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구(대구)의 법정동)] ||<-2> '''[[북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북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노원동}}}'''[br]魯院洞 | Nowon-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북구 노원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대구광역시)|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450104 || || '''관할 법정동''' || 노원동1~3가 || || '''하위 행정구역''' || 35통 186반 || || '''면적''' || 3.09㎢ || || '''인구''' || 11,098명[* 2022년 12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3,591.59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국회의원 | 북구 갑'''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양금희]] ,,(초선),, || ||<-2> '''대구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류종우 ,,(초선),, || ||<-2> '''북구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순란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임수환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노원로10길 166[* 노원동2가 211] || || [[http://www.buk.daegu.kr/dong/index.do?menu_id=00000397|노원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의 [[행정동]]. 법정동 노원동1가, 노원동2가, 노원동3가를 관할하도록 설정되었다. 원래 서구 원대동 4가, 원대동5가, 원대동6가였지만 1975년 행정구역이 북구로 이관되면서 노곡동(魯谷洞)의 魯와 원대동(院垈洞)의 院을 따서 노원동(魯院洞)이 되어 원대동4가는 노원동1가, 원대동5가는 노원동2가, 원대동6가는 노원동3가가 되었다. == 지리적 정보 == [[대구광역시]] 본시가지에 붙어 있는 땅이자 [[금호강]]을 두고 [[칠곡(대구)|칠곡]]과 마주보고 있는 동네다. 이 곳에서 [[팔달교]]를 건너간 지역부터는 [[칠곡(대구)|칠곡]]이다. 위성사진으로 보면 알겠지만 대부분의 부지가 공업용으로 쓰이고 있다. == 인구 == || '''[[|{{{#000 노원동}}}]] {{{#000 인구 추이}}}''' [br] {{{-3 (1975년~현재)}}} || || [[1975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대구광역시)|서구]] 원대1·2·4가동 일부, 원대5·6가동 전체 [br] → 대구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편입 및 노원1·2가동, 노원3가동으로 개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45.214%, #f35e19 0%, #f35e19 88.298%,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44,149명 (노원1·2가동 22,607명 + 노원3가동 21,542명)}}}}}} || || [[1979년]] [[5월 1일]] 노원3가동 →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47.222%, #f35e19 0%, #f35e19 73.588%, #18ac5e 0%, #18ac5e 96.86%, #AAA 0%)" {{{#fff 1980년 48,430명 (노원1·2가동 23,611명 + 노원3가1동 13,183명 + 노원3가2동 11,63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41.18%, #f35e19 0%, #f35e19 63.702%, #18ac5e 0%, #18ac5e 81.22%, #AAA 0%)" {{{#fff 1985년 40,610명 (노원1·2가동 20,590명 + 노원3가1동 11,261명 + 노원3가2동 8,7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31.47%, #f35e19 0%, #f35e19 49.868%, #18ac5e 0%, #18ac5e 62.09%, #AAA 0%)" {{{#fff 1990년 31,045명 (노원1·2가동 15,735명 + 노원3가1동 9,199명 + 노원3가2동 6,1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24.968%, #f35e19 0%, #f35e19 37.406%, #18ac5e 0%, #18ac5e 44.184%, #AAA 0%)" {{{#fff 1995년 22,092명 (노원1·2가동 12,484명 + 노원3가1동 6,219명 + 노원3가2동 3,389명)}}}}}} || || [[1998년]] [[10월 12일]] 노원1·2가동 → 노원1·2동 개칭 [br] 노원3가1동, 노원3가 2동 → 노원3동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22.288%, #f35e19 0%, #f35e19 35.58%,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7,790명 (노원1·2동 11,144명 + 노원3동 6,6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22.438%, #f35e19 0%, #f35e19 31.684%,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5,842명 (노원1·2동 11,219명 + 노원3동 4,623명)}}}}}} || || [[2009년]] [[7월 1일]] 노원1·2동, 노원3동 → '''노원동'''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26.9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3,4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22.40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1,20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24.2%,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2,1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aa 22.07%,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4월 11,035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1975-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교통 == === 버스 === ==== 급행 ==== * [[대구 버스 급행3]][*A 동명 방향만 경유] ==== 순환 ==== *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대구 버스 순환2(-1)]] * [[대구 버스 순환3, 순환3-1|대구 버스 순환3(-1)]] ==== 간선 ==== * [[대구 버스 101, 101-1|대구 버스 101-1]] * [[대구 버스 234]][*B 방천리 방향만 경유] * [[대구 버스 309]][* 북부정류장 방향만 경유] * [[대구 버스 323, 323-1|대구 버스 323-1]] * [[대구 버스 356]] * [[대구 버스 403]][* 사월동 방향만 경유] * [[대구 버스 523|대구 버스 523(원대오거리)]][* 방천리 방향만 경유] * [[대구 버스 527]][*A] * [[대구, 경산 버스 708]][*C 칠곡 방향만 경유] * [[대구 버스 719]] * [[대구 버스 724]][*C] * [[대구 버스 726]][*C] * [[대구 버스 730]] * [[대구 버스 750]][*C] * [[대구, 경산 버스 939]][* 사동 방향만 경유] ==== 지선 ==== *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대구 버스 서구1(-1)]] * [[대구 버스 북구1]] * [[대구 버스 북구3]] * [[대구 버스 북구4]][*B] * [[대구 버스 칠곡2]] * [[대구 버스 칠곡6]] ==== 타 지역 버스 ==== * [[칠곡군 농어촌버스|칠곡 버스 200]][* 황학동 방향만 경유] * [[성주, 칠곡 버스 250]][* 왜관 방향만 경유] * [[칠곡 버스 300]][* 가산2리 방향만 경유] === 도시철도 === 노원동의 남쪽경계를 형성하는 팔달로 위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지나간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자체가 승차량이 적고 이 주변이 인구가 밀집된 동네가 아니다 보니까 노원동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역들[* [[공단역]], [[만평역]], [[팔달시장역]], [[원대역]]]은 이용률이 저조한 편이다. === 버스 터미널 ===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주요 시설 == === 주거 === * 노원동 * [[포스코건설]] [[더샵 엘리체]] : 입주미정.[* [[https://blog.naver.com/gmen/223022341818|해당 블로그]]에 23년 2월 부지 현황 사진이 있다. 머지않아 착공이 예상되는 듯.] * 노원동1가 * [[대우건설]] 북구청역 푸르지오 에듀포레 : 2024년 3월 입주예정.[* 그런데 바로 옆이 [[침산동(대구)|침산3동]]과 [[칠성동2가]]라 그런지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06302499i|'침산생활권']]을 유독 강조하여 분양 홍보를 했다. 그래서 지역 토박이들이 이 홍보를 보고는 격세지감을 많이 느낀다고.] * 노원동3가 * [[한신공영]] [[대구노원 한신더휴]]: 2017년 9월 입주. == 생활 환경 == [[대구제3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거 환경이 그리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상가건물의 경우는 1층은 마트나 식당, 2~3층은 건물주의 집인 경우가 많다. 건물주가 공장에 딸린 집에 사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구 삼영초등학교 앞 골목에 있는 대남정밀 공장. 간혹 공장+상가+집이 같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삼영초 앞에 있던 우진문구점이 그런 케이스이며 현재는 주차장으로 쓴다. 골목 쪽은 공단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재개발도 안 되고 대부분이 슬럼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야간에는 가급적 혼자 다니지 않는 걸 추천한다. 학생수 부족으로 삼영초등학교가 2015년 9월 잠정 휴교했다가 2018년 3월 [[사수동]]으로 이전 후 재개교한 상태다. [[분류:북구(대구)의 행정동]]