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중앙성청)] ---- ||<-2> {{{#ffffff {{{+1 '''농림수산성'''}}}[br]農林水産省 |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 ||<-2><#ffffff> [[파일:농림수산성 로고.svg|width=180]] || || '''약칭''' ||농수성(農水省), MAFF || || '''설립일''' ||[[2001년]] [[1월 6일]] || || '''전신''' ||농림성 || || '''대신''' ||미야시타 이치로 || || '''부대신''' ||스즈키 노리카즈[br]미야자키 마사히사 || || '''대신정무관''' ||다카하시 미츠오[br]마이타치 쇼지 || || '''사무차관''' ||요코야마 신 || ||<|2> '''소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農林水産省, 너비=100%)]}}} || ||[[도쿄도]] [[치요다구]] [[카스미가세키]]1초메 2-1[br]{{{-1 (東京都千代田区霞が関一丁目2番1号)}}} || || '''내부부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대신관방 {{{-2 (大臣官房)}}}[br]소비 · 안전국 {{{-2 (消費・安全局)}}}[br]식료산업국 {{{-2 (食料産業局)}}}br]생산국 {{{-2 (生産局)}}}[br]경영국 {{{-2 (経営局)}}}[br]농촌진흥국 {{{-2 (農村振興局)}}}[br]정책통괄국 {{{-2 (政策統括官)}}}}}} || || '''외국''' ||[[임야청]] {{{-2 (林野庁)}}}[br][[수산청]] {{{-2 (水産庁)}}} || || '''직원 수''' ||15,077명 {{{-1 (외국 제외)}}}[br]4,753명 {{{-1 (임야청)}}}[br]937명 {{{-1 (수산청)}}} || || '''웹사이트''' ||[[http://www.maff.g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facebook.com/maffjapa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px]]]]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FF_JAPAN, 크기=24px)] | [[https://www.youtube.com/user/maffchanne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중앙성청]] 중 하나. [[한국]]의 옛 농림수산식품부(현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도 [[1995년]]까지는 일본처럼 농림수산부에서 수산 관련 정책을 담당했으나 [[1996년]]에 농림부와 [[해양수산부]]가 분리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에서 해양수산부가 따로 분리된 원인이 다름아닌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다.]와 유사한 기관이다. 舊 농상무성에서 분리되었다가 [[1943년]] 상공성의 일부 사무를 이어받아 농상성이 설치, 전후에 다시 농림성으로 분리되었다. 식료의 안정공급의 확보, 농림수산업의 발전, 농림업자의 복지 증진, 농산어촌 및 중간지역 등의 진흥, 농업의 다면에 걸친 기능의 발휘, 삼림의 보존배양 및 삼림생산력의 증진과 더불어 수산의 적절한 보존 및 관리를 꾀하는 것을 임무로 한다(농림수산성설치법 제3조). 약칭은 농수성. 설립 초기에는 농림성이었으나 200해리 수역문제 등 수산행정의 중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1978년]] [[7월 5일]]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농업]]・[[축산업]], [[임업]], [[수산업]]을 비롯해 식품의 안전하고 안정적인 공급, 농촌의 진흥 등을 관장한다. 광의의 '먹거리' 안전에 대해서는 농수성소비・안전국도 관여하고 있지만 협의의 '식품' 안전에 대해서는 후생노동성 의약식품국이 관장하고 있다. [[경마/일본|일본 경마]]의 감독관청이기도 하여, 경주명에 '농림수산성상전'이 붙는 경주도 있다. 지방경마의 경우는 '농림수산대신상전'이 된다. 국영경마 시절에는 경마부가 경마를 주최한 적도 있다. == 역사 == ||<#ad0000> {{{#FFF '''법무성의 변천사'''}}} || || 농상무성 || ||<#F5F5F5,#2D2F34> ↓ || || 농림성 || ||<#F5F5F5,#2D2F34> ↓ || || 농상성 || ||<#F5F5F5,#2D2F34> ↓ || || 농림성 || ||<#F5F5F5,#2D2F34> ↓ || || '''농림수산성''' || == 역대 대신 == [include(틀:역대 일본 농림수산대신)] == 농림수산성의 저주 == 각료로서 중요성이 높지만, 정작 취임한 정치인은 취임 중 불상사에 직면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사임하거나 퇴임 후 불행을 맞기도 한다. 그래서 매스컴에서는 '귀문(鬼門)'이나 '저주받은 자리(呪われたポスト)'라 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가타야마 내각]]의 히라노 리키조 농림대신이 니시오 스에히로 [[내각관방장관]]과 대립하다 GHQ의 의향을 따라 가타야마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일본 총리]]에게 파면당한 후, 공직 추방의 쓰라림을 당했다. 히로카와 고젠 농림대신은 [[제3차 요시다 제1차 개조내각]]에 대한 요시다 총리징벌 동의안 처리에 결석해 본회의에서 가결되었기 때문에 파면되어 바카야로 해산(バカヤロー解散)에 의한 해산 총선거로 낙선했다. 마지막 농림대신이자 초대 농림수산대신인 [[후쿠다 다케오]] 개조내각의 나카가와 이치로는 퇴임 5년 후 57세의 젊은 나이로 [[자살]]했다. [[일본항공 351편 공중 납치 사건|요도호 공중 납치 사건]]의 인질 대역으로도 알려진 [[야마무라 신지로]]는 퇴임 8년 후인 1992년에 차녀에게 [[살해]]당했고, 그 차녀도 4년 뒤 자살했다. [[2019년]]에는 이와 정반대로, [[일본 전직 차관 아들 살해 사건|구마자와 히데아키 전 차관이 44세의 히키코모리 아들을 말다툼 끝에 흉기로 살해하는 비극]]이 벌어졌다. 성청개편 후 [[2001년]]에 취임한 다케베 쓰토무는 [[광우병]] 문제를 둘러싼 실언으로 비판을 받아 이듬해 내각개조에서 사실상 경질, 후임인 [[오시마 다다모리]]도 여러 의혹으로 경질되었다. 뒤이어 카메이 요시유키는 퇴임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병으로 쓰러져 사망했으며 [[2004년]] 취임한 시마무라 요시노부는 이듬해 우정해산 직전 각의에서 중의원 해산에 반대해 서명을 거부, 사표를 제출했지만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파면당했다.[* 그래서 고이즈미 본인이 농림수산대신을 겸직하고 '내각총리대신 겸 농림수산대신'의 자격으로 중의원 해산에 서명했다.] 부대신(차관)에서 승격한 이와나가 미네이치도 퇴임 후에 헌금 문제를 지적받았다. [[2005년]] 취임한 [[나카가와 쇼이치]](초대 농림수산대신 나카가와 이치로의 아들)는 무난히 직무를 수행하고 퇴임했지만 4년 후 재무대신 재직 중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했다가 만취상태로 기자회견장에 나타난 사건을 계기로 쓰라린 낙선을 당하고 [[2009년]] 10월 아버지 이치로보다 1살 젊은 56세로 급사했다. 특히 [[2006년]] [[9월 26일]]에 발족한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에서는 농상의 교대가 빈번히 일어났으며 처음 취임한 마쓰오카 도시카쓰는 국회에서 광열수비문제를 추궁당해 전후 '''현직 각료 최초로 재임 중 자살'''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으며, 와카바야시 마사토시의 임시대리에 이은 후임 아카기 노리히코도 자신의 여러가지 의혹으로 7월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 패배를 불러왔다는 이유로 [[2007년]] [[8월 1일]] 경질,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낙선했다. 그리고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환경대신의 겸임을 거쳐 [[8월 27일]] 발족한 [[제1차 아베 신조 개조내각]]에서는 엔도 타케히코가 취임하지만 오키타마공제조합금 부정수급의혹을 받아 9월 3일 사임, 재임기간 8일이라는 근래에는 드문 초유의 사태가 일어났다. 후임은 또 다시 와카바야시. 같은 정권에서 임시겸임을 포함하면 3개월 남짓한 동안 3번째의 농상 취임이었다. 와카바야시는 퇴임후 [[2010년]] [[4월 2일]], 참의원본회의 부정투표 문제로 의원 자리에서 쫓겨났다. [[2008년]] 8월, 오타 세이이치에 의한 사무소비 문제도 부상해, 재임중에 사고미 부정 전매 사건에 관한 발언이 문제시되었다.9월 19일, 사고미의 부정 전매의 책임을 명확하게 하는 것으로, [[후쿠다 야스오]] 총리에게 사표를 제출. 오오타도 아카기와 마찬가지로 선거에서 낙선했다. 오오타의 사임 후에는 내각관방장관을 지낸 [[마치무라 노부타카]]가 임시대리를 맡고 있었으나 [[아소 다로]] 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에 취임한 [[이시바 시게루]]는 이 사태에 "누구한테서 사무를 이어받아야 하지?"라며 취임시 인터뷰에서 이를 비꼬았다. [[2009년]] 탄생한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의 [[아카마츠 히로타카]]는 이듬해 구제역문제의 늑장 대응으로 비판을 받아 각료의 태반이 잔류한 6월의 [[간 내각]]에서 책임을 지는 형태로 퇴임했다. 후임으로 부대신에서 승격한 야마다 마사히코는 직무 그 자체는 무난히 수행했지만 2010년 9월 민주당 대표 선거에서 총리와 대립하는 [[오자와 이치로]] 후보를 지원했기 때문에 불과 3개월만에 퇴임했다. [[간 제1차 개조내각]]에서는 [[카노 미치히코]]가 직무를 무난히 수행했지만 중국 서기관의 스파이 의혹에 직면해 2012년 6월의 [[노다 제2차 개조내각]]의 발족에 따라 퇴임, [[군지 아키라]]가 농림수산대신에 취임했다. 짧지만 직무 자체는 무난히 수행했던 야마다나 스파이 의혹에 직면하기 전의 카노가 1년 이상 직무를 무난히 수행했듯이, 민주당 정권에 들어와서는 불상사에 의한 사임이나 그 후의 불행은 줄어들었다. 이번에는 재직 이후에 불행이 시작되어 [[2020년]] 12월 전 농림수산대신이었던 [[요시카와 다카모리]] 의원이 뇌물수수 의혹으로 의원 직을 사퇴했으며, 전 도치기 2구의 [[니시카와 고야]]가 [[https://www.asahi.com/sp/articles/ASPCH664LPCCUTIL01K.html?iref=sptop_7_02|뇌물수수를 가졌다고 인정한 것이다.]] 또한 일본국 헌법 하에 지금까지 파면된 국무대신은 5명인데, 그 무려 3명이 농림수산대신이다.[* 2023년 기준으로 11개의 부처에 대신들이 한명씩 있고 거기에 무임소대신들까지 있으니 대단하다면 대단한 기록이다.] == 외국 == * 임야청(林野庁): 대한민국 [[산림청]]에 해당한다. * 수산청(水産庁) == 특수법인 == * [[일본중앙경마회]] == 매체에서 == * [[임금체불 시뮬레이션 DX]]의 2스테이지 야채가게에서 식품위생법을 안 지키는 플레이어의 회사를 단속하는 기관으로써 [[식약처]]의 일본어 현지화 버전으로 등장한다. [[분류:일본의 국가행정조직]][[분류:농업부]][[분류:2001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