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600 0%, #FFFE4E 20%, #FFFE4E 80%, #FFD600)" {{{#1e4078 '''닐스 리드홀름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AC 밀란 감독(1대~38대)|[[파일:AC 밀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E0011; font-size: 0.9em" [[틀:AC 밀란 감독(1대~38대)|{{{#000000,#e5e5e5 '''밀란'''}}}]]}}}[br]{{{-2 38대}}} || [[틀:엘라스 베로나 FC 감독(1대~50대)|[[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d100; font-size: 0.9em" [[틀:엘라스 베로나 FC 감독(1대~50대)|{{{#002f6c '''베로나'''}}}]]}}}[br]{{{-2 44대}}} || [[틀:ACF 피오렌티나 감독(1대~50대)|[[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4F3F8F; font-size: 0.9em" [[틀:ACF 피오렌티나 감독(1대~50대)|{{{#ffffff,#ffffff '''피오렌티나'''}}}]]}}}[br]{{{-2 31대}}} || [[틀:AS 로마 감독(1대~40대)|[[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990A2C; font-size: 0.9em" [[틀:AS 로마 감독(1대~40대)|{{{#fbba00 '''로마'''}}}]]}}}[br]{{{-2 37대, 40대}}} || || [[틀:AC 밀란 감독|[[파일:AC 밀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E0011; font-size: 0.9em" [[틀:AC 밀란 감독|{{{#000000,#e5e5e5 '''밀란'''}}}]]}}}[br]{{{-2 49대, 56대}}} || [[틀:AS 로마 감독|[[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990A2C; font-size: 0.9em" [[틀:AS 로마 감독|{{{#fbba00 '''로마'''}}}]]}}}[br]{{{-2 43대, 50대}}} || [[틀:엘라스 베로나 FC 감독|[[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d100; font-size: 0.9em" [[틀:엘라스 베로나 FC 감독|{{{#002f6c '''베로나'''}}}]]}}}[br]{{{-2 57대}}}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스웨덴의 前 축구인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edholm.jpg|width=100%]]}}}|| ||<-2> {{{#000000,#e5e5e5 ''' 이름 ''' }}} || {{{+1 '''닐스 리드홀름''' }}} [br] '''Nils Liedholm''' || ||<-2> {{{#000000,#e5e5e5 ''' 출생 ''' }}} ||[[1922년]] [[10월 8일]] [br][[스웨덴]] 발데마르스비크 || ||<-2> {{{#000000,#e5e5e5 ''' 사망 ''' }}} ||[[2007년]] [[11월 5일]] (향년 85세) [br][[이탈리아]] 쿠카로몬페라토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92cm[* 구글 프로필 신장은 184cm이지만, 그레놀리 삼총사가 한데 모여 찍은 사진에서 185cm인 [[군나르 노르달]]보다도 월등하게 크다.]||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미드필더]] / ^^은퇴^^) [br] [[축구감독]]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발데마르스비크 IF (1938~1943) [br] IK 슬레이프네르 (1943~1946) [br] [[IFK 노르셰핑]] (1946~1949) [br] '''[[AC 밀란]] (1949~1961)''' || || {{{#000000,#e5e5e5 ''' 감독 ''' }}} ||[[AC 밀란]] (1961~1963 / ^^수석 코치^^) [br] [[AC 밀란]] (1963~1966) [br] [[엘라스 베로나 FC]] (1966~1968) [br] [[AC 몬차|AC 몬차 1912]] (1968~1969) [br] [[바레세 칼초]] (1969~1971) [br] [[ACF 피오렌티나]] (1971~1973) [br] [[AS 로마]] (1973~1977) [br] [[AC 밀란]] (1977~1979) [br] '''[[AS 로마]] (1979~1984)''' [br] [[AC 밀란]] (1984~1987) [br] [[AS 로마]] (1987~1989) [br] [[엘라스 베로나 FC]] (1992) [br] [[AS 로마]] (1997)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0]]]] 23경기 12골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 1947~1958)^^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웨덴]]의 [[축구선수]] 출신 [[감독]].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성기의 주역이자 [[군나르 노르달]]과 [[군나르 그렌]]과 함께 '''그레-놀-리(Gre-No-Li) 삼총사'''[* 스웨덴 삼총사라고 불리기도 한다.]의 일원이다. 현역 시절 별명은 '''남작(II Barone)'''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 === 1938년 자신의 고향 팀 발데마르스비크 IF에 입단하였다. 1942년 IK 슬레이프네르로 가다가, 1946년에 자신이 2개의 스웨덴 리그 타이틀을 우승한 더 큰 클럽 IFK 노르쾨핑으로 이적하였다. 노르쾨핑에서 [[군나르 노르달]]과 함께 활약하는 동안에 스웨덴 알스베스칸에서 2차례 우승을 거두고 [[1948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맹활약으로 1949년 [[군나르 노르달]]과 [[군나르 그렌]]과 함께 [[AC 밀란]]으로 이적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웨덴 삼총사.png|width=100%]]}}} || || '''{{{#ffffff 전설의 ‘그레-놀-리(Gre-No-Li)’ 삼총사}}}''' || 리드홀름은 [[군나르 노르달]]과 [[군나르 그렌]]과 함께 그레-놀-리 삼총사를 결성하여 첫 시즌에서 미드필더로 출전하여 37개의 경기에 활약하면서 18골을 득점하였다. 1951년 자신의 첫 [[스쿠데토]] 타이틀을 차지하고, 1955년, 1957년, 1959년에도 [[세리에 A]] 우승을 달성한다. 또한 1951년과 1956년에 라틴컵을 우승하기도 하였다. 이후 노르달과 그렌은 [[AC 밀란]]을 떠나 스웨덴 삼총사는 해체되고 리드홀름은 1956년 이후 주장 완장을 차고 필드의 사령관으로 맹활약한다. AC 밀란은 1957-1958 [[UEFA 챔피언스 리그|유로피언컵]]에서 [[레인저스 FC]], [[보루시아 도르트문트]],4강 원정경기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에게 패했으나 홈에서 리드홀름은 [[페널티 킥]] 쐐기골을 포함에 4:0으로 대승을 거두며 결승전에 진출한다.[* 다만 당시 맨유는 [[뮌헨 비행기 참사]] 때문에 전력이 약화된 면도 있었다.] 결승전 상대는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가 이끄는 디펜딩 챔피언 [[레알 마드리드 CF]]였다. 리드홀름은 [[후안 알베르토 스키아피노]]와 함께 AC 밀란의 공격을 지휘했고 스키아피노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이후 2:2 동점까지 가는 등 치열한 접전을 펼치나 결국 연장 후반에 [[프란시스코 헨토]]에게 결승골을 내줘 3:2로 패하였다. 이후 리드홀름은 1961년에 은퇴하기 전까지 유로피언컵 준우승에 포함에 총 4차례의 [[스쿠데토]]를 차지하는 등 AC 밀란의 영원한 전설이 되었다.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바이킹 군단]]의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 스웨덴 월드컵]] 준우승을 이끈 캡틴''' 닐스 리드홀름-[[군나르 노르달]]-[[군나르 그렌]]의 그레-놀-리 삼총사가 이끄는 스웨덴은 [[1948 런던 올림픽]]에서 맹활약하며 리드홀름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2골을 넣어 12:0으로 대파하고 라이벌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를 비롯해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를 격파하며 금메달을 목에 건다. 그러나 당시 스웨덴은 해외 리그에서 뛰는 선수들을 발탁하지 않는다는 규정이 있었고 그레-놀-리 삼총사는 최전성기 시절에 국가대표에서 별로 활약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 스웨덴 월드컵]]을 앞두고 스웨덴은 이 규정을 철폐했고 리드홀름과 그렌은 국가대표에 차출되었으나 노르달은 기량 저하로 은퇴하여 월드컵에 참가하지 못해 그레-놀-리 삼총사 전원이 월드컵 무대에 밟지는 못했다. 리드홀름은 주장을 맡으면서 스웨덴은 조별리그에서 순항했고 특히 리드홀름은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전에서 [[페널티 킥]]을 성공시키며 3:0 대승을 이끌기도 하였다. 스웨덴은 [[레프 야신]]이 이끄는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소련]]과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을 격파하며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축구황제 [[펠레]]가 이끄는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이었고 리드홀름은 전반 4분만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펠레]], [[바바]], [[마리우 자갈루]]에게 실점을 허용하며 5:2로 패하면서 스웨덴은 준우승에 머물고 말았다. == 감독 경력 == 선수로서 은퇴한 리드홀름은 [[AC 밀란]]의 수석 코치와 감독을 지내고, [[엘라스 베로나 FC]]와 AS 바레세 1910을 위하여 진급되었다. [[ACF 피오렌티나]]로 옮기다가, 다시 [[AC 밀란]]의 감독으로 재임명되어 1979년 10회의 리그 타이틀을 우승하는 데 이끌었다. 이후 [[호베르투 파우캉]]과 [[브루노 콘티]]같은 실력 있는 선수들이 소속된 [[AS 로마]]의 감독을 맡아 1983년 두번째 리그 타이틀로 이끌었다. 1년 후, 리드홀름의 [[AS 로마]]는 [[UEFA 챔피언스 리그|유로피언컵]]에서 [[리버풀 FC]]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였다. 리드홀름은 [[코파 이탈리아]]에서 3회[* 1980, 1981, 1983] 우승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파올로 말디니]]의 1군 데뷔 경기 당시, 말디니를 교체 투입한 감독이 다름아닌 닐스 리드홀름이었다. [각주] [[분류:1922년 출생]][[분류:1938년 데뷔]][[분류:1961년 은퇴]][[분류:2007년 사망]][[분류:외스테르예틀란드 주 출신 인물]][[분류:스웨덴의 축구선수]][[분류:스웨덴의 축구감독]][[분류:미드필더]][[분류:IFK 노르셰핑/은퇴, 이적]][[분류:AC 밀란/은퇴, 이적]][[분류:AC 밀란/역대 감독]][[분류:엘라스 베로나 FC/역대 감독]][[분류:AC 몬차/역대 감독]][[분류:바레세 칼초/역대 감독]][[분류:ACF 피오렌티나/역대 감독]][[분류:AS 로마/역대 감독]][[분류:스웨덴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58 FIFA 월드컵 스웨덴 참가 선수]][[분류:스웨덴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1948 런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