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뉴욕증권거래소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증권거래소/북아메리카)] ---- [include(틀: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 }}} || ||<-2> {{{+1 '''뉴욕증권거래소'''}}}[br]'''The New York Stock Exchange''' || ||<-2> [[파일:뉴욕증권거래소 로고.svg|width=400]] || || '''설립일''' ||[[1817년]] [[3월 8일]] ([age(1817-03-08)]주년) || || '''모기업''' ||[[대륙간거래소]] || || '''링크''' ||[[https://www.nys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YSE, 크기=24)] | [[https://www.instagram.com/nys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YC_-_New_York_Stock_Exchange.jpg |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rading-floor-New-York-Stock-Exchange-City.jpg.webp|width=100%]]}}}|| ||<-2><:>'''{{{#000 뉴욕증권거래소 건물(좌), 뉴욕증권거래소 내부(우)}}}'''|| [[뉴욕]] [[월스트리트]] 11번가에 위치한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기준으로 독보적인 세계 1위 거래소이다. [[월스트리트]]와 미국 경제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다. [[런던증권거래소]], [[도쿄증권거래소]]와 함께 세계경제의 중추이다. [[나스닥]]보다 약간 적은 2300개의 상장사가 소속된 거래소이지만, 소속된 상장사들의 [[시가총액]] 총합은 [[나스닥]]보다 크다. 증권거래소 건물의 경우 내외관의 차이가 매우 심하여, 외부는 [[고대 그리스]] 스타일의 [[대리석]] 입면이지만 내부는 매우 [[모더니즘|현대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 == 상장기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뉴욕증권거래소상장법인)] [[자본주의]] 세계를 대표하는 거래소이다 보니, [[미국]] 기업이 아니어도 종종 이곳에 상장하기도 한다. [[2014년]]에는 [[마윈]]의 [[알리바바 그룹]]이 해외의 지주회사를 뉴욕증시에 상장했고.[* 알리바바가 뉴욕에 상장한 목적은 상징성보다는 NYSE의 차등의결권제 인정 때문이다.] 아래에도 있지만 [[페라리]]([[2015년]])라든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2012년]]) 등등 찾아보면 많이 있다. 한국 기업들도 금융회사 중심으로 이곳에 상장하는 것이 유행이던 시절이 있었다[* [[한국전력]], [[포항제철]]이 [[1994년]] 국내최초로 상장되었다.]. 지금도 [[KB금융지주]],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등이 뉴욕에 상장되어 있다. [[대만]]의 시가총액 1위 기업인 [[TSMC]]도 뉴욕거래소에 상장하였다. == 회원 == [[2006년]] 이전의 NYSE는 1,366명의 거래회원을 갖고 있었다.[*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들이 회원들이다.] 이들은 거래소의 소유자들로 일정한 수로 유지되었다. 때문에 자리세가 4백만 달러까지 오르기도 했었다. 2006년 이후 [[주식회사]]로 전환된 이후에도 거래회원의 수는 여전히 고정되었다. 대신 거래면허를 거래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각 회원들은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커미션브로커, 스페셜리스트, 플로어브로커, 플로어트레이더가 바로 그것이다. === 커미션브로커 === 가장 일반적인 회원으로 보통 생각하는 딜러들이 바로 이들이다. 이들은 고객의 거래주문을 최선의 가격으로 거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상 증권회사의 직원들이다. === 스페셜리스트 === 쉽게 말하면 증권거래소 내의 경매인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이들은 각자의 전문분야의 증권에 대해 거래하며 매도인과 매수인 간의 가격 차에 대해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시장에 호재가 났을 때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에 대해 이들은 자신이 보유한 주식을 시장에 풀어 유동성을 제공한다. 때문에 공정하고 질서있는 시장이 유지되도록 하는 책임을 지고 있다는 의미로 시장조정자(Market Maker)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 플로어브로커 === 커미션브로커들에게 고용되는 브로커들의 브로커이다. 자신이 처리해야 하는 주문이 너무 많은 커미션브로커들이 고용한다. === 플로어트레이더 === 단기적인 투자를 통해 성과를 내고자 하는 회원이다. 오프라인에서 플로어 트레이딩을 하는 것은 컴퓨터의 HFT에 밀리기 때문에 점차 사라져가는 추세다. == 합병 == [[2011년]] [[2월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가 다름아닌 [[독일]]의 증권거래소 운영업체인 [[도이체 뵈르제]]에게 인수된다고 한다.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사실 뉴욕증권거래소가 [[유로넥스트]]를 합병할 때부터 NYSE의 자금사정이 곤란해지기 시작했다. 이번 피인수는 곤란해진 자금사정을 돌파하려는 의도다. 보도에 따르면 양사의 합병으로 탄생하는 통합거래소의 지분을 도이체뵈르세 주주가 60%, NYSE유로넥스트 주주가 40%를 갖게 된다. 또 통합거래소 회장은 도이체 뵈르제의 레토 프란치오니 최고경영자(CEO)가, 통합거래소 CEO는 니더 라우어 NYSE유로넥스트 CEO가 각각 맡게 될 것으로 알려져 합병 이후 통합거래소의 주도권이 [[독일]] 측으로 기울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1792년]] 뉴욕 월스트리트 플라타너스 나무 아래 모인 증권거래인들의 증권거래법 서명을 통해 탄생한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월가발 글로벌 위기 직전까지만 해도 [[프랑스]]ㆍ[[벨기에]]ㆍ[[네덜란드]] 등 [[유럽]] 주요 거래소를 운영하는 [[유로넥스트]]를 통합, NYSE유로넥스트로 재출범([[2006년]])하는 등 글로벌 자본시장을 주도하는 미국 자본주의의 중심기지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NYSE는 금융위기 이후 월가의 위상 추락과 최근 글로벌 거래소 빅뱅 속에서 추가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이체 뵈르제와의 합병을 결정했다. 월가에서는 거래소 [[상장기업]]의 총 시가총액이 10%에 불과한 독일 도이체뵈르세에 미국 자본주의의 심장부가 넘어간 데 대한 자조와 한숨의 목소리가 흘러나고 있다. 양사의 합병이 최종 승인될 경우 NYSE유로넥스트와 도이체 뵈르제가 운영하는 미국 및 유럽 내 거래소의 상장사 시가총액은 17조 7,500억달러로 전세계 상장사 시가총액의 32.34%를 차지하게 된다. WSJ는 "합병이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전세계 어떤 거래소보다도 더 많은 주식과 선물ㆍ옵션 등 파생상품을 거래하게 될 것"이라면서도 "세계 무대에서 뉴욕 월가의 지배력 약화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하지만 결국 독일거래소에 매각되는 건 실패하고 [[2012년]] 12월 [[대륙간거래소]]에 매각되었다. == 오프닝벨(Opening Bell) == [[파일:DKs8TLp.jpg]] [[Autism Speaks]][* 미국 최대의 [[자폐]] 연구 단체이자 복지 단체. 사진에 보이는 어린이들이 전부 자폐아들이다.]를 초청한 [[2011년]] [[만우절]] 오프닝벨 행사. 신규상장사가 없는 날에는 이런 사회단체, [[정치인]], 외국에서 온 귀빈 등 업계 외의 인사가 오프닝 벨을 누르는 경우가 있다. 상장 XX주년이나 설립 XX주년 같은 상장사의 기념일을 맞은 경우에도 한다. 뉴욕증권거래소에는 전통적으로 주식거래의 시작을 알리는 오프닝벨이 있다. 고전영화에서 주식거래소가 나오면 시끄럽게 [[꽹과리]]치듯이 울리는 종소리가 이것이다. 미 동부시간 기준 평일 9시 30분에 올린다.[* 한국시간 23시 30분, [[서머타임]] 22시 30분.] 원래는 자동으로 울리지만 행사가 있을 경우 수동으로 울리는데, 매일같이 오프닝벨 행사를 하다보니 오히려 자동으로 울리는 날을 보기가 더 힘들다.[[https://www.nyse.com/bell/calendar|오프닝벨 행사 일정]] 신규상장사가 뉴욕증시에 처음 데뷔할 경우 신규상장사 대표가 직접 뉴욕증권거래소의 거래시작을 알리는 벨을 누르는 행사가 바로 오프닝 벨 행사이다. 이때가 되면 상장사 경영진들이 참석하는 데다 거래소 내외부로 각종 행사가 열려 북새통을 이룬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때문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요해져 오프닝벨 행사가 대폭 축소되었다. [[IPO]]를 통한 신규상장사만 오프닝 벨을 누르며, '''행사는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또한 증권거래소 바깥에서 야외 상장기념식 행사는 '''전면 금지'''되었다. 그리고 거래소 외벽에 [[현수막]]을 걸치는 것으로 IPO 오프닝 벨 행사를 대신했다. 100% 전산화되지 않은 뉴욕증권거래소의 거래 시스템상 아직 시행되고 있지만 뉴욕증권거래소가 100% 전산화되고 나서도 오프닝 벨 행사를 할지는 의문이다. 100% 전산화가 되고 나면 안에 사람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 오프닝벨 행사 일람 === || [[파일:htLTFfT.jpg|width=430]] || [[파일:Cg23mfr.jpg|width=450]] ||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br] (2012년) || [[알리바바 그룹]] [br] (2014년) || || [[파일:ferrari-nyse-102215-4.jpg|width=430]] || [[파일:PAP20160714151801034_P2_99_20160714225419.jpg|width=430]] || || [[페라리]] [br] (2015년 10월 21일) || [[LINE|라인 주식회사]](현재 상장 폐지) [br] (2016년 7월 14일) || || [[파일:PYH2020080700610034000_P4_20200807075510401.jpg|width=430]] || [[파일:쿠팡 상장.jpg|width=430]] || || 로켓 컴퍼니 [br] (2020년 8월 6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91&aid=0008161567|기사]] || [[쿠팡]] [br] (2021년 3월 11일) || == 여담 == * 원래 관광코스도 있었으나 [[9.11 테러]] 사건 이후 경비가 강화되어 현재는 관계자들만 출입할 수 있다. * [[월스트리트]]의 상징인 탓에 [[크라이시스 2]]나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같은 창작물에서는 박살나기 일쑤. === 풍경 === [[파일:nyse.jpg]] [[파일:9OSTX.jpg]] [[1929년]]의 모습. [[파일:뉴욕증권거래소 로고(2014-2022).svg]]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한 로고 [[파일:everyone-at-the-nyse-was-talking-crap-about-the-nasdaq-this-morning.jpg]] [[파일:xNz3ERS.jpg]] [[뉴스]]에서 한 번 씩 나오는 뉴욕증권거래소 내부장면이다. 여기는 대부분의 종목 거래가 전산화되어있지 않다. 그래서 이렇게 브로커들이 수기와 전화로 주문을 넣는다고.[* [[컴퓨터]]는 전산화된 종목 브로커리지 거래에 사용한다.] 그래도 [[2020년]]까지는 전부 전산화한다고 한다. 저 풍경도 못 보게 되는 것이었다. [[2020년]] [[3월 18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모회사 [[대륙간거래소]](ICE)는 개장 내 브로커 일부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 판정을 받음에 따라 [[3월 23일]]부터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을 전면 폐쇄하고 온라인 거래로 100% 전환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조치는 일시적인 조치이며, 향후 추이를 보고 오프라인 거래를 재개키로 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482872|기사]] NYSE는 [[2020년]] 내로 플로어를 폐쇄하고 전면 전자거래로 전환할 예정인데, 코로나19로 전면 전자거래 전환 일정이 더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020년]] [[5월 26일]]부터 NYSE의 객장을 부분적으로 오픈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1&sid2=258&oid=001&aid=0011610345|기사]] 객장 내에 CNBC 생방송 세트가 있다. 때문에 뉴욕 개장 시간의 방송에는 패널들 뒤로 지나가는 트레이더와 객장의 소리가 담겨나온다. 여담이지만 사진에 나오는 트레이더들의 평균연봉은 한화로 '''60억'''이 넘어간다... [[분류:증권거래소]][[분류:미국의 금융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