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모로코의 대외전쟁)] [include(틀:스페인의 대외전쟁)] La ''marcha verde'' المسيرة الخضراء [목차] == 개요 == 綠色行軍. 영어로는 Green March라고 하는데 한국에서는 자료에 따라 '녹색행군'이라고도 하고 '녹색행진'이라고도 한다. == 배경 == 녹색행군을 시작한 모로코의 입장에서, [[서사하라]]는 원래 [[모로코]]령이었으나 [[스페인]]이 강제로 모로코에서 분리하여 [[스페인령 사하라|식민지]]로 삼은 것이었다.[* 사실은 이 모로코의 주장과 달리 [[서사하라]]의 원주민인 사하라위인(Sahwari)들은 역사시대 동안 어떤 단일한 공동체나 [[국가]]를 성립시킨 적도 없고, 단일한 정치결사체로 모로코의 술탄에 복종한 적이 없었다. 스페인이 이 지역을 식민지로 만들 때까지 사하라위인은 Regulibat, O.delim 등의 부족단위로 유목생활을 계속했으며, 부족장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명목상의 맹약이나 신종을 “일시적”으로 맺을 뿐이었다. 게다가 모로코의 역대 왕조들이 [[서사하라]] 전역을 중앙집권적으로 실효지배한 적도 한 번도 없었다. 모로코와 접한 북부 테크나(Tekna)지역 부족장들만 꾸준히 신종했을 뿐…]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모로코는 스페인에게 줄기차게 [[스페인령 사하라]]를 자국에 반환할 것을 요구했으나 스페인은 간단히 무시했다. 이런 모로코의 지속적인 반환 요구와는 별도로 [[스페인령 사하라]]에서는 [[폴리사리오 전선|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이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1973년 5월 10일에 정식으로 결성된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은 스페인에 대한 [[게릴라]] 활동을 강조하여 여러 군사적인 승리를 쟁취하고 있었다. 더욱이 모로코는 아랍인 정부였지만 서사하라 주민은 전부 [[베르베르인]]의 일파인 [[사흐라위족]]이었기 때문에 서사하라 주민들은 모로코에 합병되는 것을 반대하고 독립국가 수립을 원하고 있었다. == 전개 == 스페인의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10월부터 위독해져서 수술을 받으면서 스페인은 엄청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40년간 철권을 휘두른 프랑코가 곧 요단강을 건넌단 소식에 그간 총칼로 억누르던 스페인의 민주주의 지지자들은 총궐기하여 정치개혁을 요구하였다. 나바로 내각은 이에 부응하여 잠시 정치개혁을 시도하다가 얼마지나지 않아 체제 유지를 위해 닥치는대로 반정부주의자들을 처형하면서 공포분위기를 조성하며 발악했다. 이로 인해 [[바티칸]]에서 격노하여 항의하는 등 스페인은 유럽 외교가에서 멸시를 받고 있었다. 당시 시대상으로 스페인 이외의 유럽 각국에서는 사형제 자체의 폐지가 활발하게 논의 중인 상태였다. 실제로 서독 (1949), 오스트리아 (1968), 핀란드 (1972), 스웨덴 (1973) 같은 나라들은 이미 폐지하기 시작했던 시점에서 스페인 당국은 정치탄압과 사형을 남발하는 과격한 행보를 저질렀다. 특히 사형당한 인사들은 주로 과거 프랑코에게 항거했던 [[ETA(바스크)|ETA]]와 [[아나키스트]] 정치범들이었다. 그렇잖아도 유럽 내에서 프랑코의 처지는 유럽 최후의 파시스트 잔재 취급을 받고 있었는데 불과 한세대 전에 프랑코를 비롯한 [[2차 세계대전|파시스트들의 만행]]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던 유럽 각국은 스페인 당국의 행보에 격렬한 반응을 내보였다. 당장 유럽 내에선 스웨덴의 [[올로프 팔메]]를 중심으로 프랑코 체제 종결론을 주장하며 다시 한번 모처럼 전후 직후 수준으로 인식이 떨어졌고, 간신히 동구권에게 '파시스트와 타협하는 서방'이란 선전거리를 주면서까지 반공 체제에 들어가는 대가로 체제 보장을 인정한걸 통수 맞은 미국은 동서방 초월한 유럽국가들 주도로 정식 UN을 통한 제제 시도를 [[키신저]]가 간신히 막으면서도 자꾸 이런 식으로 굴면 재미없다고 대사 소환을 비롯한 강력한 괘씸함을 표현했다. 지극히 키신저 휘하 국무부스런 이중성이긴 해도 이미 30년전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던 [[앙드레 말로]], [[조지 오웰]], [[로버트 카파]], 게르다 타로 같은 수많은 좌파 지식인들이 여론을 주도했던 사민주의 체제에서 자란 전후 유럽인들의 인식에서 프랑코 정권은 이미 청년기, 아버지 시절의 [[히틀러]] 서막쯤 되는 근본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기 때문. 이 와중에 서사하라 문제는 더욱 고조되었다. 당시 스페인 입장은 [[스페인령 사하라]]를 모로코에 넘기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에게 매우 우호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스페인 입장에서는 어차피 스페인령 사하라를 모로코에 넘긴다고 해서 자신들과 모로코의 관계가 크게 개선될 리도 없다는 판단이었다. 왜냐하면 모로코는 스페인령 사하라와 더불어 모로코 북쪽 끝에 붙어있는 작은 도시 [[세우타]]와 [[멜리야]]의 반환 역시 꾸준하고 강력히 요구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세우타와 멜리야는 스페인으로써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영토인데다 주민들도 모로코로 넘어가는 것을 적극 거부하고 있었다. 스페인은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이 집권하는 서사하라 독립정부를 승인하고 독립국가 서사하라를 스페인에 우호적인 국가로 만드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었다. 같은 해, 스페인, 모로코, [[모리타니]] 3국이 마드리드에 모여 서사하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드리드 협정을 논의하던 중 스페인의 태도에 불만이 폭발한 모로코의 [[하산 2세]]가 결단을 내렸다. [[1975년]] [[11월 6일]], 무려 35만명의 모로코인들이 배낭과 녹색 깃발을 들고 모로코 남부 도시인 타르파야(Tarfaya)에 몰려들었다. 이들이 배낭을 짊어지고 모인 이유는 단순히 며칠 놀고 먹고 불도 피우려는 것이 아니었다. 이들은 국경을 넘어 서사하라로 진입했다. 35만명의 모로코인들은 서사하라에 눌러앉아 살기 위해 짊어진 것이었다. 바로 이 사건을 녹색 행군이라 부른다. 이들은 전부 민간인이었다. [[스페인군]]이나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 게릴라나 모두 벙찐 표정을 지으며 이 무지막지한 민간인 러시를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무장하지 않은 민간인이었기 때문에 이들에게 함부로 총을 쏘면 민간인 [[학살]]이 되고, 죽이지 않더라도 이들을 함부로 제재하면 [[인종차별]]이네 뭐네 하면서 큰 문제가 된다. 총을 쏘던 강제로 몰아내던 이 '민간인'들에게 무언가 하기만 하면 모로코 입장에서는 서사하라를 무력 점령할 구실이 생기는 것이었다. 게다가 유럽에선 프랑코 체제의 최후의 발악에 그 어느 나라도 스페인을 지지하지 않았다. 이미 당사자가 바로 그 프랑코 정권인데, 1975년이면 [[베트남 전쟁]]도 끝났고,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전역에서 프랑스,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심지어 이웃 권위주의 반공 독재정권이었던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도 끝난 시점이었다. 경우가 유사했던 1960년대 초반 [[인도]]의 [[고아(인도)|고아]] 침공/해방은 그나마 여전히 [[알제리]], [[아덴]], [[콩고]] 등지에서 부분적으로 최후의 식민지 전쟁을 치르던 다른 몰락해가는 전후 유럽 제국주의 전직 열강들이 [[포르투갈 제2공화국|살라자르 정권]]을 지지라도 해줬지[* 그나마 이것도 그냥 립서비스 지지에 불과했다. 살라자르 정권 자체에 대한 인식도 유럽 내에서 나빴고, 기껏해야 서방 세계의 정계에서 '포르투갈의 영토적 주권을 짓뭉게다니 인도 나빠!' 수준의 면피용 발언 한마디로 끝났고 그 이후 인도가 딱히 실질적인 피해를 본 것도 아니었다.], 이런 소위 '제국주의자들의 연대'가 이루어질 건덕지도 안 남았던 1975년은 이야기가 달랐다. 자칫 잘못 행동하기라도 하면 '민주정권을 총칼로 학살하며 정권을 잡아 [[냉전]]의 야합으로 목숨을 연명한 최후의 나치 놈들' + '제국주의의 최후의 발악'이라는 아주 환상적인 일타쌍피 어그로를 끌며 국제사회가 강제로 개입할 수도 있던 상황이었다. 게다가 당시 스페인령 사하라 전체 인구는 25만명도 채 되지 않았기 때문에 민간인 35만명이 밀고 내려오면 이미 감당 불가. 스페인군과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 게릴라들은 이 35만명의 모로코 사람들이 서사하라에 눌러앉아버리는 것을 볼 수밖에 없었다. 죽어가는 프랑코를 대신하여 국가원수 대행을 맡고 있던 국왕 [[후안 카를로스 1세]]는 유럽 각국에게 스페인에 대한 지지를 촉구했다. 하지만 스페인의 입지는 이미 반정부인사들에 대한 대대적인 사형집행으로 완전히 박살나버린 터였다. 이전에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고아(인도)|고아]]를 [[인도]]가 무력으로 회수하는 과정에서도 드러났듯이 유럽 국가들은 유럽 바깥의 식민지들이 공격받는 일에 대해 전혀 도울 생각이 없었다. == 결과 == 녹색행군 후, 스페인은 결국 더 이상 이 지역을 통치할 수 없음을 깨달아 마드리드 협정을 체결하고 [[스페인령 사하라]]를 해체했다. 스페인은 협정에 따라 곧바로 서사하라 주둔군을 철수시켰고 서사하라 문제에서 완전히 손을 떼었다. [[모리타니]]는 모로코와의 약속에 따라 서사하라 일부 지역을 점령했으나 [[알제리]]의 지원을 받는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의 반격에 항복, 협정에 따라 자신들이 가져간 서사하라 일부 지역을 도로 돌려주고 서사하라에서 철수했다. 그러자 모로코는 원래 모리타니에게 할당된 서사하라 영토마저 무력으로 점령하고 공식적으로 서사하라 영토를 수복했다고 선포했다. == 영향 == 녹색행군 당시 모로코 정부는 35만명에게 약간의 서사하라 정착 지원금을 주고 그 이후는 [[각자도생|'알아서 생존하시오']]라고 했다. 그런데 이름에 사하라가 들어간 것처럼 국토 대부분이 매우 척박한 사막이라 생존이 매우 어려워 서사하라로 이주했다가 다시 모로코로 돌아오는 무리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에 모로코는 서사하라로 넘어간 모로코 사람들이 모로코로 넘어오지 못하게 철저히 차단하며 꾸준히 가난한 모로코인들을 약간의 정착 지원금을 쥐어주며 서사하라로 이주시켰다. 그 결과 모로코 정부와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이 주민선거를 통해 서사하라의 운명을 결정하자는 큰 원칙에는 합의했으나 누구까지 선거인으로 포함할지에 대해 큰 이견이 발생해 문제 해결은 안드로메다행이 되어 현재까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모로코]] * [[서사하라]]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스페인령 사하라]] * [[모로코-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관계]] * [[스페인-모로코 관계]] [[분류:1975년/사건사고]][[분류:스페인의 역사]][[분류:모로코의 역사]][[분류: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의 역사]][[분류:스페인-모로코 관계]][[분류:모로코-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