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분자생물학&생화학)] [include(틀:유전체 편집)] [목차] == 개요 == [[DNA]]나 [[RNA]] 등의 핵산 염기서열을 자르는 [[효소]]를 총칭하는 말. nuclease라고 한다. [[견과류]]를 뜻하는 [[라틴어]] nucleus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 상세 == 뉴클레이스에는 [[DNA]]를 자르는 디옥시리보뉴클레이스와 [[RNA]]를 자르는 리보뉴클레이스가 있다. 두 효소들은 다 핵산의 [[인산]]기 [[에스터]] 결합을 끊어 게놈을 절단내며, [[땀]]이나 [[침]]에도 들어있다. 일반적으로 디옥시리보뉴클레이스는 DNase, 리보뉴클레이스는 RNase로 줄여서 표기한다. 다른 분류 방식으로는 DNA나 RNA를 중간부터 뚝 자르느냐, 혹은 밖에서 자르느냐로 엔도/엑소 뉴클레이스로 나누기도 한다. [[세균]] 및 [[고균]]은 특이한 뉴클레이스를 가지고 있다. 바로 '제한 효소'인데, 특정한 염기 서열을 인식해 DNA를 자르는 기능을 한다. 이것은 세균이 [[박테리오파지]]에 의해 주입되는 DNA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효소이다. 특정 서열을 인식해서 자른다는 건 세균의 게놈도 자를 수 있다는 얘기인데, 세균은 이러한 사고를 막기 위해 제한 효소가 인식하는 자리의 염기에는 메틸기를 붙여뒀다. 즉 외부에서 들어오는 DNA는 메틸기가 없기 때문에 제한 효소가 인식하고 자르지만, 세균의 DNA는 메틸기가 붙어있기 때문에 인식을 못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제한 효소는 37도에서 DNA랑 완충용액 넣고 효소 넣고 던져두면 DNA를 자르지만, 특정 효소는 활성을 갖는 온도가 다른 경우가 있다.[* 어떤 효소는 25도에서 활성을 갖고 어떤 효소는 65도에서 활성을 갖는다. 보통 37도에서 활성을 갖는 효소들은 65도에서는 익어버린다.] 골때리는 게, 예전에는 제한효소를 살 때 완충 용액을 종류가 다른 몇 가지를 팔았다. 한 가지 효소로 자를 때는 괜찮은데, 두 개의 효소로 자를 때는 한 완충 용액에서 100%의 활성을 보이는 효소가 있는 반면 0%인 효소가 있어서 호환을 맞추기가 쉽지 않았다. 요즘은 어떤 효소든 넣기만 하면 활성을 가지는 완충 용액을 팔고 있다. [각주] [[분류: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