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터키 니크사르1.jpg|width=880]] 구도심과 성채 (칼레시) [[파일:니크사르 터키.jpg|width=880]] 성채에서 내려다 본 시가지 [[파일:터키 니카사르 2.jpg|width=880]] 레일레클리 (율란르 = 뱀) 다리와 구도심 전경 [[파일:니카사르 터키 12.jpg|width=880]] 울루 자미 (대사원)의 내부 [목차] == 개요 == {{{+1 Niksar }}} [[튀르키예]] 북부의 도시. [[토카트]]에서 동북쪽으로 35km, [[아마시아]]에서 동쪽으로 85km, [[삼순]]에서 동남쪽으로 90km, [[오르두]]에서 서남쪽으로 80km 떨어진 구릉 지대에 위치한다. 니카사르로도 표기되며, 현 지명은 로마 시대의 네오카이사레아 (Νεοκαισάρεια)에서 유래된 것이다. 비록 현재는 인구 4만의 소도시지만 켈키트 (리쿠스) 협곡의 비옥한 토양과 [[흑해]] 북안과 아나톨리아 중부 및 동부를 잇는 교통 거점으로써 과거 아마시아, 토카트, [[시노프]], [[트라브존]]과 함께 [[폰토스]] 지방의 핵심 도시 중 하나였다. 고대 [[로마 제국]] 시기 폰투스 속주의 주도이자 기독교 거점으로써 유력한 주교구였다. 중세에는 12세기 [[다니슈멘드 왕조]]와 14세기 타제틴 베이국의 수도로 번영하며 많은 건축물이 세워졌다. 다만 [[오스만 제국]]기에 인근 토카트 산작에 귀속되며 소도시로 전락하였다. 시내에는 성채, 로마 시대 무기고, 대사원, 야으바산 마드라사, 위레이 뷔윅 사원, 뱀 다리, 크르 크즐라르 영묘 등 유적이 많다. 시가지 동북쪽의 옛 묘지에는 [[다니슈멘드]] 조의 창건자 다니슈멘드 가지의 영묘가, 서쪽 10km 지점에는 탈라잔 다리가 있다. 출신 인물로 네오카이세레아를 기독교화시킨 현지 주교 그레고리오스 타우마투르구스와 [[카파도키아]] 교부 중 한명인 니사의 그레고리오스 등이 있다. == 역사 == [[파일:니카사르 터키 19.jpg|width=800]] 2-3세기에 세워진 로마 시기 무기고 옛 지명은 카브리아 (Κάβειρα)로, 켈키트 (리쿠스) 강의 동안 및 파프야드레스 산의 기슭에 자리한 [[폰투스]] 지방의 도시 중 하나였다. 카브리아 주변의 마을 아메리아에는 토착신인 멘을 섬기는 큰 신전이 있었는데, 다수의 노예들이 배속되었고 그 제사장은 높은 지위를 지녔다. 도시 자체에는 본래 물레방아, 축사, 사냥터, 광산 정도만 있었으나 기원전 100년경 [[미트리다테스 6세]]가 궁전을 세운후 카브리아라는 자체 동전을 주조하는 등 발전하였다. 미트리다테스 전쟁 중 [[루쿨루스]]의 아미수스 (삼순) 포위 당시 미트리다테스 6세가 피신해왔으나 기원전 72년 카브리아 전투[* 루쿨루스가 2만의 병력으로 2배의 폰투스 군 격파, 이후 미트리다테스는 아르메니아로 피신] 후 점령되었다. 한편 후자는 인근 카에논 (Καινόν) 바위 성채에 보물을 숨겨두었는데, 전쟁 후 [[폼페이우스]]에 의해 로마로 공출되었다. 전후 [[폰투스 왕국]]을 속국화한 폼페이우스는 카브리아에 도시 지위를 주었고 디오스폴리스 (Διόσπολις)라 명명하였다. 서기 1세기 40년 이상 폰투스를 통치한 여왕 [[피토도리다]]는 도시를 확장하였고, 그리스어로 [[아우구스타]] (황후 등의 칭호)에 대응되는 세바스테 (Σεβαστή)라 개칭한 후 자신의 거처로 삼았다. 서기 60년대 [[네로]] 황제는 폰투스 왕국을 멸하고 폰토스 폴레모니아쿠스 속주를 설치하며 세바스테를 그 주도로 삼으며 네오카이사레아로 명명하였다. 다만 [[티베리우스]] 대에 이미 그렇게 불렸다고도 하며, 한때 하드리아네라 개칭되기도 했으나 네오카이사레아로 고착화되었다. 3세기 들어 일대는 빠르게 기독교화되었는데, 현지 출신의 성직자로 오리게네스의 제자 중 하나인 그레고리오스 타우마투르구스의 노력에 의한 것이었다. 그는 부임시 단 7명의 기독교도가 있던 네오카이사레아에서 적극적으로 선교에 임하여 270년 사망 시에는 단 17명의 다신교만을 남겨두었다. 이후 네오카이사레아는 [[로마 제국]]의 주요 기독교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니케아 공의회]] 이전에 열린 지방 공의회 중 314-15년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열린 두 차례의 공의회는 안키라에 이어 네오카이사레아에서 개최되었고, 성직자 부임의 연령 제한을 두고 부임 후 결혼을 금지하는 등의 내용을 지닌 15개조 강령은 후일 [[칼케돈 공의회]]에 반영되었다. 335년에는 [[삼위일체론]]을 정립하는데 공헌헌 '[[카파도키아]] 교부'들 중 하나인 니사의 그레고리오스가 이곳에서 탄생하였다. 다만 네오카이사레아는 344년 대지진으로 시가지가 완전히 파괴되며 쇠퇴하였고, 499년의 니코폴리스 지진에도 영향을 받았다. === 중세 === ||[[파일:터키 니카사르 9.jpg|width=380]]||[[파일:터키 마드라사 니크사르.jpg|width=413]]|| || 1158년에 세워진 야으바산 마드라사 || 1145년에 세워진 울루 자미 (대사원) || [[파일:터키 다니슈멘드.jpg|width=825]] 시가지 동북쪽에 위치한 다니슈멘드 가지 영묘. 건물 자체는 12세기 중반에 세워졌고, 본래 돔이 있었으나 1939년 지진으로 무너졌다 [[동로마 제국]]기 일개 요새로 유지되던 도시는 11세기 후반 들어 동로마-[[셀주크 제국]] 간의 격전지가 되었다. 1067-68년 [[알프 아르슬란]]의 장수 아프신 베이가 점령하여 약탈하였고, 얼마후 동로마 군이 수복했으나 [[만지케르트 전투]] 후 ([[아르투크 왕조]]의 선조인) 아르투크 베이가 재차 점령하였다. 하지만 1073년 동로마 군이 재차 수복하였고, 그후 [[루셀 드 바이욀]]의 반군이 점거했다가 1075년 반환되었다. 다만 혼란기를 틈타 [[다니슈멘드 왕조]]의 창건자인 다니슈멘드 아흐메트 가지가 점령하여 수도로 삼았고, 튀르크식 지명인 니크사르로 불리게 된 도시는 과학 등의 학문과 문화의 중심지로 거듭나 번영하였다. 1084년 다니슈멘드 가지는 니크사르 부근에서 전사하여 시가지 동북쪽의 묘지에 안장되었다. 다니슈멘드 가지의 후계자인 귀뮈쉬테킨은 1100년 [[멜리테네]] 전투에서 [[보에몽 1세]]를 사로잡아 니크사르에 감금하였고, 따라서 같은 이탈리아인인 보에몽의 구출을 위해 결성된 롬바르드 십자군은 이듬해 니크사르를 목적지로 앙카라를 거쳐 진군했으나 120여 km를 남겨두고 메르지푼 전투에서 무슬림 연합군에게 괴멸되었다. 1175년 [[마누일 1세]]의 동로마 군이 [[아마시아]]와 함께 니크사르를 공격했으나 격퇴되었고, 얼마후 [[미리오케팔론 전투]]와 함께 세력을 확장한 [[룸 셀주크]]의 클르츠 아르슬란 2세가 다니슈멘드 조를 멸하고 일대를 정복하였다. 다만 13세기 중반 룸 셀주크는 [[몽골 제국]]에게 복속되며 약화되었고, 니크사르는 [[에레트나 왕조]]의 지배를 받다가 1346년 그에 복속한 타제틴 베이국의 수도가 되었다. 그 군주 타제틴 베이는 [[트레비존트 제국]]과 동맹하여 [[오르두]]의 하즈에미르와 싸우다 1386년 전사하였고, 이듬해 에레트나 왕조의 실권자 부르하네딘이 점령하였다. 다만 1398년 후자가 사망하고 [[티무르]]의 위협이 가시화되자 주민들은 오스만 술탄 [[바예지트 1세]]에게 귀순하였고, 이로써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어 토카트 산작에 편성되었다. 1461년 [[트라브존]] 원정에 나선 [[메흐메트 2세]]가 니크사르를 거쳐갔다. 이슬람 왕조들의 수도였던만큼 니크사르의 주민들은 17세기 무렵 무슬림이 대부분이었고, 주교구 역시 오르두로 이전되었다. 1869년 기준 니크사르의 남성 인구는 6천 7백의 무슬림, 650여 그리스계 및 670여 아르메니아계 기독교도로 구성되어 있었다. 20세기 초엽 기독교도 인구는 이주되었고 현재는 튀르크계 무슬림만 남아있다. == 갤러리 == [[파일:터키 니카사르 3.jpg|width=880]] 시타델 북쪽의 시가지 [[파일:니카사르 터키 6.jpg|width=880]] 시내의 시장 (바자르) [[파일:터키 니카사르 11.jpg|width=880]] 레일레클리 (율란르) 다리 [[파일:터키 니카사르 4.jpg|width=880]] 위레이 부육 자미 [[파일:터키 니카사르 5.png|width=880]] [[파일:니크사르 터키 1.jpg|width=880]] [[파일:니크사르 터키 모스크.jpg|width=880]] 울루 자미 (대사원) [[파일:터키 니카사르 18.jpg|width=800]] [[파일:니크사르 터키 3.jpg|width=800]] [[파일:터키 니카사르 17.jpg|width=800]] [[파일:니카사르 터키 7.jpg|width=800]] [[파일:니크사르 터키 10.jpg|width=800]] 야으바산 마드라사 [[파일:니카사르 터키 3.jpg|width=800]] 칼레시 (성채) [[파일:터키 니크사르 9.jpg|width=800]] 칼레 하맘 [[파일:터키 니크사르 2.jpg|width=800]] 크르 크즐라르 영묘 [[파일:니크사르 터키 시계.jpg|width=800]] 사아트 쿨레시 (시계탑) [[파일:니크사르 터키 8.jpg|width=800]] 뱀 다리의 문양 [[파일:터키 탈라잔 다리.jpg|width=800]] 서쪽 10km 지점 켈키트 강을 가로지르는 탈라잔 다리 [[파일:니카사르 터키 5.jpg|width=800]] [[파일:니크사르 터키 6.jpg|width=800]] 구도심의 건물 {{{#!folding [니크사르 기타 사진들] [[파일:터키 니카사르 10.jpg]] [[파일:니카사르 터키 시장.jpg]] [[파일:니크사르 터키 7.jpg]] ||[[파일:터키 니카사르 8.jpg|width=311]]||[[파일:터키 니크사르 야을바산 영묘1.jpg|width=592]]|| || 크르 크즐라르 영묘 || 야을바산 영묘 || [[파일:터키 니크사르 3.jpg]] [[파일:터키 니크사르 1.jpg]] [[파일:터키 니크사르 7.jpg]] [[파일:터키 니크사르 6.jpg]] [[파일:터키 니크사르4.jpg]] 외성 [[파일:니카사르 터키 2.jpg]] [[파일:터키 니크사르 11.jpg]] [[파일:니카사르 터키 4.jpg]] [[파일:터키 니크사르 5.jpg]] [[파일:터키 니크사르 8.jpg]] [[파일:터키 니크사르 10.jpg]] [[파일:니크사르 터키 9.jpg]] 성채 (칼레시) [[파일:니크사르 터키 2.jpg]] [[파일:니크사르 터키 11.jpg]] 야으바산 마드라사 [[파일:울루 자미 터키 니크사르.jpg]] ||[[파일:터키 니크사르 벽감.jpg|width=478]]||[[파일:니크사르 터키 5.jpg|width=420]]|| || 울루 자미 || 위레이 뷔윅 자미 || [[파일:니크사르 터키 4.jpg]] ||[[파일:니카사르 터키 18.jpg|width=460]]||[[파일:터키 위레이 부육 자미.jpg|width=443]]|| |||| 위레이 뷔윅 자미 |||| [[파일:니카사르 터키 16.jpg]] [[파일:터키 니카사르 13.jpg]] [[파일:터키 니카사르 14.jpg]] 레일레클리 (율란르) 다리 ||[[파일:터키 니크사르 20.jpg|width=300]]||[[파일:니크사르 터키 21.jpg|width=602]] |||| 시계탑 |||| [[파일:니카사르 터키 8.jpg|width=800]] [[파일:터키 니카사르 1.jpg|width=800]] [[파일:니카사르 터키 로마.jpg|width=800]] [[파일:로마 니크사르 터키.jpg|width=800]] 로마 시대 무기고 [[파일:니카사르 터키 9.jpg|width=800]] [[파일:터키 니카사르 19.jpg|width=800]] [[파일:니카사르 터키 13.jpg|width=800]]}}} [[분류:튀르키예의 도시]][[분류:튀르키예의 옛 수도]][[분류:뉴-형식의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