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논산시)] [include(틀:논산시의 읍면동)]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nsan-map.png|width=510]] || [목차] == 동 == 행정동이 단 2개인데 특이하게도 두 행정복지센터의 위치가 같다. 정문에서 왼쪽(남쪽)이 부창동 청사, 오른쪽(북쪽)이 취암동 청사. 이로써 전국 유일, 모든 동의 행정복지센터가 같은 곳에 있는 시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계룡시는 애초에 동 자체가 하나밖에 없으므로 예외] 게다가 건물 부지가 부창동과 취암동 사이에 양다리를 걸치고 있는 모양새라 건물 주소는 부창동인데 입구는 취암동에 있다. 주로 법정동명으로 많이 부른다. === 부창동 === 관할 법정동은 강산동·등화동·대교동·부창동이다. 인구는 '''15,199명'''.[*A 2023년 10월 주민등록인구통계] 이곳은 주로 주거지역(대림아파트, 강산동신아파트, 부영아파트)이지만 그마저도 취암동에 더 많다. 그 밖에 충청남도교육청 남부평생학습관, 논산세무서가 있다. 학교는 부창초, [[논산중]], [[논산대건중]], 쌘뽈여중, [[논산대건고]], [[쌘뽈여자고등학교|쌘뽈여고]]가 있다. === 취암동 === 관할 법정동은 관촉동·내동·덕지동·반월동·지산동·취암동·화지동이다. 인구는 '''34,605명'''[*A]으로 논산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논산소방서]], 논산시보건소, [[충청남도논산계룡교육지원청]], 논산시민운동장, 논산우체국, [[논산고속버스터미널]], [[논산시외버스터미널]], [[논산역]], 논산시청, [[홈플러스]] 논산점, [[CGV 논산]]이 다 이 곳에 있어 그야말로 [[논산시]]의 행정적 중심지. 시내버스를 독점 운행 중인 [[덕성여객]]도 이 동네에 본사가 있다. 논산시 유일의 종합병원인 백제병원이 있다. 학교는 내동초, 논산중앙초, 동성초, 반월초, [[기민중]], 논산여중, [[논산고]], [[논산공고]], 논산여고, [[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논산여상고]], 충남체고가 있다. 관촉동 [[관촉사]]에는 거대한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 있는데, '''은진미륵'''이라고 불린다([[http://blog.daum.net/bolee591/16154638|#]] [[http://news.chungnam.net/news/articleView.html?idxno=43866|은진미륵에 얽힌 이야기]]). [[대웅전]] 오르는 돌계단에 1965년에 세운 [[이승만]] 박사 추모비가 있다. [[건양대학교/논산 창의융합캠퍼스|건양대학교 캠퍼스 일부]]가 내동에 있다. == 읍 == === [[강경읍]] === 읍소재지는 남교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남교리·대흥리·동홍리·북옥리·산양리·서창리·염천리·중앙리·채산리·채운리·태평리·홍교리·황산리] 인구는 '''7,511명'''.[*A] [[젓갈]]이 유명하며, 조선시대에 수운으로 번성했던 곳이다. 과거의 영화를 반영하듯 [[논산경찰서]][* 게다가 명칭도 소재지의 하위 행정구역명을 따서 강경경찰서라 했다가 지금은 상위 행정구역명인 논산경찰서로 바뀐 거다.]와 [[대전지방법원]] 논산지원, [[대전지방검찰청 논산지청]]이 논산시내가 아니라 여기 있다. 이걸 행정편의 때문에 취암동으로 옮기자는 얘기가 나오는데 강경읍 주민들이 반발이 거세다. [[강경시외버스터미널]]이 있으나 현재는 모든 노선이 운행 중단되었다. 학교는 강경산양초, 강경중앙초, 강경황산초, 강경중, 강경여중, [[강경고]], [[강경상업고등학교|강경상고]]가 있다.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가 채운리에 있다. 도서관으로는 강경도서관이 있다. 사실 40~50년 전만 해도 논산시내보다 번영했던 동네이며, 이를 반영하듯이 지금의 논산 시내인 논산읍(1938년 승격)보다도 먼저 읍으로 승격(1931년)되었다.[* 여담으로 (남한 한정으로) [[철원읍]], [[조치원읍]]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읍으로서의 역사가 가장 오래된 곳이다. 이 세 읍은 모두 '''1931년'''에 읍으로 승격된 이래 시로 승격되지 못한 채 오늘날까지도 읍으로 남아 있다. 근처에 있는 대전도 1931년에 함께 읍으로 승격했지만 지금은 광역시가 되었다.] 그 좁은 면적에 법정리가 13개나 된다는 것이 과거의 인구가 많았다는걸 보여준다. 그 덕분에 행정기관이 다 이곳으로 몰린 것. [[부여군]]의 임천면, 세도면 등과 가까워서 그쪽 사람들은 주로 이곳으로 놀러 나간다. 이쪽은 충남보다는 전북에 가까운 면이 있어서 그런지, 2008~9년경에 강경의 행정기관을 취암동이나 부창동 쪽으로 이전한다는 소리가 나오자, 그럴거면 차라리 전북으로 편입시켜 달라며 시위를 하기도 했다(익산시내버스가 강경읍까지 들어온다). 실제로 [[익산시]] 망성면과 바로 붙어있고, 강경은 충남에서 전북으로 들어가는 길목이다. [[호남선]] [[강경역]]이 있다. [[논산천]], 강경천이 합쳐져 금강과 만나는 곳 근처에 옥녀봉이 있다. 채운리가 있는데,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지명|엉뚱하게도 채운면이 아닌 강경읍에 있다]]. 사실 채운면의 유래가 된 채운산부터 강경읍([[강경역]] 뒷산)에 있는데, 거기까지도 원래 채운면이었다. 채운리(옛 채운면 제내리), 산양리, 채산리가 1931년 채운면에서 편입된 곳이다. 황산리에는 실질월경지가 존재한다. 이곳은 부여군 가회리와 붙어있으며 강경의 다른 지역과는 금강으로 단절되어 있다. === [[연무읍]] === 읍소재지는 마산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고내리·금곡리·동산리·마산리·마전리·봉동리·소룡리·신화리·안심리·양지리·죽본리·죽평리·황화정리] 인구는 '''12,881명'''[*A]으로 논산시의 읍면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여산면, [[완주군]] 화산면과 직접 접한다. 1963년 1월 1일 논산군 구자곡면과 익산군 황화면이 통합되면서 승격되었다. 금곡리·동산리·마산리·소룡리·양지리·죽본리·죽평리는 구자곡면, 고내리·마전리·봉동리·신화리·안심리·황화정리는 황화면에 속했던 곳이다. 구자곡면 중에서 삼전리·왕암리·야촌리는 가야곡면, 시묘리는 은진면에 편입되었다. 연무읍 하면 뭐니뭐니해도 '''[[육군훈련소]]'''가 유명하다. 육군훈련소의 별칭은 [[이승만]] 대통령이 하사한 명칭 '연무대(鍊武臺, 무예를 연마하는 곳)'인데 연무읍에 있어서 연무대라는 이름이 붙은 것이 아니고 연무대라는 이름이 먼저 지어지고 이 지역에 마을이 생기면서 연무읍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상술한 것처럼 인위적으로 2개 면이 합쳐져서 생긴 읍이기도 하고. 육군훈련소 부대 내에는 [[육군훈련소지구병원]]이 있다. 학교는 구자곡초, 연무초, 연무중앙초, [[연무중학교(충남)|연무중]], [[연무여자중학교|연무여중]], [[연무고]], [[연무마이스터고등학교|연무마이스터고]]가 있다. 안심리에 연무도서관이 있다. [[호남고속도로지선]] [[논산IC|논산 나들목]]이 있다. 또한 해당 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가 만나는 [[논산JC|논산 분기점]]도 있다. 대중교통 시설로 [[연무대고속버스터미널]], [[연무시외버스정류소]]가 있다. == 면 == === 가야곡면 === 면소재지는 육곡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 강천리·두월리·등리·목곡리·병암리·산도리·삼전리·야촌리·양촌리·왕암리·육곡리·조정리·종연리·함적리] 면의 동서로 [[호남고속도로지선]]이 지난다. 인구는 '''3,228명'''.[*A] 면 북부의 부적면과 접경한 곳에 탑정저수지가 있는데 규모가 꽤 크다. 왕암리에 [[한국야쿠르트]] [[진주햄]] 논산공장이 있고 야촌리에 [[빙그레(기업)|빙그레]] 논산공장이 있다. 학교는 가야곡초가 있다. 643번 지방도를 통해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과 접한다. === 광석면 === 면소재지는 신당리, 관할 법정리는 12개이다.[* 갈산리·광리·득윤리·사월리·산동리·신당리·오강리·왕전리·율리·중리·천동리·항월리] 옛 노성현에 속했다. 인구는 '''3,973명'''.[*A] 면의 서쪽에 [[논산천안고속도로]]가 지나며 [[서논산IC|서논산 나들목]]이 있다. 석성천을 경계로 [[부여군]]과 접한다. 소랑 돼지를 참 많이 키우는 곳이다. 득윤리를 통과할 때는 창문을 닫는 걸 추천하는데, 그 이유는 득윤리에 소와 돼지의 분뇨로 비료를 만드는 공장이 있어서이다. 학교는 광석초, 왕전초, 광석중이 있다. === 노성면 === 면소재지는 읍내리로,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 가곡리·교촌리·구암리·노티리·두사리·병사리·송당리·읍내리·장구리·죽림리·하도리·호암리·화곡리·효죽리] 인구는 '''2,762명'''.[*A] [[윤증]] 고택, 노성산성, 노성[[향교]]와 궐리사[* 공자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으로 국내에는 두 곳이 있다. 다른 한 곳은 [[경기도]] [[오산시]] 소재. 오산시에 '궐동'이 있는데, 오산읍 시절 '궐리'였다.]가 있다. 논산 [[딸기]]의 주요 생산지이다. 그 외에 방울[[토마토]], [[멜론]]을 생산하기도 한다. 말하자면 밭농사 특화지역이다. [[비닐하우스]]가 널려있다. 참[[게]]를 생산하기도 한다. [[공주시]] 이인면, 탄천면과 접한다. 송당리에 [[육군항공학교]]가 있다. 학교는 노성초, 노성중이 있다. 노성면 화곡리에서 북쪽으로 가다 보면 공주시 이인면 신영리가 나온다. [[공주역]]이 있는 그곳이다. 제20대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인 [[윤석열]]의 [[등록기준지]]다. === [[벌곡면]] === 면소재지는 한삼천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검천리·내덕리·덕곡리·덕목리·도산리·만목리·사정리·수락리·신양리·양산리·어곡리·조동리·한삼천리] 인구는 '''2,388명'''.[*A] [[대둔산]] 자락에 위치해 있으며, 지리적으로 천호산-대둔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으로 논산시 타 지역과 구분된다. 면을 관통하는 [[갑천]]은 대전을 흐르는 그 갑천으로, 생활권도 논산쪽이 아니라 대전이라고 보면 되며 가장 자주 운행되는 시내버스도 [[대전 버스 21]]이다. 피서지로 수락계곡이 있다. 학교는 도산초, 벌곡초가 있다. [[68번 지방도]]를 통해 [[금산군]] 진산면과 접한다. 북쪽으로는 [[계룡시]] 두마면, [[대전광역시]] 서구와 접한다. [[호남고속도로지선]]이 통과하며 [[벌곡휴게소]]가 유명하다. === 부적면 === 면소재지는 마구평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감곡리·덕평리·마구평리·반송리·부인리·부황리·신교리·신풍리·아호리·왕덕리·외성리·충곡리·탑정리] 인구는 '''3,360명'''.[*A] 논산시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탑정저수지 북쪽에 위치하며 하천 유역에 넓은 충적범람원이 발달되어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다. [[호남선]] [[부황역]], 휴정서원, [[계백]] 장군의 묘[* 옆에 백제군사박물관이 있다.]가 있다. 학교는 감곡초, 부적초가 있다. === 상월면 === 면소재지는 신충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대명리·대우리·대촌리·산성리·상도리·석종리·숙진리·신충리·월오리·주곡리·지경리·학당리·한천리] 인구는 '''3,389명'''.[*A] 동부는 뿌리채소를, 중남부는 벼농사나 특수작물을 재배한다고 한다. 이곳도 딸기 농사를 많이 짓는다. [[금강대학교]]가 대명리에 있다. 학교는 대명초, 상월초가 있다. [[공주시]] 계룡면과 접한다. === 성동면 === 면소재지는 원남리, 관할 법정리는 11개이다.[* 개척리·병촌리·삼산리·삼호리·우곡리·원남리·원봉리·원북리·월성리·정지리·화정리] 인구는 '''3,843명'''.[*A] 서쪽에 금강과 접해 있으며 [[논산천안고속도로]]가 면의 남북을 지난다. 이외에도 논산일반산업단지가 이곳에 있다. 학교는 성동초, 원봉초와 특수학교인 성광온누리학교가 있다. [[부여군]] 석성면과 접한다. === 양촌면 === 면소재지는 인천리, 관할 법정리는 17개이다.[* 거사리·남산리·도평리·명암리·모촌리·반곡리·반암리·산직리·석서리·신기리·신흥리·양촌리·오산리·인천리·임화리·중산리·채광리] 인구는 '''5,925명'''.[*A] [[쌍계사]]가 있는데, 영조 15년에 건립되었다. 특히 대웅전 문살이 유명하다. 그리고 이 지역 특산물로 양촌막걸리가 있다. [[호남고속도로지선]]에 [[양촌IC|양촌하이패스 나들목]]이 있다. 거사리에는 [[국방대학교]]가 있다.[* 원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덕동에 있다가 혁신도시 사업으로 인해서 2017년 9월에 이전되었다.] 논산시내를 거치지 않고 대전으로 바로 가는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학교는 반곡초, 양촌초, [[건양중학교|건양중]], [[건양고]]가 있다. 697번 지방도를 통해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과 접한다. 연무읍과 함께 조선시대에는 (일부분이지만) 전라도에 속했던 곳으로, 면소재지인 도평리부터 논산천 상류부의 5개 리는 전주부 양량소면을 이루었고, 임화리와 석서리는 고산군 운서상면이었다가 둘 모두 월경지와 땅거스러미 정리를 위한 1905년 칙령을 통해 연산과 은진 권역으로 넘어왔다. === 연산면 === 면소재지는 청동리, 관할 법정리는 20개이다.[* 고양리·고정리·관동리·덕암리·백석리·사포리·송산리·송정리·신암리·신양리·어은리·연산리·오산리·임리·장전리·천호리·청동리·표정리·한전리·화익리] [[황산벌|황산]](黃山)이라 불리던 곳으로, [[계백]]장군이 [[신라]]에 최후 항전을 했다는 [[황산벌 전투]]가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인구는 '''5,854명'''.[*A] [[호남선]] [[연산역(호남선)|연산역]]이 청동리에 있지만, 특이하게도 옛 연산군의 중심지였던 연산리가 더 번화하다. [[개태사]], 연산[[향교]], 돈암서원, 논산한옥마을이 있다. 연산 [[오골계]]와 연산[[순댓국|순대국밥]]이 유명하다(양이 굉장히 많다). [[돈암서원]], 그리고 2013년에 폐교된 [[한민학교]]가 이곳에 있다. 학교는 백석초, 연산초, 청동초, 연산중, [[충남인터넷고]]가 있다. 동북쪽은 [[계룡시]] 엄사면과 접한다. 논산시내보다 인접한 계룡시와 교류가 더 많다. === 은진면 === 면소재지는 연서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 교촌리·남산리·방축리·성덕리·성평리·시묘리·연서리·와야리·용산리·토양리] 인구는 '''3,832명'''.[*A] 은진[[향교]]가 있다. [[송(성씨)|송씨]] 본관 중 하나인 [[은진 송씨]]의 '은진'이 바로 이 곳이며 [[1번 국도]]가 면의 남북을 지나는 것을 빼면 별 특색없는 농촌이다. 인근의 논산면(현재 부창동·취암동)이 호남선때문에 빠르게 도시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탓에 낙후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논산시내(동 지역) 중 부창동, 등화동, 강산동, 내동도 원래 은진면이었다가, 일제강점기 동안 논산 시가지가 확장되면서 논산읍에 편입된 것. 와야리에는 [[건양대학교]]가 있으며 그 덕분에 내동 시가지와 연속되어 있다. 학교는 성덕초, 은진초가 있다. 여기 중앙로라는 왕복 4차로에서 1차로로 급격하게 차선이 줄어드는 도로가 있으니 통행에 주의할 것. 변전소 이설 문제 때문에 그런 것 같다. === [[채운면]] === 면소재지는 화산리, 관할 법정리는 7개이다.[* 삼거리·심암리·야화리·우기리·장화리·화산리·화정리] 인구는 '''2,083명'''.[*A] 논산평야의 중심지로, 논이 펼쳐져 있으며 산이라고 할 만한 곳이 없다. 논농사 특화 지역이다. 호남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채운역]]이 있지만 신호장이라 여객취급은 하지 않는다. 다만 지선인 강경선이 채운역에서 분기된다. [[23번 국도]]가 면의 북부를 동서로 지난다. [[논산천안고속도로]] [[연무IC|연무 나들목]][* 정확히는 진출입로는 연무읍, IC(나들목) 자체는 채운면에 있다.]이 있다. 학교는 이화초, 채운초가 있다. [각주] [[분류:논산시]] [[분류:논산시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