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뉴질랜드)] [include(틀:세계의 국기)] [include(틀:뉴질랜드 관련 문서)] ||<-2> '''{{{#fff {{{+1 뉴질랜드 국기}}}[br]Flag of New Zealan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 || '''채택일''' ||[[1902년]] [[3월 24일]] ([[뉴질랜드]]) || || '''비율''' ||1:2 || || '''유니코드''' ||🇳🇿 || [목차] [clearfix] == 개요 == [[뉴질랜드]]의 [[국기]]. == 상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72408590922.jpg|width=100%]]}}} || 영연방 국가답게 국기 왼쪽 위에는 영국의 [[유니언 잭]]이 있고, 오른쪽 아래의 빨간색 오각별 4개는 [[남십자성]]이며, 진한 파랑은 남태평양을 나타낸다. 별들의 위치는 남태평양에서 뉴질랜드의 위치를 상징한다. == 국기 변경 투표 == 뉴질랜드에서는 호주와 국기가 너무 비슷해서[* [[남십자성]]이 흰색이고 국기 좌하단에 흰색 별이 있으면 호주 국기, 남십자성이 붉은색이면 뉴질랜드 국기다.] 외국인들이 헷갈려하는 데다가, 영국령도 아닌데 언제까지 영국의 유니언잭을 국기에 집어넣을 거냐는 지적이 있어서 국기를 변경할 것인지 결정하는 투표가 치러지기도 했지만 부결되었다.[* 실제로 비슷한 처지라고 할 수 있는 [[캐나다]]의 경우도 국기 디자인 응모전을 실시해 국기에서 유니언 잭을 빼고 새로운 국기로 바꾼 선례도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질랜드탈락국기1.jpg|width=100%]]}}} || 이미 노동당 정권 시절 [[1973년]]에 국가와 함께 국기 검토에 들어갔지만, 국가는 추가되었지만 국기는 유보되었다. 그러다가 뉴질랜드의 존 키 총리는 2015년 말에 국기 개정 국민 투표를 하겠다고 공언하였다. 2015년 9월에 새 국기 후보가 5개, 기존의 국기까지 6개로 압축되었다. 도안 4개에 [[고사리|은빛 고사리]](Silver Fern)가 들어가 있는데 상단 2개와 중앙 좌측은 직접적으로 고사리 잎이 그려져 있고 중앙 우측은 코루(Koru)라고 해서 고사리 잎이 펼쳐 지기 전(말려 있을 때)을 형상화한 [[마오리족]]의 문양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New_Zealand_flag_debate#2015_referendum_shortlist|2015년 11월 국민투표]]를 통해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NZ_flag_design_Silver_Fern_(Black,_White_%26_Blue)_by_Kyle_Lockwood.svg|다음과 같은 국기]]가 최종 후보로 선택되었다. 그러나 [[https://en.wikipedia.org/wiki/New_Zealand_flag_referendums,_2015%E2%80%9316|투표 결과]]에 따르면 56.6%가 국기 변경에 반대하여 기존 국기를 그대로 사용하게 됐다. 투표율은 63.7%이다. 비슷하게 국기 안에 유니언 잭이 들어가있고 뉴질랜드와 같은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인 [[피지]]와 [[투발루]] 또한 정부에서 국기에 있는 유니언 잭을 빼고 새로운 국기로 바꾸려고 했으나 국민들의 반발로 인해 무산된 사례가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뉴질랜드, version=1829, paragraph=2.2)] [[분류:오세아니아의 국기와 깃발]][[분류:뉴질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