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갤럽 선정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3> '''{{{#fff {{{+1 느티나무}}}[br]Sawleaf zelkova}}}'''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큰 느티나무.jpg|width=100%]]}}} || ||<-3> 학명: ''' ''Zelkova serrata'' ''' || ||<|11>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계(Plantae) || ||<|4> {{{#000,#fff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쌍떡잎식물군 (Eudicots) || ||장미군(Rosid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장미목(Ros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느릅나무과(Ulmace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느티나무속(Zelkov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느티나무'''(''Z. serrata'')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신포리 느티나무.jpg|width=100%]] 장미목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이다. 분류에서 보듯이 [[느릅나무]]와 친척간. [[한국]], [[일본]], [[대만]], [[중국]]에 주로 분포한다. == 상세 == 다 자라면 높이는 20~35 m, 지름은 약 3 m에 이른다. 가지가 사방으로 고르게 퍼져서 위에서 보면 나무가 둥근 모양을 이루고, 잎이 많고 무성해서 넓은 나무 그늘을 만들기 때문에 정자나무로 많이 심었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다. [[꽃]]은 5월에 주로 핀다. [[열매]]는 일그러진 원 모양이며 10월에 주로 익는다. 시무나무나 느릅나무에는 있는 열매의 날개가 느티나무에는 없는데, 느티나무는 열매에 날개를 만드는 대신, 열매를 달고 있는 잎을 작게 만들고, 잎과 열매를 달고 있는 가지가 통째로 떨어지게 만들어서 바람에 날려보낸다. 잘 자란다면 1천 년 이상 사는 나무라 한국에서는 총 14그루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은행나무]](19그루)와 [[소나무]](19그루) 다음으로 많다. [[한국]]에서는 느티나무가 [[마을]]의 정자나무로서 자주 노릇 하였다. [[여름]]에는 더위를 피하는 그늘을 제공하기도 하였고, 때로는 [[서당]] 훈장이 학문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또한 마을 입구에서 [[마을]]을 수호하는 [[신목|당산나무]]로서 가장 흔하기도 하다. [[팔공산]]의 동화사 경내와 파계사 경내, 경북 영일의 보경사에는 자연림에 가까운 느티나무숲이 있다. 이밖에 용문산, 속리산, 것대산 등지에 자생지가 있다. 목재로는 예부터 밥상, [[가구]] 등을 만드는데 쓰였다. 잎으로는 [[느티떡]]을 해 먹기도 한다. [[꽃말]]은 '운명'. == 언어별 명칭 == ||<-2><:>'''언어별 명칭'''|| ||<:>{{{#373a3c,#ddd '''영어'''}}} || Sawleaf zelkova ||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 느티나무 ||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 [ruby(榉树,ruby=jǔshù)] ||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 [ruby(欅,ruby=ケヤキ)] || == 기타 == * 오래 전부터 한국인에게 친근한 나무인지라, [[충청북도]], [[경상북도]], [[경상남도]]가 도목으로 지정했다. 이 외에도 여러 지자체가 시목이나 군목,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많은 초중고 및 대학교가 교목으로 지정했다. [[충청남도]] [[홍성군]][* 오관리에 460년, 구룡리에 350년, 팔괘리에 310년이 넘은 느티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있다.]과 [[전북]] [[완주군]]의 군목이다. * 2018년 06월 26일에 수원 영통구 단오어린이공원에 보호수로 지정된 500년 느티나무가 장마비로 한순간에 찢겨지면서 쓰러졌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1017442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315468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3450983|#]] 2019년 해당 느티나무 후계목 증식에 성공했다고 하며, 느티나무 밑동에서도 새싹이 올라왔다고 한다. 2020년에도 잘 자랐고[[https://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5067|#]] 부러진 나뭇가지로 조형물을 만들어서 단오어린이공원에 설치한다고 한다. * 인천 강화군에 있는 [[연미정(문화재)|연미정(燕尾亭)]] 인근에는 500년이 넘은 느티나무 2그루가 있었는데, 그 중 한 그루가 2019년 태풍 링링 때 부러졌었다. 강화군은 ‘연미정 500년 느티나무 새 생명 불어넣기 사업’을 추진해, 부러진 나무를 활용해 ‘강화반닫이’ 작품으로 만들었다. 반닫이 제작은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이수자 양석중 소목장이 진행했다. '반닫이'란 앞부분을 위아래도 여닫는 뚜껑이 달린 전통 의류게(옷상자)로, 총 2점을 제작해서 각각 강화역사박물관과 강화소창체험관에 전시한다.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644840|#]] [[분류:장미목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