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61a1a, #852e27, #561a1a)" {{{#fff ''' 니콜 키드먼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AFI 평생 공로상)] ---- ||<-5>
{{{#e5d85c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아카데미 여우주연상|{{{#e5d85c '''여우주연상'''}}}]] || || ''' 제74회[br]([[2002년]])''' || {{{+1 → }}} || '''제75회[br]([[2003년]])''' || {{{+1 → }}} || '''제76회[br]([[2004년]])''' || || [[할리 베리]][br](몬스터 볼) || {{{+1 → }}} || '''니콜 키드먼[br]([[디 아워스]])''' || {{{+1 → }}} || [[샤를리즈 테론]][br]([[몬스터(2003년 영화)|몬스터]]) || ||<-5> || ---- ||<-5>
{{{#e5d85c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 || ||<-5> [[파일:BAFTA 로고.svg|width=170]] || ||<-5> {{{#e5d85c ''' 여우주연상 ''' }}} || || ''' 제55회 [br] ([[2002년]]) ''' || {{{+1 → }}} || ''' 제56회 [br] ([[2003년]]) ''' || {{{+1 → }}} || ''' 제57회 [br] ([[2004년]]) ''' || || [[주디 덴치]][br](아이리스) || {{{+1 → }}} || '''니콜 키드먼[br]([[디 아워스]]) ''' || {{{+1 → }}} || [[스칼렛 요한슨]][br]([[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 ||<-5> || ---- ||<-5>
{{{#e5d85c ''' 역대 [[에미상|{{{#e5d85c 프라임 타임 에미상}}}]] 시상식 ''' }}} || ||<-5> [[파일:emmylogo.png|width=160]] || ||<-5> {{{#e5d85c '''여우주연상 - 미니시리즈 부문'''}}} || || ''' 제68회 [br] ([[2016년]]) ''' || {{{+1 → }}} || ''' 제69회 [br] ([[2017년]]) ''' || {{{+1 → }}} || ''' 제70회 [br] ([[2018년]]) ''' || || [[사라 폴슨]][br](아메리칸 크라임 스토리) || {{{+1 → }}} || ''' 니콜 키드먼[br]([[빅 리틀 라이즈]]) ''' || {{{+1 → }}} || [[레지나 킹]][br](세븐 세컨즈) || ||<-5> || ---- ||<-5>
{{{+1 '''{{{#white 역대}}}''' [[미국배우조합상|[[파일:SAG-AFTRA_Logo.png|width=120]]]]}}} || ||<-5> [[파일:SAG Awards Logo.png|width=80]] || ||<-5> [[미국배우조합상/여우주연상|{{{#white '''TV영화/미니시리즈부문 여우주연상'''}}}]] || || ''' 제23회[br]([[2017년]]) ''' || {{{+1 →}}} || ''' [[제24회 미국 배우조합상|제24회]][br]([[2018년]]) ''' || {{{+1 →}}} || ''' [[제25회 미국 배우조합상|제25회]][br]([[2019년]]) ''' || || [[사라 폴슨]][br](아메리칸 크라임 스토리) || → || {{{#fff '''니콜 키드먼[br]([[빅 리틀 라이즈|{{{#fff 빅 리틀 라이즈}}}]])'''}}} || → || [[패트리샤 아퀘트]][br](이스케이프 앤 댄모라) || ||<-5> || ---- ||<-5>
{{{#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 ||<-5>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width=70]] || ||<-5> {{{#e5d85c '''여우주연상(영화)'''}}} || || || {{{+1 → }}} || '''제1회[br]([[1996년]])''' || {{{+1 → }}} || '''제2회[br]([[1997년]])''' || || || {{{+1 → }}} || '''{{{#eb4684 니콜 키드먼}}}[br]{{{#eb4684 ([[투 다이 포|{{{#eb4684 투 다이 포}}}]])}}}''' || {{{+1 → }}} || [[프란시스 맥도맨드]][br]([[파고(영화)|파고]]) || ||<-5> {{{#e5d85c '''TV영화/미니시리즈부문 여우주연상'''}}} || || '''제22회[br]([[2016년]])''' || {{{+1 → }}} || '''제23회[br]([[2018년]])''' || {{{+1 → }}} || '''제24회[br]([[2019년]])''' || || [[사라 폴슨]][br](아메리칸 크라임 스토리) || {{{+1 → }}} || '''{{{#eb4684 니콜 키드먼}}}[br]{{{#eb4684 ([[빅 리틀 라이즈|{{{#eb4684 빅 리틀 라이즈}}}]])}}}''' || {{{+1 → }}} || [[에이미 아담스]][br](샤프 오브젝트)[br][[패트리샤 아퀘트]][br](이스케이프 앤 댄모라) || ||<-5>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여우주연상 - 드라마(영화)'''}}} || || ''' 제59회 [br] ([[2002년]]) ''' || {{{+1 → }}} || ''' 제60회 [br] ([[2003년]]) ''' || {{{+1 → }}} || ''' 제61회 [br] ([[2004년]]) ''' || || [[씨씨 스페이식]][br](침실에서) || {{{+1 → }}} || '''니콜 키드먼[br]([[디 아워스]])''' || {{{+1 → }}} || [[샤를리즈 테론]][br]([[몬스터(2003년 영화)|몬스터]]) || ||<-5> || || ''' [[제78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8회]] [br] ([[2021년]]) ''' || {{{+1 → }}} || ''' [[제7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9회]] [br] ([[2022년]]) ''' || {{{+1 → }}} || ''' [[제80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80회]] [br] ([[2023년]]) ''' || || [[안드라 데이]][br]([[빌리 홀리데이(영화)|빌리 홀리데이]]) || {{{+1 → }}} || '''니콜 키드먼[br]([[리카르도 가족으로 산다는 것]])''' || {{{+1 → }}} || [[케이트 블란쳇]][br]([[TAR 타르]]) || ||<-5> {{{#e5d85c '''여우주연상 - 뮤지컬 및 코미디(영화)'''}}} || || ''' 제52회 [br] ([[1995년]]) ''' || {{{+1 → }}} || ''' 제53회 [br] ([[1996년]]) ''' || {{{+1 → }}} || ''' 제54회 [br] ([[1997년]]) ''' || || [[제이미 리 커티스]][br]([[트루 라이즈]]) || {{{+1 → }}} || '''니콜 키드먼[br](투 다이 포)''' || {{{+1 → }}} || [[마돈나(가수)|마돈나]][br]([[에비타(영화)|에비타]]) || ||<-5> || || ''' 제58회 [br] ([[2001년]]) ''' || {{{+1 → }}} || ''' 제59회 [br] ([[2002년]]) ''' || {{{+1 → }}} || ''' 제60회 [br] ([[2003년]]) ''' || || [[르네 젤위거]][br](너스 베티) || {{{+1 → }}} || '''니콜 키드먼[br]([[물랑 루즈(영화)|물랑 루즈]])''' || {{{+1 → }}} || [[르네 젤위거]][br]([[시카고(영화)|시카고]]) || ||<-5> {{{#e5d85c '''여우주연상 - 미니시리즈'''}}} || || ''' 제74회 [br] ([[2017년]]) ''' || {{{+1 → }}} || ''' [[제75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5회]] [br] ([[2018년]]) ''' || {{{+1 → }}} || ''' [[제76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6회]] [br] ([[2019년]]) ''' || || [[사라 폴슨]] [br] ([[아메리칸 크라임 스토리]]) || {{{+1 → }}} || '''니콜 키드먼 [br] ([[빅 리틀 라이즈]])''' || {{{+1 → }}} || [[패트리샤 아퀘트]] [br] (이스케이프 앳 댄모라) || ||<-5> || ---- ||<-5>
{{{#e5d85c ''' 역대 [[베를린 영화제|{{{#e5d85c 베를린 영화제}}}]]''' }}} || ||<-5>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180]] || ||<-5>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여우주연상|{{{#e5d85c '''은곰상 - 여자연기자상'''}}}]] || || ''' 제52회 [br] ([[2002년]]) ''' || {{{+1 → }}} || ''' 제53회 [br] ([[2003년]]) ''' || {{{+1 → }}} || ''' 제54회 [br] ([[2004년]]) ''' || || [[할리 베리]][br](몬스터 볼) || {{{+1 → }}} || '''니콜 키드먼''', [[줄리앤 무어]], [[메릴 스트립]][br]'''([[디 아워스]])''' || {{{+1 → }}} || [[샤를리즈 테론]][br]([[몬스터(2003년 영화)|몬스터]])[br][[카타리나 산디노 모레노]][br](기품있는 마리아) || ||<-5> ||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니콜 키드먼,영어명=NICOLE KIDMAN,분야=영화,입성날짜=2002년 1월 13일,위치=6845)] ---- ||<-5>
{{{#e5d85c ''' 역대 [[새턴상|{{{#e5d85c 새턴상}}}]] 시상식''' }}} || ||<-5> [[파일:saturn-award.png|width=55]] || ||<-5> [[새턴 영화 여우주연상|{{{#e5d85c '''영화 여우주연상'''}}}]] || || '''제27회[br](2000년)''' || {{{+1 → }}} || '''제28회[br](2001년)''' || {{{+1 → }}} || '''제29회[br](2002년)''' || || [[테아 레오니]][br]([[패밀리맨]]) || {{{+1 → }}} || '''니콜 키드먼[br]([[디 아더스]])''' || {{{+1 → }}} || [[나오미 왓츠]][br]([[링(미국 영화)|링]]) || ||<-5>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852e27, #561a1a)" '''{{{+1 니콜 키드먼}}}[br]Nicole Kidman[br]AC[* 오스트레일리아 훈장, 컴패니언(Companio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icole Kidman LA Times 2022.jpg|width=100%]]}}}|| || '''본명''' ||니콜 메리 키드먼[br]Nicole Mary Kidman|| ||<|2> '''출생''' ||[[1967년]] [[6월 20일]] ([age(1967-06-20)]세) || ||[[하와이|하와이 주]] [[호놀룰루]]||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거주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뉴 사우스 웨일스]] [[시드니]][br][[미국]] [[테네시|테네시 주]] [[내슈빌]]|| || '''신장''' ||180cm|| || '''부모''' ||아버지 안토니 데이비드 키드먼^^(1938년 12월 10일 ~ 2014년 9월 12일)^^[br]어머니 재널 앤 키드먼^^(1940년 3월 13일)^^ || || '''자매''' ||여동생 안토니아 키드먼^^(1970년 7월 14일생)^^ || || '''직업''' ||[[배우]], [[프로듀서]]|| || '''활동''' ||1983년 – 현재|| || '''종교''' ||[[가톨릭]]|| || '''배우자''' ||[[톰 크루즈]]^^(1990년 12월 24일 ~ 2001년 2월 5일)^^[br][[키스 어번]]^^(2006년 6월 25일 ~ 현재)^^|| || '''자녀''' ||장녀 이사벨라 제인 크루즈^^(1992년 12월 22일생)^^[*A [[톰 크루즈]]와 함께 입양했으며 그를 따라 [[사이언톨로지]]가 되어 현재는 교류가 없다.][br]장남 코너 앤서니 크루즈^^(1995년 1월 17일생)^^[*A][br]차녀 선데이 로즈 키드먼어번^^(2008년 7월 7일생)^^[br]3녀 페이스 마거릿 키드먼어번^^(2010년 12월 28일생)^^[* [[대리모]]를 통해 얻었다.]|| || '''링크''' ||[[https://www.instagram.com/nicolekidma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facebook.com/NicoleKidman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32ec1292f47ad404be5f7a2d2412b2e.gif|width=100%]]}}} || [[호주]]의 [[배우]]. 출생지는 미국이지만 자란 곳은 [[호주]] [[시드니]]로, 호주와 미국 [[이중국적]]자다. == 위상 ==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 수상자이자 두 번의 [[에미상]], 다섯 번의 [[골든글로브상]]을 수상하였으며, [[아카데미상]]에도 네 번이나 후보에 올랐다. 2000년대부터 계속 왕성하게 활동해왔고 2020년, [[뉴욕 타임즈]]에서 선정한 '21세기 가장 위대한 배우 25인' 중 5위에 선정되었다.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20/movies/greatest-actors-actresses.html#nicole-kidman|#]] 커리어 초기부터 굉장히 다작을 하는 배우로 연기력도 출중한데다 온갖 장르를 다 해봤기 때문에 필모그래피를 따라가는 재미도 있는 배우다. 드라마, 코미디, 호러, 뮤지컬 등 안 도전해본 장르가 없다. 헐리웃 톱스타치고 본인 맘에만 들면 어떠한 배역도 마다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그만큼 작품의 기복도 큰 편이지만, 현 시점에서 활동 중인 어느 여배우들보다도 넓고 다양한 폭의 연기를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얼굴상 때문에 날카롭고 도도한 카리스마 있는 [[차도녀]]/여왕님 배역 비중이 높은 편. == 활동 == 호주 성 마틴 청소년 연극학교를 졸업한 후 16살이던 1983년, 부시 크리스마스[* 1947년 제작된 동명의 영화 리메이크]라는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생활을 시작했다. 그해 연말에는 TV시리즈 Five Mile Creek에 조연으로 출연했다. 그렇게 1980년대에 《BMX Bandits》[* 한국에는 도시의 천재들이란 제목으로 개봉], 《Watch the Shadows Dance》, 《파도치는 청춘》 등 다양한 호주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하면서 자국내에서 배우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가기 시작했다. 특히, 필립 노이스가 감독한 《죽음의 항해》(Dead Calm)에 레이 잉그램으로 출연하여 국제적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후, 1990년 첫 남편 [[톰 크루즈]]를 만나는 계기가 된 영화 《[[폭풍의 질주]]》를 통해 할리우드에 데뷔하게 된다. 이 작품은 평론가들에게는 혹평을 받았지만 흥행에는 성공했다.[* 수익은 미국 8,200만 달러, 글로벌 8,300만 달러로 제작비 대비해도 성공작이다.] 이때 이미 자국에서는 실력을 인정받은 인기스타였고, 미국 이외의 국가에는 여러 편의 우수한 영화로 어느 정도 지명도는 가지고 있던 배우로, 자국 및 미국 이외 지역에서의 성공을 기반으로 할리우드에 진출한 것이다. 1991년, 호주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청춘 기숙사》 (Flirting)에 출연했다. 이때 절친 [[나오미 와츠]]와 [[탠디 뉴턴]]도 이때 만났다고 한다. 또한 같은 해, 로버트 벤튼이 감독한 영화 《빌리 배스게이트》를 통해 처음으로 [[골든글로브상]]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1992년, [[톰 크루즈]]와 함께 론 하워드가 감독한 영화 《파 앤드 어웨이》(Far And Away)에, 1993년에는 [[알렉 볼드윈]]과 함께 영화 《맬리스》(Malice)에, [[마이클 키튼]]과 함께 영화 《마이 라이프》(My Life)에 출연했다. 1995년, 영화 [[배트맨 포에버]]에 체이스 메리디언 박사 역으로 출연했다. 1996년, 《투 다이 포》로 골든글로브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으며, 2001년 《[[물랑 루즈(영화)|물랑 루즈]]》로 [[아카데미상]] 노미네이트, 2002년 《[[디 아워스]]》에서 [[버지니아 울프]]를 맡았고 이 역으로 [[바프타]], [[골든글로브상]],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2005년, [[윌 페럴]]과 주연을 맡은 《그녀는 요술쟁이》로 페럴과 함께 제26회 [[골든 라즈베리]] 최악의 커플상에 선정됐다. 2005년, 영화 《인터프리터》에 출연했다. 2006년, 영화 《[[해피 피트]]》에 노마 진의 성우로 출연했다. 2007년, 동명의 소설을 영상화한 영화 《[[황금나침반(영화)|황금나침반]]》에 마리사 콜터 역으로 출연했다. 2013년, [[박찬욱]] 감독의 첫 할리우드 작품인 영화 《[[스토커(2013년 영화)|스토커]]》에 이블린 에비 스토커 역으로 출연했다. 박찬욱과 함께 작업한 소감을 얘기하면서 "박찬욱은 [[스탠리 큐브릭]]과 비슷한 완벽주의 성향이 있다. 하루종일 앉아서 머리 빗는 장면만 반복해서 찍길래 도대체 무슨 장면을 연출하려고 그러는건지 미치도록 궁금했는데,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그 장면(곱게 빗은 머리카락이 갈대밭으로 넘어가는 씬[* [[파일:cb8bb8b6759eeb3f557ea6891f3492ab.gif]]])을 보고 나서야 나도 모르게 '와 놀라워' 라고 감탄이 나왔다."라고 말했다. [[https://hygall.com/152066823|출처]] 2014년, 영화 《그레이스 오브 모나코》 국내 개봉을 앞두고 처음으로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2D&sid1=106&sid2=222&oid=109&aid=0002788829|방한하려고]] 했으나 취소됐다. 2018년, 영화 《[[아쿠아맨(영화)|아쿠아맨]]》에서 아틀란티스의 왕인 [[아틀라나]]역을 맡으며 화려한 액션씬을 연기했다. 같은 호주 출신이었던 [[제임스 완]] 감독과 늘 함께 일해보고 싶었기 때문에 출연 제의를 받았을때 바로 승낙했다고. 2017년, [[HBO]]의 드라마 《[[빅 리틀 라이즈]]》의 주연 '셀레스트'역으로 출연했다. 2017년에 시즌 1이 방영됐고, 2019년에 시즌 2가 방영됐다. 2020년, 영화 《[[밤쉘: 세상을 바꾼 폭탄선언]]》에서 그레천 칼슨으로, 영화 [[더 프롬]]에서 앤지 디킨슨 역으로 출연했다. 2022년, [[Apple TV+]] 오리지널 드라마 《[[로어: 세상을 향한 함성]]》에서 주연 중 한 명을 맡았고 영화 《[[노스맨(영화)|노스맨]]》과 《[[리카르도 가족으로 산다는 것]]》이 개봉하였다. 이 중 《리카르도 가족으로 산다는 것》을 통해서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고, [[골든글로브]]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2022년, 미미 케이브 감독의 스릴러 영화 《Holland, Michigan.》에 캐스팅되었다. [[https://deadline.com/2022/06/nicole-kidman-to-star-mimi-cave-directing-1235047748/|#]] [[아마존 스튜디오]]에서 제작될 예정이며, 키드먼의 영화 제작사 또한 제작에 참여함에 따라 키드먼도 제작자에 이름을 올리게 될 예정이라고 한다. == 출연작 == === 영화 ===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2> 1983 || 도시의 천재들 || 주디 || || || 부시 크리스마스 || 헬렌 톰슨 || || || 1985 || 윌스 앤 버크 || 줄리아 매튜 || || || 1986 || 파도치는 청춘 || 제이드 || || || 1987 || The Bit Part || 메리 맥앨리스터 || || || 1988 || 에메랄드 시티 || 헬렌 || || || 1990 || [[폭풍의 질주]] || 클레어 리위키 박사 || || ||<|2> 1991 || 청춘 기숙사 || 니콜라 || || || 빌리 배스게이트 || 드류 프레스턴 || || || 1992 || [[파 앤드 어웨이]] || 섀넌 || || ||<|2> 1993 || 맬리스 || 트레이시 || || || 마이 라이프 || 게일 존스 || || ||<|2> 1995 || [[배트맨 포에버]] || 체이스 메리디안 박사 || || || 투 다이 포 || 수잔 스톤 마래토 || || || 1996 || 여인의 초상 || 이자벨 아처 || || || 1997 || 피스 메이커 || 줄리아 켈리 || || || 1998 || 프랙티컬 매직 || 질리언 오웬스 || || || 1999 || [[아이즈 와이드 셧]] || 앨리스 하퍼드 || || ||<|3> 2001 || [[물랑 루즈(영화)|물랑 루즈]] || 새틴 || || || [[디 아워스]] || 그레이스 스튜어트 || || || 버스데이 걸 || 나디아 / 소피아 || || ||<|3> 2003 || [[도그빌]] || 그레이스 마가렛 멀리건 || || || 휴먼스테인 || 파우니아 || || || 콜드 마운틴 || 아이다 먼로 || || ||<|2> 2004 || [[탄생(2004)|탄생]] || 안나 || || || 스텝포드 와이프 || 조안나 || ||<|2> 2005 || 인터프리터 || 실비아 브룸 || || || 그녀는 요술쟁이 || 이자벨 || || ||<|2> 2006 || [[해피 피트]] || 노마 진 || 성우 || || 퍼 || 디앤 아버스 || || ||<|3> 2007 || 인베이젼 || 캐롤 벤넬 || || || 마고 앳 더 웨딩 || 마고 || || || [[황금나침반(영화)|황금나침반]] || 쿨터 부인 || || || 2008 || 오스트레일리아 || 새라 애쉴리 || || || 2009 || 나인 || 클라우디아 || || || 2010 || 래빗 홀 || 베카 || 제작 참여 || ||<|2> 2011 || 마이 프리텐드 와이프 || 데블린 || || || 트레스패스 || 새라 밀러 || || || 2012 || 페이버보이: 사형수의 편지 || 샬롯 블레스 || || ||<|2> 2013 || [[스토커(2013년 영화)|스토커]] || 이블린 스토커 || || || 레일웨이 맨 || 패티 || || ||<|3> 2014 || 그레이스 오브 모나코 || [[그레이스 켈리]] || || || 내가 잠들기 전에 || 크리스틴 || || || [[패딩턴(영화)|패딩턴]] || 밀리센트 || || ||<|4> 2015 || 스트레인저랜드 || 캐서린 || || || 퀸 오브 데저트 || 거트루드 벨 || || || 부모님과 이혼하는 방법 || 애니 팽 || 제작 || || 시크릿 인 데어 아이즈 || 클레어 || || ||<|2> 2016 || 지니어스 || 엘린 || || || 라이언 || 수 브리얼리 || || ||<|4> 2017 || 런던 러브스토리 || 보디시아 || || || 킬링 디어 || 안나 머피 || || || 매혹당한 사람들 || 미스 마사 || || || 업사이드 || 이본 || || ||<|3> 2018 || 디스트로이어 || 에린 벨 || || || 보이 이레이즈드 || 낸시 || || || [[아쿠아맨(영화)|아쿠아맨]] || [[아틀라나(DC 확장 유니버스)|아틀라나 여왕]] || || ||<|2> 2019 || 더 골드핀치 || 사만다 || || || [[밤쉘: 세상을 바꾼 폭탄선언]] || 그레천 칼슨 || || || 2020 || [[더 프롬]] || 앤지 디킨슨 || || || 2021 || [[리카르도 가족으로 산다는 것]] || 루실 볼 || || || 2022 || [[노스맨(영화)|노스맨]] || || || || 2023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아틀라나(DC 확장 유니버스)|아틀라나 여왕]] || || === 텔레비전 === ||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 2017 || [[BBC Two|[[파일:BBC Two 로고.svg|width=50]]]] || 탑 오브 더 레이크 || 줄리아 에드워드 || || || 2017 ~ 2019 || [[HBO|[[파일:HBO 로고.svg|width=50]]]] || [[빅 리틀 라이즈]] || 셀레스트 || || || 2022 || [[Apple TV+|[[파일:Apple TV+ 로고.svg|width=50]]]] || [[로어: 세상을 향한 함성]] || 로빈 || || || 2023 ~ || [[파라마운트+|[[파일:파라마운트+ 워드마크.svg|width=50]]]] || [[라이어니스: 특수 작전팀]] || 케틀린 미드 || 기획 참여 || == 사생활 == *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계 호주인인 아버지 안토니 데이비드 키드먼과 어머니 재널 앤 키드먼 사이에서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 《폭풍의 질주》 촬영 중에 첫 남편인 [[톰 크루즈]]와 사랑에 빠진 일화는 유명하다. 호주 영화 《죽음의 항해》를 보고 키드먼에게 반한 크루즈는 《폭풍의 질주》 여자 주인공 오디션에 키드먼을 초대했고[* 고급 호텔 스위트룸까지 잡아주며 극진히 대우했다. 아무리 호주에선 톱스타였다지만 [[미국]]에선 무명이었는데, 이 정도 대접을 받은 건 전부 크루즈가 키드먼에게 반한 탓.] 크루즈가 그녀를 전폭 지지하여 캐스팅이 성사됐다고. 또한 영화 촬영 내내 크루즈는 키드먼의 연기를 일일이 모니터링해주기도 했다고 한다. 결국 둘은 1990년에 결혼했고, 1990년대 최고의 할리우드 스타 커플이 됐다.[* 그리고 [[스탠리 큐브릭]]의 유작 영화 《[[아이즈 와이드 셧]]》을 같이 찍기도 했다.] 그러나 2001년에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긴 [[이혼]] 소식을 발표함으로서 10년이 조금 넘는 결혼 생활을 마무리했다. * 크루즈와 키드먼 모두 이혼 사유에 대해서 함구했기 때문에 왜 이혼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사이언톨로지]]에 관한 것이 원인 중 하나일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크루즈가 먼저 이혼을 제기했는데, 니콜이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으며 크루즈가 종교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자제시켰기 때문에 [[사이언톨로지]] 측에서 반발이 심했다는 것이다.[* 크루즈가 3번째 부인인 [[케이티 홈즈]]와 이혼할 때에도 역시 종교 문제가 이혼 사유로 거론됐다. 홈즈 역시 [[가톨릭]] 신자였는데 크루즈가 [[사이언톨로지]]를 강요했으며, 딸인 [[수리 크루즈]]에게도 사이언톨로지식 교육을 시키려고 하자 이혼했다는 것. 당사자들이 이혼 사유에 대해서는 함구했지만 톰 크루즈가 "그것이 주장 중 하나였다"며 간접적으로 인정하기도 했다.] 실제로 이후 [[HBO]]에서 제작된 폭로 다큐멘터리 《정화: 사이언톨로지와 신앙의 감옥》에서 현재는 탈교한 당시 교회 간부가 "톰 크루즈의 요청으로 교회 측이 결혼 생활 중 니콜 키드먼의 전화를 도청한 일이 있고 그 작업에 직접 참여했다"며 증언한 바 있다.[* 사이언톨로지는 가족일지라도 '억압적 인간'으로 분류되는 반감을 가진 비신도들과 신도들의 접촉을 제한한다. 다큐에 따르면 니콜이 사이언톨로지에 반감을 가졌으며 니콜의 아버지가 심리학자라는 점도 있어 교회 차원에서 니콜을 크루즈와 아이들에게서 분리하려 했다고 한다.] * 종교 문제뿐만 아니라 아이를 갖지 못한 것 역시 오래도록 유력한 이혼 사유로 회자됐다. 모두 아이를 원해 결혼 기간 10년 동안 2번 임신했으나 그마저도 초기에 모두 [[유산(의학)|유산]]되는 바람에 끝내 둘 사이에 친자녀는 태어나지 못했다. 이에 대해 톰 크루즈가 [[무정자증]]이라는 루머가 계속 돌아 결국 크루즈가 루머를 보도한 매체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일까지 있었다. 크루즈와 이혼하고 몇 년 뒤에 키드먼은 '첫 임신은 자궁 외 임신이라 유산됐는데, 그 후에 힘든 시간을 보냈다.'고 고백한 바 있다. * 크루즈와 결혼 생활을 하던 중에 이사벨라 제인 키드먼크루즈와 코너 앤서니 키드먼크루즈를 입양했다. 이혼한 후 양육권은 크루즈에게 가 크루즈와 함께 자랐으며 현재는 둘 다 [[사이언톨로지]] 신자이다. 크루즈가 [[케이티 홈즈]]와 재혼했을 때 이사벨라와 코너가 케이티를 새어머니로 대우했다. * 22살에 결혼하기 전에 호주 배우 마커스 그레이엄하고 톰 벌린슨[* 영화 《[[아그네스의 피]]》에 주연으로 나왔다. 캐나다 출신의 호주 이민자이다.]하고 사귀었다. 크루즈와 이혼한 후에는 가수 [[레니 크래비츠]]와도 사귀었다. 싱글 시절에 현 쇼 진행자 [[지미 팰런]]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었다고. [[https://www.youtube.com/watch?v=5TqBZD0MAXI|지미 팰런 쇼에 출연하여 나누는 후일담]] * 2006년에 키스 어번과 재혼하여 42세가 된 2008년에 첫 친딸인 선데이 로즈를, 2010년에는 [[대리모]]를 통해 둘째 딸 페이스 마거릿을 얻었다.[* [[대리모]]를 통해 자녀를 얻은 헐리우드 연예인중에서 몇 안되게 덜 욕먹는 케이스다. 키드먼은 크루즈와의 10년이나 되는 결혼 기간 동안 임신은 고작 2번만 됐고 그마저도 초기에 모두 [[유산(의학)|유산]]되었으며 첫 임신은 자궁 외 임신이었다는 걸 보면 임신이 잘 안되는 체질일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첫 생물학적인 자녀인 선데이 로즈는 직접 낳았지만, 출산했을 당시에도 42세였으며 결국 둘째 페이스 마거릿을 대리모로 얻었다는 소식에 첫 애도 겨우 임신했고 워낙 노산이라 이해한다는 반응이 있었다.] 2023년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뜨거운 키스를 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4980108|#]] == 여담 == * 잉글랜드&스코틀랜드계, 아일랜드계, 독일계 호주인 조상의 혈통을 가지고 있다.[* 출처: EthniCelebs [[https://ethnicelebs.com/nicole-kidman|Nicole Kidman]]. 친척들은 호주에서 손꼽는 부자가문이다.] * 할리우드 진출 초기에는 주황색 꼬불머리가 트레이드마크였다. * [[톰 크루즈]]와 22세라는 이른 나이에 결혼함으로써 할리우드에 만연했던 성추행을 피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이 결혼은 힘보다는 보호에 가까운 의미였다고 밝혔다. [[톰 크루즈]]를 사랑해서 결혼했지만, 그가 가진 상당한 힘 덕분에 성추행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고, 이혼 후 32~33세가 됐을 땐 스스로를 지킬 수 있도록 성장해야겠다고 느꼈다고 한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16/2018101602723.html|#]] * 다리에 피부암이 있었던 적이 있다. 그 이후 다른 여자 연예인들이 섹시한 [[태닝]] 피부에 목숨 걸 때도 키드먼은 [[자외선]] 차단에 철저하다고 한다.[* 사실 그녀의 출신지인 호주에서는 선탠을 매우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며 피부가 건강하게 탄 여성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서 피부가 흰 여성들은 일부러 태닝을 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때문인지 하얀 피부로 유명하기도 하다. * [[배트맨]] 역의 배우 5인([[마이클 키튼]], [[발 킬머]], [[조지 클루니]], [[크리스천 베일]], [[로버트 패틴슨]])과 모두 영화에서 호흡을 맞춘 전력이 있다. 키튼과는 《마이 라이프》에서, 킬머와는 《[[배트맨 포에버]]》에서, 클루니와는 드림웍스의 창립작인 《[[피스메이커(영화)|피스메이커]]》에서, 베일과는 《여인의 초상》에서, 패틴슨과는 《퀸 오브 데저트》에서 함께 연기했다. [* 재미있는 사실은 [[캣우먼]] 역으로 유명한 [[미셸 파이퍼]]는 키튼 외에 클루니와 《어느 멋진 날》에서 호흡을 맞춘 적이 있다. 또한 킬머와는 스캔들이 나기도 했으며 애니메이션 《[[이집트 왕자]]》에 함께 출연했다. 이 정도면 니콜하고 더불어 배트맨의 연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듯. 그리고 둘 다 배트맨 영화에 출연한 지 20여년 후 히어로 영화에서 주인공 또는 히로인의 어머니 역을 맡았다.] * 2013년 1월 24일 [[지미 키멀]] 라이브쇼에서 [[맷 데이먼]]이 장난으로 키멀을 묶고 잠깐 MC를 봤는데, 등장하면서 묶인 키멀의 위에 올라타 랩댄스를 하는 상황을 연출하였다. [[http://www.youtube.com/watch?v=uQ-BaHHRXMM|영상]] 직전 게스트였던 [[로빈 윌리엄스]]가 키멀 위에서 랩댄스를 췄기 때문에, 이어 등장한 키드먼이 드립으로 윌리엄스를 따라한 것이다. 그리고는 키멀을 농락하는 상황극을 연출하며 "나는 어렸을 때부터 도벽이 있었다. 오늘도 대기실에서 숟가락을 몇 개 훔쳤다. 키멀은 믿을 수 없는 사람이라 그에게는 이런 이야기를 터놓지 못했을 텐데, 데이먼이 사회를 보니 솔직하게 말하게 된다."며 맷 데이먼을 칭찬했다.[* 맷 데이먼이 지미 키멀을 납치하고 사회를 본다는 설정부터가 그렇지만, 이 회차 자체가 드립의 향연이었다. 같은 날 출연한 [[게리 올드만]], [[에이미 아담스]], [[리즈 위더스푼]] 등도 전부 상황극을 만들면서 키멀을 농락했다.] * [[러셀 크로우]]와 오래된 친구다. 2014년에 니콜 키드먼이 부친상을 당했을 때 러셀 크로우가 운구를 도왔을 정도. 2019년 12월 22일에는 미국에서 호주까지 옆에 앉아 같이 간 모양인지 같은 사진을 올리기까지 했다.[[https://www.instagram.com/p/B6Xr6E1hUJU|러셀 크로우의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p/B6XPMuQp6xj|니콜 키드먼의 인스타]] 여기서 서로에 대해 니콜 키드먼은 30년된 친구, 러셀 크로우는 우주에서 가장 좋아하는 사람 중 하나라고 칭했다. * 러셀 크로우는 자신의 둘째 아들 테니슨에게 이미 결혼 상대가 있다면서 그 상대가 니콜 키드먼의 딸 선데이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서로가 서로의 아이들에게 반했는데 특히 니콜이 테니슨을 보자마자 [[정략결혼]]을 제의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심지어 테니슨과 선데이는 생일까지 같다고. 그리고 한가할 때는 일요일에 니콜 가족과 동반 모임으로 자주 만나는데 일요일에 만나는 선데이는 장미꽃처럼 아름다운 아이라는 말을 했다. 2008년에 한 이야기인데 러셀 크로우와 니콜 키드먼이 진짜로 사돈 관계가 될 지는 두고봐야 할 일. * 러셀 크로우와 이성 친구인 탓에 염문설도 항상 끊이지 않았는데 루머와는 달리 두 사람은 상대방의 배우자와도 친하게 지내며 한결같은 우정을 유지하고 있다. [[톰 크루즈]]는 러셀 크로우가 니콜 키드먼을 통해 일찍이 알게 된 사이. 같이 작품을 찍으면 재미있겠다는 이야기를 나누었다는데 《[[미이라(2017)|미이라]]》에서 그 꿈이 실현되었다. * [[나오미 와츠]]와 절친이다. [[http://storage0.dms.mpinteractiv.ro/media/1/381/5910/7454818/10/nicole-kidman-naomi-watts.jpg|#]], [[https://perfectionofperplexion.files.wordpress.com/2015/06/b409aaa9b0b1e154d806d516fcb8da50.jpg|#]] 마침 두 사람은 외모도 꽤 비슷한 편이다. 차이점이라면 니콜 키드먼이 키가 더 크고 도도한 이미지가 강하다. * 한국에서는 [[송도영]]이 전담 성우이지만 가끔씩 송도영 외에도 [[정미숙]]이나 [[서혜정]], [[이지현(성우)|이지현]], [[최덕희]] 등도 니콜 키드먼을 더빙했다.[* 그 중 이지현과 최덕희는 영화 [[패딩턴(영화)|패딩턴]]의 극장 더빙판과 KBS 더빙판에서 니콜 키드먼이 연기한 악녀 밀리센트 역으로 나왔었는데 두 사람은 특이하게도 일본 애니메이션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한국 더빙판(대원,KBS)에서 주인공 [[츠키노 우사기|세일러문]]을 연기한 이력이 있다.~~세일러문 일본 성우인 [[미츠이시 코토노]]도 니콜 키드먼과 같은 동갑내기 67년생이다~~] * 2015년 [[보그(패션지)|보그]]지가 함께한 니콜 키드먼과 [[오스트레일리아]] 니콜 키드먼의 집에서 QnA 이벤트. 영상에 볼 수 있다시피 재치있는 답변도 잘하며 성격이 매우 털털한 편이다. [youtube(kI2ucw7hP34)] * [[베니티 페어]]의 Secret Talent Theatre에서 벌레를 먹었다. [youtube(e3UqLAtdZ04)] * [[크리스틴 스튜어트]]와 진행한 버라이어티 컨텐츠 Actors on Actors를 통해 영화 [[패닉 룸(영화)|패닉 룸]]의 주인공이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둘은 2주간 함께 사전 촬영을 진행하였으나 니콜 키드먼이 부상으로 인해 하차하게 되었고 주인공은 [[조디 포스터]]가 맡게 되었다. 당시 10살이었던 크리스틴 스튜어트에게 무척 잘해주었으며 덕분에 스튜어트는 니콜 키드먼을 친구처럼 생각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해당 촬영이 끝난 후 니콜 키드먼은 크리스틴 스튜어트에게 꽃다발을 선물하였다고. --그리고 둘은 함께 2022년 오스카 여우주연상 후보가 되었다.-- [youtube(vsD95KGnASE)] * [[교복]]을 이미지한 섹시 노출 의상 화보가 논란이 된 적이 있다. 학생을 성적으로 표현했다고 일부 누리꾼으로부터 지적을 받았다. [[https://www.news1.kr/articles/?4593804|#]] * 코로나 판데믹으로 전세계 영화 산업의 기반이 흔들렸던 2021년, [[AMC 시어터스|AMC]]에서 니콜을 기용해 극장 체험의 향수를 일으키는 광고를 제작했는데.. 너무도 [[엄근진]]해서 오히려 [[밈]]이 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22c8NPNOPI|SNL 패러디]]. AMC도 반응이 맘에 들었는지 다음 광고도 니콜과 한다고 한다.[[https://variety.com/2023/film/features/amc-adam-aron-cinemacon-movie-theaters-nicole-kidman-1235599227/|#]] [youtube(KiEeIxZJ9x0)] [[분류:1967년 출생]][[분류:1983년 데뷔]][[분류:호놀룰루 출신 인물]][[분류:복수국적자]][[분류:호주 여배우]][[분류:호주의 영화 제작자]][[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멜버른 대학교 출신]][[분류: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자]][[분류:스코틀랜드계 호주인]][[분류:스코틀랜드계 미국인]][[분류:호주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호주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