農家集成 [목차] == 개요 == [[조선]] [[효종(조선)|효종]] 6년, 1655년에 [[신속]](申洬)이 편찬한 농업지침서. 1655년에 나온 초간본, 1656년에 나온 십행본(十行本), 1686년에 나온 숭정본(崇禎本) 등이 있으며 시대에 따라 조금씩 각 시대의 풍토에 맞게 보수와 개수가 이루어졌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 특징 == [[농사직설]], [[금양잡록]], 사시찬요초, 구황촬요 등의 농서들을 참고, 개수하고 증보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풍토에 맞추어 내용이 적절히 교정되었고, 우리나라 고유의 농사 기술도 많이 언급되고 있다. 이전 농서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농작물 사이에 균형을 맞췄다는 것이다. 이전에 쓰던 [[농상집요]], [[농사직설]]은 주로 곡물농사, 그 중에서도 벼농사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농가집성은 여기에 추가로 [[원예학]], 특용작물, 양잠, 재수(栽樹), 나무의 생육과 쓰임새 등의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모내기]], 못자리 관리법, 잡초제거 방법, [[화전(농업)|화전]], [[목화]] 재배법, 80여가지의 곡식 작물의 품종에 대한 설명, 곡물 품종별로 파종기·성숙기·적절한 지형에 대한 설명, 각 지방의 기후와 지세, 사시순(四時順), 월별, 그리고 24기절 별로 각종 곡물의 경종법에 대한 내용, 기타 채소와 약용식물의 재배법, 솔잎 등 식용 가능한 각종 초목에 대한 내용, 곡식가루를 중심으로 가루를 내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대용식품을 만드는 법 등이 나온다. 다른 농서들과는 달리 국어사적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참고자료 중 하나다. [[농상집요]]와 같은 대부분의 조선시대 이전 한국 농서들이 한자로만 이루어진 반면 조선 이후의 농서들인 농서집요, [[농사직설]], [[금양잡록]], 농가집성 등은 고유어를 [[이두]]와 [[한글]]로 표기해 놓았다. [[분류:조선의 도서]] [[분류:규장각 소장품]] [[분류:국립중앙도서관 소장품]] [[분류: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품]] [[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농업]][[분류:17세기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