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녹빛의 아머}}}''' (2022)[br]錆色のアーマ}}}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녹빛의아머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장르}}}''' ||[[액션]], 시대물 || || '''{{{#373a3c,#dddddd 원작}}}''' ||○○ || || '''{{{#373a3c,#dddddd 감독}}}''' ||카와하라 요시아키(河原真明)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2>에자키 타이케(江嵜大兄) || || '''{{{#373a3c,#dddddd 각본}}}'''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오가와 사쿠라(小川さくら)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2>코바야시 유리(小林友理) || || '''{{{#373a3c,#dddddd 미술 디자인}}}'''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노지 히로마사(野地弘納) || || '''{{{#373a3c,#dddddd CG 디렉터}}}''' ||하시라타 니요시(柱谷佳寿)[br]우메노 다이스케(梅野大輔)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이토 야스유키(伊藤康行) || || '''{{{#373a3c,#dddddd 편집}}}''' ||우에노 유스케(上野勇輔)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무라마츠 히사시(村松久進) || || '''{{{#373a3c,#dddddd 음악}}}''' ||이데 코지(井手コウジ)[br]MAYDENFIELD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Kigumi || || '''{{{#373a3c,#dddddd 제작}}}''' ||녹빛의 아머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2년 1월|2022. 01. 09.]] ~ 2022. 03. 27.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일) 22:00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2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s://rustedarmors-ani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rmors_anime, 크기=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디어 믹스 「녹빛의 아머」의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카와하라 요시아키,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2년 1월|2022년 1월]]. == 공개 정보 ==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FYqw1kaZVk8, width=100%)]}}} || || '''제1탄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f6hEVSNeL8, width=100%)]}}} || || '''제2탄 PV''' || == 줄거리 == == 등장인물 == * '''마고이치''' {{{-1 - 성우: [[사토 타이키]]}}} 생래의 용안을 가지고 있는 쾌활한 성격의 주인공. 금발벽안. 출신지는 아마도 스페인[* 초반 바다에서 표류해 온 과거가 있으며 기억상실.]. 이 작품의 빌런인 루시오 코르테스와의 대립과정에서 그의 원래 이름이 '루카'라는 것이 밝혀진다. * '''오다 사부로 노부나가''' {{{-1 - 성우: [[마스다 토시키]]}}} 용안 소유자. 통치가의 가문에 있었으나 그 일을 때려치우고 방랑중. 괴력의 소유자[* 사람 둘을 들고 달릴 수 있을 정도.]. 원래의 헤어칼라는 은발이 아니었으나 의문의 힘에 각성하면서 헤어칼라가 바뀌게 된 것으로 보이며, 그것에는 마고이치의 누나인 사라가 관련되어 있다. * '''츠루쿠비''' {{{-1 - 성우: [[아라키 켄타로]]}}} '잡가중'의 일원 중 최연장. 호타루비의 행동에 자신의 행동을 우선한다. * '''호타루비''' {{{-1 - 성우: [[나가타 타카히토]]}}} '잡가중' 최연소. 암살술이 특기. * '''쿠로효''' {{{-1 - 성우: [[히라타 유이치로]]}}} 몸의 일부가 기계로 개조되어 있다[* 선천적으로 심장이 좋지 않았으며, 그것도 모잘라 마을에 의문의 역병이 돌아 사지가 괴사하는 상황에 까지 이르렀다. 이를 기계로 개조한 것이 그의 아버지(성우-[[야마지 카즈히로]])로, 용맥의 계승 차원에서 그것의 성능을 아들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계승하기 위해 연구차 방랑생활을 하게 된 것이다.]. 독설 속성. 마고이치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 '''데쿠''' {{{-1 - 성우: [[spi]]}}} 철포속성. 가벼운 말버릇이 특징. 머리에 삼족오의 타투를 새기고 있다. 표류중이었던 마고이치를 처음으로 발견하여 마을에 데려왔기에 친분은 제일 깊다. * '''아게하''' {{{-1 - 성우: [[카미사토 유우키]]}}} 여장을 하고 있는 미소년 속성. 전란으로 가족[* 특히 가족 중에는 쌍둥이 누나가 있었으며, 아게하가 가진 아머는 본디 그 누나가 계승자가 되었어야 할 것이었다.]을 잃어, 자신 외에는 누구도 신용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사부로를 배신, 루시오의 편에 서서 그를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미게 된다. * '''호토토기스''' {{{-1 - 성우: [[야마자키 츠바사]]}}} 시노비인 것으로 보여지지만 일단은 수수께끼가 많은 존재. 사부로를 감시한다. 눈이 가려져 있으며 눈물점이 있다. 동식물에 관심이 많다. * '''루시오 코르테스''' {{{-1 - 성우: [[사토 류지(1995)|사토 류지]]}}} 잡가중과 대척하는 것으로 보이는 포지션의 캐릭터[* 마고이치가 말한 [[남만|남만인]]에 해당하는 캐릭터.]. 현실주의자.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정체를 드러내게 되는데, 놀랍게도 주인공인 마고이치의 원래 모습을 기억하고 있는 포지션이며, 심지어 그의 동생이라는 사실까지 밝혀지게 된다.--뭐?-- 순수한 의미의 살의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인다. * '''사라''' {{{-1 - 성우: [[아베 리카]]}}} 데쿠의 과거에 강렬한 인상을 주었던 금발의 여성. 현재는 고인[* 이 작품 내에서 의문의 역병이 돌았던 정황이 있는데, 그녀 역시 그 병에 걸리게 되었다고 한다.]. 오다와도 만난 적이 있다. 이 캐릭터 역시 스페인 출신. 작품이 진행되면서 코르테스 가의 장녀라는 것이 밝혀진다. 즉, 주인공인 마고이치(루카)와 빌런 포지션인 루시오의 누나. == 주제가 == ||<-2>
'''{{{#373a3c,#dddddd OP[br]Fait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vttATkgx_Y,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TunOITDz8g,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마고이치[br]오다 사부로 노부나가[br]루시오 코르테스 || || '''작사''' || PA-NON || || '''작곡''' ||<|2> 야마모토 마오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2>
'''{{{#373a3c,#dddddd ED[br]Tie and Ti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TfLkVWCZyo,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9HbWyAj0JI,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FANTASTICS from EXILE TRIBE]] || || '''작사''' || 오다케 마사토(小竹正人) || || '''작곡''' || Daniel Kim,박지연,야마오카 코지 || || '''편곡''' || 야마오카 코지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에서는 정식 공개가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번역 제목은 임의로 서술되었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漆黒の到来[br]칠흑의 도래}}} || || || || || || {{{-2 2022.01.09.}}} || || {{{-2 제2화}}} || {{{-2 赤橙の誓い[br]붉은 주황색 맹세}}} || || || || || || {{{-2 2022.01.16.}}} || || {{{-2 제3화}}} || {{{-2 鉄紺の記憶[br]철감색의 기억}}} || || || || || || {{{-2 2022.01.23.}}} || || {{{-2 제4화}}} || {{{-2 梔子色の灯[br]치자색의 등불}}} || || || || || || {{{-2 2022.01.30.}}} || || {{{-2 제5화}}} || {{{-2 鈍色の遺言[br]둔색의 유언}}} || || || || || || {{{-2 2022.02.06.}}} || || {{{-2 제6화}}} || {{{-2 黒紅の邂逅[br]흑홍의 해후}}} || || || || || || {{{-2 2022.02.13.}}} || || {{{-2 제7화}}} || {{{-2 烏羽色の試練[br]오우색의 시련}}} || || || || || || {{{-2 2022.02.20.}}} || || {{{-2 제8화}}} || {{{-2 薄桜の祈望[br]연벚꽃의 기망}}} || || || || || || {{{-2 2022.02.27.}}} || || {{{-2 제9화}}} || {{{-2 朱華の逆心[br]주화의 역심}}} || || || || || || {{{-2 2022.03.06.}}} || || {{{-2 제10화}}} || {{{-2 緋色の決意[br]주홍색의 결의}}} || || || || || || {{{-2 2022.03.13.}}} || || {{{-2 제11화}}} || {{{-2 滅紫の願い[br]멸자의 소원}}} || || || || || || {{{-2 2022.03.20.}}} || || {{{-2 제12화}}} || {{{-2 錆色のアーマ[br]녹빛의 아머}}} || || || || || || {{{-2 2022.03.27.}}} || == 평가 == 전분기의 테슬라노트가 선녀로 보일 정도로 퀄리티가 처참하다. == 기타 ==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2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