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port. [목차] == 지명 == * [[호주]] [[브리즈번]] 인근 레드클리프 지역의 한 부분. [[골드코스트]]처럼 인공 수로를 갖춘 지역이라 요트를 가진 부유층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레드클리프|레드클리프 항목]] 참고. * [[영국]] 남 [[웨일스]] 지역의 한 부분. 축구 클럽 [[뉴포트 카운티 AFC]]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 [[미국]] [[버지니아]]주의 도시 [[뉴포트 뉴스]] * [[버지니아 비치-노퍽-뉴포트 뉴스]]를 대도시권으로 묶어 부르기도 한다. * [[뉴포트 뉴스 조선소]]: 미국의 조선소 * [[뉴포트 뉴스(전함소녀)]]: 중국의 밀리터리 게임 [[전함소녀]]의 캐릭터 * [[미국]] [[로드 아일랜드]]주의 도시 뉴포트 * [[크라이슬러 뉴포트]]: 미국의 옛 대형차 * [[뉴포트급 전차상륙함]]: 미국의 옛 전차상륙함 * 아래 문단의 담배도 이 지명을 딴 것이다. == 담배 == ##http://www.nysmokefree.com/newweb/images/menthol02.jpg [[파일:external/1.bp.blogspot.com/NewportAd1970Ebony.jpg]] [[미국]]의 [[담배]]. 1957년, 로릴라드에서 처음 출시했으나 2014년에 R. J. 레이놀즈에 인수당한 뒤론 레이놀즈에서 판매한다. 이름의 유래는 동명의 미국 지명인데 많고 많은 미국의 뉴포트 중에서도 [[로드아일랜드]]의 뉴포트에서 따왔다. 초록색의 박스에 멘솔향을 풍긴다.[* 빨간색 표지의 멘솔없는 버전도 있다.] 한국에는 발매되지 않았다. '''무지막지하게 독하다.''' [[타르]]가 무려 19mg (...). [[니코틴]]의 양도 만만치 않아서 무려 1.4 mg 이다. 약한 [[담배]]를 선호하는 국내에서 가장 독한 담배 중 하나인 [[말보로]] 레드의 타르가 8mg 에 니코틴은 0.7mg 이다.[* 하지만 국내도 1980년대까지만 해도 지금 말보로 레드 수준의 8mg 정도는 순한 담배, 14~15mg 정도는 보통 담배, 17mg 이상은 독한 담배로 규정하였다. 즉 1990년대까지 발매되었던 청자나 백자 정도는 되어야 독한 담배라고 말했던 것이다.] 외국의 말보로 레드라고 해봤자 타르 10mg. 해외에서도 뉴포트의 타르 양과 니코틴 양을 따라올 만 한 담배는 얼마 없다.[* 선진국의 담배 중 이걸 넘어서는 담배는 타르 21mg에 니코틴 '''1.9mg'''이라는 경악스런 수치를 자랑하는 일본 JTI사의 [[피스(담배)|피스]]가 있다.] 이 '''건강 따위 X까'''라고 외치는 듯한 무지막지한 타르, 니코틴 양 때문에 미국의 흡연가들도 웬만하면 기피한다. 이런 말은 좀 그렇지만, 주로 소득이 낮고 몸을 쓰는 일이 많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피운다. 물론 대체로 그렇다는 거고 예외는 있는 법이다. [[카투사]]로 복무한 사람은 알겠지만 [[미군]]들이 사랑하는 담배. 담배를 피우는 미군들은 대부분 이 담배를 피운다. 혹시나 호기심에라도 피워보지 않길 바란다. 어떤 카투사는 호기심에 한 번 피워봤다가 '''내가 [[대마초]]를 피웠구나'''라고 생각했다 한다.(...) 아닌 게 아니라 타르가 확 몸에 밀려들어오므로 담배를 안 피우거나 약한 담배를 피우던 사람은 어지러움, 구토 증세가 확 온다. 또 다른 의견으로는 "혀가 녹아서 없어지는 느낌" 하지만 이런 단계를 넘어서서 이 담배를 물게 되면 더한 현실이 기다리고 있으니, '''도저히 끊을 수가 없다.''' 그도 그럴게 타르도 일종의 자극이다. 강한 자극에 익숙해 지면 그 아래 단계의 자극은 도저히 재미가 없다. 니코틴의 양만도 웬만한 담배의 2배에 달하니 가히 극악의 담배. 거기에 저 '''크고 아름다운''' 타르 양 때문에 [[폐]] 역시 급속도로 썩어간다. [[씹는 담배]]라고 할 수 있는 딥이 보통 담배보다 3배 정도 독한데, 이 때문에 평범한 담배를 피다가 딥을 한 번 하게 되면 머리가 띵해지고 구역질이 올라오려 하는 게 대부분이다. 하지만 뉴포트를 피우는 흡연자는 딥을 처음 해도 아무렇지 않다. 둘 다 무지하게 독하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뉴포트의 강한 중독성을 이기고 담배를 끊을 수 있게 해 주는 대안이 딥이라고 할 수 있다. 딥은 양을 조절함으로써 자극과 니코틴의 양을 조금씩 줄일 수 있는데, 실제로 뉴포트를 끊으려는 사람들이 이 딥으로 성과를 거두기도 한다. 딥으로 옮겨 타서 니코틴의 욕구를 들어주는 한편 폐를 정상화 시키고, 조금씩 딥의 양을 줄여가며 담배를 끊는 방법. 사실 평범한 한국인이 이 담배를 평소에 접할 일은 없다. 한국에 들어오지 않았기 때문. 하지만 카투사는 매일 같이 보게 된다. 유학생들 역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데, 간혹 유학생들의 블로그에 가면 '''뉴포트가 짱인듯여ㅋㅋ 뉴포트만 피워야지''' 하는 글들도 볼 수 있다. 스펙도 스펙이지만 맛도 상당히 호불호가 갈린다. 지나치게 독하거니와 요즘 시중에서 많이 보이는 청량한 멘솔 담배와는 꽤 다르다. 좀 더 자세히 서술하자면 요즘 멘솔 담배들은 멘솔의 맛과 타격감이 강하고 청량함과 시원함을 많이 강조한다면 뉴포트는 멘솔 고유의 향이 진하다. 이때문에 피다보면 청량하기는 커녕 오히려 꽤 텁텁하다. 이러한 괴리감 때문에 고타르를 선호하는 [[담배 갤러리]]에서조차 뉴포트를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다. 참고로 미국 현지에선 흑인들이 매우 선호하는 담배다. 그게 어느정도인가 하니 한 조사에 따르면 흑인들이 구매하는 담배의 절반이 뉴포트라고 한다. 애시당초 흑인들이 멘솔 담배를 상당히 좋아하는데[* 대략 흑인 흡연자들의 80%가 멘솔 담배를 선호한다고 한다.] 나이든 흑인이던 젊은 흑인이던 담배피는 흑인들은 뉴포트를 주구장창 피워댄다. 왜 흑인들이 왜 맨솔/뉴포트를 좋아하는지는 본인들도 모른다고 한다. 가장 신뢰 할수있는 가설은 뉴포트가 위 사진처럼 70년대 후반 부터 흑인들을 상대로 광고를 많이 해서 라고 한다. [[분류:담배/제품]][[분류:이름이 같은 지역]][[분류:뉴-형식의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