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B8ED, #00B8ED)"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ffffff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 [[국민의 힘(정당)|{{{#0179BF 국민의 힘}}}]][br],,(개별 합류),, || {{{+1 →}}} || {{{#FFFFFF '''한국복지당'''}}} || {{{+1 →}}} || {{{#FFFFFF '''노인복지당'''}}} [br],,(당명 변경),,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0, #FFFFF0)" '''[[대한민국 단일쟁점정당|{{{#000 대한민국의 단일쟁점정당}}}]]'''}}} || || {{{#FFFFFF '''한국복지당'''}}} [br],,(당명 변경),, || {{{+1 →}}} || {{{#fff '''노인복지당'''}}} || {{{+1 →}}} || ''현재'' || ||<-2> [[파일:logo-default7.png|width=200]] || ||<-2> {{{#FFFFFF '''노인복지당'''}}} || || '''영문 명칭''' ||Korea Welfare Party (KWP)|| || '''등록 약칭''' ||복지당|| || '''슬로건''' ||세계가 부러워하는 일등 복지국가[br]대한민국을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 || '''등록일''' ||[[2016년]] [[2월 15일]] ,,('''{{{#014898 한누리평화통일당}}}'''),,|| || '''당명 변경''' ||[[2016년]] [[3월 3일]] ,,('''{{{#014898 친반평화통일당}}}'''),,[br][[2016년]] [[5월 10일]] ,,('''{{{#014898 한누리평화통일당}}}'''),,[br][[2020년]] [[1월 29일]] ,,('''{{{#EA5404 한국복지당}}}'''),,[br][[2023년]] [[12월 6일]] ,,('''{{{#EA5404 노인복지당}}}'''),,||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2길 14, 너비=100%)]}}}[[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2길 14[br]한국스카우트연맹 5층 ([[여의도동]])|| || '''대표''' ||이경열[* 김호일 전 의원의 부인이다.]|| ||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5404 0%, transparent 0%)" '''{{{#fff 0석 / [include(틀:국회 의석수)]석 (0%)}}}'''}}}|| || '''광역자치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transparent 0%)" '''{{{#fff 0석 / 17석 (0%)}}}'''}}} || || '''기초자치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5404 0%, transparent 0%)" '''{{{#fff 0석/ 226석 (0%)}}}'''}}} || || '''광역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5404 0%, transparent 0%)" '''{{{#fff 0석 / 872석 (0%)}}}'''}}} || || '''기초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5404 0%, transparent 0%)" '''{{{#fff 0석 / 2,988석 (0%)}}}'''}}} || || '''당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A5404;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주황색 {{{-2 (#EA5404)}}}}}}}}}|| || '''정당원 수''' ||7,071명[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3), [[https://www.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129&bcIdx=195209|2022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3년 11월 28일 확인), p13. ]}}} || || '''공식 사이트''' ||[[http://xn--3e0b68hcvjkknr8n.kr/| [[파일:한국복지당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중도개혁주의]], [[복지국가|복지국가론]] 정당. [[2016년]] [[2월 15일]]에 제14~16대 국회의원을 지낸 [[김호일]][* 참고로 김호일은 [[한나라당]] 탈당 이후 [[18대 총선]] 당시 신미래당, [[19대 총선]] 당시 [[국민의 힘(정당)]]을 창당했던 적이 있었으나, 모두 득표율 미달로 해산되었다.]이 '''한누리평화통일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하였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직전 당명을 '''친반평화통일당'''으로 변경했다가 총선 이후 '한누리평화통일당'으로 환원했다. [[2017년]] [[12월 3일]] '한누리복지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겠다고 홈페이지에 공지하였으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는 여전히 한누리평화통일당으로 등록되어 있었다. 이후 3년이 지난 [[2020년]] [[1월 29일]] '''한국복지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다시 3년 뒤인 [[2023년]] [[12월 6일]] '''노인복지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 역사 == === 한누리평화통일당 시절 === 당시 [[반기문 대망론]]으로 우후죽순 쏟아지던 친반기문 성향 정당 중 하나로 당 대표 [[김호일]]이 스스로를 킹메이커라 자처하거나[[http://www.dtnews24.com/news/article.html?no=390918|#]] 구 [[친반통일당]] 등의 비해 비교적 열성적인 홍보와 지지가 들어가, 더욱이 유명하다. [[파일:external/m.ilyo.co.kr/1450673327840556.jpg]] 친반기문에 킹메이커(...)라고는 하지만 실상은 사실 군소정당에 지나지 않다. 당장 반기문 사무총장의 동생 반기상이 듣도 보도 못했다고 말했을 정도. [[반기문]]이 불출마를 선언한 이후 결국 이러한 친반기문 면모도 사라졌다. === 한국복지당 이후 === 당명이 한국복지당으로 바뀐 이후 강령, 당헌이 완전히 바꾸며 다른 성향의 정당이 되었다. 극우와 극좌를 배제하고 중도가치를 지향한다며 [[중도개혁주의]]를 내세하나, 역시 당명인 복지에 맞게 복지 확대 또한 주장한다. 완전한 사회보장국가 건설을 목표로 두고 [[사회민주주의]]에 근원을 둔 [[북유럽]]식 보편적 복지를 주장한다. 이를 위해 국민개세주의를 근간에 두고 경제 상류층에 최고세율을 조정해 재원을 마련한다고 말하는 등 중도지향 정당치고 상당히 진보적인 주장을 펼치는 중이다. 이 밖에 [[모병제]]를 주장하거나 사회적 약자, 소수자와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와 복지를 주장하고 있다. 노인 정책을 우선으로 밀고 있다는 인터뷰도 했었는데, [[http://xn--3e0b68hcvjkknr8n.kr/bbs/board.php?bo_table=sub51&wr_id=126232|#]] 이때문인지는 몰라도 2023년 12월 당명을 노인복지당으로 변경하였다. 당 자체로만 보자면 인지도도 떨어지지만 김호일 전 대표는 대한노인회장으로써 자주 뉴스에 나오는 등 인지도가 제법 존재하는 편이다. == 당명과 로고 == * [[한국어]]: 한국복지당 ---- * [[영어]]: Korea Welfare Party ---- || [[파일:external/e6556579aac70dd32556997fb8619f2f673cad3037059385f1b3892d0e02be6f.jpg|width=150]] || [[파일:external/hanpeace.kr/logo.gif|width=150]] || [[파일:logo-default.png|width=150]]|| [[파일:한국복지당.png|width=150]] || [[파일:한국복지당 로고.svg|width=150]] || || 친반평화통일당 || 한누리평화통일당 ||<-3> 한국복지당 || == 역대 선거 결과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친반평화통일당 시절 선거에 참여하였다. 비례대표는 참가하지 않았으며 지역구로는 [[대구광역시]]에 1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 [[대구광역시]] [[북구 을(대구)|북구 을]][*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관할]: 박하락 후보, 519표, 0.49%, 4위, 낙선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지역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을]][*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 묵2동, 망우본동, 신내1동, 신내2동 관할] 선거구에 [[산업통상자원부]] 사무관을 지낸 민정기 무극정기(주) 대표가 출마하였다. 현재 이 선거구의 현역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박홍근]]이다. 비례대표에서는 김호일 대표를 포함하여 총 4명의 후보가 출마하였다. 선거 결과는 지역구는 최하위로 낙선하였고, 비례대표도 0.06%라는 저조한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강원도]] [[원주시]]의회 비례대표에 김이준 후보가 출마했으나, 1,447표(0.94%)를 얻어 최하위로 낙선하였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지역구에는 후보를 출마하지 않았고, 비례대표에서만 5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결과는 0.05%라는 지난 선거보다도 낮은 득표율로 낙선했다. == 역대 지도부 == [include(틀:한국복지당 대표)]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원외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단일쟁점정당)] [include(틀:제3지대/정당(박근혜 정부))] [include(틀:제3지대/정당(문재인 정부))] [include(틀:제3지대/정당(윤석열 정부-현재))] [[분류: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분류:2016년 설립된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