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니나노' 노래, rd1=니나노, other2=인터넷 방송인, rd2=릴리리야)] || '''교과 과정''' ||[[초등학교]] [[5학년]]·[[6학년]]·[[중학교]] [[2학년]] || || '''만들어진 지역''' ||[[경기도|경기]] || || '''만들어진 시기''' ||근대 || || '''장단''' ||굿거리장단 || || '''박자''' ||[math(\dfrac {12}8)](8분의 12) 박자 || [목차] [clearfix] == 개요 == 후렴에서 나오는 '늴리리야'에서 곡명을 따온 민요. 뉠리리야, 늴니리야, 닐리리야, 릴리리야, 릴리리, 닌니리야, 닌리리야, 늰니리야, 늰리리야 등으로도 불린다.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노래로 민요치고는 의외로 역사가 짧다. [[반전 가사|경쾌한 느낌의 곡조와는 달리 노래말은 임을 그리는 슬픈 내용이다.]] 조선 후기의 암울한 시대상이 반영된 듯하다. [[토리#지역 고유의 노래 방식|경토리]]의 특징이 잘 담겨있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굿거리 장단을 배우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 가사 #== [[파일:늴리리야 악보.jpg|width=100%]] 가사의 종류는 몇가지가 있는데, 아래의 '1절'과 후렴은 '''공통으로 있다.''' 후렴은 {{{#green 초록색}}}. >{{{+1 '''(1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늴늴늴리 늴리리야"'''라고도 한다.]}}} >'''청사초롱 불 밝혀라''' >'''잊었던 낭군이 다시 돌아온다[*B '''"잊었던 그 님 (임)이 다시 돌아온다"'''라고도 한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2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백옥 같이 고운 얼굴'''[*C '''"백옥 같이 곱던 얼굴"'''이라고도 한다.] >'''햇빛에 그을리기 웬 말인가'''[*D '''"검버섯이 웬일인가"'''라고도 한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1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청사초롱 불 밝혀라''' >'''잊었던 낭군이 다시 돌아 온다[*B]'''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2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일구월심 그리던 임 (님)''' >'''어느 시절에 다시 만나 볼까'''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3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어제 청춘 오늘 백발''' >'''가는 세월을 어이 하리'''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4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내 딸 죽은 내 사위야'''[*E '''"내 딸 주고 내 사위야"'''라고도 한다.] >'''울리고 갈 길을 왜 왔던가'''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1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청사초롱 불 밝혀라''' >'''잊었던 그 낭군이 다시 돌아 온다[*B]'''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2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일구월심 그리던 임 (님)''' >'''어느 시절에 다시 만나 볼까'''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3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산은 첩첩 천봉이요''' >'''물은 잔잔 백곡이라'''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4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서산일락 지는 해는''' >'''뉘 힘으로 잡아 매나'''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5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창해유수 흐르는 물''' >'''다시 오기 어려워라'''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6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어제 청춘 오늘 백발''' >'''가는 세월을 어이 하리'''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7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 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백옥 같이 고운 얼굴[*C]''' >'''햇빛에 그을리기 웬 말인가[*D]'''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8절)'''}}} >{{{#green 늴리리야 늴리리야}}} >{{{#green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간다}}}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내 딸 죽은 내 사위야[*E]''' >'''울리고 갈 길을 왜 왔던가''' >{{{#green 늴늴리리 늴리리야[*A]}}} ---- >{{{+1 '''(1절)'''}}} >달도 밝고 별 밝으니 임의 생각이 절로 나난다 >늴늴리리 늴리리야 >안타까워 그리운 님 언제나 만나서 둘러보나 >늴늴리리 늴리리야 > >{{{+1 '''(2절)'''}}} >청사초롱 불 밝혀라 잊었던 낭군이 다시나보자 >늴늴리리 늴리리야 >왜 왔나요 왜 왔나요 잊었던 낭군을 왜 찾아왔나 >늴늴리리 늴리리야 > >{{{+1 '''(3절)'''}}} >믿지마라 믿지마라 남자의 마음을 믿지말아요 >늴늴리리 늴리리야 >믿지말지 믿지말어 여자의 마음도 믿지말아요 >늴늴리리 늴리리야 > >{{{+1 '''(4절)'''}}}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알수없음] >늴늴리리 늴리리야 >정든님이 떠났을때 ?? 눈물이 ?????[*알수없음] >늴늴리리 늴리리야 > >{{{+1 '''(5절)'''}}} >[*알수없음] >늴늴리리 늴리리야 >[*알수없음] >늴늴리리 늴리리야 > >{{{+1 '''(6절)'''}}} >[*알수없음] >늴늴리리 늴리리야 [각주] ===# 가사 뜻 #=== * '''늴리리야''' : 한국 관악기인 [[피리]]를 부는 소리. * '''니나노''' : 한국 관악기를 부는 소리를 본딴 것으로, 신나다는 뜻. * '''낭군(님/임)''' : [[조국#s-1|조국]]. * '''얼굴''' : [[조국#s-1|조국]]. * '''청사초롱''' : 푸른 구름 무늬 비단을 몸체로 삼고 위아래에 붉은 천으로 동을 달아 옷을 한 등롱. 일반인들이 혼례식 때 많이 사용했으므로 남녀의 그윽한 만남을 상징하는 뜻. * '''햇빛''' : 일본 국기를 뜻한다. 한마디로 일제 (일본제국)이다. * '''그을리기''' : 강점되기. * '''일구월심''' : 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 간다는 뜻. 세월이 흐를수록 더함을 이르는 말. * '''물은 잔잔 백곡이라''' : 물은 잔잔하고 수없이 굽어 흘러 간다. * '''창해유수''' : 넓은 바다로 흐르는 물. * '''설부화용''' :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 미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 * '''공산자규''' : 빈 산에 우는 [[소쩍새]]. * '''원앙금침''' : 부부가 함께 덮는 이불과 베는 베개. 원앙을 수놓는다. ===# 해석 #=== >늴리리야 늴리리야[*F 한국 관악기를 부는 소리.] >흥겹게 난실 ('조국'/'착한 사람의 방'으)로[* 착한 사람의 방을 비유해서 부르는 말. 즉, 조국 혹은 착한 사람의 방.] 내가 돌아 간다 >늴늴리리 늴리리야[*F][*A] >푸른등롱[* 등롱 : 등(램프 같은 것).] 불 밝혀라 >잊었던 조국이 다시 돌아 온다 >늴늴리리 늴리리야[*F][*A] > >늴리리야 늴리리야[*F 한국 관악기를 부는 소리.] >흥겹게 난실 ('조국'/'착한 사람의 방'으)로[* 착한 사람의 방을 비유해서 부르는 말. 즉, 조국 혹은 착한 사람의 방.] 내가 돌아간다 >늴늴리리 늴리리야[*F][*A] >백옥[* 빛같이 하얀 옥.]같이 고운 조국 >햇빛 (일제)에 그을리 (강점되)기 웬 말인가[* 일제에 의해 조국이 없어 졌다는 (?) 뜻.] >늴늴리리 늴리리야[*F][*A] == 계이름 == [[파일:늴리리야 계이름 악보.jpg|width=100%]] 내림마 장조 계이름. {{{#red,#darkred 빨간색}}}은 높은 음이고, {{{#800080 보라색}}}은 낮은 음이다. >라라라솔 라{{{#red,#darkred 도}}}라솔 라솔 >미미미 미솔미레도 레미레도{{{#800080 라솔}}} >도 {{{#800080 솔}}}도미레도 레도{{{#800080 라솔}}} > >라라라솔 라{{{#red,#darkred 도}}}라솔 라솔 >미미미 미솔미레도 레미레도{{{#800080 라솔}}} >도 {{{#800080 솔}}}도미레도 레도{{{#800080 라솔}}} 이 이후에는 후렴을 제외한 가사만 바꾸고 음은 똑같다. ==# 들어보기 #== [youtube(-dW6EhGa3zA)] [youtube(O53PEHo7eiQ)] [youtube(CfdoomYWtE8)] [youtube(DQb6p3KBqIo)] == 관련자료(외부링크)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194|한국민속예술사전 '늴리리야' 항목]]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87#|한국민속문학사전 '늴니리야' 항목]] == 관련문서 == * 창부타령 * 청춘가 * 사발가 * [[한강수타령]] * [[풍년가]] * [[태평가]] * [[니나노]] * [[노들 강변]] [[분류:한국 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