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논산시/정치, top2=계룡시/정치, top3=금산군/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충청남도)]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충청남도의 정치]][[분류:논산시]][[분류:계룡시]][[분류:금산군]]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논산시·계룡시·금산군}}}}}}'''[br]{{{-1 {{{#fff [[논산시|{{{#fff 논산시}}}]], [[계룡시|{{{#fff 계룡시}}}]], [[금산군|{{{#fff 금산군}}}]][br]論山市·鷄龍市·錦山郡[br]Nonsan–Gyeryong–Geumsa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논산시·계룡시·금산군.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12,894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충청남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논산시|{{{#373a3c,#ddd 논산시}}}]] 전역''' 취암동, 부창동, 강경읍, 연무읍, 성동면,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부적면, 연산면, 벌곡면, 양촌면, 은진면, 채운면, 가야곡면 ---- '''[[계룡시|{{{#373a3c,#ddd 계룡시}}}]] 전역''' 금암동, 두마면, 엄사면, 신도안면 ---- '''[[금산군|{{{#373a3c,#ddd 금산군}}}]] 전역''' 금산읍, 금성면, 제원면, 부리면, 군북면,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 }}} || ||<-2> '''신설년도''' ||<-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2004년]] || ||<-2> '''이전 선거구''' ||<-2> 논산시·금산군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김종민(1964)|김종민]] || [목차] [clearfix] == 개요 == 15대, 16대 총선에선 [[논산시]]·[[금산군]] 선거구였다가 논산시 두마면이 [[계룡시]]로 새롭게 기초자치단체가 되자 17대 총선 전에 기존 선거구에 계룡을 편입시켜 지금의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선거구가 됐다. 2개의 시+1개 군으로 구성된 선거구는 이 곳이 유일하다.[* 사례가 없었던 건 아닌데, [[영주시·문경시·예천군]] 지역구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존재했지만, [[게리맨더링]]으로 인한 논란으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갈기갈기 찢겨서 한 번만 생겼다 완전히 사라진(....) 지역구가 되었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김종민(1964)|김종민]] 의원이다. 이 지역구에서 비중이 가장 큰 논산시의 경우, 이전에는 이인제의 영향으로 보수 성향이 강했지만, 현재는 천안, 아산, 당진 다음으로 충남에서 진보 성향이 가장 강한 지역으로 꼽힌다. 논산 출신인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의 영향이 강했기 때문. 현재 이 지역구의 김종민 의원 역시 안희정 전 지사와 가까운 사이였다. 반대로 금산은 보수표가 강한 지역이다. 그리고 [[계룡대|육해공 3군본부]]가 있는 계룡은 과거에는 보수성향이 강했으나 박근혜 탄핵 이후로는 스윙보트에 가깝다. 그래서인지 [[출구조사]] 3연속 불발 지역이기도 하다. 한편 14대 총선과 18대 총선에서는 최저 득표율 당선자를 배출하며 흔치 않은 최저 득표율 당선자를 두 번 배출한 지역구이기도 하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2> 제13대 || [[김제태]]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2>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논산군 || || [[유한열]] || [include(틀:무소속)] || 금산군 || ||<|2> 제14대 || [[김범명]] ||<|2> [include(틀:통일국민당)] ||<|2>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논산군 || || [[정태영(정치인)|정태영]] || 금산군 || || 제15대 || [[김범명]]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2> 논산시·금산군 || || 제16대 ||<|4> [[이인제]]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제17대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5> 논산시·계룡시·금산군 || || 제18대 || [include(틀:무소속)]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include(틀:자유선진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2> [[김종민(1964)|김종민]]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2020년 5월 30일 ~ || === 논산군, 금산군 (13~14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논산군'''}}}}}}[br]{{{#ffffff 논산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범명]](金範明) || 32,668 || 2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36.68% || 낙선 || ||<|2> {{{#ffffff {{{+5 '''2'''}}}}}} || [[김한수(1935)|김한수]](金漢洙) || 7,544 || 3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8.47% || 낙선 || ||<|2> {{{#000000 {{{+5 '''3'''}}}}}} || [[김형중(정치인)|김형중]](金亨中) || 4,140 || 4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4.64% || 낙선 || ||<|2> {{{#ffffff {{{+5 '''4'''}}}}}} || '''[[김제태]](金濟泰)''' || '''41,414''' || '''1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46.51%''' || '''{{{#000000 당선}}}''' || ||<|2> {{{#ffffff {{{+5 '''5'''}}}}}} || [[박우석]](朴雨奭) || 3,273 || 5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3.6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6,272 ||<|3> '''투표율'''[br]77.60% || || 투표수 || 90,223 || || 무효표수 || 1,184 || ||<-4> {{{#ffffff {{{+1 '''금산군'''}}}}}}[br]{{{#ffffff 금산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장관정(張官政) || 11,902 || 3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25.99% || 낙선 || ||<|2> {{{#ffffff {{{+5 '''2'''}}}}}} || 김정신(金定信) || 2,433 || 4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5.31% || 낙선 || ||<|2> {{{#ffffff {{{+5 '''3'''}}}}}} || [[정태영(정치인)|정태영]](鄭泰榮) || 13,831 || 2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30.20% || 낙선 || ||<|2> {{{#ffffff {{{+5 '''4'''}}}}}} || [[박찬중]](朴贊中) || 1,707 || 5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3.72% || 낙선 || ||<|2> {{{#ffffff {{{+5 '''5'''}}}}}} || [[인창원]](印昌元) || 996 || 6위 || || [include(틀:우리정의당)] || 2.17% || 낙선 || ||<|2> {{{#ffffff {{{+5 '''6'''}}}}}} || '''[[유한열]](柳漢烈)''' || '''14,922'''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32.58%''' || '''{{{#373a3c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57,487 ||<|3> '''투표율'''[br]80.93% || || '''투표 수''' || 46,526 || || '''무효표 수''' || 735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논산군'''}}}}}}[br]{{{#ffffff 논산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제태]](金濟泰) || 17,657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1.15% || 낙선 || ||<|2> {{{#ffffff {{{+5 '''2'''}}}}}} || [[김형중(정치인)|김형중]](金亨中) || 16,228 || 3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44% || 낙선 || ||<|2> {{{#ffffff {{{+5 '''3'''}}}}}} || '''[[김범명]](金範明)''' || '''20,703''' || '''1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24.80%'''[* 14대 총선 최저득표율 당선.]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조주형]](趙柱衡) || 5,949 || 6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7.12% || 낙선 || ||<|2> {{{#ffffff {{{+5 '''5'''}}}}}} || [[박우석]](朴雨奭) || 6,199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7.42% || 낙선 || ||<|2> {{{#ffffff {{{+5 '''6'''}}}}}} || 우희정(禹熙正) || 1,216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1.45% || 낙선 || ||<|2> {{{#ffffff {{{+5 '''7'''}}}}}} || 윤관식(尹寬植) || 15,506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8.5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0,889 ||<|3> '''투표율'''[br]76.34% || || 투표수 || 84,656 || || 무효표수 || 1,198 || ||<-4> {{{#ffffff {{{+1 '''금산군'''}}}}}}[br]{{{#ffffff 금산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유한열]](柳漢烈) || 11,748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9.50% || 낙선 || ||<|2> {{{#ffffff {{{+5 '''2'''}}}}}} || [[송준빈]](宋俊彬) || 2,134 || 5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5.35% || 낙선 || ||<|2> {{{#ffffff {{{+5 '''3'''}}}}}} || '''[[정태영(정치인)|정태영]](鄭泰榮)''' || '''14,171''' || '''1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35.58%'''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박은영(朴殷永) || 3,151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7.91% || 낙선 || ||<|2> {{{#ffffff {{{+5 '''5'''}}}}}} || 박천우(朴天雨) || 8,61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1.6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2,069 ||<|3> '''투표율'''[br]77.63% || || 투표수 || 40,421 || || 무효표수 || 600 || === 논산시·금산군 (15~16대)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논산시·금산군'''}}}}}}[br]{{{#ffffff 논산시 일원, 금산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유한열]](柳漢烈) || 20,630 || 2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19.36% || 낙선 || ||<|2> {{{#ffffff {{{+5 '''2'''}}}}}} || [[김형중(정치인)|김형중]](金亨中) || 7,235 || 3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6.71% || 낙선 || ||<|2> {{{#ffffff {{{+5 '''3'''}}}}}} || 강희재(姜熙在) || 3,046 || 6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2.85% || 낙선 || ||<|2> {{{#ffffff {{{+5 '''4'''}}}}}} || '''[[김범명]](金範明)''' || '''49,075''' || '''1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46.05%''' || '''당선''' || ||<|2> {{{#ffffff {{{+5 '''5'''}}}}}} || [[임덕규]](林德圭) || 1,334 || 9위 || || [include(틀:무당파국민연합)] || 1.25% || 낙선 || ||<|2> {{{#ffffff {{{+5 '''6'''}}}}}} || 권정수(權正洙) || 571 || 11위 || || [include(틀:친민당(대한민국))] || 0.53% || 낙선 || ||<|2> {{{#ffffff {{{+5 '''7'''}}}}}} || [[박우석]](朴雨奭) || 3,642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3.41% || 낙선 || ||<|2> {{{#ffffff {{{+5 '''8'''}}}}}} || 박종배(朴鐘培) || 1,794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1.68% || 낙선 || ||<|2> {{{#ffffff {{{+5 '''9'''}}}}}} || [[박찬중]](朴贊中) || 1,648 || 8위 || || [include(틀:무소속)] || 1.54% || 낙선 || ||<|2> {{{#ffffff {{{+5 '''10'''}}}}}} || 이훈오(李勳午) || 1,201 || 10위 || || [include(틀:무소속)] || 1.12% || 낙선 || ||<|2> {{{#ffffff {{{+5 '''11'''}}}}}} || 조남근(趙南根) || 5,805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5.4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5,199 ||<|3> '''투표율'''[br]66.46% || || '''투표 수''' || 109,799 || || '''무효표 수''' || 3,245 || 14대까지 단일 선거구였던 금산군의 인구가 하한선 아래로 내려가면서 인접 선거구인 논산시와 통합되었다. 총 11명의 후보가 난립한 가운데, 금산 출신 [[신한국당]] [[유한열]] 후보와 논산 출신 [[자유민주연합|자민련]] [[김범명]] 후보의 2파전 양상으로 판세가 흘러갔고, 압도적으로 인구가 많은 논산 출신 김범명 후보가 큰 표차로 당선되었다.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논산시·금산군'''}}}}}}[br]{{{#ffffff 논산시 일원, 금산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배유현(裵有鉉) || 7,788 || 3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7.60% || 낙선 || ||<|2> {{{#ffffff {{{+5 '''2'''}}}}}} || '''[[이인제]](李仁濟)''' || '''66,957''' || '''1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65.37%'''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김범명]](金範明) || 27,669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27.0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0,649 ||<|3> '''투표율'''[br]61.02% || || 투표수 || 104,126 || || 무효표수 || 1,712 || 당시 [[새천년민주당]] 선거대책위원장이자 여권의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였던 [[이인제]]의 충청권 진출 전략으로 민주당과 [[자유민주연합|자민련]]의 공조가 깨졌고, 본인도 고향인 논산·금산에 출마하면서 이 지역 현역인 자민련 [[김범명]] 의원과 정면대결을 벌이게 되었다. 개표 결과는 대권 주자 버프를 받은 이인제 후보의 압승. [[그러나 이 사진이|그러나 2년 후...]] === 논산시·계룡시·금산군 (17대~)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논산시·계룡시·금산군'''}}}}}}[br]{{{#ffffff 논산시 일원[*논산 취암동, 부창동, 강경읍, 연무읍, 성동면,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부적면, 연산면, 벌곡면, 양촌면, 은진면, 채운면, 가야곡면], 계룡시 일원[*계룡 금암동, 두마면, 엄사면, 신도안면], 금산군 일원[*금산 금산읍, 금성면, 제원면, 부리면, 군북면,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우석]](朴雨奭) || 10,053 || 3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10.67% || 낙선 || ||<|2> {{{#000000 {{{+5 '''3'''}}}}}} || [[양승숙]](梁承淑) || 37,163 || 2위 ||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39.46% || 낙선 || ||<|2> {{{#ffffff {{{+5 '''4'''}}}}}} || '''[[이인제]](李仁濟)''' || '''42,242''' || '''1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44.85%''' || '''{{{#000000 당선}}}''' || ||<|2> {{{#ffffff {{{+5 '''5'''}}}}}} || 윤창순(尹彰淳) || 2,504 || 4위 || || [include(틀: 민주노동당)] || 2.66% || 낙선 || ||<|2> {{{#ffffff {{{+5 '''6'''}}}}}} || 김현숙(金賢淑) || 2,220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2.3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0,756 ||<|3> '''투표율'''[br]56.06% || || '''투표 수''' || 95,721 || || '''무효표 수''' || 1,539 || [[계룡시]]의 신설 이후 처음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탄핵 정국임에도 지역 기반이 탄탄했던 현역 의원 [[이인제]]가 당선되었다. 범여권인 [[열린우리당]]-[[민주노동당]]을 합쳐도 근소하게 못 미쳤다. 한편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인제]]를 꺾고 후보가 된 [[박우석]] 당협위원장은 선거 비용 반액만을 보전받는 10%를 겨우 넘는 득표율에 그쳤다.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논산시·계룡시·금산군'''}}}}}}[br]{{{#ffffff 논산시 일원[*논산 취암동, 부창동, 강경읍, 연무읍, 성동면,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부적면, 연산면, 벌곡면, 양촌면, 은진면, 채운면, 가야곡면], 계룡시 일원[*계룡 금암동, 두마면, 엄사면, 신도안면], 금산군 일원[*금산 금산읍, 금성면, 제원면, 부리면, 군북면,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양승숙]](梁承淑) || 14,974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17.56% || 낙선 || ||<|2> {{{#ffffff {{{+5 '''2'''}}}}}} || 김영갑(金永甲) || 17,739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20.80% || 낙선 || ||<|2> {{{#ffffff {{{+5 '''3'''}}}}}} || 신삼철(申三澈) || 10,454 || 5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12.26% || 낙선 || ||<|2> {{{#ffffff {{{+5 '''6'''}}}}}} || [[심정수(정치인)|심정수]](沈貞洙) || 11,209 || 4위 || || [include(틀:친박연대(2008년))] || 13.15% || 낙선 || ||<|2> {{{#ffffff {{{+5 '''7'''}}}}}} || 이민주(李敏朱) || 1,896 || 7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2.22% || 낙선 || ||<|2> {{{#ffffff {{{+5 '''8'''}}}}}} || [[김범명]](金範明) || 5,400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6.33% || 낙선 || ||<|2> {{{#ffffff {{{+5 '''9'''}}}}}} || '''[[이인제]](李仁濟)''' || '''23,595'''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27.67%'''[* 18대 총선 최저 득표율 당선]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70,075 ||<|3> '''투표율'''[br]50.80% || || '''투표 수''' || 86,402 || || '''무효표 수''' || 1,135 || [[파일:99411.jpg]] 이인제가 불과 27.7% 득표로 당선되어, 18대 총선 최저득표율 당선인이 되었다. [[제17대 국회]] 1당인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의 [[양승숙]], [[이명박]] 대통령 당선 직후 허니문 기간이었던 [[한나라당]]의 김영갑, 충청권 지역정당 [[자유선진당]]의 신삼철, 당시 [[박근혜]]의 인기를 등에 업은 [[미래희망연대|친박연대]]의 심정수, 지역 원로 [[김범명]], 그리고 현역 [[이인제]]까지 당 또는 개인의 경쟁력이 있던 후보가 많이 나와서 매우 치열한 선거였다. 여담으로 자막에 나온 [[김태년]]은 결국 [[신영수]]에게 밀려 '''129표(0.16%p)''' 차이로 낙선했다. 하지만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다음 총선]]에서 '''13,573표(14.53%p)''' 차이로 깔끔하게 설욕하고 21대까지 내리 당선된다.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논산시·계룡시·금산군'''}}}}}}[br]{{{#ffffff 논산시 일원[*논산 취암동, 부창동, 강경읍, 연무읍, 성동면,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부적면, 연산면, 벌곡면, 양촌면, 은진면, 채운면, 가야곡면], 계룡시 일원[*계룡 금암동, 두마면, 엄사면, 신도안면], 금산군 일원[*금산 금산읍, 금성면, 제원면, 부리면, 군북면,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창원(李昌遠) || 16,827 || 3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17.78% || 낙선 || ||<|2> {{{#3AB34A {{{+5 '''2'''}}}}}} || [[김종민(1964)|김종민]](金鍾民) || 37,701 || 2위 || || [include(틀: 민주통합당)] || 39.85% || 낙선 || ||<|2> {{{#ffffff {{{+5 '''3'''}}}}}} || '''[[이인제]](李仁濟)''' || '''40,076''' || '''1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42.36%''' || {{{#000000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80,248 ||<|3> '''투표율'''[br]53.24% || || '''투표 수''' || 95,966 || || '''무효표 수''' || 1,362 || 현역 의원 [[이인제]]가 소속 정당 [[자유선진당]]의 몰락에도 불구하고 지역구를 3%차로 아슬아슬하게 지켜냈다. 참고로 출구조사에선 [[김종민(1964)|김종민]]이 이기는 것으로 나왔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논산시·계룡시·금산군|{{{#ffffff {{{+1 '''논산시·계룡시·금산군'''}}}}}}]][br]{{{#ffffff 논산시 일원[*논산 취암동, 부창동, 강경읍, 연무읍, 성동면,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부적면, 연산면, 벌곡면, 양촌면, 은진면, 채운면, 가야곡면], 계룡시 일원[*계룡 금암동, 두마면, 엄사면, 신도안면], 금산군 일원[*금산 금산읍, 금성면, 제원면, 부리면, 군북면,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인제]](李仁濟) || 44,165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2.55% || 낙선 || ||<|2> {{{#ffffff {{{+5 '''2'''}}}}}} || '''[[김종민(1964)|김종민]](金鍾民)''' || '''45,203'''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3.55%'''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이환식(李桓植) || 14,417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3.8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1,987 ||<|3> '''투표율'''[br]57.93% || || '''투표 수''' || 105,424 || || '''무효표 수''' || 1,639 || 20대 총선에서의 주요 격전지 중 한 곳이다. [[이인제|피닉제]]의 당선 여부가 관심사였지만,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후보가 근소하게 앞섰다. 19대와는 달리 출구조사에서는 이인제가 앞섰다. 9번의 선거를 치르는 동안 [[제15대 대통령 선거|2번의]] [[제17대 대통령 선거|대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당선[* 6선 의원, 제29대 경기도지사]되었던 이인제가 '''처음으로 대선 이외의 선거에서 낙선'''한 선거다.[* 2년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에서 충남지사 후보로 출마해 다시 낙선하면서 피닉제 전설은 막을 내리게 된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논산시·계룡시·금산군|{{{#ffffff {{{+1 '''논산시·계룡시·금산군'''}}}}}}]][br]{{{#ffffff 논산시 일원[*논산 취암동, 부창동, 강경읍, 연무읍, 성동면,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부적면, 연산면, 벌곡면, 양촌면, 은진면, 채운면, 가야곡면], 계룡시 일원[*계룡 금암동, 두마면, 엄사면, 신도안면], 금산군 일원[*금산 금산읍, 금성면, 제원면, 부리면, 군북면,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종민(1964)|김종민]](金鍾民)''' || '''58,319'''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51.01%'''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박우석]](朴雨奭) || 52,984 || 2위 ||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46.34% || 낙선 || ||<|2> {{{#ffffff {{{+5 '''3'''}}}}}} || 한민희(韓珉熙) || 1,762 || 3위 || || [include(틀: 민생당)] || 1.54% || 낙선 || ||<|2> {{{#ffffff {{{+5 '''7'''}}}}}} || 명소윤(明玿奫) || 1,261 || 4위 || || [include(틀: 국가혁명배당금당)] || 1.1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2,155 ||<|3> '''투표율'''[br]63.79% || || '''투표 수''' || 116,199 || || '''무효표 수''' || 1,873 || ||<-10> {{{#ffffff '''21대 총선 논산시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논산시·계룡시·금산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종민(1964)|{{{#ffffff '''김종민'''}}}]] || [[박우석|{{{#ffffff 박우석}}}]]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32,931 [br] (52.74%)'''}}} || '''28,110 [br] (45.01%)''' || '''+ 4,821 [br] (△7.72)''' || '''63,408 [br] (61.62%)''' || || '''취암동''' || {{{#004ea2 56.21%}}} || 41.73% || △14.48 || 58.67 || || '''부창동''' || {{{#004ea2 52.32%}}} || 45.40% || △6.92 || 57.59 || || '''강경읍''' || {{{#004ea2 '''59.26%'''}}} || {{{#696969 38.74%}}} || '''△20.52''' || 57.86 || || '''연무읍''' || {{{#004ea2 56.23%}}} || 41.76% || △14.47 || {{{#696969 57.43}}} || || '''성동면''' || 45.53% || {{{#ef426f 52.65%}}} || ▼7.12 || 60.33 || || '''광석면''' || 47.14% || {{{#ef426f 50.65%}}} || ▼3.51 || 61.82 || || '''노성면''' || 42.75% || {{{#ef426f 55.51%}}} || ▼12.76 || 61.56 || || '''상월면''' || {{{#004ea2 50.72%}}} || 46.79% || △3.92 || 62.40 || || '''부적면''' || {{{#004ea2 50.06%}}} || 47.77% || △2.29 || 66.59 || || '''연산면''' || 41.76% || {{{#ef426f 55.92%}}} || ▼14.16 || 61.68 || || '''벌곡면''' || {{{#696969 39.93%}}} || {{{#ef426f '''57.65%'''}}} || {{{#696969 ▼17.72}}} || 63.62 || || '''양촌면''' || 47.25% || {{{#ef426f 50.85%}}} || ▼3.60 || 59.08 || || '''가야곡면''' || 42.59% || {{{#ef426f 55.92%}}} || ▼13.33 || 61.94 || || '''은진면''' || 47.98% || {{{#ef426f 50.09%}}} || ▼2.11 || 61.56 || || '''채운면''' || {{{#004ea2 53.21%}}} || 44.35% || △8.86 || '''67.00''' || || '''후보''' || [[김종민(1964)|{{{#004ea2 '''김종민'''}}}]] || [[박우석|{{{#ef426f 박우석}}}]]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0.71%}}} || 41.14% ||<-2> △9.57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3.72%}}} || 32.31% ||<-2> △31.41 || || '''재외투표''' || {{{#004ea2 86.36%}}} || 13.63% ||<-2> △72.73 || ||<-10> {{{#ffffff '''21대 총선 계룡시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논산시·계룡시·금산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종민(1964)|{{{#ffffff '''김종민'''}}}]] || [[박우석|{{{#ffffff 박우석}}}]]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2,384 [br] (52.04%)'''}}} || '''10,590 [br] (44.50%)''' || '''+ 1,794 [br] (△7.54)''' || '''24,097 [br] (71.77%)''' || || '''금암동''' || {{{#004ea2 '''53.00%'''}}} || 44.81% || '''△8.18''' || 72.90 || || '''두마면''' || {{{#4169e1 50.38%}}} || '''46.90%''' || {{{#696969 △3.48}}} || 73.55 || || '''엄사면''' || {{{#004ea2 51.91%}}} || 44.69% || △7.22 || {{{#696969 64.15}}} || || '''신도안면''' || {{{#004ea2 51.24%}}} || {{{#696969 44.32%}}} || △6.91 || '''74.92''' || || '''후보''' || [[김종민(1964)|{{{#004ea2 '''김종민'''}}}]] || [[박우석|{{{#ef426f 박우석}}}]]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1.32%}}} || 40.70% ||<-2> △10.62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4.45%}}} || 40.45% ||<-2> △14.00 || || '''재외투표''' || {{{#004ea2 55.00%}}} || 40.00% ||<-2> △15.00 || ||<-10> {{{#ffffff '''21대 총선 금산군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논산시·계룡시·금산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종민(1964)|{{{#ffffff '''김종민'''}}}]] || [[박우석|{{{#ffffff 박우석}}}]] || || '''득표수[br](득표율)''' || '''13,004 [br] (46.28%)''' || {{{#ffffff '''14,284 [br] (50.84%)'''}}} || '''- 1,280 [br] (▼4.56)''' || '''28,694 [br] (62.80%)''' || || '''금산읍''' || 47.30% || {{{#ef426f 49.82%}}} || ▼2.51 || 60.15 || || '''금성면''' || 45.49% || {{{#ef426f 51.52%}}} || ▼6.03 || 58.63 || || '''제원면''' || 39.39% || {{{#ef426f 57.52%}}} || ▼18.13 || 60.02 || || '''부리면''' || 41.17% || {{{#ef426f 55.39%}}} || ▼14.22 || 60.23 || || '''군북면''' || 41.09% || {{{#ef426f 56.87%}}} || ▼15.79 || 60.97 || || '''남일면''' || 42.82% || {{{#ef426f 54.23%}}} || ▼11.41 || 63.00 || || '''남이면''' || 47.89% || {{{#ef426f 50.00%}}} || ▼2.11 || {{{#696969 58.22}}} || || '''진산면''' || 43.20% || {{{#ef426f 54.37%}}} || ▼11.18 || '''67.29''' || || '''복수면''' || {{{#696969 38.43%}}} || {{{#ef426f '''58.23%'''}}} || {{{#696969 ▼19.79}}} || 62.32 || || '''추부면''' || '''48.67%''' || {{{#ff7e9d 48.87%}}} || '''▼0.19''' || 60.35 || || '''후보''' || [[김종민(1964)|{{{#004ea2 '''김종민'''}}}]] || [[박우석|{{{#ef426f 박우석}}}]]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1.81% || {{{#ef426f 54.54%}}} ||<-2> ▼22.73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8.16%}}} || 38.52% ||<-2> △19.65 || || '''재외투표''' || {{{#004ea2 72.00%}}} || 28.00% ||<-2> △44.00 || 여당 더불어민주당은 현역 [[김종민(1964)|김종민]] 의원과 [[양승숙]] 전 충남 여성정책개발원장[* 예비역 준장이다.]과의 경선을 통해 김종민이 공천을 받아 재선에 도전하게 되었다. 제1야당 미래통합당에서는 [[이인제]] 전 경기도지사와 이창원 세무사, [[박우석]] 전 한나라당 논산계룡금산 지구당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되어있었으나, 공관위에서 이인제와 이창원 예비후보를 컷오프하고 박우석을 단수 공천했다. 개표 결과, 출구조사의 경합 열세 예측을 뒤엎고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이 과반 득표율을 넘기며 미래통합당 박우석 후보를 꺾고 재선에 성공했다. 여담으로 이 지역구는 19, 20대 때도 출구조사 결과가 근소하게 틀렸던 적이 있어서, 출구조사 [[3연벙]]이라는 이상한 기록이 세워졌다. 세부적으로는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후보는 논산시와 계룡시에서 승리했고, 미래통합당 박우석 후보는 금산군에서 승리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논산시·계룡시·금산군|{{{#ffffff {{{+1 '''논산시·계룡시·금산군'''}}}}}}]][br]{{{#ffffff 논산시 일원[*논산 취암동, 부창동, 강경읍, 연무읍, 성동면,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부적면, 연산면, 벌곡면, 양촌면, 은진면, 채운면, 가야곡면.], 계룡시 일원[*계룡 금암동, 두마면, 엄사면, 신도안면.], 금산군 일원[*금산 금산읍, 금성면, 제원면, 부리면, 군북면,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논산시에서 시장을 3연임했었던 [[황명선]] 전 시장이 논산시장 이력을 바탕으로 국회의원 선거에 같은 당 김종민 의원 지역구인 논산시·계룡시·금산군에 출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종민 의원은 계파상 이낙연계에 가까운 것으로 분류되고, 황명선 전 시장은 이재명계로 분류되기 때문에 만약 차기 국회의원 선거 경선에서 맞붙게 된다면 계파간 싸움이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