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 출력=, 크기=)] {{{#white '''[[필리핀|{{{#fff 필리핀}}}]]의 도시[br]{{{+2 New Clark City}}}'''[br]'''뉴 클라크 시티''' }}} || ||<-3> [[파일:뉴 클라크 시티.png|width=100%]] || ||<-3> {{{#fff '''로고'''}}} || ||<-2> '''{{{#fff 위치}}}''' ||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 [[타를라크주]] 타클라크 || ||<-2> '''{{{#fff 지역}}}''' || 클라크특별경제구역 (예정) || ||<-2> '''{{{#fff 면적}}}''' || 94.5km² || ||<-2> '''{{{#fff 웹사이트}}}''' || [[http://www.newclark.ph/|[[파일:뉴 클라크 시티.png|width=15]]]] || ||<-3>[include(틀:지도,장소=New Clark City,너비=100%,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필리핀]]의 건설 중인 계획도시. 클라크 특별경제구역의 일부이다. 수도 [[마닐라]]가 [[자연재해]]와 [[교통체증]]으로 확장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신도시 카드를 꺼내들었다. 2016년 착공해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의 임기 중 가장 큰 사업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가장 먼저 지어진 뉴 클라크 시티 스포츠 허브에서 [[동남아시안 게임|2019년 동남아시안 게임]] 시범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 명칭 == 실제 위치는 [[클라크 국제공항]]도, 클라크 자유항도 아닌 [[탈락주]]의 밤반이라는 마을[* 정확히는 카파스에도 걸쳐있다.]에 있지만 [[마케팅]]을 위해 투자자 상대로 잘 알려진 클라크를 이름에 넣었다. 프로젝트를 관할하는 기지전환개발청은 이를 두고 [[수빅경제특별구역]]이 꼭 수빅에만 있는 건 아니지 않느냐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그래도 수빅경제특별구역은 실제로 수빅에 걸쳐있다. 올롱가포와 잠발라스, 모롱, 헤르모사 등 수빅 인근 지역 땅에 더 많이 속해있다.] 원래 친환경 개발을 강조한 클라크 그린 시티가 제안되었으나 [[두테르테]] 정권에서 뉴 클라크 시티로 개칭했다. == 개발 == ||<-2>[[파일:뉴 클라크 시티 현황.jpg|width=100%]]|| ||<-2> 2022년 7월 위성사진 || 가장 먼저 완공된 스포츠 허브를 제외하면 허허벌판이다. 최종적으로 주민 112만명과 80만명의 근로자를 수용할 수 있는 스마트 도시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부대시설로 [[필리핀 대학교]] 캠퍼스와 각종 연구단체, 국립 스포츠 아카데미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2>
[[파일:뉴 클라크 시티 조감도.jpg|width=100%]] || ||<-2> 완성 모습을 그린 조감도 || 2016년 보도된 기사에 따르면 [[일본]]계, [[아랍에미레이트]]계 투자회사를 포함한 다수의 해외 투자처와 협력관계를 체결했다고 한다. [[https://www.philstar.com/business/2016/01/20/1544600/clark-green-city-insulated-politics-says-bcda|#]] [[프랑스]] 정부 주도의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 [[비바폴리스]]도 포함되었는데, 친환경 도시 개발을 위한 기술력 전수를 위함이라고 한다. == 여담 == [[레딧]]의 필리핀 서브레딧에 이를 [[시티즈 스카이라인]]으로 구현한 유저가 등장했다. [[https://www.reddit.com/r/Philippines/comments/7bf832/im_currently_building_new_clark_city_can_any_give/|#]] [[분류:필리핀의 도시]][[분류:신도시]][[분류:2012년 설치된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