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과학 연구·실험)] [목차] == 설명 == '''Thesis Submission Qualification Exam''' [[대학원]]에서 [[대학원생]]들이 학위논문을 제출하기 이전에 의무적으로 미리 치르게 되는 전공시험. 일명 '논자시'라고 줄여서 말하며 일부 학교에서는 '종합시험 (약칭은 종시)', '전공자격시험' 등으로 쓴다. 영어명칭으로는 학교에 따라 Qualification Exam 혹은 Qualifying Exam, 줄여서 QE 혹은 퀄(Qual)이라고도 부른다. 일부 학교는 Comprehensive Exam을 쓰기도 한다. 제출 이전이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프로포절|연구계획서]]를 제출하기 이전에 이 시험을 보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인 학사일정은 각 [[대학]]이나 과마다 다르다. 몇몇 학교의 경우 일정 학점을 넘으면 면제해주는 학교도 있다. 대략 27학점 기준으로 평균 B~B+ 이상이면 면제 기준에 해당하는데, 각 대학마다, 대학 내에서도 학과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학사 공지를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 좀 엄격한 곳은 A+ 맞은 과목만 면제해주거나, 아예 면제 제도가 없는 곳도 있다.]. 혹은 석사 과정은 논문제출자격시험 자체가 없고 통합 및 박사 과정만 치르는 학교도 있다. 연구주제는 당연히 자기 전공과목인데, [[학부생]]의 졸업시험처럼 몇몇 주제들을 정해서 응시하게 되어 있다.(당연하지만 대학원에서 배웠던 강의주제 내에서) 보통 자신이 과거에 수강한 적이 있는 대학원 강의에 대한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으며 [* 그렇기 때문에 차후 자신의 논문출판에 차질이 생기지 않게 하려면 대학원 강의수강도 잘 선택할 필요가 있다.][* 세미나 및 현장실습의 경우 수강을 하고 A+을 받더라도 논문제출자격시험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더군다나 해당 과목의 담당 교수가 퇴직이나 사망으로 부재한 데다 후임 교수도 따로 없는 경우 역시 아예 신청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렇지 않다 해도 대학원생에 걸맞은 수준의 전문성을 테스트하기에 부담감이 상당하다. 여기서 합격해야 비로소 학위[[논문]] 출판의 장대한 여정을 시작할 수 있다. 시험시간은 대략 2~5시간이며, 디테일한 면에서는 난이도를 제외하면[* 당연히 학부보다는 깊고 어려운 내용들이 다수 출제된다. 대학원 강의 자체가 학부에서 배웠던 내용의 심화 버전이기 때문이다.] 학부 졸업시험과 크게 다를 것은 없다. 그리고 언제나 그렇듯이 이런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학과 [[조교]]들이 가장 고생한다. 학교나 과별로 시험과목의 갯수나 평가방식이 다 다르다. 어떤학교는 1~2과목만 보는 학교가 있으며 어떤 학교는 4~5과목까지 늘어나는 학교도 있다.[* 다만 물리학과 등 정형화된 경우는 거의 차이가 없는데 물리학과는 공통적으로 4대역학 필수다.] 어떤 과목을 과락했을 경우, 어느 학교는 과락한 과목만 시험을 봐야하는 학교가 있는 반면, 어느 학교는 과락한 과목 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을 다시 봐야 하는 경우가 있다. 논문자격시험에 떨어졌을 경우, 처리하는 방법도 다른데 어떤 학교는 시험에 통과할 때까지 기회를 주는 반면 '''어떤 학교는 두 번의 기회를 주고 두 번을 떨어질 경우에 논문쓰는 자격을 박탈하는 경우가 있다.''' 대학원생에게 논문쓰는 자격을 박탈하는 경우라는 것은 '''학교를 나가라는 통보'''다. 예전에는 논문자격시험에 대해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아서 될 때까지 기회를 주는 학교가 대다수였으나 현재는 학생들의 질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점점 논문자격시험의 평가를 엄격하게 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다. 논문자격시험의 모습이 학교마다 학과마다 다르기 때문에 입학 전에는 논문자격시험에 대해서 몰랐다가 오리엔테이션을 듣고서 경악하는 경우가 많고 다른 학교 또는 다른 학과와 비교해서 좌절하는 경우도 있다. 대학원을 노리는 학생이라면 입학하기 전에 논문자격시험의 평가방법과 과락했을 때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해서 상세히 알고 대비하는 편이 옳다. 그렇다 해도 학교는 기본적으로 여러분을 졸업시키기 위한 곳이므로 너무 걱정하지 말고 학업에 충실하도록 하자. 본인의 성과만 잘 보여주면 그 어느 교수도 졸업시켜줄 마음은 당연히 가질 것이다. == 관련 문서 == * [[논문]] [[분류:논문]][[분류: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