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노원구의 중학교]] [include(틀:서울특별시 노원구의 중학교)] ||'''교명''' || [[노원중학교]] || || '''설립일''' || 1988년 12월 24일 || || '''개교''' || 1989년 5월 4일 || ||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운영형태''' || [[공립]] || || '''설립유형''' || [[단설]]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 || '''교훈''' || 슬기롭고 밝고 씩씩하게 || || '''교화''' || [[장미]] [* 모든 일에 슬기로운 지혜를 발휘하는 학생을 상징] || || '''교목''' || [[은행나무]] [* 높고 큰 이상과 밝고 깨끗한 마음을 상징] || || '''상징물''' || [[교표]] [* 반듯함은 안정성과 질서감을 표현하며 모서리의 곡선은 원만한 인간성 함양을 나타낸다. 녹색은 높은 이상과 무한한 성장의 가능성을 상징] || || '''전화''' || 02-3391-6921 || ||<-2> [[http://nowon.ms.kr/|홈페이지]] || == 소개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13길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이다. 2020년에는 1학년이 7반, 2학년이 7반, 3학년이 7반까지 있다. 지금은 이렇지만 1990년대에는 한 학년에 12반까지 있었다.[* 노원중 졸업자의 증언] 교직원은 58명이며 교원 1인당 학생수는 13.3명이다. 학교 도서관의 전체 장서수는 17,980권이며 1인당 장서수는 30.9권이다. == 연혁 == * 1988년 12월 24일 : 노원중학교 설립 인가(36학급), 초대 교장 이용희. * 1989년 3월 5일 : 제 1회 입학식 * 1992년 2월 13일 : 제 1회 졸업식 * 1993년 3월 : 제2대 이영위 교장 취임 * 1997년 12월 :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부장관 표창 * 1999년 3월 1일 : 제3대 김필수 교장 취임 * 1999년 12월 : 학교체육진흥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0년 12월 : 학교평가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0년 12월 : 컴퓨터 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0년 12월 : 평생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0년 12월 : 특별활동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2001년 3월 1일 : 제4대 정윤 교장 취임 * 2001년 12월 :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2년 1월 27일 : 정보관 개관[* 14년만의 증축이라 기존 본관의 시설보다 압도적으로 뛰어나 학생들의 인기가 많았지만 함부로 건너가 사용할 수 없었다. 정보관과 가까운 동쪽의 반들은 쉬는 시간 마다 넘어가 상대적으로 조용한 정보관에서 휴식을 취했다고 한다.] * 2003년 9월 1일 : 제5대 박상국 교장 취임 * 2003년 12월 1일 : 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2004년 12월 29일 : 학교평가 우수학교 표창 * 2005년 1월 31일 : 2004학년도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5년 3월 2일 : 제6대 박상의 교장 취임 * 2006년 2월 1일 :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2007년 1월 20일 : 서울시 교육청 안전교육시범학교 선정(2년) * 2008년 2월 15일 : 제17회 졸업식 (427명 총 8,666명) * 2008년 3월 1일 : 제7대 김효남 교장 취임 * 2008년 12월 31일 :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2009년 9월 1일 : 교원능력개발평가 하반기 시범학교 운영 * 2010년 3월 2일 : 좋은 학교 만들기 지원학교 운영 * 2010년 10월 : 한마음 체육관 개관 [* 8년만의 신규 건축. 한마음 체육관이 들어서면서 기존에 있던 (사실상 선생님 전용) 테니스장과 아스팔트 농구장이 사라졌다. 그리고 실내 농구장이 생겼다!] * 2010년 12월 30일 : 북부영재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10년 12월 31일 : 전화친절도 최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11년 3월 2일 : 교육복지투자 우선학교 운영 * 2011년 9월 1일 : 주 5일수업제 시범운영학교 운영 * 2011년 12월 29일 : 학생수련교육, 수학여행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2012년 2월 9일 : 제21회 졸업식 (282명, 총 10,009명) * 2012년 3월 1일 : 제8대 주남수 교장 취임 * 2012년 12월 28일 : 체육 활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12년 12월 28일 : 독서 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2013년 3월 4일 : 제25회 입학식 (261명) * 2013년 9월 1일 : 제9대 이윤식 교장 취임 * 2014년 2월 10일 : 제23회 졸업식(281명, 총 10,578명) * 2014년 3월 3일 : 제26회 입학식(204명) * 2014년 9월 1일 : [[자유학기제]] 연계 중1진로 탐색 집중학년제 시범학교 운영 * 2015년 2월 6일 : 제24회 졸업식(258명, 총 10,836명) * 2015년 3월 2일 : 제27회 입학식(186명) * 2015년 9월 1일 : [[자유학기제]] 연계 중1진로탐색 집중학년제 시범학교 운영 * 2015년 12월 18일 : 에너지 수호천사단 우수학교 서울특별시장 표창 * 2015년 12월 31일 : 학부모 교육 운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16년 1월 5일 : 제25회 졸업식(254명, 총 11,090명) * 2016년 3월 2일 : 제28회 입학식(174명) * 2016년 12월 8일 : 나이스 운영 유공교육감 표창 * 2017년 3월 1일 : 제10대 김일원 교장 취임 * 2017년 3월 2일 : 제29회 입학식(215명) * 2018년 북부교육청 교육감배 농구 우승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당현초등학교(11462)'''}}}}}}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20|{{{#ffffff 1120}}}]]}}}[* 하계동 방향만 경유]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중계역/상계주공1단지(11833/11246)'''}}}}}} || ||<-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2|{{{#ffffff 10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5|{{{#ffffff 10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1|{{{#ffffff 11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46|{{{#ffffff 146}}}]]}}}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37|{{{#ffffff 113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39|{{{#ffffff 1139}}}]]}}}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노원15|{{{#ffffff 노원15}}}]]}}} || ||<-2> '''포천시 시내버스''' || ||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fff 직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100|{{{#ffffff 31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200|{{{#ffffff 32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500|{{{#ffffff 35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600|{{{#ffffff 3600}}}]]}}}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중계역/백병원(11834/11257)'''}}}}}} || ||<-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2|{{{#ffffff 10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5|{{{#ffffff 10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1|{{{#ffffff 11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46|{{{#ffffff 146}}}]]}}}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37|{{{#ffffff 113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39|{{{#ffffff 1139}}}]]}}}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노원15|{{{#ffffff 노원15}}}]]}}} || ||<-2> '''포천시 시내버스''' || ||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fff 직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100|{{{#ffffff 31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200|{{{#ffffff 32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500|{{{#ffffff 35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600|{{{#ffffff 3600}}}]]}}} ||}}} === 도시철도 === * [[서울 지하철 7호선]]: [[중계역]] == 이모저모 == * 보통 상천초등학교와 당현초등학교 학생들이 진학하며 낮은 확률로 상원초등학교, 중원초등학교, 상수초등학교 학생들이 진학을 한다 * 1980년대 [[계획도시]]인 [[노원구]]답게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나란히 붙어있는 특이한 배치이다. [* [[신상중학교(서울)|신상중학교]]와 [[서울상수초등학교]]도 나란히 붙어있다.] * 2010년대 후반, 한 학부모가 당시 교감의 뺨을 때린 사건이 발생했다. 자세한 정황은 밝히기 어려우나 학생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던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