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몬테네그로의 군주]][[분류:1841년 출생]][[분류:1921년 사망]][[분류:체티네 출신 인물]][[분류:창업군주]][[분류:망국의 군주]][[분류:로열 빅토리아 훈장]] [include(틀:역대 몬테네그로 국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5e91 0%, #2c73ab 20%, #2c73ab 80%, #1d5e91)" '''{{{#fff 니콜라 1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몬테네그로 공)] ---- [include(틀:1차세계대전기의 러시아 제국군 장성급 장교)]}}}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5e91 0%, #2c73ab 20%, #2c73ab 80%, #1d5e91)" '''몬테네그로 페트로비치네고시 왕조 초대 국왕[br]{{{+1 니콜라 1세}}}[br]Никола I'''}}}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icholas I of Montenegro.jpg|width=100%]]}}} || ||<|2> '''출생''' ||[[1841년]] [[10월 7일]]|| ||몬테네그로 주교후국 녜구시[br](現 몬테네그로 체티네)|| ||<|2> '''사망''' ||[[1921년]] [[3월 1일]] (향년 79세)|| ||[[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스]] 알프마리팀주 앙티브[br](現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알프마리팀주 앙티브)|| ||<|4> '''재위기간''' ||몬테네그로 공|| ||[[1860년]] [[8월 13일]] ~ [[1910년]] [[8월 28일]]|| ||몬테네그로 국왕|| ||[[1910년]] [[8월 28일]] ~ [[1918년]] [[11월 26일]]|| || '''서명''' ||[[파일:니콜라 1세 서명.svg|width=100px&bgcolor=#fff]]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문'''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 || || '''이름''' ||니콜라 미르코프 페트로비치네고시[br](Никола Мирков Петровић Његош) || || '''아버지''' ||그라호보 대공 미르코 페트로비치네고시 || || '''어머니''' ||아나스타시야 스타나 마르티노비치 || || '''형제자매''' ||아나스타시야, 마리야 || || '''배우자''' ||밀레나 부코티치 ,,(1860년 결혼),, || || '''자녀''' ||조르카, 밀리카, 아나스타시야, 마리야, 도닐로, 옐레나, 아나, 소피아, 미르코, 크세니야, 볘라, 페타르 || || '''종교''' ||[[정교회]] {{{-2 ([[세르비아 정교회]])}}} ||}}}}}}}}} || [목차] [clearfix] == 개요 == [[몬테네그로 공국]]의 마지막 군주이자, [[몬테네그로 왕국]]의 유일한 국왕이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초대 국왕 [[페타르 1세]], [[이탈리아 왕국]]의 3대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장인이다. == 생애 == 1860년 니콜라 1세의 작은아버지인 다닐로 1세가 급작스럽게 사망하자 몬테네그로 공국의 제2대 공작으로 즉위하였다. 니콜라 1세는 1877년부터 1878년 사이에 [[러시아-튀르크 전쟁]]에 참전하였고 [[산 스테파노 조약]]과 [[베를린 회의]]를 통해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인정받았다. 니콜라 1세는 헌법개정을 통해 1910년 몬테네그로 왕국의 국왕이 되었고, 1912년에 [[그리스 왕국]],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과 함께 [[발칸 동맹]]을 체결하고 [[오스만 제국]]과 대립하였다. 니콜라 1세는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에 참전하여 승리하였지만, 이후 불가리아 왕국이 제1차 발칸 전쟁의 결과로 체결된 런던 강화조약에 불만을 품으면서 다시 제2차 발칸 전쟁을 벌였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범슬라브주의]]에 따라 [[세르비아 왕국]]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협상국]]으로 참여하였다. 하지만 1916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의해 몬테네그로가 점령되자, 니콜라 1세는 프랑스 [[보르도]]로 망명하였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종전한 이후 니콜라 1세는 몬테네그로 왕국으로 돌아왔다. 얼마 안 있어 몬테네그로 왕국이 [[세르비아 왕국]]에 흡수되어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되었다.[* 이 당시 세르비아 국왕은 사위인 페타르 1세였으나, 1차대전 4일 전인 1914년 6월 24일부터 그의 아들이자 니콜라의 외손자인 알렉산다르 1세가 섭정을 맡고 있던지라 세르비아의 몬테네그로 편입은 사실상 [[패륜|외손자의 의지었다.]] ] 당연히 니콜라 1세는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을 인정하지 않고 프랑스로 망명하여 몬테네그로 왕국의 왕위를 요구하다가 1921년에 사망하였다. 사망 5개월 후에 사위인 페타르 1세도 사망했다. 니콜라 1세의 유해는 그가 죽고 68년 뒤인 1989년에 와서야 고국으로 이장되었다.[* 1921년 당시 유고슬라비아 섭정인 알렉산다르 왕세자는 외손자였지만 외할아버지의 유해를 당시에는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였던 그의 고국 몬테네그로로 이장하면 몬테네그로의 독립운동의 기폭제가 될 것을 우려해 고국으로의 이장을 반대했고,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멸망하고 등장한 유고슬라비아 인민 공화국은 공산권 국가였던 터라 당연히 유해 송환을 거절했다, 이로 인해 유해가 고국에 안장되는 게 늦어진 것.] == 가족관계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녀''' ||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자비 조르카[br]{{{-2 (Zorca, Princess Peter Karađorđević)}}} || [[1864년]] [[12월 23일]] || [[1890년]] [[3월 16일]] || [[페타르 1세]][br]슬하 3남 2녀[* [[알렉산다르 1세]] 등] || || '''2녀''' || 러시아의 밀리차 니콜라예브나 대공비[br]{{{-2 (Grand Duchess Militza Nikolaevna of Russia)}}} || [[1866년]] [[7월 14일]] || [[1951년]] [[9월 5일]] || 러시아의 표트르 니콜라예비치 대공[*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의 차남.][br]슬하 1남 3녀 || ||<|2> '''3녀''' ||<|2> 러시아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대공비[br]{{{-2 (Grand Duchess Anastasia Nikolaevna of Russia)}}} ||<|2> [[1868년]] [[1월 4일]] ||<|2> [[1935년]] [[11월 15일]] || --제6대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게오르기 막시밀리아노비치--[* [[니콜라이 1세]]의 외손자(장녀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1819)|마리야 여대공]]의 4남)다.][br]슬하 1남 1녀 || ||<#FFF0F5> 러시아의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의 장남. 참고로 위에 나온 게오르기 막시밀리아노비치의 외사촌이다.] || || '''4녀''' || 마리야 공주[br]{{{-2 (Princess Marica)}}} || [[1869년]] [[3월 29일]] || [[1885년]] [[5월 7일]] || || || '''1남''' || 몬테네그로의 왕세자 다닐로[br]{{{-2 (Danilo, Crown Prince of Montenegro)}}} || [[1872년]] [[6월 29일]] || [[1939년]] [[9월 24일]]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유타 || || '''5녀''' ||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의 왕비 엘레나[br]{{{-2 (Elena, Queen of Italy)}}} || [[1873년]] [[1월 8일]] || [[1952년]] [[11월 28일]]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br]슬하 1남 4녀[* [[움베르토 2세]], [[불가리아 왕국|불가리아]]의 왕비 조안나 등] || || '''6녀''' || 바텐베르크의 프란츠 요제프 공자비 아나[br]{{{-2 (Anna, Princess Francis Joseph of Battenberg)}}} || [[1874년]] [[8월 18일]] || [[1971년]] [[4월 22일]] || 바텐베르크의 프란츠 요제프 공자 || || '''7녀''' || 소피야 공주[br]{{{-2 (Princess Sofia)}}} || [[1876년]] [[5월 2일]] || [[1876년]] [[6월 14일]] || || || '''2남''' || 미르코 왕자[br]{{{-2 (Prince Mirko)}}} || [[1879년]] [[4월 17일]] || [[1918년]] [[3월 2일]] || 나탈리야 콘스탄티노비치[br]슬하 5남 || || '''8녀''' || 크세니야 공주[br]{{{-2 (Princess Xenia)}}} || [[1881년]] [[4월 22일]] || [[1960년]] [[3월 10일]] || || || '''9녀''' || 베라 공주[br]{{{-2 (Princess Vjera)}}} || [[1887년]] [[2월 22일]] || [[1927년]] [[10월 31일]] || || || '''3남''' || 페타르 왕자[br]{{{-2 (Prince Peter)}}} || [[1889년]] [[10월 10일]] || [[1932년]] [[5월 7일]] || 바이올렛 웨그너 || === 후손 === 후손들 중 왕위 요구자 등 주요인물들만 작성. * '''니콜라 1세''',,(1841 ~ 1921),, 몬테네그로 국왕, 몬테네그로 왕위 요구자 * 1녀 조르카 ,,(1864 ~ 1890),, 유고슬라비아 왕비 / [[페타르 1세]] ,,(1844 ~ 1921),, 유고슬라비아 국왕 * [[알렉산다르 1세]] ,,(1888 ~ 1934),, 유고슬라비아 국왕 * [[페타르 2세]] ,,(1923 ~ 1970),, 유고슬라비아 국왕, 유고슬라비아 왕위 요구자 * 알렉산다르 ,,(1945년생),, 유고슬라비아 왕위 요구자 * 1남 '''다닐로''' ,,(1872 ~ 1939),, 몬테네그로 왕세자, 몬테네그로 왕위 요구자 * 5녀 엘레나 ,,(1873 ~ 1952),, 이탈리아 왕비 / 夫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1869 ~ 1947),, 이탈리아 국왕 * [[움베르토 2세]] ,,(1904 ~ 1983),, 이탈리아 국왕, 이탈리아 왕위 요구자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디 사보이아]] ,,(1937년생),, 이탈리아 왕위 요구자 *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1972년생),, 이탈리아 왕위 요구자 후계자 * 2남 미르코 ,,(1879 ~ 1918),, * '''미하일''' ,,(1908 ~ 1986),, 몬테네그로 왕위 요구자 * (자칭) '''니콜라 2세''' ,,(1944년생),, 몬테네그로 왕위 요구자 * (후계자) '''보리스''' ,,(1980년생),, 몬테네그로 왕위 요구자 후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