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행정구역)] ||<-4> '''{{{+1 뉴욕주}}}[br]State of New York''' || ||<-4> {{{#!wiki style="margin: -16px -10px" || [[파일:뉴욕 주기.svg|width=100%]] || [[파일:뉴욕주 휘장.svg|width=70%]] || || '''주기''' || '''문장''' ||}}} || ||<-4> '''{{{#002d72,#fff Excelsior[br]더욱 더 높이}}}''' || ||<-4> '''역사''' || ||<-4> '''네덜란드령 [[뉴네덜란드]] 설립 [[1621년]]''' '''잉글랜드의 정복과 뉴욕으로의 개명 [[1664년]]''' '''브레다 조약 발효 [[1667년]] [[8월 24일]]''' '''웨스트민스터 조약 발효 [[1674년]] [[5월 5일]]''' '''미국 연방 가입(11번째) [[1788년]] [[7월 26일]]''' || ||<-4> '''하위 행정구역''' || ||<-2> '''제2단계''' ||<-2>62 [[카운티#미국|카운티]] || ||<-2> '''제3단계''' ||<-2>62 (city), 932 (town) || ||<-4> '''상징'''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별명''' ||The Empire State || || '''주가(州歌)''' ||I Love New York[* 뉴욕의 공식 브랜드 슬로건이기도 하다.] || || '''주조(州鳥)''' ||Eastern Bluebird[* bluebird: 파랑새(등이나 머리의 깃털이 파란색임)] || || '''주목(州木)''' ||[[설탕단풍]]나무 || || '''주화(州花)''' ||[[장미]] || || '''주어(州魚)''' ||브룩송어(담수어), 줄농어(해수어) || || '''주수(州獸)''' ||[[비버]] ||}}}}}}}}} || ||<-4> '''지리'''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지역''' ||북동부(NorthEastern United States) || || '''시간대''' ||[[동부 표준시]] UTC-05/-04 || || '''주도''' ||[[올버니]] || || '''최대도시''' ||[[뉴욕시]] || || '''면적''' ||141,300㎢ {{{-3 (27위)}}} ||}}}}}}}}} || ||<-4> '''인문 환경'''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인구''' ||19,835,913명 {{{-3 (2021 / 4위)}}} || || '''인구밀도''' ||159명/km2 {{{-3 (2020 / 7위)}}} || || '''종교''' ||[[기독교]] 60% ([[가톨릭]] 33%, [[개신교]] 27%), [[무종교]] 27%, [[유대교]] 7%, [[뉴에이지]] 2%, [[유니테리언]] 1%, [[여호와의 증인]] 1%, [[불교]] 1%, [[이슬람]] 1% || || '''공식 언어''' ||없음(사실상 [[영어]]) ||}}}}}}}}} || ||<-4> '''정치'''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지사''' || [include(틀:민주당(미국))] ||[[캐시 호컬]] || || '''부주지사''' || [include(틀:민주당(미국))] ||브라이언 벤저민 || ||<|2> '''연방 상원의원''' || [include(틀:민주당(미국))] ||[[척 슈머]][* [[미국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 || || [include(틀:민주당(미국))] ||[[키어스틴 질리브랜드]] || ||<|2> '''연방 하원의원''' || [include(틀:민주당(미국))] ||15석 || || [include(틀:공화당(미국))] ||11석 || ||<|2> '''주 상원의원''' || [include(틀:민주당(미국))] ||42석 || || [include(틀:공화당(미국))] ||21석 || ||<|2> '''주 하원의원''' || [include(틀:민주당(미국))] ||102석 || || [include(틀:공화당(미국))] ||48석 ||}}}}}}}}} || ||<-4> '''경제'''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명목[br]GDP''' || '''전체[br]GDP''' ||$2조 340억 {{{-3 (2022)}}} / 세계 11위 상당[* 1조 8천억 정도 하는 [[대한민국]]과 거의 맞먹고, 원래 11위인 [[러시아]]보다 크다.] || || '''1인당[br]GDP''' ||$76,477 {{{-3 (2021)}}} / 세계 5위 상당 || ||<-2> '''명목 중위소득''' ||<-2>$64,894 {{{-3 (2017/15위)}}} || ||<-2> '''실질 중위소득''' ||<-2>$34,394 {{{-3 (2020/45위)}}} ||}}}}}}}}} || ||<-4> '''ISO 3166''' || ||<-2> '''약자''' ||<-2>US-NY|| ||<-2> '''지역번호''' ||<-2>1-212,1-315,1-332,1-347,1-516 ,1-518,1-585,1-607,1-631,1-646,1-680,1-716,1-718,1-838,1-914,1-917,1-929,1-934 || ||<-4> [[https://www.ny.gov/|[[파일:뉴욕주 휘장.svg|width=2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ygov, 크기=22)] | [[https://www.instagram.com/nygo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 {{{#fff '''위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욕주 지도.svg|width=100%]]}}}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미국 뉴욕주, 너비=100%, 높이=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New-York-Generic-Statue-of-Liberty-1024x68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920px-NYSCapitolPanorama.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New_york_times_square-terabass.jpg|width=100%]]}}} || || {{{#fff '''New York State'''}}} || [목차] [clearfix] == 개요 == > '''The Empire State'''[* 뉴욕주의 많은 별명 중 가장 잘 알려진 별명이다.] [[미국]] 북동부의 주. 미국 독립 당시의 [[13개 주]] 중 하나다. 인구는 약 2000만명이고, 북쪽으로는 [[캐나다]]의 [[퀘벡주]], [[온타리오]]와 [[국경]]을 접하고, 남서쪽에는 [[펜실베이니아]], [[뉴저지]]와 접하고 있으며, 북동쪽에는 [[코네티컷]], [[매사추세츠]], [[버몬트]]와 접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뉴욕'이라고 하면 이 뉴욕주 전체를 가리키기보다 이 주의 [[도시]]인 [[뉴욕시]]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뉴욕주임을 강조할 땐 New York State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State of New York은 공식 명칭인데 구어에서는 잘 안 쓴다.[* 마찬가지로 뉴욕시도 공식 명칭이 City of New York이지만 New York City를 많이 쓴다. 그리고 그냥 New York이라고만 하는 경우가 더 많고. [[뉴욕 뉴욕|New York, New York]]도 뉴욕시를 가리키는 다른 명칭이다. 뉴욕(주) 뉴욕(시)라는 의미. 단 [[영어]]에서는 지명을 [[한국어]]와 반대로 작은 범주에서 큰 범주 순으로 쓰므로, 앞에 있는 New York이 뉴욕시이고 뒤에 있는 New York이 뉴욕주이다.] 막연히 뉴욕시를 [[주도]](州都)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진짜 주도는 [[올버니]]. 뉴욕이란 명칭은 [[17세기]] [[요크 공작]]이었던 제임스 스튜어트, 즉 훗날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에서 따온 것이다. 뉴욕 하면 다들 [[대도시]]만 떠올리지만, [[세계 3대 폭포]] 중 하나로 꼽히는 [[나이아가라 폭포]]도 뉴욕주 [[버팔로(미국 도시)|버팔로]]에 있다. 낙농업이 발달한 주 가운데 하나이며, [[사과]] 생산량도 미국에서 상위권을 차지한다.[* 사과 생산 1위 주는 [[워싱턴 주]]다.] 또한 [[출판]], [[기계]], [[전자]] 제품 등의 [[공업]]도 발달하였다. 하여간 [[대한민국|남한]] 면적보다도 1.4배 넓은 주니까 [[산]]도 있고 [[시골]]도 있고 [[강]]도 흐르고 한다. 더불어 [[1932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두 번의]]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동계 올림픽]]이 열린 레이크플래시드도 뉴욕주 북부에 위치해 있지만 잘 모르는 [[사람]]에게 뉴욕 산다고 하면 다 뉴욕시에 산다는 것으로만 알아듣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뉴욕시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농장과 숲 등 전형적인 시골 마을의 풍경을 볼수있으며 이런 시골이 뉴욕주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뉴욕이라는 [[세계]]를 대표하는 대도시와 나이아가라 [[폭포]] 그리고 사과 생산과 전자제품 공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 등 [[미국의 주]]들 중에서는 상당한 다양성을 가지고 있고 북동부에서는 [[오대호]]와 [[대서양]]과 [[경계]]하고 있는 유일한 주이기도 하다. [[암스테르담]], [[로테르담]], [[홀랜드]], [[바타비아]] 등 네덜란드령 식민지였던 시절의 흔적이 [[지명]]에 남아있는 경우가 꽤 있다. == 주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욕주 기(1896-1901).svg.png|width=100%]]}}}|| 1896년 ~ 1901년. 문장 자체는 1778년에 만들어졌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욕주 기(1909-2020).svg.png|width=100%]]}}}|| 1901년 4월 2일 ~ 2020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욕 주기.svg|width=100%]]}}}|| 2020년 4월 ~ 현재. == 통계 == 뉴욕주의 면적은 141,205㎢이고 인구는 약 2,000만 명이다. 미국 건국 초기부터 1950년대까지 50개 주 중 항상 제일 인구가 많았으나, 그 뒤로 [[캘리포니아]], [[텍사스]]한테 밀리며 현재는 [[플로리다]]에 까지 밀려 4번째가 되는 등 갈수록 인구가 상대적으로 줄고 있다. 그 예로 인구 비례로 뽑히는 대통령 선거인이 한때는 50명 가까이 나올정도로 많았는데[* [[1932년]]~[[1948년]]까지는 선거인단이 무려 47명이었으나, 1952년부터 지금까지 쭉 선거인단 수가 많이 줄었다.] [[2012년]] 대선에는 사상 처음으로 30명 밑으로 내려가게 되었다. 지난 10년간 고작 50만 명(약 2.5%) 증가했으니 자연 인구 증가에도 못 미친 셈. 이렇게 된 이유는 뉴욕시의 비중이 너무나 크고, 뉴욕시의 핵심인 [[맨해튼]]이 하필이면 뉴욕주의 끝자락에 위치해있어서 맨해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맨해튼에서 더 가깝고 집값은 더 싼 뉴저지로 거주지를 옮겼기 때문이다.[* 때문에 뉴저지의 집값은 매년 수직 상승중이다.] '''[[GDP|주 전체 총생산]]'''은 [[2018년]] 기준 '''1조 7,000억 달러'''로,[* 한국의 총 GDP와 맞먹는 수준이다.] 뉴욕주의 경제규모는 미국내에서 캘리포니아, 텍사스를 이은 3위인데, 이 3개주와 2018년에 1조를 달성한 플로리다가 전부 다 경제규모 1조달러가 넘는 이른바 '1조클럽' 멤버들이다. 세계에서 이 정도 경제규모를 보유한 국가가 현재 15개국밖에 안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 국가가 무려 4개의 대규모 경제주체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의 엄청난 경제력을 엿볼 수 있다.[* 물론 미국 유수의 대기업들이 이 세 주들에 몰린 이유도 크다.] 물론 이 4개주를 제외하고도 경제규모가 중소국가들을 능가하는 주들이 수두룩하다. [[미국 유대인|유대인]], [[아일랜드계 미국인|아일랜드계]], [[이탈리아계 미국인|이탈리아계]], [[포르투갈계 미국인|포르투갈계]], [[폴란드계 미국인|폴란드계]], [[독일계 미국인|독일계]], [[영국계 미국인|영국계]] 출신의 주민들이 많으며, [[미국 흑인]]은 16~17% 이상을 차지한다. 물론 주류는 [[영국계 미국인]]들이다. 중서부의 추운 주들에서 [[독일계 미국인]] 및 [[폴란드계 미국인]]이 주류인 것과 달리 뉴욕 등 동북부는 일찍이 [[영국]]이 식민지화한 곳이라 영국계 혈통이 주류이다. 또한 [[자메이카]], [[도미니카 공화국]], [[아이티]], [[콜롬비아]], [[푸에르토리코]], [[엘살바도르]], [[베네수엘라]], [[쿠바]], [[이집트]], [[레바논]], [[팔레스타인]] 등지에서 온 이민들이 많다. 백인, 흑인, 황인 그리고 [[히스패닉]]과 아랍계 등 '''인종 전시장'''급으로 인구 구성이 다양하다.[* 물론 뉴욕시 등 대도시 한정. 나머지 뉴욕 주 지역의 어지간히 규모가 작은 중소도시나 농촌 등 촌락지역은 백인(영국계, 아일랜드계, 독일계, 이탈리아계 등)이 대다수다. 하지만 뉴욕시 인구가 뉴욕주 인구의 절반이상을 차지하여 소수민족이 생각보다 많다. 특히 [[이탈리아계 미국인|이탈리아계]]와 [[푸에르토리코]]계는 거의 뉴욕을 점령하다시피했다.] [[뉴욕 양키스]], [[뉴욕 메츠]]를 위시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구단과 [[뉴욕 레인저스]], [[뉴욕 닉스]] 등의 프로스포츠 구단은 뉴욕시 안에 있지만, 그 외에도 뉴욕 주에 프로팀이 몇 팀 더 있다. 버펄로에 있는 [[내셔널 풋볼 리그|NFL]]팀 [[버펄로 빌스]], [[내셔널 하키 리그|NHL]] [[버펄로 세이버스]]와 [[뉴욕 아일런더스]][* 서부의 롱아일랜드 지역에 있었다가 2016년부터 브루클린으로 이사갔다.] 두 [[아이스하키]] 팀의 인기가 높으며 대학 스포츠 인기가 높지 않은 지역이기도 하다. 뉴욕 주는 [[FBS]] BCS 콘퍼런스 소속 팀이 시러큐스밖에 없다. 주 내의 Non-BCS Conference인 MAC 소속의 버펄로 불스 외엔 대학 미식축구 팀이 없기 때문에 뉴욕 주의 풋볼 유망주들은 주로 옆동네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펜스테이트나 아래 [[버지니아]]쪽으로 가는 편. 시러큐스는 [[농구]]가 강한 편이지만 워낙 보수적인 팀 컬러 때문에 뉴욕 주 출신들도 근래는 잘 안간다.[* 대체로 거리가 가까운 [[코네티컷 대학교]]를 지망하는 뉴욕주 출신들이 많고 그 외엔 [[워싱턴 D.C.]]에 있는 [[조지타운 대학교]]를 지망하는 경우도 크다. 물론 뉴욕시 소재 [[세인트 존스 대학교]]도 있긴하지만 지금은 [[시망]]급으로 전락해 버렸다.] 미국 지상파 방송사인 ABC, NBC, CBS, FOX 등의 본사가 전부 다 뉴욕주에 위치해 있다.[* 예능, 드라마의 제작은 주로 LA 스튜디오에서 하는 경우가 많고, 뉴욕에서는 주로 뉴스 제작을 한다.] 이는 뉴욕이 가장 동쪽에 있기 때문에 동부시각에 맞추어서 뉴스를 제작하기에 가장 편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워싱턴에 뉴스 HQ가 있는 경우도 많았으나, 80년대 후반 전부다 뉴욕으로 옮겨왔다. [[코카콜라]]의 라이벌이자 콩라인인 [[펩시]]의 본사도 뉴욕에 있다. == 정치 == 뉴욕[[주지사]] 일람은 [[역대 뉴욕주지사|역대 미국 주지사 일람]] 문서 참조. ||<-3> {{{#FFFFFF '''뉴욕주 역대 대선 결과'''}}} || || 연도 || [include(틀:민주당(미국))] || [include(틀:공화당(미국))] || || {{{#FFFFFF 2020}}}|| '''바이든 60.87%''' || 트럼프 37.74% || || {{{#FFFFFF 2016}}}|| '''클린턴 59.38%''' || 트럼프 36.75% || || {{{#FFFFFF 2012}}}|| '''오바마 63.35%''' || 롬니 35.17% || || {{{#FFFFFF 2008}}}|| '''오바마 62.88%''' || 매케인 36.03% || || {{{#FFFFFF 2004}}}|| '''케리 58.37%''' || 부시 40.08% || || {{{#FFFFFF 2000}}}|| '''고어 60.22%''' || 부시 35.22% || || {{{#FFFFFF 1996}}}|| '''클린턴 59.47%''' || 돌 30.61% || || {{{#FFFFFF 1992}}}|| '''클린턴 49.73%''' || 부시 33.88% || || {{{#FFFFFF 1988}}}|| '''두카키스 51.62%''' || 부시 47.52% || ||<-3> {{{#FFFFFF '''뉴욕주 역대 주지사 선거 결과'''}}} || || 연도 || [include(틀:민주당(미국))] || [include(틀:공화당(미국))] || || {{{#FFFFFF 2022}}}|| '''캐시 호컬 53.20%''' || 리 젤딘 46.80% || || {{{#FFFFFF 2018}}}|| '''앤드류 쿠오모 59.55%''' || 마크 몰리나로 36.16% || || {{{#FFFFFF 2014}}}|| '''앤드류 쿠오모 54.28%''' || 롭 아스토리노 40.31% || || {{{#FFFFFF 2010}}}|| '''앤드류 쿠오모 63.05%''' || 칼 팔라디노 33.53% || || {{{#FFFFFF 2006}}}|| '''엘리엇 스피쳐 65.70%''' || 존 파소 27.12% || || {{{#FFFFFF 2002}}}|| 칼 맥콜 33.50% || '''조지 파타키 49.40%''' || || {{{#FFFFFF 1998}}}|| 피터 발론 33.16% || '''조지 파타키 54.32%''' || || {{{#FFFFFF 1994}}}|| 마리오 쿠오모 45.45% || '''조지 파타키 48.79%''' || || {{{#FFFFFF 1990}}}|| '''마리오 쿠오모[* 뉴욕 前 주지사(2011 ~ 2021) 앤드류 쿠오모의 아버지] 53.17%''' || 피에르 린프릿 21.35% || ||<-3> {{{#FFFFFF '''뉴욕주 역대 연방상원 선거(Class 1) 결과'''}}} || || 연도 || [include(틀:민주당(미국))] || [include(틀:공화당(미국))] || || {{{#FFFFFF 2018}}} || '''키어스틴 질리브랜드 67.00%''' || 첼레 팔리 33.00% || || {{{#FFFFFF 2012}}} || '''키어스틴 질리브랜드 72.21%''' || 웬디 롱 26.34% || || {{{#FFFFFF 2010[* 힐러리 클린턴의 국무부 장관 취임을 위한 연방상원의원직 사임으로 재보궐]}}} || '''키어스틴 질리브랜드 62.95%''' || 조 디오과르디 35.11% || || {{{#FFFFFF 2006}}} || '''힐러리 클린턴 67.00%''' || 존 스펜서 31.01% || || {{{#FFFFFF 2000}}} || '''힐러리 클린턴 55.27%''' || 릭 라지오 43.01% || || {{{#FFFFFF 1994}}} || '''패트릭 모이니한 55.25%''' || 베르나데트 카스트로 41.51% || || {{{#FFFFFF 1988}}} || '''패트릭 모이니한 67.02%''' || 로버트 맥밀런 31.05% || ||<-3> {{{#FFFFFF '''뉴욕주 역대 연방상원 선거(Class 3) 결과'''}}} || || 연도 || [include(틀:민주당(미국))] || [include(틀:공화당(미국))] || || {{{#FFFFFF 2022}}}|| '''척 슈머 56.78%''' || 조 피니언 42.76% || || {{{#FFFFFF 2016}}}|| '''척 슈머 70.64%''' || 웬디 롱 27.18% || || {{{#FFFFFF 2010}}}|| '''척 슈머 66.33%''' || 제이 타운센드 32.21% || || {{{#FFFFFF 2004}}}|| '''척 슈머 71.16%''' || 하워드 밀리스 24.24% || || {{{#FFFFFF 1998}}}|| '''척 슈머[* 現 뉴욕주 연방상원의원(1999 ~ ), 現 원내대표(2017 ~ )] 54.62%''' || 알 다마토 44.08% || || {{{#FFFFFF 1992}}}|| 로버트 에이브람스 47.78% || '''알 다마토 49.03%''' || 큰 도시가 있는 주답게 민주당이 초강세이다. 사실상 여기 있는 선거인단들은 전부 민주당 것이라 봐도 과언이 아닐 수준이다. 현재 연방 상원의원 2명 전원과 하원의원 26명 중 19명이 [[민주당(미국)|민주당]] 소속일 정도로 [[캘리포니아]]와 함께 민주당 성향인 주. 다만 우촌좌도가 극심한 미국답게 아무리 민주당 강세인 뉴욕주더라도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시골이라서 공화당 지지율이 올라간다. 2012년 대선에서는 민주당의 [[버락 오바마]] 후보가 63.4%를 득표했으며, 특히 뉴욕시에서는 '''81.2%'''라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 뉴욕시를 제외해도 오바마 득표율은 53.9%로 [[밋 롬니]] 후보에 앞섰다. 2000년 기준으로 민주당 강세인 지역으로 연방 하원 과반수 이상이 민주당이며 상원도 민주당에서 가져가고 있다. 선거인단은 총 29명으로 캘리포니아(선거인단 55명)와 함께 민주당의 [[미국 선거인단|대선 선거인단]] 기반이다. 그러나 2000년 전에는 공화당 출신이 상원으로 선출되기도 했으며 선거인단도 공화당 출신을 밀어주기도 했다.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선거인단도 29명으로(전체 538명 중에서) 플로리다와 함께 3위의 위상을 자랑한다. 민주당에게 있어서는 55명의 캘리포니아와 함께 선거인단 고정표 꿀단지. 그래도 2006년까지는 공화당 인물이 주지사로 지내는 등 주 정부 안에서 공화당의 힘이 약하지 않았고, 현재도 상원에서는 민주당과 양립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민주당) vs 시골(공화당) 형태가 점차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주 정부도 민주당 손에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뉴욕 시장은 루디 줄리아니부터 [[마이클 블룸버그]] 때까지 공화당에서 내리 4선을 찍기도 했고, 올버니 시장이나 뉴욕주 시골의 [[군수]], 뉴욕시 소속 [[구청]]의 [[구청장]]들은 의외로 공화당 성향도 많다.[* 특히 [[스태튼 아일랜드]]. 여기는 아예 공화당 강우세 지역이다.(2016년, 2020년 대선에서 트럼프가 56% 대를 득표하고 민주당 후보들은 각각 41, 42%를 득표했다.)] 물론, 진보 강세 지역에서 선출된 공화당 정치인들이기 때문에 다른 공화당 인물들에 비해서 중립을 지키거나 약하게나마 진보적인 성향을 보일 때가 있다. 인구가 절대적으로 많은 뉴욕시 일대는 민주당의 강한 지지 텃밭인데 반해, 뉴욕시 광역권을 제외한 90% 면적의 북부인 [[업스테이트 뉴욕|업스테이트]]는 민주당과 공화당을 왔다갔다한다. 2016년 대선에서는 업스테이트 대부분 카운티를 공화당 후보 트럼프가 가져가서 뉴욕주 전체 62곳 카운티중에서 트럼프가 46곳을 이겼지만, 뉴욕시 일대의 압도적인 인구세로 뉴욕주 득표율로는 민주당의 22.5%의 대승이었다. [[2020년 미국 대선]] 역시 주내 최대 인구세를 자랑하는 뉴욕, 버팔로, 올버니의 힘으로 트럼프가 40군데 넘는 카운티에서 승리를 거두어었지만, 득표율에서는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가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를 23.2%의 격차로 대승을 거두었다. 심지어 당시 뉴욕 주 선거인단은 [[빌 클린턴]]과 [[힐러리 클린턴]]도 있었다. [[파일:NY INCOME.png]] 소득별로는 블루 스테이트 답게 중산층 이상 계층에서도 민주당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https://edition.cnn.com/election/2020/exit-polls/president/new-york|#]] [[조지아주|조지아]], [[미네소타]], [[캘리포니아]]처럼 고소득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높은주 가운데 하나다. [include(틀:뉴욕 주의회의 원내 구성)] 주 정부 자체에서는 공화당의 힘이 약하지 않다. 실제로 1940년부터 1970년까지는 공화당이 주 상원과 하원을 조종했다[* 다만, 이 시기의 공화당은 민주당과 성향 차이가 그렇게까지 크지는 않던 시절이다. 역대 최고의 [[뉴욕시|뉴욕]] 시장들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피오렐로 라과디아]]가 공화당 소속인데, 그 본인은 [[프랭클린 D. 루즈벨트]]의 [[뉴딜]]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을 만큼 대단히 진보적인 사람이었다. 민주당에서도 북부개혁주의자와 남부의 인종차별주의자들이 한솥밥을 먹던 구조였고, 공화당도 초창기에는 개혁주의 정당이었다가 산업혁명기를 거치면서 대기업들과 유착되면서 우경화되었고, 개혁주의적인 정책을 펼친 [[시어도어 루스벨트]]와 그를 따르던 진보계파가 탈당하면서 진보당이라는 당을 따로 차리며 굳어졌지만, 그럼에도 진보계파가 일부는 남았기는 했다 민주당이 진보, 공화당이 보수로 확고하게 굳어지기 시작한 것은 못해도 [[존 F. 케네디]] 이후의 일이지만, 이후에도 늦으면 2010년대 무렵까지는 지역별로 보수 성향의 민주당 정치인이나, 진보 성향의 공화당원이 꽤 혼재된 편이었다.]. 또한 공화당 출신 주지사도 많이 배출해서 2006년까지는 공화당 출신 정치인 [[조지 퍼타키]](George Pataki)가 주지사로 활동했다. 즉, 민주당이 뉴욕 주정부를 통솔하기 시작한 건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라는 것.[* 이로 보면 뉴욕주도 90년대 이전에는 꽤 경합지역이었다는 것이다.] 민주당 세력은 주로 뉴욕시 주위로 분포하고 있으며 교외 지역[* 서퍽 카운티가 대표적인 예시다.], 시골 지역은 공화당 지지세력이 더 많다. 대선의 경우에는 1856년~1864년, 1872년, 1880년, 1888년, 1896년~1928년에 공화당이 이겼으나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등장 이후에는 민주당 우세지역이 되었다가 1948년 대선에서 공화당이 접전승리를 거두었고 이후 1952년~1956년 대선에서 공화당이 승리했으나 1960년~1964년 대선에서 민주당이 다시 승리했다. 그러나 1968년 대선에서 표차가 줄어들기 시작하더니 1972년 대선에서는 재차 공화당이 이겼다. 하지만 1976년 대선에서는 다시 민주당이 이겼다. 그러다가 1980년~1984년 대선에서 다시 공화당이 이겼으나 1988년 대선부터는 재차 민주당이 우세를 점하기 시작했다. 그래도 1992년 대선까지는 표차가 그리 크지 않았으나 1996년 대선부터는 뉴욕 주에서 민주당 후보들이 공화당 후보들을 큰 표차로 누르면서 우세를 점하고 있는 중이다. 또한 주 정부와는 별개로 뉴욕주 자체의 경제력이 엄청나기 때문에 각 당의 정치 자금의 중심지로 여겨진다. [youtube(eE64-6g0dU4)] 주립대학 무상교육 정책을 발표하는 [[앤드루 쿠오모]] 주지사와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 2018년부터 뉴욕에 거주하는 연소득 12만 5천 달러 이하 가구의 [[뉴욕 주립대학교 시스템|주립대학]] 무상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로 뉴욕 주의 가구당 중위소득은 6만 달러이다. 엑셀시어 프로그램으로 불리는 이 정책은 4월 9일 주의회를 통과했다. 민주당이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의 공립대학 무상교육 공약을 2016년 정강정책으로 수용한 뒤, 민주당 소속의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가 50개주 가운데 최초로 4년제 대학 무상교육 정책을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2022년 중간선거에서 블루스테이트라고 불리웠던 뉴욕주에서도 변화를 보였는데 주지사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공화당 후보랑 불과 5% 차이밖에 안났고[* 경합지라고 불리던 펜실베니아 주지사 선거에선 무려 11%차이로 민주당 후보가 승리했다.] 연방 하원의원도 공화당이 3석 더 얻는 등 상당한 우경화가 진행됐다. 그리고 뉴욕시에서만 공화당 주지사 후보, 상원후보 모두 30%대를 득표하는등 상당히 선전을 했다. 다만, 이는 쿠오모 지사의 성추문 사건과 바이든 행정부의 실정으로 인한 결과이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교통 == [include(틀:뉴욕의 대중교통)] == 여담 == * 미국에서 세번째로 많은 지역번호를 보유한 주이다. * 크게 [[버팔로(미국 도시)|버팔로]], [[시라큐스]], [[로체스터(미국 도시)|로체스터]], [[올버니]] 등을 포함하는 [[업스테이트 뉴욕|업스테이트]]와 [[뉴욕시]], [[롱아일랜드]] 등을 포함하는 다운스테이트로 나뉘는데 이 두 지역의 지리, 역사, 문화적 배경이 크게 다르다. 일단 업스테이트는 [[러스트 벨트]]에 속하고 문화적으로도 뉴욕보다는 [[시카고]], [[밀워키]], [[디트로이트]], [[클리블랜드]] 등과 더욱 연결되어 있는 편이다. 반면 다운스테이트는 전형적인 북동부 지역으로서 보스턴,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워싱턴 D.C.와 함께 북동부 [[메갈로폴리스]]를 이루고 있다. 오대호와 대서양과 인접한 주의 지리상 러스트 벨트와 메갈로폴리스의 구성을 모두 이룬 주이다. * 미국 변호사 시험 중 뉴욕주의 시험은 주도인 [[올버니]]와 [[버팔로(미국 도시)|버팔로]]에서 실시된다. 버팔로로 가는 한국인 응시자가 더 많은데 시설도 좋고 [[캐나다]]와 [[나이아가라 폭포]]를 구경할 수 있어서이다. 시험 일정은 2일밖에 안 되고, 시차적응에 뭐에 1주일은 잡고 가기 때문에 보통 시간이 남아 시험 끝나고 휴식 차 나이아가라와 캐나다를 보고 가는 한국 변호사들이 굉장히 많다. 겸사겸사 기념품들을 사가는 사람들도 많은데 그 놈의 메이플 시럽은 꼭 사간다. 더불어 한국의 현직 변호사이거나 로스쿨을 미국에서 나오면 뉴욕 주 변호사 시험을 무조건 볼 수 있다. 합격률도 70%로 꽤 높은 편이며 전미 평균보다도 높은 편이다. * 1929년부터 90년간 14세 이상이면 부모와 판사의 동의하에 결혼을 할 수 있는 조혼법이 있었는데, 2017년 3월 13일에 폐지됐다. 뉴욕주가 특이한 것은 아니고 미국 다수의 주에서는 혼인에 제한연령이 없다. * [[미국 달러]]의 화폐를 발행하는 각 지역 Fed 중 하나이다. 일련번호는 "B" * 2022년 11월 중순 뉴욕주 [[서부]]와 [[북부]] 지역에 최소 196cm의 [[폭설]]로 인해 눈을 치우던 2명이 과로로 사망하고 18일 [[버펄로]] 나이애가라 국제공항에서만 항공편 75편이 취소되는 등 일대 교통이 완전 마비됐으며 [[정전]]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today/article/6428830_35752.html|#]] * [[I Love New York]] 브랜드가 상당히 유명하다. 동명의 노래도 있으며 주가로 지정되어 있다. == 출신 인물 == 뉴욕시를 비롯한 뉴욕주 출신 인물들을 아래에 정리한다. === 정치 및 군사계 === * '''[[마틴 밴 뷰런]]'''(미국 제8대 대통령) * '''[[밀러드 필모어]]'''(미국 제13대 대통령) * '''[[시어도어 루스벨트]]'''(미국 제26대 대통령) * '''[[프랭클린 D. 루스벨트]]'''(미국 제32대 대통령)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제45대 대통령, 부동산 재벌) * '''[[조지 클린턴]]'''(미국 제4대 부통령, 초대 뉴욕 주지사. 재임 중 최초로 사망한 미국 부통령이다.) * '''[[마리오 쿠오모]]''' (제52대 뉴욕 주지사, 제56대 뉴욕 주지사 [[앤드루 쿠오모]]의 아버지.) * '''[[앤드루 쿠오모]]'''(제56대 뉴욕 주지사, 제52대 뉴욕 주지사 [[마리오 쿠오모]]의 아들) * '''[[새뮤얼 틸던]]'''(제25대 뉴욕 주지사, 187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득표에서 앞서고도 선거인단 1명 차이로 [[러더퍼드 B. 헤이스]]에게 패배했다.) * '''[[엘리너 루스벨트]]'''(미국 제34대 영부인, 인권운동가) * '''[[피오렐로 라과디아]]'''(제99대 뉴욕 시장, 뉴욕주 지법 판사) * '''[[루돌프 줄리아니]]'''(제107대 뉴욕 시장) * '''[[빌 더블라지오]]''' (제 109대 뉴욕 시장) *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미국 제37대 영부인) * '''[[보리스 존슨]]'''(영국 제 77대 총리)[* 존슨은 몇년전까지는 [[미국 시민권|미국 국적]]을 가지고 있었으나 영국 총리 출마를 위해 미국 국적을 버렸다.] * [[대니얼 D. 톰킨스]](미국 제6대 부통령) * [[스카일러 콜팩스]](미국 제17대 부통령) * [[윌리엄 A. 휠러]](미국 제19대 부통령) * [[제임스 S. 셔먼]](미국 제27대 부통령) * [[엘리자베스 먼로]](미국 제5대 영부인) * [[해나 밴 뷰런]](미국 제8대 영부인) * [[줄리아 타일러]](미국 제11대 영부인) * [[애비게일 필모어]](미국 제14대 영부인) * [[프랜시스 클리블랜드]](미국 제23·25대 영부인) * [[낸시 레이건]](미국 제42대 영부인) * [[바버라 부시]](미국 제43대 영부인, 미국 제43대 대통령 [[조지 W. 부시]]의 어머니) * [[하비 밀크]](정치인, 커밍아웃한 인물 중에서는 미국 최초로 선출직 공직자에 당선되었다.) *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현재 뉴욕주 하원의원) === 경제 및 산업계 === * '''[[도널드 트럼프]]'''([[뉴욕]] 출신. 트럼프 엔터테인먼트 리조트의 전 소유자, 미국 제 45대 대통령) * '''[[존 데이비슨 록펠러]]'''('''석유왕'''으로 유명한 스탠더드 오일 설립자) * '''[[마크 저커버그]]'''([[페이스북]] CEO) * [[조지 웨스팅하우스]]([[뉴욕]]이 아닌 뉴욕주 센트럴 브리지 출신. 다만 임종은 뉴욕 시에서 했다.) * [[캘빈 클라인]](패션 디자이너, 동명의 패션하우스 설립자) === 배우/코미디언/감독 === * [[노아 에머리히]] * [[다이앤 레인]] * [[대니 에일로]] * [[대니 케이]] * [[댄 헤다야]] * [[데이비드 듀코브니]] * [[데이비드 페이머]] * [[덴젤 워싱턴]] * [[딜런 오브라이언]] * [[래리 새퍼스틴]] * [[레드 버튼스]] * [[레이크 벨]] * [[로드 스타이거]] * [[로라 리니]](배우, 유 캔 카운트 온 미[* 제 73회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노미네이트], [[킨제이 보고서]][* 제 77회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노미네이트], 더 새비지스[* 제 80회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노미네이트], [[러브 액츄얼리]] 등 출연)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로버트 드 니로]] * [[로버트 몽고메리]] * [[로버트 본]] * [[로버트 포스터]] * 로사리오 도슨(배우, [[신 시티]]의 게일) * [[론 리프킨]] * [[루니 마라]] * [[루시 리우]] * [[루이스 고셋 주니어|루이스 가싯 주니어]] * [[리 마빈]] * [[리 J. 콥]] * [[리브 타일러]](배우, [[스티븐 타일러]]의 딸이다.) * [[리처드 드라이퍼스]] * [[린지 로핸]] * [[마이클 러너]] * [[마틴 랜도]] * [[마틴 볼섬]] * [[마틴 스코세시]] * [[맷 딜런]](배우, 1980년대 청춘스타로 유명, S. E. 힌튼의 소설을 영화화한 [[아웃사이더]] 등 출연) * [[멜라니 그리피스]](배우, [[다코타 존슨]]의 어머니) * [[몬티 울리]] * [[미키 루니]] * [[버트 영]] * [[벤 가자라]] * [[벤 스틸러]] * [[브룩 실즈]] * [[빈 디젤]] * [[빌리 크리스탈]] * [[세라 미셸 겔러]](배우,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의 [[버피 서머즈]]로 유명하다.) * [[사라 폴슨]](배우, 태어난 곳은 플로리다) * [[소피아 코폴라]] * [[스칼릿 조핸슨]] * [[스티브 부세미]] * [[스티븐 랭]] * [[시고니 위버]] * 신시아 닉슨(배우, [[섹스 앤 더 시티]]의 미란다 홉스) * [[실베스터 스탤론]] * [[아비게일 브레스린]] * [[안소니 퍼킨스]] * [[앤서니 프랜시오서]] * [[앨런 아킨]] * [[알렉산드라 다다리오]] * [[아만다 피트]](배우, 나인 야드, [[시리아나]] 등 출연) * [[알 파치노]](부모는 이탈리아계 이민자 출신) * [[알렉 볼드윈]] * [[알렉스 울프]] * [[앨런 알다|앨런 알더]] * [[에드먼드 오브라이언]] * [[에디 머피]] * [[에밀리오 에스테베즈]] * [[에이드리언 브로디]] * [[엘리엇 굴드]] * [[엠마 로버츠]](배우, [[에릭 로버츠]]의 딸, [[줄리아 로버츠]]의 조카) * [[올리버 스톤]] * [[올리비아 와일드]] * [[우디 앨런]] * [[우피 골드버그]] * [[월리스 쇼운]] * [[월터 매사우]] * [[웬트워스 밀러]](1세때 영국에서 이주) * [[윌리엄 디베인]] * [[윌리엄 포사이스]] * [[윌리엄 피츠너]] * [[이디나 멘젤]] * [[제니퍼 로페즈]](부모는 [[푸에르토 리코]] 출신) * [[제니퍼 애니스턴]](태어난 곳은 LA, 이후 그리스를 거쳐 뉴욕에서 성장) * [[제니퍼 코넬리]] * [[제레미 피번]] * 제리 오코널 * [[제이 레노]] * [[제임스 캐그니]] * [[제임스 칸]] * [[제임스 위트모어]] * [[제프리 드먼]] * [[제프리 존스]] * [[조안 쿠삭]] * [[조지 A. 로메로]] * [[조지 번즈]] * [[조지 케네디]] * [[존 가필드]] * [[존 레귀자모]](배우, 4세때 [[콜롬비아]]에서 퀸스로 이주, 1996년작 [[로미오와 줄리엣]], 물랑루즈 등 출연) * [[존 C. 맥긴리]] * [[존 색슨]] * [[존 카펜터]] * [[존 터투로]] * [[존 프랭컨하이머]] * [[주드 허쉬]] * [[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 [[줄리아 스타일스]] * [[지미 키멀]] * [[지미 팰런]] * [[찰리 신]] * [[찰스 더닝]] * [[채즈 팰민테리]] * [[체비 체이스]] * [[카일 챈들러]] * [[커크 더글러스]] * [[코리 스톨]] * [[쿠바 구딩 주니어]](배우, [[제리 맥과이어]]로 제 69회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수상) * [[크리스 록]](태어난 곳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자란 곳은 브루클린) * [[크리스천 슬레이터]](배우, 1980년대 청춘 스타로 헤더스, [[트루 로맨스]],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등에 출연했다.) * [[크리스토퍼 램버트]](성장은 [[제네바]]에서.) * [[크리스토퍼 리브]] * [[크리스토퍼 맥도날드]] * [[크리스핀 글로버]] * [[클레어 데인즈]] * [[키에란 컬킨]] * [[테아 레오니]] * [[텔리 사바라스]] * [[토니 커티스]] * [[토빈 벨]] * [[토퍼 그레이스]] * [[톰 크루즈]] * [[팀 로빈스]](태어난 곳은 캘리포니아) * [[페기 립튼]] * [[폴 소르비노]] * [[미라 소르비노]](딸) *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태어난 곳은 디트로이트) * [[소피아 코폴라]](딸) * [[피비 케이츠]] * [[피터 포크]] * [[피터 폰다]] * [[필립 시모어 호프먼]] * [[험프리 보가트]](배우, [[카사블랑카]], '아프리카의 여왕'으로 유명하다. 1899~1957) * [[헨리 실바]] * [[J. 캐롤 나이쉬]] === 뮤지션 === * [[2Pac]]: 웨스트코스트를 대표하는 랩퍼, 1988년 캘리포니아로 이주하기 전까지는 동부에서 살았다. * [[50cent]] * [[A$AP Rocky]] * [[Cardi B]] * [[JAY-Z]] * [[Notorious B.I.G.]]: 이스트코스트를 대표하는 랩퍼, 뉴욕 브루클린 출신 * [[나스(래퍼)|Nas]]: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퀸스로 이주 * [[닐 다이아몬드]]: 브루클린 출신 뮤지션, 1984년 작곡가 명예의 전당, 2011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 2012년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 * [[닐 세다카]] * [[니키 미나즈]] * [[라나 델 레이]] * [[라킴]] * [[레이디 가가]] * [[로라 브래니건]] * [[루 리드]] * [[릴킴]]: 뮤지션, [[노토리어스 B.I.G.]]의 영향을 받았다. * [[맙 딥]]:멤버 하복은 뉴욕 퀸즈 브릿지 출신, 멤버 프로디지는 뉴욕 햄프스테드 출신이다. 팀이 결성된 곳도 뉴욕 퀸즈다. * [[머라이어 캐리]]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바비 다린]] * [[배리 매닐로]] * [[빌리 조엘]] *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 [[스티브 라이히]] * [[아이스-T]] * [[AZ(래퍼)]] * [[앨리샤 키스]] * [[조지 거슈윈]] * [[자 룰]]: 히트곡 중에서도 뉴욕이란 노래가 있다. * [[줄리안 카사블랑카스]] * [[케빈 오]]: [[슈퍼스타K7]] 우승자로 유명한 한국계 미국인 가수. * [[탈립 콸리]]: 힙합 그룹 블랙스타의 멤버 * [[피오나 애플]] * [[해리 벨라폰테]] === 과학계 === * [[칼 세이건]] * [[닐 디그래스 타이슨]] - 위의 [[칼 세이건]]의 제자 * [[스티븐 와인버그]] *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 === 언론계 === * [[앤더슨 쿠퍼]] === 문학계 === * [[더글라스 케네디]](소설가) * [[모리스 샌닥]](그림책 작가) * [[에릭 칼]](그림책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 [[윌리엄 피터 블래티]](소설가, 각본가) * [[조지프 캠벨]](신화학 작가) * [[J. D. 샐린저]](소설가, [[호밀밭의 파수꾼]]이 대표작이다.) * [[해럴드 블룸]]([[문학]] [[평론가]]) * [[허먼 멜빌]](소설가) === 스포츠계 === * [[마이클 조던]](前 농구선수)[* 뉴욕 출신이라기보단 그냥 뉴욕 출생이다. 브루클린에서 태어났으나 출생 직후에 노스캐롤라이나 주로 이주해 프로 데뷔할때까지 (즉 대학교 때까지) 쭉 거기서만 산 노스캐롤라이나 토박이다. 이 때문에 뉴요커들도 조던을 홈타운 보이 취급하진 않는다.] * [[마이크 타이슨]](前 프로복서) * [[잭 라이더]](프로레슬러) * [[베스 피닉스]](前 프로레슬러) * [[빅 캐스]](프로레슬러) * [[숀 모리만도]](야구) * [[써머 래]](프로레슬러) * [[애쉴리 마사로]](前 프로레슬러) * [[워렌 스판]](前 MLB 투수) * [[케이틀린 제너]](前 육상선수, 성전환 전 이름은 브루스 제너로 [[1976 몬트리올 올림픽]] 10종 경기 금메달리스트) * [[이안 앤더슨]](야구선수) * [[해리슨 베이더]] === 성우 === * [[루시언 도지]](성우) * [[톰 판]](성우) * [[신디 로빈슨]](성우) * [[톰 케니]](성우) * [[행크 아자리아]](성우) * [[알레그라 클라크]](성우) === 기타 인물 === * [[린다 매카트니]] * [[멜빌 듀이]] * 벅시 시걸(마피아, [[라스베가스]]를 관광과 향락의 도시로 만드는데 일조했다.) * [[빌리 헤링턴]] * [[알 카포네]](뉴욕 파이브 포인트 갱단 출신) * [[제나 마블스]](뉴욕 주 로체스터 출신) == 관련 문서 == * [[뉴욕 주경찰]] * [[뉴욕주 방위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뉴욕 주, version=2)]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뉴욕 주의 공교육, rd1=뉴욕 주립대학교 시스템)] [[분류:뉴욕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