대 섀도우캠 공식사이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한민국 달 탐사 계획, version=129)] [[분류:달 탐사선]][[분류:한국항공우주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