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MBC 라디오]][[분류:2020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22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23년 방송 프로그램]] ||<-5> [[MBC 표준FM|[[파일:MBC 라디오 로고 2020.png|width=120]]]] || || 16:00 - 18:00 ||<|5> → || '''18:00 - 20:00''' ||<|5> → || 20:00 - 21:00 || ||<|2> [[4시 뉴스#s-3.4|뉴스(16:00)]]/[[5시 뉴스#s-3.4|뉴스(17:00)]][*A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6시 뉴스#s-3.4|뉴스(18:00)]][*A] ||<|2> [[8시 뉴스#s-3.2|뉴스(20:00)]] || || [[MBC 저녁앤뉴스|저녁앤뉴스]] (평일) /[[7시 뉴스#s-3.2|뉴스(19:00)]] (주말) || ||<|2> [[지금은 라디오 시대|정선희, 문천식의 지금은 라디오 시대]] || '''권순표의 뉴스 하이킥''' (평일)[*A] ||<|2> [[손에 잡히는 경제|박정호의 손에 잡히는 경제+]] || || '''김치형의 뉴스 하이킥''' (주말) || ||<-2><#15173d> {{{#fff {{{+1 '''뉴스 하이킥'''}}} }}} || ||<-4> [[파일:권순표의 뉴스 하이킥 새 프로필.png|width=100%]] || ||<-4> [[파일:주말뉴스하이킥.png|width=100%]] || || '''진행자''' ||'''[[권순표]]''' ,,(평일, 2024년 2월 13일 ~현재),,[br]'''김치형''' ,,(주말, 2022년 10월 1일 ~ 현재),, || || '''연출''' ||안동진, 양지안 ,,(주중),,[br]이민선 ,,(주말),, || || '''구성''' ||이병관, 조현, 허주영 ,,(주중),,[br]김민지, 배준영 ,,(주말),, || || '''영상''' ||노현영 || || '''방송시간''' ||'''매일''' / 18:05 ~ 20:00 || || '''송출채널''' ||'''[[MBC 표준FM|[[파일:MBC 라디오 로고 2020.png|width=100]]]]''', '''[[MBC mini]]''' || || '''외부링크''' ||[[http://www.imbc.com/broad/radio/fm/newshigh| [[파일:MBC 로고.svg|width=30]]]] [*평일] [[http://www.imbc.com/broad/radio/fm/newshigh_w| [[파일:MBC 로고.svg|width=30]]]] [*주말]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worldnus, 크기=24)] [[http://www.youtube.com/channel/UCTTmtS2ljy1vyl_s-d_LEH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MBC라디오시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후속으로 2020년 8월 17일부터 신설된 [[MBC 표준FM]] 시사 프로그램. [[보이는 라디오]]로도 진행한다. 제목은 [[하이킥 시리즈]]의 패러디로 보인다. 2022년 9월 26일부터 매일 방송으로 확대 편성[* 그 이전에는 주말에 [[주말하이킥]]이 편성되었다.]되었고, 주말 방송으로는 한국경제TV 기자 출신의 김치형 경제전문기자가 투입되었다. [[파일:1_9_640x360_1.jpg]] [[표창원]] DJ는 프로파일링 아카데미 설립 및 저서 집필 준비 등 새로운 시작을 위해 제작진에게 하차 의사를 전달하였고, 이를 12월 14일 방송 클로징에서 알렸으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19672?sid=102|@]] 2022년 12월 30일을 마지막으로 [[표창원]] DJ는 하차했다. ---- [[파일:신장식의 뉴스하이킥.jpg]] 2023년 1월 2일부터 김치형 경제 전문 기자를 시작으로 장윤선 정치 전문 기자,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 허일후 아나운서 등의 여러 임시 DJ들(비상대책위원)이 1월 13일까지 진행했으며, 1월 16일부터는 [[TBS FM]] [[신장식의 신장개업]]을 진행했던 [[신장식]] 변호사가 평일 DJ로 발탁되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5072320|#]] 2023년 2분기 라디오 청취율 조사에서 [[두시탈출 컬투쇼]]를 누르고 청취율 전체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928|#]][* 2022년 4분기까지는 만 5년 연속으로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전체 청취율 1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었으나, 해당 프로그램 종영 후 2023년 1분기 조사에서 컬투쇼가 오랜만에 1위를 탈환했고, 다시 한 분기만에 시사 라디오 프로로서 전체 1위로 올라선 것이다.] 이 선전에 힘입어 [[MBC 표준FM]]의 채널 점유율 또한 약 7년만에 20%를 돌파하였다고 한다. 3분기에는 무려 14.7%라는 청취율을 기록하며 1위를 방어했고 MBC 표준FM도 [[SBS 파워FM]]을 제치고 1위에 올라섰다.[[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1665|#]] 4분기에도 뉴스 하이킥과 MBC 표준FM이 1위를 수성했다.[[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742|#]] 2023년 현재 MBC 라디오의 모든 프로그램 중에 유일하게 [[TBN 한국교통방송]]처럼 평일/주말 진행자가 이원화된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2024년 2월 8일 신장식 DJ가 '더이상 MBC에 부담을 줄 수 없다'며 뉴스하이킥 DJ직에서 하차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674896?sid=102|#]] 선거방송심의위원회가 연이어 중징계를 때리고 점점 MBC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는 방송국 재허가 국면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MBC가 불공정 편파 방송을 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더불어민주당에 불리한 보도는 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방통위는 MBC UHDTV 방송국을 '취재윤리 위반 방지'와 '공정성 준수'를 달아 조건부 재허가해줬다.] 그런 와중에도 2024년 첫 청취율 조사에서도 0.9%p 상승한 13.5%로 1위를 수성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5748|#]] ---- 2024년 2월 9일과 12일 설날연휴 이틀동안 [[전종환]] 아나운서가 임시 DJ를 맡아 진행하였다. [[파일:권순표의 뉴스 하이킥 새 프로필.png]] 2월 13일부터 [[MBC 뉴스데스크]], [[MBC 뉴스포커스]], [[2시 뉴스외전]]을 진행했던 [[권순표]] 선임기자가 후임 DJ로 발탁되어서 진행중이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08/0000214346|#]] == 역대 DJ == * 주중 * [[표창원]] 전 국회의원 : 2020년 8월 17일 ~ 2022년 12월 30일 * 김치형: 2023년 1월 2일 ~ 1월 3일 * [[장윤선]] 정치평론가 : 2023년 1월 4일 ~ 1월 5일 * [[장성철(1970)|장성철]] 정치평론가 : 2023년 1월 6일 * [[허일후]]: 2023년 1월 9일 ~ 1월 13일 * [[신장식]] 전 정의당 사무총장 : 2023년 1월 16일 ~ 2024년 2월 8일 * [[전종환]] 아나운서: 2024년 2월 9일, 12일 * '''[[권순표]] 기자''' : 2024년 2월 13일 ~ '''현재''' * 주말 * '''김치형 경제평론가''' : 2022년 10월 1일 ~ '''현재''' == 코너 == * 매일 코너 * 뉴스 ‘신’세계[* 표창원 진행시절 '3인칭 시사시점'의 코너 오프닝음악을 그대로 가져왔다.] - With. [[헬마우스]] 임경빈 작가[* 신장식 하차 이후로 요일별 게스트는 폐지되었다.] * 뉴스하이킥 하프타임 (Youtube only) - With. [[오윤혜]] 방송인 * 간식 뉴스 * 요일 코너 * 월요일 * 거침없이 하이킥 - With. [[장성철(1970)|장성철]] 공론센터 소장, 장윤선 정치전문기자 * 힘이 되는 경제 - 김윤경 경제전문기자, 박상인 [[서울대학교/대학원#s-2.2|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 화요일 * 반장 대 반장 * 기자 대 기자 * 인권 새로고침 - With. 박래군 4. 16.재단 상임이사 * 수요일 * 특.수.통 - With special guest * 목요일 * 미디어 톡 - With. [[최진봉(교수)|최진봉]] [[성공회대학교]] 교수, 문희정 국제정치평론가 * 금요일 * 신스틸러 - With. [[양지열]] 변호사, [[이상민(1994)|이상민]] 크리에이터 * 궁금한 음악회 or 궁금한 썰명회 * 토요일 * 정말토크 - With [[신인규]] [[민심동행365]] 창당준비위원장, [[권지웅]]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 * 판을 읽는 국제 정치 - With. 문희정 국제정치평론가 * 놀땐 뭐하니 - 영화, 음악, 스포츠, 문화계 소식을 정리해드립니다. * 일요일 * 찐텐 정치 * 김큐의 경제뉴스 큐레이션 - With 김치형 앵커, 배아량 리포터 * 제법 알려드립니다 - With. 안병한, 김수현, 양지민 변호사, 박주희 변호사 * 하이킥 클라쓰 - 일요일 저녁 세상을 읽어주는 고품격 강의 == 지역 자체 방송 == 이전 프로였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처럼 대부분의 지방 MBC 계열사들은 평일 한정으로 지역 자체 방송을 내 보내고 있는데, 현재도 [[MBC경남]][* 2024년 4월 15일부터 다시 전 시간대 자체방송 편성. 대신 평일 [[2시만세]] 3, 4부 본사 릴레이 전환.]은 전 시간대 자체 방송을 고수하고 있으며, 반대로 [[전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 [[MBC충북]][* 2022년까지는 365일 전 시간대에 자체 방송을 편성했으나 2023년부터 시사프로그램을 [[손에 잡히는 경제]] 플러스 시간대(2024년 현재의 [[골든디스크]] 시간대)로 이동하면서 수중계하게 되었다.]은 이 프로그램을 수중계하여 자체 편성없이 전 시간 방송하고 있다. 그나마 예전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시절보다는 부분적으로 릴레이하는 지역이 늘어나면서 현재는 대부분의 지역국에서 3, 4부라도 릴레이하고 있다. 단, [[대전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MBC경남]]은 각각 [[한화 이글스]], [[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 [[NC 다이노스]] 홈 경기 중계가 있기 때문에 중계가 걸리는 날엔 3, 4부마저 방송되지 않는다. 주말 뉴스 하이킥은 KBO 리그 비시즌 한정으로 '''완전한 전국방송 시간대'''이다. ||<-1> '''전체 시간대 자체방송'''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역국 || 프로그램명 || 진행자 || ||<|2> [[MBC경남|경남]] || 뉴스파다 (월~목 18:10, 금 18:05~19:00) || 윤동현 || || 당신의 저녁 7시 (19:10~20:00) || 남두용 || }}} || ||<-1> '''1~2부 자체방송'''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역국 || 프로그램명 || 진행자 || || [[춘천문화방송|춘천]] || [[생방송 강원시대]] (18:05~19:00) || [[노지현]] || || [[원주문화방송|원주]][* 원주 부론면, 귀래면에서는 [[MBC충북]]의 가엽산 주파수(96.1MHz)로 해당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 시사메이트 (18:05~19:00) || 변정연 || || [[MBC강원영동|강원영동]][* 기존 19시에서 20시에 진행되던 라디오 가든은 진행자인 김현수 아나운서가 퇴사함과 동시에 2021년 6월 25일부로 종영되었다.] || 라디오 동서남북 (18:05~19:00) || 민기원 || ||<|2> [[부산문화방송|부산]] || [[MBC 뉴스네트워크]] (월~목 18:00 ~ 18:10)[* 울산과 경남에서 동시에 편성된다.] || 부산문화방송 보도국 앵커 || || 생방송 오늘 저녁, 부산입니다 (월~목 18:10, 금 18:05~19:00) || 이지희 || || [[울산문화방송|울산]] || 퇴근길 톡톡 (월~목 18:10, 금 18:05~19:00) || 김연경 || || [[광주문화방송|광주]] || 시사 톡 라이브 (18:05~19:00) || 박진아 || || [[여수문화방송|여수]] || 라디오 전망대 (18:05~19:00) || 이용선 || || [[안동문화방송|안동]] || 라디오 오늘 (18:05~19:00) || 허환구 || || [[포항문화방송|포항]] || 라디오 열린세상 (18:05~19:00) || 전세용 || || [[제주문화방송|제주]] || 라디오 제주시대 (18:05~19:00) || 윤상범 || }}} || ||<-1> '''KBO 리그 중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역국 || 프로그램명 || 진행자 || || [[부산문화방송|부산]][* 우천취소나 홈 경기 없는 날에는 정규방송.] || [[롯데 자이언츠]] [[사직 야구장|홈 전 경기]] 중계 || [* 캐스터 김동현, 해설 [[박정태]]/[[염종석]].] || || [[대구문화방송|대구]][* 홈 경기가 있는 날이라도 주말에는 정규 편성대로 내보낸다.] || [[삼성 라이온즈]]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홈 경기]] 중계 || [* 캐스터 서상국, 이동훈/해설 [[홍승규]].][* 2023년 7월 27일 중계를 끝으로 잠정 휴지했다가 동년 8월 17일부터 재개.] || || [[대전문화방송|대전]][* 평일(화, 목, 금) 홈경기 중계] || [[한화 이글스]] [[한화생명 이글스파크|홈 경기]] 중계 (18:30~21:57) || [* 캐스터 김학선, 강태섭, 남유식/해설 여정권, 이송영.][* 2020년을 끝으로 잠정 휴지했다가 2024년 3월 29일부터 재개.] || || [[MBC경남|경남]][* 주말(금, 토, 일) 홈경기 중계] || [[NC 다이노스]] [[창원 NC 파크|홈 경기]] 중계 || [* 캐스터 [[백근곤]], [[윤동현]], 오수빈[* 프리랜서 캐스터.]/해설 [[최준석]], [[최금강]].][* 2022년을 끝으로 잠정 휴지했다가 2024년 3월 23일부터 재개.] || }}} || == 경쟁 정치/시사 프로그램 == 시간대가 1시간이라도 겹치는 전국구 시사 프로그램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각 지역별 시사 프로그램과도 경쟁한다. * [[KBS 제1라디오]] - 뉴스레터K(주중)[* 본래 경쟁 프로그램이자 최대 맞수는 [[주진우 라이브]](前 김용민 라이브)로, 2023년 2분기 조사에서는 둘이서만 청취율 1, 2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다가 2023년 11월 취임한 박민 사장이 신임 라디오센터장을 통해 2018년 봄 신설된 프로그램을 날리라고 지시하면서 종영되고 2023년 말까지 '특집 1라디오 저녁'이라는 임시 타이틀로 방송하다 2024년 1월 1일부터 이 타이틀로 방송하고 있다.]/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주말) * [[CBS 표준FM]] -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박재홍의 한판승부]](주중)/[[주말엔 CBS]](주말) * [[YTN 라디오]] - [[뉴스! 정면승부]](주중) * [[경인방송]] - [[박성용의 시선공감]](주중) * [[cpbc FM]] - [[뉴스공감|김준일의 뉴스공감]](주중) == 기타 == * 2020년 12월 17일 [[하얀트리]]로 인해 피해를 입어 폐업한 대구 간장게장집 사장을 인터뷰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sDstpKQBiok|@]] * 표창원이 진행할 당시 '오늘의 표정' 원고는 본인이 직접 쓰고, 선곡 뒤 제작진에게 원고를 보내 방송 분량에 맞춘다고 표창원 본인이 개인 인스타그램에서 밝혔다. 실제로 개인 인스타그램에 전문이 올라오는데, 방송에는 일부가 공개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MBC 라디오)] [include(틀:MBC 표준F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