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지족동]], [[반석동]], [[하기동]], [[죽동(대전)|죽동]](일부)[* 행정동 기준으로는 노은1,2,3동.]에 조성된 [[신도시]]이다. 1지구, 2지구, 3지구, 4지구, 5지구로 나누며 1지구는 [[1993년]]에 2지구는 [[1995년]]에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었고 1지구는 [[2000년]]부터, 2지구는 [[2004년]]부터 입주가 시작되었다. 3, 4지구는 1,2지구와 약 10년이라는 시차를 두고 개발되었으며 3지구는 [[2005년]]에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었고 4지구는 [[2009년]]에 지정되었다. 후에 3지구는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전환되었으며 3, 4지구 모두 [[2014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하였다. 5지구는 반석도시개발사업으로 진행되고 있고 [[2020년]]에 개발이 완료되었다. 규모는 약 3만여 세대 정도이며, 거주인구는 약 85,000여명에 육박한다. 현재까지는 [[대전광역시]]에서는 [[둔산신도시]] 다음가는 규모이다.[* 면적과 가구수규모는 [[둔산신도시]]의 절반, 인구는 40%정도이다.] 이후, [[도안신도시]] 호수공원 단지와 2단계가 조성이 완료되면 도안지구가 노은지구를 앞지를 예정이다.[* 관저지구가 개발이 완료될 경우 아주 근소한 수치지만 노은지구를 앞지르게 될 예정이었으나 차이가 극히 미미해서 사실상 동일한 규모로 볼 수 있다.] [[노은동]]에는 [[대전월드컵경기장]]과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지족동]]에는 [[KB국민은행]] 콜센터와 [[대전극동방송]], 유성경찰서, 유성선병원이 위치하고 있고 대학으로는 [[하기동]]에 [[침례신학대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현재 개발계획이 잡힌 죽동2지구 개발이 완료될 경우 죽동지구와 완전히 연담화될 예정이다. 이 경우 이쪽도 노은지구- 죽동2지구-죽동1지구-장대동이 합쳐진 둔산신도시나 서남부 택지지구 못지 않은 거대한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 특징 == 노은지구는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관저지구]]와 함께 [[둔산신도시]] 다음으로 대규모로 개발된 [[신도시]]이다. 이전의 둔산신도시가 주거뿐만 아니라 처음부터 중앙행정, 업무기능을 중점으로 개발한데 비해 노은지구는 순수한 주거목적의 [[베드타운]]으로 개발된 신도시이다. [[둔산신도시]]와 10년을 시차를 두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둔산신도시보다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건설되었다. 우선 인구밀도가 둔산신도시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거의 모든 주거지구를 아파트 단지들로 채워놓았던 둔산신도시와 달리 아파트 단지 중간중간에 단독주택용지를 많이 배치하고 아파트의 층고와 간격을 다르게 함으로써 아파트 단지들의 조망권과 일조권을 보장하였다. 게다가 둔산신도시와 달리 순수한 베드타운으로 개발되어서 조용하다는 이점도 있다. 이러한 쾌적한 환경덕분에 분양당시 [[둔산신도시]]나 다른 대전시내 노후아파트 단지들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이주해왔으며 특히 대덕연구단지와 인접하고 있어 연구원들도 노후화된 사택아파트나 연구단지내 아파트 단지에서 노은지구로 많이 이주하였다. 덕분에 노은지구 조성당시 인구꼴찌를 달리던 [[유성구]]가 노은지구 조성 기점으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도안신도시]]가 유성구에 추가로 조성되면서 현재는 서구에 이은 2위의 인구를 유지하고 있다.] 사실 다른말로 한다면 둔산신도시로 크게 쇠퇴하기 시작했던 기존 원도심의 쇠퇴를 더욱 가속화시킨 원흉이라고 볼수도 있겠다. 현재 반석, 노은, 지족동의 일부를 아우르는 열매마을과 반석마을 아파트 단지를 비롯해 고급주택단지는 대전 내에서도 모두가 알만한 부유한 동네로 손꼽힌다. 학군은 둔산신도시와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연구단지]]에서 대거 이주민이 유입되고 [[노은역]] 일대에 상당한 규모의 학원가가 형성되어 둔산신도시나 연구단지에 버금가는 우수한 학군이 형성되었다. 특히 반석초, 노은중, [[대전노은고등학교|고등학교]]와 외삼중의 시험지는 대전의 학원가와 과외바닥에서 둔산과 대덕연구단지의 학군과 더불어 높은 수준으로 통하고있다. [* 80~90년대 건설된 신도시에 정착된 유수학군이 2000년대 이후 신규 신도시 건설에도 그대로 유지되는 현상은 다른 지방 대도시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노은3지구는 사실 노은1,2지구와 10년이란 시차를 두고 건설한 지구로 인근 둔산신도시처럼 토지주택공사가 주도하고 대다수가 민영 아파트 단지 위주로 되어있고 주공아파트는 상대적으로 소수인데 비해 [[보금자리주택]]지구라서 1,2지구와 달리 대다수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건설한 아파트들이 주종을 이룬다. 상업용지와 단독주택용지는 1,2지구에 비하면 상당히 작은 규모이며 1,2지구에 상권에 의존하는 형태로 개발되었다. 최근 3,4지구를 아우르는 고래들 네거리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상권이 형성되고 있으며 향후 노은 2지구 못지 않게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 상권 == 상권은 순수한 [[베드타운]]으로 개발되어서 그런지 인구 규모에 비해 크지가 않다.(세종으로의 출퇴근 직장인이 노은, 반석역에서 모임을 하면서 상당한 유동인구가 있다.) 주요 상권은 1지구는 [[노은역]] 중심으로, 2지구는 [[반석역]]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3, 4지구는 처음부터 아파트 단지로만 채워놓아서 상권이라고 할만한 곳이 없었고 이웃한 1,2지구에 의존하고 있었지만 고래들네거리의 식자재마트를 중심으로 현재 활발하게 상권이 형성되는 중이다. 1지구 노은역 상권이 제일 규모가 크다. [[지족역]] 앞에는 [[롯데마트 노은점]]이 위치하고 있으며 지척에 [[침례신학대학교]]가 위치하고 있지만 대학 규모가 워낙 작고 지족역 위치가 모호해서 그런지 노은역과 반석역 상권에 비해서 유의미한 상권은 형성되지 않았다. * [[롯데마트 노은점]] * [[CGV 유성노은]] == 교통 == 도로교통은 우선 남쪽 [[대전월드컵경기장]] 바로 앞에 [[호남고속도로지선]] [[유성IC]]가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 대전과 세종 경계에는 [[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영덕고속도로]] [[남세종IC]] (구 북유성IC)가 위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도로폭이 규모에 비해 넓은편으로 신도시 내부에서는 교통정체가 거의 없으나 주 간선도로인 북유성대로는 도로폭이 매우 넓음에도 세종과 대전을 오가는 출퇴근 수요로 항상 미어터진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이 노은지구 남북을 관통해서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월드컵경기장역(대전)|월드컵경기장역]], [[노은역]], [[지족역]], [[반석역]]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철을 통해서 신도심인 [[둔산신도시]]까지 20분대 내외, 원도심까지는 30분대 내외로 접근할수있다. 시내버스는 [[대전 버스 101|101번]], [[대전 버스 114|114번]], [[대전 버스 116|116번]], [[대전 버스 117|117번]], [[대전 버스 119|119번]], [[대전 버스 121|121번]], [[대전 버스 1002|1002번]] 등이 경유하며 세종과 대전을 잇는 요충지라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인 [[세종 버스 B2|B2번]], [[세종 버스 B4|B4번]], [[세종 버스 1000|1000번]], [[세종 버스 1004|1004번]], [[세종 버스 1005|1005번]]은 [[반석역]]을 종점으로 두고있고 [[세종 버스 655|655번]]도 노은지구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경유하고 있다. 노은3지구는 교통이 불편하다는 의견도 있다. == 단지(마을) == === 열매마을(1지구) === 노은동과 지족동에 걸처있으며 행정동으로 1단지에서 6단지는 노은2동, 7단지에서 11단지는 노은1동에 해당된다. 11개 아파트단지들과 단독주택, 상점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은지구 최대 상권인 [[노은역]] 일대도 열매마을에 위치한다. [[대전월드컵경기장]]과 노은농수산물시장이 이곳에 있다. 열매마을 10단지만 입주시기가 꽤 차이나는 편인데 원래는 죽동에 위치해있는 유성구 장애인복지관이 해당 부지에 건립되기로 되어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로 옆에 위치한 열매마을 8단지 입주민과 9단지 분양 주민들이 결사반대하면서 죽동에 위치한 현 부지가 대신 선정되었고 그 빈자리에 공무원연금공단이 상록아파트로 들어오면서 현재의 열매마을 10단지가 되었다. || {{{#fff '''구역'''}}} || {{{#fff '''단지명'''}}} || {{{#fff '''세대수'''}}} || {{{#fff '''입주'''}}} || {{{#fff '''건설사'''}}} || ||<#6c1d45> {{{#fff J1}}} || 열매마을 1단지 삼부 || 516 || 2001년 10월 || [[삼부토건]] || ||<#9bcbeb> {{{#fff J2}}} || 열매마을 2단지 한라비발디 || 312 || 2001년 12월 || [[한라(기업)|한라]] || ||<#165d37> {{{#fff J3}}} || 열매마을 3단지 대우 || 588 || 2000년 11월 || 대우 || ||<|2> {{{#!wiki style="margin: -22px -10px; padding: 22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03123 50%, #9b005a 50%)" J4}}} ||<|2> 열매마을 4단지 현대계룡 ||<|2> 1,084 ||<|2> 2001년 12월 || [[HDC현대산업개발]] || || [[계룡건설산업]] || ||<#462d88> {{{#fff J5}}} || 열매마을 5단지 운암 || 500 || 2001년 6월 || 운암건설 || ||<#f03123> {{{#fff J6}}} || 열매마을 6단지 현대 || 582 ||<|2> 2000년 12월 ||<|2> [[HDC현대산업개발]] || ||<#f03123> {{{#fff J7}}} || 열매마을 7단지 현대 || 886 || ||<#8fc31f> {{{#fff J8}}} || [[열매마을 8단지 새미래]] || 814 || 2000년 11월 || [[계룡건설산업]] || ||<#4f2193> {{{#fff J9}}} || [[열매마을 9단지 금성백조]] || 646 || 2002년 8월 || [[금성백조주택]] || ||<|2> {{{#!wiki style="margin: -22px -10px; padding: 22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9e62 50%, #f03123 50%)" J10}}} ||<|2> [[열매마을 10단지 상록아파트]] ||<|2> 940 ||<|2> 2005년 12월 || [[공무원연금공단]] || || [[HDC현대산업개발]] || ||<#9b005a> {{{#fff J11}}} || 열매마을 11단지 계룡리슈빌 || 635 || 2003년 9월 || [[계룡건설산업]] || ||<#000000> {{{#fff J12}}} || 노은 카운티스 || 112 || 2004년 7월 || 세계토건 || === 반석마을(2지구) === 지족동과 반석동에 걸쳐있으며 행정동으로는 노은3동에 해당된다. 8개의 아파트단지들과 단독주택, 상점가로 구성되어있으며 반석역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
{{{#fff '''구역'''}}} || {{{#fff '''단지명'''}}} || {{{#fff '''세대수'''}}} || {{{#fff '''입주'''}}} || {{{#fff '''건설사'''}}} || ||<#6c1d45> {{{#fff A1}}} || 반석마을 7단지 삼부 || 834 || 2004년 11월 ||<|2> [[삼부토건]] || ||<#6c1d45> {{{#fff A2}}} || 반석마을 6단지 삼부르네상스 ||<|2> 642 || 2005년 5월 || ||<#8fc31f> {{{#fff A3}}} || 반석마을 8단지 주공[*국민임대] || 2005년 11월 ||<|2> [[한국토지주택공사]] || ||<#8fc31f> {{{#fff A4}}} || 반석마을 4단지 주공[*국민임대] || 605 || 2004년 10월 || ||<#4f2193> {{{#fff A5}}} || 반석마을 5단지 예미지 ||<|2> 536 || 2005년 8월 || [[금성백조주택]] || ||<#a1580c> {{{#fff A6}}} || 반석마을 1단지 호반리젠시빌 || 2005년 2월 || [[호반건설]] || ||<#9b005a> {{{#fff A7}}} || 반석마을 2단지 계룡리슈빌 || 561 || 2005년 11월 || [[계룡건설산업]] || ||<#a1580c> {{{#fff A8}}} || 반석마을 3단지 호반베르디움 || 607 || 2006년 2월 || 호반건설 || === 송림마을(2지구) === 하기동, 죽동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동으로는 노은2동에 해당한다. 6개의 아파트단지들과 단독주택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례신학대학교]]가 송림마을안에 위치하고 있다. ||
{{{#fff '''구역'''}}} || {{{#fff '''단지명'''}}} || {{{#fff '''세대수'''}}} || {{{#fff '''입주'''}}} || {{{#fff '''건설사'''}}} || ||<#a1580c> {{{#fff A9}}} || 송림마을 1단지 호반리젠시빌 || 452 || 2005년 2월 || [[호반건설]] || ||<#a6ce39> {{{#fff A10}}} || 송림마을 2단지 이노스빌 || 477 || 2004년 9월 ||<|2> [[우미건설]] || ||<#a6ce39> {{{#fff A11}}} || 송림마을 3단지 이노스빌 || 713 || 2005년 6월 || ||<#8fc31f> {{{#fff A12}}} || 송림마을 4단지 주공[*국민임대] || 861 || 2005년 5월 || [[한국토지주택공사]] || ||<#9b005a> {{{#fff A13}}} || 송림마을 5단지 e-그리운 || 613 || 2006년 7월 ||<|2> [[계룡건설산업]] || ||<#9b005a> {{{#fff A14}}} || 송림마을 6단지 풍요로운 || 201 || 2006년 6월 || === 3지구 === 지족동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동으로는 노은3동에 해당한다. [[보금자리주택]]지구로 10개의 아파트단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독주택가는 4지구 인접한 북부에 소수 위치하고 있다. 단지들 사이로 공원들이 많아 실제의 인구 밀도는 낮은 편이며 2023년 현재는 고래들 네거리에 다양한 상업시설이 완비되어 있고 대형마트와 유명 베이커리카페 등이 있어 노은지구의 새로운 명소이기도 하다. ||
{{{#fff '''구역'''}}} || {{{#fff '''단지명'''}}} || {{{#fff '''세대수'''}}} || {{{#fff '''입주'''}}} || {{{#fff '''건설사'''}}} || ||<#8fc31f> {{{#fff A1}}} || 노은LH 1단지[*국민임대] || 600 || 2015년 9월 ||<|3> [[화성산업]] || ||<#8fc31f> {{{#fff A2}}} || 노은 새미래숲 2단지 || 655 || 2015년 8월 || ||<#8fc31f> {{{#fff A3}}} || LH 네이처뷰 3단지 || 687 || 2015년 7월 || ||<#8fc31f> {{{#fff A4}}} || 노은LH 4단지[*국민임대] || 624 || 2012년 6월 || [[한국토지주택공사]] || ||<#8fc31f> {{{#fff B1}}} || 노은 해랑숲마을 5단지 || 518 ||<|2> 2014년 6월 || [[경남기업]] || ||<#8fc31f> {{{#fff B2}}} || 노은 해랑숲마을 6단지 || 342 || [[계룡건설산업]] || ||<#8fc31f> {{{#fff B3}}} || 노은에코힐 || 356 || 2015년 2월 || [[화성산업]] || ||<#154734> {{{#fff B4}}} || 트리풀시티포레 || 439 || 2017년 6월 || [[대전도시공사]] || ||<#9b005a> {{{#fff C1}}} || [[노은리슈빌3]] || 502 || 2015년 5월 || [[계룡건설산업]] || ||<#cd2842> {{{#fff C2}}} || 영무예다음 에코타운 || 615 || 2017년 4월 || [[영무토건]] || === 4지구 === 도시개발지구로 개발되어 있으며 지족동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행정동으로는 노은3동에 해당된다. 오직 한화 꿈에그린 2개단지의 아파트 단지들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단독주택지구와 상업지구는 고래들네거리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
{{{#fff '''구역'''}}} || {{{#fff '''단지명'''}}} || {{{#fff '''세대수'''}}} || {{{#fff '''입주'''}}} || {{{#fff '''건설사'''}}} || ||<#20519b> {{{#fff 1BL}}} || [[노은 한화꿈에그린|노은 한화꿈에그린 1단지]] || 887 ||<|2> 2014년 2월 ||<|2> [[한화건설]] || ||<#20519b> {{{#fff 2BL}}} || [[노은 한화꿈에그린|노은 한화꿈에그린 2단지]] || 998 || == 여담 == 처음 노은지구 계획당시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계획차제가 없었고 그냥 [[둔산신도시]] 수요분산을 위해 계획되였지만 1,2지구 입주당시에 [[참여정부]]가 집권하고 행정수도가 [[충청남도]] [[연기군]]으로 결정되면서 노은지구는 행정수도와 가장 가까운 신도시라는 엄청난 호재가 겹쳐서 버블이 생겨났다. 당시 시세가 '''분양가의 2배'''까지 뛰였다고 한다...[[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834943|*]] 물론 지금은 버블이 꺼졌고 오히려 세종시의 과잉분양과 인근 [[도안신도시]] 건설로 집값이 크게 오르긴 커녕 오랜 기간 정체상태라고 했었지만 201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크게 변화했다.[[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222808]] == 주요시설 == === 공공기관/관공서 === * [[대전극동방송]] (지족동) * [[대전유성경찰서]] (죽동) * 대전유성경찰서 노은지구대 (지족동) * [[대전월드컵경기장]] (노은동) * 북대전세무서 (죽동) * 노은동우체국 (노은동) * 노은2동우체국 (반석동) * 노은1동 주민센터 (노은동) * 노은2동 주민센터 (하기동) * 노은3동 주민센터 (지족동) * 유성구청소년수련관 (죽동) *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죽동) === 금융기관/기업체 === * [[KB국민은행]] 콜센터 (지족동) === 대형상업시설 === * [[롯데마트 노은점]] (하기동) *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 (노은동) === 의료기관 === * 유성선병원 (지족동) === 박물관 === * 대전선사박물관 (노은동) === 교육기관 === ==== 초등학교 ==== * [[대전노은초등학교]] (노은동) * [[대전수정초등학교]] (노은동) * [[대전상지초등학교]] (지족동) * [[대전지족초등학교]] (지족동) * [[대전반석초등학교]] (반석동) * [[대전외삼초등학교]] (반석동) * [[대전하기초등학교]] (하기동) * [[대전송림초등학교]] (하기동) * [[대전새미래초등학교]] (지족동) ==== 중학교 ==== * [[대전노은중학교]] (노은동) * [[대전지족중학교]] (지족동) * [[대전외삼중학교]] (반석동) * [[대전하기중학교]] (하기동) * [[대전새미래중학교]] (지족동) ==== 고등학교 ==== * [[대전노은고등학교]] (노은동) * [[대전지족고등학교]] (지족동) * [[대전반석고등학교]] (지족동) * 유성여자고등학교 (죽동)[*지구외소재 정확히 노은지구 내부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사실상 붙어있다.] ==== 대학교 ==== * [[침례신학대학교]] (하기동)[*지구외소재] [[분류:신도시]][[분류:대전광역시]][[분류:유성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